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137A -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137A
KR20200016137A KR1020180091492A KR20180091492A KR20200016137A KR 20200016137 A KR20200016137 A KR 20200016137A KR 1020180091492 A KR1020180091492 A KR 1020180091492A KR 20180091492 A KR20180091492 A KR 20180091492A KR 20200016137 A KR20200016137 A KR 2020001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oating
shielding
composition
shield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선갑
강학철
Original Assignee
(주)이레화학상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레화학상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이레화학상사
Priority to KR102018009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137A/ko
Publication of KR2020001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91Heat reflecting layers or co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차폐열도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율이 높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차폐열도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Energy saving eco-friendly heat shiel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nano-hollow sphere ceramic}
본 발명은 차폐열도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율이 높고 차폐성능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에서는 외부의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능한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종류의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재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건축물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열손실율이 높아 에너지 낭비의 큰 요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건축물에는 외부와의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발포 폴리스티렌, 글라스 울, 석면 등과 같은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물 외부/내부 표면에는 미관을 고려하여 수성페인트가 각각 별도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단열재는 열 차단 효과가 특별히 우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페인트 또한 수명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기존 공법의 대표적인 개선 필요 사항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먼저, 기존 단열재만으로는 열 차단 효과가 확실하지 못하여 냉/난방시 에너지 활용효율이 높지 못하며, 기존 단열재의 사용시 단열 효과를 더욱 더 높이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한다. 또한 단열소재의 사용에는 소재 특성에 따른 제한 조건이 있으며, 단열재의 두께에 비례하여 벽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건축물의 실제 사용 면적이 감소하며, 건축 비용의 상승이 불가피하다.
또한, 단열재가 대부분 환경 공해 제품이므로 과다 사용시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기존의 단열재만으로는 벽체와의 밀착이 어려워 접합부위에서의 결로 발생에 의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건축물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단열재의 설치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곳이 존재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친환경적이며, 열차폐 성능이 우수하고,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의 피착면에 부착력이 우수한 동시에 표면품질이 뛰어나고,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차폐열도료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98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친환경적이며, 열차폐 성능이 우수하고,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의 피착면에 부착력이 우수한 동시에 표면품질이 뛰어나고,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차폐열도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열도료를 통해 형성되어 우수한 열차폐성능, 접착성능, 표면품질이 우수한 차폐도막이 형성된 패널 등의 건축 부자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도료조성물;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성분 및 중공형 나노비드를 포함하는 단열필러를 포함하는 차폐필러를 포함하는 중도용 도료조성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도용 도료조성물;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료 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폐열 도료는 하도용, 중도용 및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혼합되지 않고, 하나의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도용 도료조성물은 상기 바인더 성분 100 중량부에 차폐필러가 10 ~ 2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나노비드는 중공형 실리카이며, 평균입경이 10 ~ 40㎛이고, 중공벽 두께가 3 ~ 2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차폐열도료 중 하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하도층, 상기 하도층 상에 중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중도층,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상도층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막층을 포함하는 차폐열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 및 본 발명에 따른 차폐열도료 중 하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하도층, 상기 하도층 상에 중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중도층,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상도층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막층을 포함하는 차폐열 건축용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폐열도료는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동시에 광반사 효율이 뛰어나 열차폐효율이 매우 좋다. 또한, 표면 균열이 방지되는 등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피부착면과의 접착성능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를 통해 구현된 차폐열 도막은 시멘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건축 부자재나 건축 구조물의 내부, 외부 벽, 바닥 등에 응용됨으로써 열차폐 특성을 향상시키고, 외관품질이 우수해 인테리어적으로 우수한 미관을 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열도료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도료조성물,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성분 및 중공형 나노비드를 포함하는 단열필러를 포함하는 차폐필러를 포함하는 중도용 도료조성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도용 도료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하도용 도료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형(linear Aliphatic) 에폭시 수지, 지환족형(cyclo Aliphatic) 에폭시 수지, 복소환 함유 에폭시 수지, 치환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2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수지일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는 페놀류의 글리시딜에테르와 알코올류의 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며, 상기 페놀류의 글리시딜 에테르로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B형, 비스페놀AD형, 비스페놀 S형, 비스페놀 F형 및 레조르시놀 등과 같은 비스페놀계 에폭시, 페놀 노볼락(Phenol novolac) 에폭시, 아르알킬페놀 노볼락, 테르펜페놀 노볼락과 같은 페놀계 노볼락 및 o-크레졸 노볼락(Cresolnovolac) 에폭시와 같은 크레졸 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등이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아민형 에폭시 수지로 디글리시딜아닐린,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1,3-비스(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글리시딜에테르와 글리시딜아민의 양구조를 겸비한 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수지로 p-하이드록시벤조산, β-하이드록시나프토에산과 같은 하이드록시카본산과 프탈산, 테레프탈산과 같은 폴리카본산 등에 의한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지방족형 에폭시 수지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티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롤, 도데카히드로 비스페놀 A, 도데카히드로 비스페놀 F,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에 의한 글리시딜 에테르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계형 에폭시 수지로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류, 또는 시클로헥센 고리 또는 시클로펜텐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을 산화제에 의해 에폭시드화함으로써 얻어진 시클로헥센 산화물 또는 시클로펜텐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지환족계 에폭시 수지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1-메틸시클로헥실-3,4-에폭시-1-메틸헥산 카르복실레이트, 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2,2-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판,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에폭시드,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디옥틸 에폭시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 및 디-2-에틸헥실 에폭시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는 1,2-디글리시딜나프탈렌, 1,5-디글리시딜나프탈렌, 1,6-디글리시딜나프탈렌, 1,7-디글리시딜나프탈렌, 2,7-디글리시딜나프탈렌, 트리글리시딜나프탈렌, 1,2,5,6-테트라글리시딜나프탈렌 등의 나프탈렌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것 외에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또한 분자 내에 복수의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산화하여 얻어지는 분자내에 에폭시시클로헥산환을 갖는 에폭시수지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경화성분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등의 지방족 아민류, 메타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술폰, 아조메틸페놀 등의 방향족 아민류, 페놀노볼락수지, 오르토크레졸노볼락 수지, 나프톨노볼락수지, 페놀아랄킬수지 등의 다가 히드록시화합물, 및 이들의 변성물, 무수 프탈산, 무수 말레산, 무수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등의 산무수물계 경화제, 디시안디아미드, 이미다졸, BF3-아민착체, 구아니딘 유도체 등의 잠재성 경화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이 단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경화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경화 속도나 경화물의 물성 등을 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상기 경화 촉진제로서 에폭시 성분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비전도성 접착필름에 사용되는 경화촉진제는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비제한적인 예로써,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 3급 아민계 경화 촉진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경화 속도나 경화물의 물성 등의 조정이 용이한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경화 촉진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도용 차폐열도료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충진제, 분산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응착제, 증점제, pH조절제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첨가제에 따른 구체적 종류, 함량 등은 공지된 하도용 도료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종류와 함량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중도용 도료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중도용 도료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성분 및 중공형 나노비드를 포함하는 단열필러를 포함하는 차폐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성분은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외에 에폭시계 화합물 등 공지된 접착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중합체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접착특성이 있는 공지된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수분산 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막의 균일성, 유기용매의 미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의 이점이 있다.
상기 수분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일예를 설명하면, 디이소시아네이트계 성분 및 폴리올을 포함하여 중합된 양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예비중합체를 중성화시키고, 이후 쇄연장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성분은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디이소시아네이트 Y(NCO)2가 사용되고, 여기에서 Y는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지환식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7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이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성분의 예는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산,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사이클로헥실-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사이클로헥실프로판-(2,2), 1,4-디이소시아네이토벤젠, 2,4-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 2,6-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2,2'- 및 2,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테트라메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이소프로필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올 성분은 바이오폴리올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폴리올을 포함함을 통해 보다 친환경적이고 인체 무해한 접착조성물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바이오폴리올은 두유(soybean oil), 피마자유, 팜유(palm oil), 유채유(rapeseed oil) 또는 해바라기유(sunfloweroil) 등의 식물성 오일로부터 개질된 폴리올로써, 일반적으로 식물성오일은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 glyceride)구조로 글리세롤구조를 주쇄로 하고 있으며, 카복실산으로 유도되는 각종 지방산에 다중 수산기를 포함하는 측쇄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식물성 오일을 에폭시화 반응시키고, 폴리올로 합성시켜 바이오 폴리올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화 반응은 식물성 오일에 에폭시 고리를 합성하는 반응으로써, 식물성 오일, 아세트산, 정제된 엠버라이트, 톨루엔을 교반하고, 엠버라이트를 여과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분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수용층을 제거하고 기름층에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잔여수분을 제거하며, 이 후 증류농축장치 등을 이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함으로써, 에폭시화된 식물성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화된 식물성 오일을 폴리올로 합성하기 위해, 에폭시화된 식물성 오일에 에틸렌글리콜, 증류수,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플루오르보릭산을 혼합하되, 상기 테트라플루오보릭산의 양에 의해 수산기를 조절하며, 최종적으로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암모니아를 떨어뜨려주면서 반응을 종료한 후, 증류농축장치를 사용하여 이소프로판올을 제거하고 분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기름층을 걸러내고 기름층에 톨루엔을 넣어 용해시킨 다음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잔여수분을 제거한 후 증류농축장치 등을 이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하여 바이오 폴리올을 합성하게 되며, 피마자오일, 레스퀘렐라 오일(Lesquerella Oil) 또는 소이빈 오일(Soybean Oil)을 에폭시화 반응시킨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이오폴리올은 폴리올 중 18 ~ 2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바이오 폴리올이 폴리올 전체 함량에서 18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연성저하, 접착력 저하의 문제점이 있고, 23 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막성 등 목적하는 물성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성분은 통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조성물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올성분을 제한없이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디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산, 1,4-디메틸올 사이클로헥산,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4- 디하이드록시벤젠, 1,3- 디하이드록시벤젠, 트리메틸올 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쓰리톨, 디펜타에리쓰리톨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및 폴리카보네이트디올(polycarbonatediol, PCD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 성분은 인계 화합물인 난연제를 주쇄 및/또는 측쇄에 포함한 난연 폴리올 일 수 있다. 상기 인계 화합물은 난연제로서 공지된 성분일 수 있고, 일예로 P2O5일 수 있다.
또한, 예비중합체에 가해지는 중화제는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수산화암모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염, 피로인산염, 올레아민, 도데실아민, 트리아밀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테트라키스(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및 디이소프로판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쇄연장제는 통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조성물에 포함되는 쇄연장제는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급 또는 2급 아미노기 및 수산기를 2개 구비하는 화합물일 수 있고, 그 예시로서 에탄올아민, N-메틸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1,3-디아미노-2-프로판올,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및 2-프로판올아민, 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1,3-디아미노-2-프로판올,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및 2-프로판올아민, 피페라진(Piperazine),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 EDA) 및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 amine, DET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폴리우레탄 중합체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공지된 에폭시 성분일 수 있고 일예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B형, 비스페놀 AD형, 비스페놀 S형, 비스페놀 F형 및 레조르시놀 등과 같은 비스페놀계 에폭시, 또는, 페놀 노볼락(Phenol novolac) 에폭시, 아르알킬페놀 노볼락, 테르펜페놀 노볼락과 같은 페놀계 노볼락, 및 o-크레졸 노볼락(Cresolnovolac) 에폭시와 같은 크레졸 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등을 병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 성분으로 에폭시 화합물과 같이 추가적인 경화가 요구되는 경우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선택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 종류를 고려하여 공지된 경화제 중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차폐필러는 단열필러를 포함하며, 광반사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필러는 중공형 비드를 포함하며,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대한 단열효과를 발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열필러는 형상에 있어서 중공형 비드이며, 이를 통해 전도열 뿐만 아니라 복사열의 차단효과도 향상되고, 습기에 따른 장벽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중공형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종류의 중공형 비드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목적달성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나노비드는 중공형 실리카이며, 평균입경이 10 ~ 40㎛이고, 중공벽 두께가 3 ~ 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반사 필러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통한 복사열의 전달을 반사를 통해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광반사 필러는 광반사 효율이 우수하다고 공지된 필러일 수 있으며, 일예로 이산화티타늄 필러일 수 있다.
상기 차폐필러는 상술한 바인더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20 ~ 200 중량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도용 도료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충진제, 분산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응착제, 증점제, pH조절제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첨가제에 따른 구체적 종류, 함량 등은 공지된 도료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종류와 함량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도용 도료조성물을 설명한다.
상기 상도용 도료조성물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공지된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메트)아크릴산, 탄소수 1 ~ 18의 선형 또는 비선형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도용 도료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을 가교시킬 수 있는 경화제 및/또는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선택되는 아크릴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도용 도료조성물은 상술한 광반사 필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도용 도료조성물에는 광반사 필러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도에 구비된 광반사 필러는 차폐열 도료를 통해 형성된 3층의 도막에 광이 입사 시, 보다 향상된 광반사 특성을 발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도용 도료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충진제, 분산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응착제, 증점제, pH조절제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첨가제에 따른 구체적 종류, 함량 등은 공지된 도료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종류와 함량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하도용, 중도용 및 상도용 도료조성물은 이들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일세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일세트로 구성된 차폐열도료는 각각이 독립하여 피착면에 처리된 후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폐열 도료 중 하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하도층, 상기 하도층 상에 중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중도층,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상도층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막층이 피착면이 되는 건축부재나, 건축 구조물 상에 형성되어 차폐성능이 있는 건축부재나 건축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도료조성물;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성분 및 중공형 나노비드를 포함하는 단열필러를 포함하는 차폐필러를 포함하는 중도용 도료조성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도용 도료조성물;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열 도료는 하도용, 중도용 및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혼합되지 않고,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열도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용 도료조성물은 바인더 성분 100 중량부에 차폐필러가 10 ~ 200 중량부로 포함되는 차폐열도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나노비드는 중공형 실리카이며, 평균입경이 10 ~ 40㎛이고, 중공벽 두께가 3 ~ 20㎛인 차폐열도료.
  5.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폐열도료 중 하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하도층, 상기 하도층 상에 중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중도층,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상도층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막층;을 포함하는 차폐열구조물.
  6. 건축용 부재; 및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폐열도료 중 하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하도층, 상기 하도층 상에 중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중도층,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용 도료조성물이 처리 후 형성된 상도층을 포함하는 차폐열도막층;을 포함하는 차폐열 건축용 부재.
KR1020180091492A 2018-08-06 2018-08-06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KR20200016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92A KR20200016137A (ko) 2018-08-06 2018-08-06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92A KR20200016137A (ko) 2018-08-06 2018-08-06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37A true KR20200016137A (ko) 2020-02-14

Family

ID=6951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492A KR20200016137A (ko) 2018-08-06 2018-08-06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405A (ko) 2021-05-06 2022-11-16 주식회사 정우콘크리트 온도감응변색 및 차열효과가 우수한 표층부를 구비한 감온변색차열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73A (ko) 2017-01-03 2018-07-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단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 패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73A (ko) 2017-01-03 2018-07-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단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 패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405A (ko) 2021-05-06 2022-11-16 주식회사 정우콘크리트 온도감응변색 및 차열효과가 우수한 표층부를 구비한 감온변색차열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271B1 (ko) 도막 방수재
CN105733460A (zh) 粘合片和光学构件
US8101690B2 (en) Amine functional adducts and 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KR101762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학성을 위한 방수·방식용 하이브리드 변성 무용제 에폭시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도막 형성 방법
WO2018078997A1 (ja) 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
EP1865010A1 (en) Water dispersible polyurethane composition
CN103980804A (zh) 形成双层涂层的方法
KR20200016137A (ko)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나노중공체 세라믹 차폐열도료
KR101297779B1 (ko) 자동차 부품용 발포형 분체도료 조성물
KR101371222B1 (ko) 친환경 무용제형 코팅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도막
AU2015214291B2 (en) Water-based epoxy formulations for applied fireproofing
KR101307351B1 (ko) 후경화 타입의 폴리우레아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방식공법
JP5246977B1 (ja) 水性防食塗装方法及び塗装体
KR20070076141A (ko) 고강도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0778230B1 (ko)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2337544B1 (ko) 수용성 우레탄 몰탈 조성물
JP4111811B2 (ja) ポリオール樹脂組成物
KR102103223B1 (ko) 강구조물 방식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
CA2946055C (en) Water-based epoxy formulations for applied fireproofing
JP2007314640A (ja) 断熱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塗膜形成した構築物
KR20200016138A (ko) 천연우레탄수지와 천연광물질을 활용한 친환경 우레탄 차열중도재
KR101928148B1 (ko) 도료 조성물
JP2002275242A (ja) 低温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
EP2702016B1 (en) High workability epoxy grout
JP2007182508A (ja) 素地調整剤及び塗膜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