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323A -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323A
KR20200016323A KR1020200015065A KR20200015065A KR20200016323A KR 20200016323 A KR20200016323 A KR 20200016323A KR 1020200015065 A KR1020200015065 A KR 1020200015065A KR 20200015065 A KR20200015065 A KR 20200015065A KR 20200016323 A KR20200016323 A KR 2020001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nformation
music box
sound sour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계섭
Original Assignee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1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323A/ko
Publication of KR2020001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의 선곡 작업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을 언제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고, 사용자들 간 음원 공유 기능을 통해 음악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된 사용자들 간 음원을 선물하여 친밀도를 높여줄 수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box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선곡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LP 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기기들은 사용자가 구매한 음반을 재생시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다. 하지만 LP판, 카세트테이프, CD 등의 저장매체는 음원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20여곡 내외의 음악을 감상한 후에는 음반을 교체해 주어야 한다.
한편 기술 발전에 따라 디지털 음원을 재생시키는 기술도 제시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MP3 플레이어인데, 대용량의 메모리에 디지털 포맷의 음원을 저장한 후 재생시킬 수 있어서 앨범을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선택된 곡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받아 재생시켜주는 기술도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MP3 플레이어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가 미리 감상하고자 하는 음원 파일을 일일이 선곡해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하다.
한편 뮤직박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88501호(2005.09.07. '뮤직박스 단말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일일이 음원을 선곡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뮤직박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음악적 취향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은, 음원을 제공하는 선곡시스템; 및 상기 선곡시스템으로부터 음원을 제공 받아 출력하는 복수의 뮤직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선곡시스템은 상기 뮤직박스에 설정된 기본장르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상기 뮤직박스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뮤직박스는, 상기 선곡시스템 측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명령입력부; 기기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해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재생 명령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고유정보를 상기 선곡시스템 측으로 전송 처리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원 정보를 재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은, 상기 뮤직박스로부터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처리부; 음원 정보 및 기기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기기고유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기기정보에 설정된 기본장르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뮤직박스 측으로 송출하는 선곡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곡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기기정보의 추가선택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선곡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에 설정된 기본장르정보 및 추가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뮤직박스 측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뮤직박스의 명령입력부에서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인접한 위치의 타 뮤직박스의 기기고유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선곡시스템 측으로 전송 처리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의 통신처리부를 통해 특정 뮤직박스로부터 타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상기 특정 뮤직박스의 사용자정보에 타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를 공유자정보로써 등록한 후, 타 뮤직박스에서 들을 수 있는 음원 중 선택된 음원을 상기 기기정보의 공유음원정보로 업데이트 처리하며, 상기 선곡시스템의 선곡제어부는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특정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와 함께 상기 공유음원정보로 업데이트 된 음원을 함께 추출하여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특정 뮤직박스 측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뮤직박스의 명령입력부에서 선물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곡시스템 측으로 선물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의 통신처리부를 통해 특정 뮤직박스로부터 선물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체크하고,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 대한 사용자정보의 공유자정보를 확인하여 기 공유된 타 뮤직박스를 확인하며, 공유가 확인된 타 뮤직박스에 대한 공유음원정보에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선물 음원으로 등록 처리하고, 상기 선곡제어부는 상기 타 뮤직박스 측으로 음원을 제공할 시 상기 타 뮤직박스에 대한 공유음원정보에 등록된 선물 음원을 우선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특정 장르의 뮤직박스를 선택하여 구매(또는 대여)한 사용자는 특별하게 음원을 선곡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본인 취향에 맞는 음악들을 언제 어디에서나 감상할 수가 있다.
또한 뮤직박스를 구매한 이후 회원가입을 하여 추가선택정보를 입력한다면, 해당 뮤직박스에 설정된 기본 장르 외에도 추가 장르, 추가 앨범, 특정 음원들을 추가하여 감상할 수도 있다.
더불어 재생 명령 입력 시 악기, 앨범, 날씨, 계절, 시각 등의 옵션 정보를 추가 선택하면, 기본 장르 또는 추가 선택된 장르의 음악 중에서도 옵션에 해당하는 악기나, 앨범 또는 날씨, 계절, 시각에 어울리는 노래들만 플레이될 수 있어서, 본인 취향과 현재 주변 상황에 맞는 최적의 노래들을 감상할 수가 있다.
또한, 서로 장르가 다른 뮤직박스들을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공유 명령을 입력하면, 서로 간의 기기고유정보를 교환하여, 상대방 기기에서만 들을 수 있었던 장르의 음원이나, 상대방 기기에서 들어봤던 음원을 내 기기에서도 감상할 수 있게 되어, 음악 감상의 폭을 넓혀줄 수가 있고 음원을 공유한 사용자 간의 친밀감을 증폭시킬 수가 있다.
또, 음원을 공유한 사용자 간의 음원 선물 기능을 통해 음악을 통한 사용자 간의 호감도를 높여줄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서 뮤직박스와 선곡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서 기본 장르의 음원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서 음원 영역을 확장하여 감상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5는 복수의 뮤직박스들이 근접하게 위치하여 서로의 음악을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복수의 뮤직박스들이 음원을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은 공유된 뮤직박스들 간 음원을 선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서 뮤직박스와 선곡시스템(5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은 인공지능 뮤직박스(1,2,3) 및 선곡시스템(50)을 포함한다.
인공지능 뮤직박스(1,2,3)(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box, 이하 'AI 뮤직박스' 또는 '뮤직박스'라고 함)는 선곡시스템(5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원을 제공받아 재생시킴으로써 음악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기이다. 도면에서는 제1뮤직박스(1), 제2뮤직박스(2) 및 제3뮤직박스(3)를 도시하였으나, 각 뮤직박스(1,2,3)들의 기능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뮤직박스(1,2,3)의 세부 구성을 설명할 시에는 제1뮤직박스(1)를 기준으로 설명토록 한다.
제1뮤직박스(1)는 본체(11), 스피커(12), 출력단자(13), 근거리통신모듈(14), 디스플레이(15), 명령입력부(16), 정보송수신부(17), 제어부(18), 메모리(19) 및 GPS모듈(20)을 포함한다.
본체(11)는 제1뮤직박스(1)의 외관을 형성하며 다른 구성들을 실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박스(1,2,3)들은 재생되는 음악의 기본장르에 따라 본체(11)의 디자인을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클래식 장르라면 나무 재질로 본체(11)를 제작하고, 케이팝 장르라면 태극 문양이 인쇄된 본체(11)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12)는 제1뮤직박스(1)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음성 출력하기 위해 마련되고, 출력단자(13)는 이어폰이나 헤드셋, 또는 외장 스피커(12)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출력단자(13)만 구비되고 스피커(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4)은 선곡시스템(50), 사용자단말(31,32,33), 무선공유기(미도시) 및 인접하게 위치한 타 뮤직박스(2,3) 측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근거리통신모듈(14)은 와이파이 망을 통해 선곡시스템(50)과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즉, 근거리통신모듈(14)이 무선공유기(미도시) 또는 핫스팟 모드로 동작되는 제1사용자단말(31)에 접속하여 선곡시스템(5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모듈(14)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여 제1사용자단말(31),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뮤직박스(2,3)를 인식하고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는 제1뮤직박스(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재생되고 있는 음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명령입력부(16)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버튼이나 다이얼 형태로 본체(11) 외관에 설치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명령입력부(16)를 통해 재생 명령, 일시 정지 명령, 반복 재생 명령, 전원 On/Off, 재생 방식 선택 명령, 공유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명령입력부(16)를 통해 제1뮤직박스(1)가 제1사용자단말(31), 무선공유기(미도시), 선곡시스템(50) 등과 통신 채널을 연결할 시 필요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물론 제1뮤직박스(1)가 무선공유기(미도시) 등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 작업은 제1뮤직박스(1)와 제1사용자단말(31)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사용자단말(31)의 사용자 명령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보송수신부(17)는 근거리통신모듈(14)과 연동하여 제1사용자단말(31), 무선공유기, 선곡시스템(50) 또는 다른 뮤직박스(2,3)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어부(18)는 명령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뮤직박스(1)가 동작하도록 처리하며, 선곡시스템(50)으로부터 음원을 수신하면 이를 재생시킨다.
메모리(19)는 제1뮤직박스(1)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메모리(19)에는 기기고유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에는 선곡시스템(5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음원 정보가 임시 저장될 수도 있다.
GPS모듈(20)은 제1뮤직박스(1)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GPS모듈(20)에서 획득한 실시간 위치 정보는 제어부(18)를 통해 선곡시스템(50)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곡시스템(50)은 통신처리부(51), 서비스처리부(52), 선곡제어부(53) 및 데이터베이스(54)를 포함한다.
통신처리부(51)는 사용자단말(31,32,33), 뮤직박스(1,2,3), 운용자단말(60) 및 음원제공서버(70)와 유무선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서비스처리부(52)는 뮤직박스(1,2,3) 사용에 필요한 일련의 서비스들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서비스처리부(52)는 사용자에게 배송될 뮤직박스(1,2,3)를 등록 처리하여 활성화 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단말(31,32,33)로부터 접수되는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54)에 등록하여 회원가입 처리하거나, 회원가입된 사용자의 장르 또는 음원 추가에 대한 추가선택정보를 등록 처리하거나, 서로 다른 뮤직박스(1,2,3)가 인접하게 위치하여 음원 공유를 요청하였을 때 공유음원정보 및 공유자정보를 업데이트 처리하거나, 사용료 결제 등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처리부(52)는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또는 운용자단말(60)의 명령 입력에 따라 음원제공서버(70)로부터 수신된 음원들에 대한 태깅 작업을 처리할 수도 있다.
선곡제어부(53)는 뮤직박스(1,2,3)에서 요청되는 재생 명령에 따라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원을 뮤직박스(1,2,3)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데이터베이스(54)는 뮤직박스(1,2,3) 측으로 전송할 음원들을 음원제공서버(7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뮤직박스(1,2,3)들에 대한 기기정보 및 회원가입 처리된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는 음원, 기기정보, 사용자정보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음원제공서버(70)로부터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는 음원 정보에는 서비스처리부(52)의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또는 운용자단말(60)을 통한 분류 작업에 따라 태그가 입혀져 있다. 태그의 종류로는 장르태그, 악기태그, 앨범태그, 날씨태그, 계절태그, 시각태그 등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장르태그는 해당 음원 정보의 음악적 장르를 말한다. 장르태그의 예시로는 클래식, 케이팝, 팝송, 재즈 등이 있을 수 있다.
악기태그는 해당 음악을 연주할 시 사용된 악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악기태그의 예시로는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합주 등이 있을 수 있다.
앨범태그는 해당 음원이 실린 앨범에 대한 정보이다. 앨범태그의 예시로는 조용필 10집, 뮤지컬 시카고 OST 등이 있을 수 있다.
날씨태그는 해당 음원과 어울리는 날씨에 대한 정보이다. 예컨대 비가 오는 날에 생각나는 노래라거나, 비와 관련된 가사가 삽입된 노래일 경우 '비'라는 태그가 달릴 수 있다.
계절태그는 해당 음원과 어울리는 계절에 대한 정보이다. 예컨대 더위 또는 해변과 관련된 노래일 경우 '여름' 태그가 달릴 수 있고, 꽃 또는 따뜻함과 관련된 노래일 경우 '봄' 태그가 달릴 수 있다.
시각태그는 해당 음원과 어울리는 시각에 대한 정보이다. 예컨대 새로 시작하는 내용의 가사를 담은 노래일 경우 '1월', 또는 '월요일', 또는 '오전' 태그가 달릴 수 있다. 시각태그는 월별, 요일별, 시간별로 세분화하여 분류될 수 있다.
이상 태그 정보에 따라 음원 정보가 분류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였는데, 태그 정보는 추후 뮤직박스(1,2,3)에서 재생 명령이 입력되었을 시, 선곡제어부(53)가 뮤직박스(1,2,3) 측으로 제공할 음원을 선별하고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할 시 활용된다.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는 기기정보는 재생 명령이 입력된 뮤직박스(1,2,3)를 특정하고 제공되어야 할 음원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기정보는 기기고유정보, 기본장르정보, 추가선택정보 및 공유음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고유정보는 뮤직박스(1,2,3)를 특정하기 위한 고유의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기본장르정보는 해당 뮤직박스(1,2,3)에 할당된 기본적인 음악 장르(클래식, 케이팝, 팝송 등)에 대한 정보이다. 즉 뮤직박스(1,2,3)는 미리 음악 장르가 정해져 있는데, 최초 뮤직박스(1,2,3)를 출고할 시 기본장르정보가 기기정보에 등록된 상태로 출고된다.
추가선택정보는 사용자가 뮤직박스(1,2,3) 구매한 이후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를 추가한 내역을 말한다. 예컨대 기본장르정보는 뮤직박스(1,2,3)마다 기본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만약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통해 특정 장르를 추가 선택하였다면, 추가선택정보에 추가된 장르가 저장된다. 이 경우 하나의 기기에 복수의 장르정보가 매칭되는 것이다. 또한 회원 가입을 마친 사용자가 특정 앨범이나 음원을 추가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추가 앨범이나 음원에 대한 정보도 추가선택정보에 포함되어 해당 기기고유정보와 매칭 저장된다.
공유음원정보는 복수의 뮤직박스(1,2,3)들이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공유 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생성되는 정보이다. 사용자 간, 즉 뮤직박스(1,2,3)들 간의 음원 공유 방식은 다양하다. 예컨대 케이팝 장르의 제1뮤직박스(1)와 클래식 장르의 제2뮤직박스(2)가 서로 공유되었다면, 케이팝 장르의 제1뮤직박스(1)에는 클래식 장르의 음원이 공유음원정보로 저장되고, 클래식 장르의 제2뮤직박스(2)에는 케이팝 장르의 음원이 공유음원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공유음원정보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선물 받은 음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후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는 사용자정보는 뮤직박스(1,2,3)를 구매(또는 대여)하고 회원 가입을 마친 사용자에 대한 정보이다. 사용자정보는 기기정보와 매칭 저장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기초정보, 감상이력, 공유자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기초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이름, 생년월일, 성별, 결제내역 등을 말한다.
감상이력 정보는 선곡시스템(50)에서 뮤직박스(1,2,3) 측으로 전송되어 출력된 음원들의 이력을 말한다.
공유자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뮤직박스(1,2,3)와 공유된 상대방 뮤직박스(1,2,3)의 정보,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와 제2뮤직박스(2)가 공유되었을 경우, 제1뮤직박스(1)에 대한 사용자정보의 공유정보에는 제2뮤직박스(2)에 대한 기기정보, 또는 제2뮤직박스(2)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31,32,33)은 스마트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는데, 사용자단말(31,32,33)은 뮤직박스(1,2,3)가 선곡시스템(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 핫스팟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최초 뮤직박스(1,2,3)의 구매(또는 대여)를 요청하거나, 회원 가입 및 추가선택정보 절차를 진행하거나, 음원 사용료와 뮤직박스 보증료를 결제할 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3은 도1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서 기본 장르의 음원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케이팝 장르의 제1뮤직박스(1)를 신청하고 음악을 감상하는 예시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1사용자단말(31)을 통해 선곡시스템(5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신청<S305>한다. 제1사용자단말(31)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선곡시스템(5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케이팝 장르의 제1뮤직박스(1)를 선택하고 구매비용(구매시) 또는 보증료(대여시)를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통상적인 온라인 쇼핑 과정과 유사하다. 즉 사용자는 선곡시스템(50)을 운용하는 업체와 제휴된 다양한 오픈마켓을 통해 제1뮤직박스(1)를 구매 또는 대여 신청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신청한 제1뮤직박스(1)는 출고시 선곡시스템(50)에 이미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제1사용자의 서비스 신청<S305>에 따라 선곡시스템(50)을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1뮤직박스(1)를 사용자에게 배송하며, 사용자가 제1뮤직박스(1)를 배송 받은 후 음악 감상이 필요하면, 제1뮤직박스(1)의 전원을 켠다. 제1뮤직박스(1)의 전원이 켜지면 근거리통신모듈(14)을 통해 와이파이 방식으로 제1뮤직박스(1)가 선곡시스템(50)에 접속되어 통신 채널이 연결<S310>된다. 제1뮤직박스(1)가 와이파이 방식으로 선곡시스템(5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무선공유기(미도시) 또는 제1사용자단말(31)의 핫스팟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이 중 무선공유기(미도시)를 이용할 시에는 명령입력부(16)를 통해 활성화된 무선공유기를 선택하고 접속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제1사용자단말(31)과 제1뮤직박스(1)가 블루투스 또는 케이블로 연결된 후, 제1사용자단말(31)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뮤직박스(1)가 무선공유기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명령입력부(16)를 통해 재생 명령을 입력<S315>하면, 제어부(18)는 선곡시스템(50) 측으로 재생 명령을 전송하며,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제1뮤직박스(1)에서 입력된 재생 명령을 접수한 후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54)에서 순차적으로 음원을 추출하여 통신처리부(51)를 통해 제1뮤직박스(1) 측으로 송출<S320>한다.
이후 제1뮤직박스(1)의 정보송수신부(17)를 통해 선곡시스템(50)으로부터 음원을 수신하면, 제어부(18)는 수신된 음원을 재생시켜 스피커(12) 또는 출력단자(13)를 통해 출력하여 음악 감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뮤직박스(1)의 재생 명령 입력 방식에 따라 선곡시스템(50)에서 음원을 선곡하는 형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아무런 옵션 없이 순수하게 재생 명령만 입력하였다면, 제어부(18)는 선곡시스템(50) 측으로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에 대한 정보만 전송한다. 이후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54)를 통해 해당 기기고유정보와 매칭 저장된 기본장르정보를 확인한다. 선곡제어부(53)에서 제1뮤직박스(1)가 케이팝 장르의 음악 감상을 위한 기기임을 확인하였다면,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음원 정보의 태그를 확인한 후, 장르태그가 케이팝인 음원 들 중 소정의 개수를 선별한 후 랜덤하게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순차적으로 음원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재생 명령을 입력할 시 명령입력부(16)를 통해 특정 가수나 그룹에 대한 재생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는 선곡시스템(50) 측으로 기기고유정보, 앨범 선택정보 및 재생 명령을 함께 전송한다. 이후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기기고유정보를 통해 케이팝 장르의 제1뮤직박스(1)임을 확인하고, 음원 정보의 태그를 확인하여 장르태그가 케이팝이면서도, 앨범태그가 선택된 앨범에 대응하는 음원들만 선별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한다.
한편 도3의 과정에서 사용자는 제1뮤직박스(1)를 구매 또는 대여하면서 일정 금액의 비용을 결제하였다. 이러한 구매비용 또는 보증료에 의해서는 제1뮤직박스(1)를 통해 감상할 수 있는 음원이 제한적이다. 즉 제1뮤직박스(1)를 통해 특정 장르의 음악을 감상할 수는 있더라도, 해당 기본장르 중에서도 한정된 곡들만 감상할 수 있거나, 한정된 기간 동안만 음악 감상이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가 제1뮤직박스(1)를 통해 다른 장르의 음악을 감상하거나, 기간 제약 없이 음악을 감상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음악을 공유하고 싶다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회원가입 절차를 먼저 수행해야 한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서 음원 영역을 확장하여 감상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앞서 도3의 과정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를 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음악(케이팝)을 감상할 수가 있다. 하지만 도4의 과정을 통해 회원 가입을 한다면 기본 장르 외에 추가 서비스를 추가로 받아볼 수가 있다.
먼저 제1뮤직박스(1)를 구매(또는 대여)하여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는 제1사용자단말(31)을 통해 선곡시스템(50)에 접속하고 회원 정보를 입력한 후 회원 가입 요청 및 추가 서비스 신청<S405>을 할 수 있다. 회원 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등록, 이름, 생년월일, 성별, 주소 등의 개인 인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제1뮤직박스(1)에 대한 기기고유정보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회원 가입 절차에서 음원사용료(월정액제일 수 있음)를 결제할 수도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신청 과정에서 추가선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추가선택정보란 장르 추가, 앨범 추가, 특정 음원 추가 등을 말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뮤직박스(1)의 기본장르가 케이팝이지만, 클래식이나 팝송 등의 장르를 추가선택정보로 추가할 수 있다. 또는 특정 가수나 그룹의 앨범을 추가하거나, 듣고 싶은 음악을 특정하여 해당 음원을 추가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신청에 따라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입력된 회원 정보를 사용자정보의 사용자기초정보로 등록하고, 더불어 제1뮤직박스(1)의 기기고유정보, 추가선택정보(클래식, 앨범, 추가 음원) 등의 기기정보를 데이터베이스(54)에 매칭 저장함으로써 등록 처리<S410>한다.
이후 제1뮤직박스(1)가 선곡시스템(50)과 접속된 후 사용자가 명령입력부(16)를 통해 재생 명령을 입력<S415>하면, 제어부(18)는 선곡시스템(50) 측으로 재생 명령을 전송하며,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제1뮤직박스(1)에서 입력된 재생 명령을 접수한 후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54)에서 순차적으로 음원을 추출하여 통신처리부(51)를 통해 제1뮤직박스(1) 측으로 송출<S420>한다. 제1뮤직박스(1)의 정보송수신부(17)를 통해 선곡시스템(50)으로부터 음원을 수신하면, 제어부(18)는 수신된 음원을 재생시켜 스피커(12) 또는 출력단자(13)를 통해 출력하여 음악 감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뮤직박스(1)의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선곡시스템(50)에서 음원을 선곡하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아무런 옵션 없이 순수하게 재생 명령만 입력하였다면, 제어부(18)는 선곡시스템(50) 측으로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에 대한 정보만 전송한다. 이후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54)를 통해 해당 기기고유정보와 매칭 저장된 기본장르정보 및 추가선택정보를 확인한다. 선곡제어부(53)에서 제1뮤직박스(1)가 케이팝 장르의 음악 감상을 위한 기기임을 확인하였고, 추가선택정보로 클래식 장르가 추가된 것이 확인되었다면,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음원 정보의 태그를 확인한 후, 장르태그가 케이팝인 음원과 클래식인 음원 들 중 소정의 개수를 선별한 후 랜덤하게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한 후 순차적으로 음원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회원 가입을 통해 음원사용료를 결제하였을 경우, 선곡제어부(53)가 선택하게 되는 음원의 영역에는 제한이 없다. 즉 도3의 과정에서 제한적 음원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케이팝과 클래식 음원 전체 영역을 범위로 하여 랜덤하게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재생 명령을 입력할 시 명령입력부(16)를 통해 피아노 연주곡, 기타 연주곡 등에 대한 재생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케이팝 또는 클래식 장르의 음원 들 중 피아노 또는 기타에 대한 태그가 함께 매칭된 음원들만 추출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제1뮤직박스(1)에는 GPS모듈(20)이 탑재되어 있다. GPS모듈(20)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는 제어부(18)에서 선곡시스템(5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맞춤형 음원 제공도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재생 명령을 입력할 시 명령입력부(16)를 통해 날씨별 음악에 대한 재생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는 선곡시스템(50) 측으로 기기고유정보, 날씨별 선택정보 및 재생 명령을 함께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8)는 GPS모듈(20)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후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제1뮤직박스(1)의 현재 위치에 대한 날씨 정보를 확인한다. 즉, 선곡제어부(53)는 별도의 날씨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지역별 날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뮤직박스(1)가 위치한 지역에 비가 내리고 있다면, 선곡제어부(53)는 음원 정보를 추출할 시, 장르태그가 케이팝(기본장르에 대응함)이거나 클래식(추가선택정보에 대응함)인 음원 들 중, 날씨태그가 '비'인 음원들만 선별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제1뮤직박스(1)로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듣고싶은 음악을 번거롭게 선택하지 않더라도, 제1뮤직박스(1)의 기본 장르인 케이팝 음악, 또는 추가 선택한 클래식 음악, 그 중에서도 현재 날씨와 가장 어우러지는 음악들을 제공받아 현재 분위기에 어울리는 음악들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가 있다.
한편 앞선 과정을 통해 회원 가입 절차가 이루어지면,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제1뮤직박스(1)로 전송된 음원들에 대한 감상이력을 데이터베이스(54)의 사용자정보에 저장하여 업데이트<S425>한다. 감상이력은 꾸준하게 누적 저장되어 추후 제1사용자단말(31)을 통해 선곡시스템(50)에 접속함으로써 통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으며, 추후 음원을 공유할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5는 복수의 뮤직박스들이 근접하게 위치하여 서로의 음악을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복수의 뮤직박스들이 음원을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뮤직박스(1,2,3)를 구매(또는 대여)함으로써 별도의 선곡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들을 감상할 수가 있다. 하지만 각각의 뮤직박스(1,2,3) 들은 기본 장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회원 가입을 통해 추가선택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이상, 또는 추가선택정보를 입력했다 하더라도 추가 선택된 장르 이외의 음악은 감상할 기회가 거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악적 감상 영역을 넓혀줄 수 있도록 독특한 기능을 추가 제공한다. 그 중 하나가 음원 공유 기능이다.
예컨대 기본장르가 케이팝인 제1뮤직박스(1)와, 클래식인 제2뮤직박스(2)와, 팝송인 제3뮤직박스(3)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S605>한 상태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뮤직박스(1,2,3)들 간의 인접이라 함은 근거리통신모듈(14)을 통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를 말한다.
복수의 뮤직박스(1,2,3)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근거리통신모듈(14)의 통신 반경 이내에 다른 뮤직박스(1,2,3)가 스캔된 것을 제어부(18)가 확인하였다면, 제어부(18)는 디스플레이(15)나 스피커(12)를 통해 타 뮤직박스(1,2,3)에 대한 위치 근접 여부를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18)는 램프 깜빡임을 통해 타 뮤직박스(1,2,3)가 근접하였음을 알리거나 음성 안내 멘트를 통해 타 뮤직박스(1,2,3)의 근접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뮤직박스(1,2,3)의 명령입력부(16)를 통해 공유 명령을 입력<S610>하게 된다. 이때 음원 공유를 원하는 사용자만 공유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뮤직박스(1)와 제2뮤직박스(2)에서 공유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한다.
명령입력부(16)에서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공유 명령이 입력된 뮤직박스(1,2)들이 서로 기기고유정보를 교환<S615>한다. 여기서 뮤직박스(1,2)의 기기고유정보는 블루투스 기기명일 수 있다. 예를들면 다른 블루투스 기기들과 달리 뮤직박스(1,2)들은 MBOX로 시작하도록 기기고유정보(기기명)가 독특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기고유정보의 교환이란 상대방 뮤직박스(1,2)의 기기고유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의 기기고유정보(블루투스 기기명)가 MBOX-KPOP1004이고, 제2뮤직박스(2)의 기기고유정보(블루투스 기기명)가 MBOX-Classic902라고 한다면, 제1뮤직박스(1)의 제어부(18)는 MBOX-Classic902를 획득하고, 제2뮤직박스(2)의 제어부(18)는 MBOX-KPOP1004를 획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기고유정보의 획득 과정은 양 기기들간의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연결(페어링)된 후 각각의 제어부(18)에서 자신의 메모리(19)에 저장된 기기고유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통신 채널 연결 없이 제어부(18)가 근거리통신모듈(14)을 통해 상대방 기기를 스캔하였을 시 확인된 기기명 자체를 그대로 획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8)는 획득한 상대방 뮤직박스(1,2)의 기기고유정보를 선곡시스템(50) 측으로 전송<S620>하고,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통신처리부(51)를 통해 수신한 기기고유정보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하여 공유자정보 및 공유음원정보를 업데이트<S625>한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의 제어부(18)가 공유된 상대방인 제2뮤직박스(2)의 기기명 MBOX-Classic902를 획득하여 선곡시스템(50)으로 전송하면, 서비스처리부(52)는 기기고유정보가 MBOX-KPOP1004인 제1뮤직박스(1)의 사용자정보에 공유자정보로써 MBOX-Classic902를 저장하거나, MBOX-Classic902의 사용자정보(아이디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처리부(52)는 제1뮤직박스(1) 기준으로 공유된 상대방인 제2뮤직박스(2)의 기본장르정보, 또는 감상이력 정보를 토대로 특정 개수의 음원을 공유음원정보로써 업데이트한다. 마찬가지로 서비스처리부(52)는 제2뮤직박스(2) 기준으로 공유된 상대방인 제1뮤직박스(1)의 기본장르정보, 감상이력 정보 등을 토대로 특정 개수의 음원을 공유음원정보로써 업데이트한다.
이후 제1뮤직박스(1)에서 재생 명령을 입력한다면, 제어부(18)에서 제1뮤직박스(1)의 기기고유정보와 재생 명령을 선곡시스템(50) 측으로 전송하고, 선곡시스템(50)의 선곡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54)를 통해 제1뮤직박스(1)의 기본 장르정보가 케이팝인 것을 확인한 후 음원 정보 중 케이팝 장르의 음원을 추출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되, 제1뮤직박스(1)의 공유음원정보를 확인한 후, 공유된 음원을 플레이리스트 중간 중간에 삽입하여 제1뮤직박스(1)에서 케이팝 이외에 공유된 음원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뮤직박스(1)로 송출되는 음원들은 대부분 케이팝이겠지만, 간헐적으로 공유된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에 공유된 음원은 제2뮤직박스(2)의 기본장르인 클래식 장르의 음원 중 랜덤하게 선택된 곡이거나, 제2뮤직박스(2)의 사용자가 추가선택한 장르의 음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뮤직박스(1)의 사용자 및 제2뮤직박스(2)의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악적 경험을 서로 공유할 수가 있다.
이상 도6을 통해 뮤직박스(1,2,3) 사용자들 간 음원을 공유하는 기본적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음원 공유 알고리즘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를 몇 가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로 다른 장르의 뮤직박스(1,2)들이 음원을 공유할 경우 상대방 장르의 음원이 공유된다. 예컨대 케이팝 장르인 제1뮤직박스(1)에는 제2뮤직박스(2)의 기본장르인 클래식 음악이 공유되는 것이다.
반대로 같은 장르의 뮤직박스(1,2,3)들이 음원을 공유할 경우에는 감상이력 확인을 통해 본인은 들어보지 못했지만, 상대방은 들어봤던 곡을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팝 장르의 뮤직박스끼리 음원 공유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뮤직박스로부터 공유 명령을 접수한 후, 특정 사용자정보의 공유자정보로써 상대방 사용자정보(또는 기기정보)를 등록한 후, 공유음원정보를 업데이트 할 때 양 사용자의 감상이력을 분석한다. 즉 서비스처리부(52)는 같은 기본장르를 갖는 뮤직박스들 간의 공유 명령임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감상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새로운 음악 경험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서비스처리부(52)는 감상이력 정보 분석을 통해 제1사용자는 들어본 경험이 없지만, 제2사용자는 들어본 경험이 있는 음원 들 중 몇 곡을 선택하여 공유음원정보로써 업데이트한다. 이렇게 업데이트 된 음원은 추후 제1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할 시 중간 중간 삽입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제1사용자는 본인의 기본 장르에 포함된 음악이라 하더라도, 이제껏 들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곡을 감상함으로써 제2사용자와의 유대 관계를 돈독히 할 수가 있다.
한편 공유되는 음원의 개수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한을 둘 수 있다.
먼저 뮤직박스(1,2)들 간의 인접 위치 시간에 따른 제한이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와 제2뮤직박스(2)가 서로 공유 명령을 입력하였다면, 제어부(18)는 근거리통신모듈(14)을 통해 상대방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시간을 체크하고, 이 시간 정보를 선곡시스템(50)으로 전송하면, 서비스처리부(52)는 각 뮤직박스(1,2)가 서로 인접하여 통신 채널이 연결된 시간에 비례하여 공유음원정보에 업데이트 되는 곡의 개수를 늘려준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와 제2뮤직박스(2)가 1시간동안 인접하게 위치하였다면 서비스처리부(52)는 각각 1곡의 음원이 공유되도록 처리하고, 5시간동안 인접하게 위치하였다면 5곡의 음원이 공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이 서로 더 오랜 시간 함께 있었다는 것은 친분이 두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만큼 상대방의 음악적 경험을 더 많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유대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공유 음원 개수의 제한 방식으로는 각자 음악을 경험한 차이에 따른 것이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와 제2뮤직박스(2)가 서로 공유 명령을 입력하였다면,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각 뮤직박스(1,2)의 사용자정보에서 감상이력을 분석한 후 음원 공유 개수를 차등하여 공유음원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즉 제1뮤직박스(1)의 사용자는 100곡의 음원 감상이력이 있고, 제2뮤직박스(2)의 사용자는 500곡의 음원 감상이력이 있을 경우, 제1뮤직박스(1)의 사용자에게는 1곡의 상대방 음원을 공유시키고, 제2뮤직박스(2)의 사용자에게는 5곡의 상대방 음원을 공유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음악적 경험이 풍부한 사용자는 상대방의 공유 음원도 더욱 다양하게 경험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공유 음원 개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뮤직박스(1)와 제2뮤직박스(2)에서 공유 명령을 입력하였다면,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각 뮤직박스(1,2)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성별을 확인한 후, 동성이냐 이성이냐에 따라 공유음원정보에 등록될 공유 음원의 개수에 차등을 둘 수 있다. 만약 동성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음원을 공유시키고, 이성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음원을 공유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성 간 음악적 경험 공유 기회를 늘림으로써 서로의 호감도를 더욱 상승 시킬 수가 있다.
또한 특정일에 따라 공유 음원 개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선곡시스템(50)에서 공유 명령을 수신하면 서비스처리부(52)는 공유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확인한 후, 공유 명령을 입력한 날이 생일인 사용자가 있다면, 양 사용자 모두의 공유 음원 개수를 늘려주거나, 생일인 사용자의 공유 음원 개수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공유 음원 개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선곡시스템(50)에서 공유 명령을 수신하면 서비스처리부(52)는 공유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서 공유 음원 개수를 차등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나이가 어린 사용자에게는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음원을 공유하여 음악적 경험을 더욱 다양하게 쌓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7은 공유된 뮤직박스들 간 음원을 선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5 및 도6을 통해 서로 음원을 공유한 사용자 들 간에는 이후 원거리에 떨어져 있더라도 추후 음원 선물이 가능하다. 설명에 앞서 제1뮤직박스(1) 및 제2뮤직박스(2)가 도6의 과정을 통해 음원 공유를 하여 각자의 사용자정보에 공유자정보가 업데이트 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1뮤직박스(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평상시 대로 음악을 감상<S705>하고 있다가 특정 음원이 좋다고 느낀 후 이를 선물하고자 할 때, 명령입력부(16)를 통해 선물 버튼을 입력<S710>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는 입력된 선물 버튼에 대한 명령을 선곡시스템(50)으로 전송하고, 선곡시스템(50)의 서비스처리부(52)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이 무엇인지 체크한다. 또한 서비스처리부(52)는 사용자정보의 공유자정보를 확인하여 제1뮤직박스(1)와 공유된 제2뮤직박스(2)를 확인<S715>한다.
이후 서비스처리부(52)는 공유가 확인된 제2뮤직박스(2)의 공유음원정보에 제1뮤직박스(1)에서 선물한 해당 음원을 업데이트<S720> 처리한다.
만약 제2뮤직박스(2)에서도 같은 시각 음악을 듣고 있는 상태라면, 선곡제어부(53)는 제2뮤직박스(2)에 제공하기 위해 작성하였던 플레이리스트의 바로 다음곡에 업데이트된 공유음원정보의 선물 음원을 바로 등록한다. 이때 선물 받은 음원에는 선물 받았음을 알리는 태그나 안내 멘트 음원이 추가로 삽입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물 받은 음원이 제2뮤직박스(2)를 통해 재생될 시 디스플레이(15)를 통해 선물 받은 음원이라는 정보가 출력되거나, 선물 음원 재생 전 선물 받은 음원이라는 안내 멘트 음원이 먼저 출력될 수도 있다.
만약 제2뮤직박스(2)에서 현재 음악을 듣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추후 제2뮤직박스(2)에서 재생 명령이 입력되었을 시, 선곡제어부(53)가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면서 공유음원정보에 업데이트된 선물 음원 정보를 가장 최우선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7을 통한 음원 선물 과정에서도 선물할 수 있는 음원의 개수에는 제한을 두어야 하며, 선물 음원 개수를 제한하는 알고리즘은 앞서 공유 음원 개수를 제한하는 알고리즘과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특정 장르의 뮤직박스(1,2,3)를 선택하여 구매(또는 대여)한 사용자는 특별하게 음원을 선곡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본인 취향에 맞는 음악들을 언제 어디에서나 감상할 수가 있다.
또한 뮤직박스(1,2,3)를 구매한 이후 회원가입을 하여 추가선택정보를 입력한다면, 해당 뮤직박스(1,2,3)에 설정된 기본 장르 외에도 추가 장르, 추가 앨범, 특정 음원들을 추가하여 감상할 수도 있다.
더불어 재생 명령 입력 시 악기, 앨범, 날씨, 계절, 시각 등의 옵션 정보를 추가 선택하면, 기본 장르 또는 추가 선택된 장르의 음악 중에서도 옵션에 해당하는 악기나, 앨범 또는 날씨, 계절, 시각에 어울리는 노래들만 플레이될 수 있어서, 본인 취향과 현재 주변 상황에 맞는 최적의 노래들을 감상할 수가 있다.
또한, 서로 장르가 다른 뮤직박스(1,2,3)들을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공유 명령을 입력하면, 서로 간의 기기고유정보를 교환하여, 상대방 기기에서만 들을 수 있었던 장르의 음원이나, 상대방 기기에서 들어봤던 음원을 내 기기에서도 감상할 수 있게 되어, 음악 감상의 폭을 넓혀줄 수가 있고 음원을 공유한 사용자 간의 친밀감을 증폭시킬 수가 있다.
또, 음원을 공유한 사용자 간의 음원 선물 기능을 통해 음악을 통한 사용자 간의 호감도를 높여줄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2,3 : 인공지능 뮤직박스
11 : 본체
12 : 스피커
13 : 출력단자
14 : 근거리통신모듈
15 : 디스플레이
16 : 명령입력부
17 : 정보송수신부
18 : 제어부
19 : 메모리
20 : GPS모듈
31,32,33 : 사용자단말
50 : 선곡시스템
51 : 통신처리부
52 : 서비스처리부
53 : 선곡제어부
54 : 데이터베이스
60 : 운용자단말
70 : 음원제공서버

Claims (1)

  1. 음원을 제공하는 선곡시스템; 및
    상기 선곡시스템으로부터 음원을 제공 받아 출력하는 복수의 뮤직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선곡시스템은 상기 뮤직박스에 설정된 기본장르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상기 뮤직박스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뮤직박스는,
    상기 선곡시스템 및 인접하게 위치한 타 뮤직박스 측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명령입력부;
    기기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해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재생 명령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고유정보를 상기 선곡시스템 측으로 전송 처리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원 정보를 재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곡시스템은,
    상기 뮤직박스로부터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처리부;
    음원 정보,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로 다른 뮤직박스 간 공유음원정보 및 공유자정보를 업데이트 처리하고, 상기 뮤직박스로 전송된 음원들에 대한 감상이력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정보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서비스처리부; 및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기기고유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기기정보에 설정된 기본장르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뮤직박스 측으로 송출하는 선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뮤직박스의 명령입력부에서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인접한 위치의 타 뮤직박스의 기기고유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선곡시스템 측으로 전송 처리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의 통신처리부를 통해 특정 뮤직박스로부터 타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상기 특정 뮤직박스의 사용자정보에 타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를 공유자정보로써 등록한 후, 타 뮤직박스에서 들을 수 있는 음원 중 선택된 음원 또는 상기 감상이력 분석을 통해 특정 뮤직박스의 사용자는 들어본 경험이 없지만 타 뮤직박스의 사용자는 들어본 경험이 있는 음원 중 선택된 음원을 상기 기기정보의 공유음원정보로 업데이트 처리하며,
    상기 선곡시스템의 선곡제어부는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특정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 및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 대한 기기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와 함께 상기 공유음원정보로 업데이트 된 음원을 함께 추출하여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특정 뮤직박스 측으로 송출하되,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특정 뮤직박스와 타 뮤직박스가 인접하여 통신 채널이 연결된 시간에 비례하여 공유음원정보에 업데이트 되는 곡의 개수를 늘려주거나, 또는 특정 뮤직박스와 타 뮤직박스의 사용자정보에서 감상이력을 분석한 후 음원 공유 개수를 차등하여 공유음원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특정 뮤직박스와 타 뮤직박스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성별을 확인한 후 동성일 경우보다 이성일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음원을 공유음원정보로 업데이트 처리하며,
    그리고 상기 선곡시스템이 공유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공유 명령을 입력한 날이 생일인 사용자가 있다면 사용자 모두의 공유 음원 개수를 늘려주도록 처리하고,
    상기 뮤직박스의 명령입력부에서 선물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곡시스템 측으로 선물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선곡시스템의 통신처리부를 통해 특정 뮤직박스로부터 선물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체크하고,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 대한 사용자정보의 공유자정보를 확인하여 기 공유된 타 뮤직박스를 확인하며, 공유가 확인된 타 뮤직박스에 대한 공유음원정보에 상기 특정 뮤직박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선물 음원으로 등록 처리하고,
    상기 선곡제어부는 상기 타 뮤직박스 측으로 음원을 제공할 시 상기 타 뮤직박스에 대한 공유음원정보에 등록된 선물 음원을 우선 제공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선물 음원이 재생될 때에는 상기 선물 음원의 재생 전에 선물 받은 음원이라는 안내멘트가 먼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KR1020200015065A 2020-02-07 2020-02-07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KR20200016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065A KR20200016323A (ko) 2020-02-07 2020-02-07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065A KR20200016323A (ko) 2020-02-07 2020-02-07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65A Division KR20190137727A (ko) 2019-10-08 2019-10-08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409A Division KR102198075B1 (ko) 2020-08-06 2020-08-06 생일인 경우 공유음원을 늘려주는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323A true KR20200016323A (ko) 2020-02-14

Family

ID=6951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065A KR20200016323A (ko) 2020-02-07 2020-02-07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857A (zh) * 2022-06-22 2022-10-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休憩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857A (zh) * 2022-06-22 2022-10-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休憩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0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547841B2 (en) Music composition instruction system
KR20190137727A (ko)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US8099334B1 (en) Method for music management in a multi-user music system
US20030003431A1 (en) Music delivery system
JP200201468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10128112A (ko)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46114B2 (ja) 音楽再生端末
US7917238B1 (en) Portable music device and systems
KR20200016323A (ko)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WO2021111872A1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TW200901661A (en) Wireless sharing of audio files and information for streamlined purchasing.
KR102032313B1 (ko)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JP2002318587A (ja) 音楽配信システムおよび音楽データ受信装置
KR102198075B1 (ko) 생일인 경우 공유음원을 늘려주는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KR102198074B1 (ko) 음원선물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 뮤직박스 운용 시스템
JP2002215632A (ja) 携帯端末を用いた音楽検索システム、音楽検索方法、および購入方法
JP20122161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925897A (zh) 建议用于与内容数据项同步再现的伴奏乐曲的方法
KR20000024660A (ko) 네트워크와 웹기술을 이용한 매장내의 양방향 전자 주문시스템
JP2002049626A (ja) 楽曲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36388A (ko)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를 시디음반으로제작하는 방법
JP5003295B2 (ja) 音楽再生装置、音楽再生システム、音楽再生方法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JP4123814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再生方法
JP2005106926A (ja) 音楽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R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