KR20200016565A -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565A
KR20200016565A KR1020180091804A KR20180091804A KR20200016565A KR 20200016565 A KR20200016565 A KR 20200016565A KR 1020180091804 A KR1020180091804 A KR 1020180091804A KR 20180091804 A KR20180091804 A KR 20180091804A KR 20200016565 A KR20200016565 A KR 20200016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capture process
amine
amine adsorbent
dioxide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439B1 (ko
Inventor
윤여일
전일수
정진영
최정호
윤성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6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more than 10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3Pore diameter being in the range 2-50 nm, i.e. mes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5Pore diameter being more than 50 nm, i.e. macr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의 흡수탑 및 탈거탑(재생탑) 후단에 사용 가능한 아민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를 제공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포집공정 내 독성물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AMINE ADSORBENT FOR CO2 CAPTURE PROCESS}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을 거치고 최종 배출되는 흡수탑 및 탈거탑(재생탑) 후단에 사용하기 위한 가능한 아민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산업 시설에서 대량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고효율로 분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된 상태인 바이카보네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이온의 화학 반응성이 가장 좋으며, 대형화로 갈수록 경제성이 뛰어나기에 액상 흡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이산화탄소 대량 처리를 위해 액상 흡수법에 주로 이용되는 화학 물질은 아민 성분이 포함된 흡수제이다.
아민 성분은 부식성이 있으므로 물을 이용하여 농도를 20~40 wt%까지 묽혀 사용한다. 물을 사용할 경우, 이산화탄소는 물에 이온화되어 바이카보네이트 또는 카바메이트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는 분자의 운동성을 더욱 활발히 하는 효과가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하여, 액상 흡수법에서 물로 묽힌 아민을 이용하는 경우, 흡수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점차 포화되며, 이산화탄소로 포화된 흡수제는 가열하여 재생할 수 있다. 아민은 자연적으로 휘발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므로 온도에 따라 확산계수만큼 흡수탑 상단과 탈거탑 상단으로 각각 배출 가능하다.
흡수탑에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포함 가스는 흡수제에 의해 이산화탄소만 선택적으로 흡수제에 흡수 제거되고 대신 가스의 온도와 압력에 평형관계가 있는 물질들이 흡수탑 상단으로 함께 배출된다. 즉, 흡수탑 상단에는 연소배연가스 성분, 아민계열 흡수제 성분들이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보통 대부분 성분은 질소이고, 산소, 수증기, 미회수된 이산화탄소가 주성분이나 흡수제의 아민 성분도 ppm 단위로 배출가능하다.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재생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전되는 탈거탑은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킨 수용액상 아민 흡수제를 가열하여 흡수제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를 탈거시키는 반응이 진행되는 곳이다. 탈거탑은 흡수탑보다 더 높은 100도 초과의 온도에서 운전되므로 수증기, 아민, 고농도 이산화탄소 (99.9%이상)가 더욱 격렬하게 발생한다. 탈거탑 상단에 도달한 수증기, 아민, 고농도 이산화탄소는 응축기를 거치며 수증기와 아민은 액화되어 다시 탈거탑으로 회수되어 흡수제의 유실을 막는다. 하지만, 일련의 흡수제 재생 과정에서 응축기 온도와 평형을 이루고 있는 수십 ppm의 아민은 계속 소모되므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을 연속 운전할 경우 흡수제의 농도를 늘 확인하여 일정량의 농도를 맞춰주어야 한다.
흡수탑 상단에는 배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산화물과 아민의 라디칼반응을 통해 2차 아민인 니트로사민(Nitrosamine)이 발생할 수 있다. 니트로사민은 nitroso화합물의 일종으로 간암의 원인물질로 알려져있다. 아민과의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니트로사민은 주로 흡수탑에서 생성되나 질소 산화물 중 수용성 물질인 NO2가 탈거탑에서 재생이 되어 아민과 반응할 경우 탈거탑에서도 생성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흡수탑과 탈거탑에서 미량의 아민과 환경 유해물질인 니트로사민이 발생될 수 있다.
다양한 아민 중에 2차 아민이 1차 아민보다 니트로사민의 생성률의 더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흡수제로 많이 사용하는 PZ(Piperazine)와 2-MPZ(2-Methylpiperazine)은 2차 아민에 해당하고 이로 인해 유해한 니트로사민의 생성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2-MPZ와 PZ는 승화되는 성질도 있어 대기 중으로도 배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배출된 소량의 아민 가스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일부 2급 아민은 인체에 유해하며, 포집한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다른 물질로 바꾸는 전환 반응, 직접 사용, 압축하는 과정에서 아민이 불순물로 작용하기에 더 고효율의 친환경적인 탈아민 흡착제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1-01349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미량의 아민을 흡착 제어하고자 한다. 즉,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는 공정 가스가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을 거친 후 흡수탑 및 탈거탑 상단으로 분리되어 배출될 때, 흡수탑 또는 탈거탑 상단으로 흐르는 가스 흐름 중 포함되어 있는 미량의 아민 배출을 제어하는 흡착제의 제법 및 그 효과를 제시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체; 및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또는 금속-유기 프레임 워크(MOF)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은 K 또는 Ca 이온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민 흡착제 총 100 중량% 대비 금속이온을 0.78 내지 2.4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흡착제의 공극크기는 400 내지 600 ㅕ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민 흡착제의 비표면적은 1130 내지 1620 m2/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금속이온 전구체가 용해된 금속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금속염 용액에 다공성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의 금속이온은 K 또는 Ca일 수 있으며, 상기 (a) 단계에서의 금속염 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2 M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제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또는 금속-유기 프레임 워크(MOF)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90℃에서 10~20 RPM의 속도, 150~200 torr의 진공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아민흡착제를 제공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포집공정 내 니트로사민(nitrosamine) 등의 독성물질의 출발물질이 될 수 있는 2차 아민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유해가스를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필터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성능으로 아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민 흡착제를 적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에서 배출되는 2-MPZ의 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민 흡착에의 흡착능과 공극부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연소 배가스를 수세탑(101)에서 세정한 후, 세정된 연소 배가스를 흡수탑(102)로 이송시켜 흡수탑(102)내 아민계열의 이산화탄소 흡수제와 접촉을 통하여 연소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CO2)를 1차적으로 분리한다. 이때, 흡수탑(102)에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연소 배가스는 흡수탑(102)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연소 배가스는 니트로사민(nitrosamine)을 발생시킬 수 있는 PZ(Piperazine)와 2-MPZ(2-Methylpiperazine)의 2차 아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수제는 제 1 펌프(103)에 의하여 제 1 열교환기(104)를 거쳐 탈거탑(105)으로 이송된다. 탈거탑(105)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착된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킨 후, 흡수제를 재가열기(107), 제 2 펌프(108), 제 1 열교환기(104) 및 제 2 열교환기(105)를 거쳐 흡수탑(102)에 재공급한다. 탈거탑(105)은 흡수제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응축기(110)을 거쳐 환류탑(111)으로 이송시켜, 환류탑(111) 내에서 이산화탄소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이때, 환류탑(111)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기체는 니트로사민(nitrosamine)을 발생시킬 수 있는 PZ(Piperazine)와 2-MPZ(2-Methylpiperazine)의 2차 아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흡착제는 PZ(Piperazine)와 2-MPZ(2-Methylpiperazine)의 2차 아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술한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에서의 응축탑(111) 이후 또는 흡수탑(102) 이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는 다공성 지지체; 및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금속이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는 탄소계화합물, 산화물, 규소계 물질 및 금속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및 금속-유기 프레임 워크(MO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흡착제는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금속 함침 흡착제 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이온은 아민 흡착제는 총 100 중량% 대비 금속이온을 0.78 내지 2.44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이온은 K 또는 Ca의 무기금속이온이거나 K와 Ca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중 K(potassium)은 전구체로서 탄산칼륨(K2CO3)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탄산칼륨은 독성이 1,870 mg/kg에 불과한 바, 이는 26700 ppm 이상인 톨루엔의 약 0.1배에 해당한다. 또한, 2차 아민에 해당하지 않고 아민과의 반응이 적어 유해물질인 니트로사민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아민 흡착제의 공극크기는 meso 기공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민 흡착능을 향상시키고 아민 분자의 출입이 원활하기 위하여 400 내지 600 Å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흡착제의 비표면적은 1130 내지 1620 m2/g일 수 있다. 흡착량은 총 비표면적과 비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흡착제의 비표면적은 높을수록 유리하나, 상기 아민 흡착제의 비표면적은 1130 내지 1620 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a) 금속이온 전구체가 용해된 금속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금속염 용액에 다공성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금속염 용액은 K(potassium) 전구체 금속염 용액과 Ca(calcium) 전구체 금속염 용액일 수 있다.
상기의 K(potassium) 전구체 용액은 K의 공급을 위해서 전구체로서 KNO3, K2CO3, KHCO3, KOH, KCl 또는 K2(PO4)을 물에 녹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K2CO3을 물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Ca(calcium) 전구체 용액은 Ca의 공급을 위해서 전구체로서 Ca(NO3)2, CaCl2 또는 Ca3(PO4)2을 물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K(potassium) 전구체 용액 또는 Ca(calcium) 전구체 용액 각각의 농도는 0.5~2M(mol/l)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구체 용액의 용해도와 함침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및 금속-유기 프레임 워크(MO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K, Ca의 함량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진공 회전 증발기를 활용하여 다공성 지지체를 각각의 K(potassium) 전구체 금속염 용액과 Ca(calcium) 전구체 금속염 용액에 함침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있는 다공성 지지체를 90℃에서 10~20 RPM의 속도, 150~200 torr의 진공도를 유지하며 진공 회전 증발기를 이용해 2시간 가열하여 흡착된 대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각각의 K(potassium) 전구체 금속염 용액과 Ca(calcium) 전구체 금속염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1시간 이상 주입하여 함침시킨다.
상기 (c) 단계는, 함침이 종료된 이후엔 주입된 금속염 용액의 수분 성분을 휘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4시간 동안 90℃에서 10~20 RPM의 속도, 150~200 torr의 진공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금속염 용액의 제조
용매로서 물(H2O)에 K(potassium) 전구체로서 KNO3, K2CO3, KHCO3, KOH, KCl 또는 K2(PO4)가 용해된 K 전구체 금속염 용액을 0.5~2M(mol/l)의 농도로 준비한다.
용매로서 물(H2O)에 Ca(calcium) 전구체로서 Ca(NO3)2, CaCl2 또는 Ca3(PO4)2가 용해된 Ca 전구체 금속염 용액을 0.5~2M(mol/l)의 농도로 준비한다.
제조예 2. 다공성 지지체
다양한 다공성 지지체 후보군으로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또는 금속-유기 프레임워크(MOF, Metal Organic Framework)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제조예에서는 다공성 지지체로 활성탄을 준비하였다.
흡착제를 진공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90℃, 10~20 RPM의 속도, 150~200 torr의 진공도를 유지하며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흡착제에 존재하는 대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다.
실시예. 아민 흡착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된 K 전구체 금속염 용액과 Ca 전구체 금속염 용액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흡착제를 각각 순차적으로 1 시간 이상 함침시켜, 함침량을 달리하는 4개의 시료(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 참조)를 제조한다. 실제로 함침량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는 금속염 용액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조절 가능하다.
함침 종료 이후, 금속염 용액의 수분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하여 4시간 동안, 90℃에서 10~20 RPM의 속도, 150~200 torr의 진공 하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아민 흡착제를 제조한다.
측정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시료(실시예 1 내지 4) 에 대하여 EDS(Energy Dispersive X-ray) 및 EA(Elementary Analysis-CACL lab) 분석의 원소 함량비(중량%)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NGB10408)
실시예 2
(NCG10408)
실시예 3
(SGA-100)
실시예 4
(SGP-100)
EDS EA EDS EA EDS EA EDS EA
N - 0.51 - 0.55 - 0.42 - 0.31
C 89.29 91.41 84.43 86.88 88.94 86.20 88.65 83.93
O 9.50 - 12.80 - 10.13 - 9.59 -
Mg - - - - - - 0.16 -
Na 0.11 - - - - - - -
Al 0.11 - - - - - 0.28 -
P 0.64 - - - - - - -
Si - - 0.33 - 0.15 - 0.65 -
S - 0.06 - 0.21 - 0.50 0.18 0.51
K 0.59 - 1.93 - 0.62 - - -
Ca 0.08 - 0.51 - 0.16 - 0.33 -
Fe - - - - - - 0.15 -
H - - - - - - - -
total
(wt%)
100 91.98 100 87.64 100 87.12 100 84.75
비표면적(m2/g) 1115.1733 1137.9366 1611.1539 1061.4750
측정예 2. 아민의 흡착 성능평가
상기 실시예들의 흡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에서 실시예에서 제조된 아민 흡착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응축탑(111) 또는 흡수탑(102) 이후 배출되는 가스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2 급 아민인 2-MPZ의 함유량을 55ppm으로 설정하여 흡착탑에 주입하였으며, 흡착탑 외부로 배출되는 2-MPZ의 농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 (NCG10408)의 아민 흡착제가 반응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오랜 시간동안 2-MPZ의 저농도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3 보다 흡착제의 비표면적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 아민을 흡착해내는 성능을 보였다. 이는 흡착제 내에 포함되어 있는 K과 Ca의 무기 금속물이 아민을 화학흡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측정예 3. 공극부피(pore volume)의 영향
실시예 1 내지 4 흡착제에 대하여 공극부피에 따른 흡착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실시예 1), 도 4(실시예 2), 도 5(실시예 3) 및 도 6(실시예 4)에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6에서 ADS는 흡착, DES는 탈착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4는 랭뮤어 등온흡착선(Langmuir isotherm)을 보이며, 실시예 2는 공극크기가 400 내지 600 Å에 분포하며, 바람직하게는 500 Å의 meso pore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실시예 1에 비해 흡착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은 히스테레시스 곡선(Hysteresis curve)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히스테레시스 곡선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흡착제에서 주로 발생하는 바, 실시예 3은 다분자층(multilayer) 흡착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와 유사한 정도의 meso pore 형성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흡착능이 더 우수한 바 흡착제의 공극크기는 바람직하게는 470 내지 530 Å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Å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흡착제는 활성탄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금속 유기 프레임 워크 등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1 : 수세탑 102 : 흡수탑
103 : 제 1 펌프 104 : 제 1 열교환기
105 : 제 2 열교환기 106 : 탈거탑
107 : 재가열기 108 : 제 2 펌프
109 : 제 3 펌프 110 : 응축기
111 : 환류탑

Claims (11)

  1. 다공성 지지체; 및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또는 금속-유기 프레임 워크(MO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은 K 또는 Ca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흡착제는 총 100 중량% 대비 금속이온을 0.78 내지 2.44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흡착제의 공극크기는 400 내지 6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흡착제의 비표면적은 1130 내지 1620 m2/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
  7. (a) 금속이온 전구체가 용해된 금속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금속염 용액에 다공성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금속이온은 K 또는 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금속염 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2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제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탄소 분자체, 활성탄소 섬유 또는 금속-유기 프레임 워크(MO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90℃에서 10 내지 20 RPM의 속도, 150 내지 200 torr의 진공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용 아민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20180091804A 2018-08-07 2018-08-07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KR10217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04A KR102176439B1 (ko) 2018-08-07 2018-08-07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04A KR102176439B1 (ko) 2018-08-07 2018-08-07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65A true KR20200016565A (ko) 2020-02-17
KR102176439B1 KR102176439B1 (ko) 2020-11-10

Family

ID=6967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04A KR102176439B1 (ko) 2018-08-07 2018-08-07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254A (ko) 2021-11-17 2023-05-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아민 제거용 흡착제,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926A (ko) 2009-03-30 2011-12-15 테이트 앤드 라일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디메틸아민을 제거하는 공정
JP2014020912A (ja) * 2012-07-18 2014-02-03 Toshiba Corp アミンの回収方法および分析方法
KR20160126682A (ko) * 2015-04-24 2016-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질된 아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926A (ko) 2009-03-30 2011-12-15 테이트 앤드 라일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디메틸아민을 제거하는 공정
JP2014020912A (ja) * 2012-07-18 2014-02-03 Toshiba Corp アミンの回収方法および分析方法
KR20160126682A (ko) * 2015-04-24 2016-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질된 아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439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691B1 (ko) 염기 처리된 알루미나를 압력 스윙 흡착에 이용하는 방법
EP246559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Akhtar et al. Strong and binder free structured zeolite sorbents with very high CO 2-over-N 2 selectivities and high capacities to adsorb CO 2 rapidly
KR102194141B1 (ko) 메조다공성 차바자이트 제올라이트 포함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그 제조 방법
JP2016040025A (ja) 二酸化炭素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US10953362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mine gas from mixed gas
KR20140111549A (ko) 제올라이트 포함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38201A (ja) 希薄な揮発性炭化水素を含む大量の排ガス浄化方法
KR102176439B1 (ko)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용 아민 흡착제
JP4180991B2 (ja) 二酸化炭素の吸着方法
RU2576634C1 (ru) Адсорбент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JP2015509832A (ja) 乾燥剤担持ハニカム化学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82823A (ko) 오존흡착제,오존흡착용성형체및그제조방법
KR102145394B1 (ko) 다종 금속염이 함침된 고성능 분무함침 활성탄 및 이의 제조 방법
Muhammad et al. Carbon dioxide (CO2) capture in alkanolamines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developed from date stones
KR102413214B1 (ko)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필터
JP2004261670A (ja) 排ガス処理方法
JP4319127B2 (ja) 硝酸製造装置
KR20230057210A (ko)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제거 방법
KR102054289B1 (ko) 알칼리 금속 화합물이 첨착된 이산화질소 흡착 제거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RU2244586C1 (ru) Поглотитель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з газовых смесей
KR100684201B1 (ko) 불소 포함 배기가스의 처리방법 및 이의 방법을 사용하기위한 흡착 컬럼 장치
RU2493906C1 (ru) Поглотитель,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з газовых смесей
TW201318695A (zh) 二氧化氮吸附劑、二氧化氮吸附裝置及二氧化氮之去除方法
KR102671784B1 (ko) 케미컬 필터의 재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