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098A -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098A
KR20200016098A KR1020180091393A KR20180091393A KR20200016098A KR 20200016098 A KR20200016098 A KR 20200016098A KR 1020180091393 A KR1020180091393 A KR 1020180091393A KR 20180091393 A KR20180091393 A KR 20180091393A KR 20200016098 A KR20200016098 A KR 2020001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omposition
microemulsion
oil
weight
protopanaxad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덕
김민환
손서연
전예은
이기원
이창형
이보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밥스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밥스누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098A/ko
Publication of KR2020001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no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S)-protopanaxadiol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난용성인 20(S)-protopanaxadiol의 피부 전달능 개선을 위하여 마이크로에멀젼 형태로 제조한 뒤, 피부 자극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성분이 비교적 낮게 함유되고 잔탄검이 첨가된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은 낮은 계면활성제 함량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보인다.

Description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icroemulsion gel composition containing 20(S)-protopanaxadiol(PP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삼 사포닌 대사물인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삼 사포닌의 대사물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사포닌 자체보다 장내세균에 의해 당이 떨어진 형태가 더 활성형을 띤다고 알려진다. 이러한 대사물에 관한 피부투과 연구도 함께 보고되고 있는데, 인삼 사포닌에 있는 알코올성 OH기에 당이 붙어있을 경우에는 분자량이 커질 뿐만 아니라 수용성도 증가하게 되어 피부투과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삼의 사포닌보다는 당이 떨어진 어글리콘(aglycon) 형태의 대사체를 포함한 제형을 이용한 피부흡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주요 진세노사이드에서 당이 떨어져 하나의 당만 남아있는 컴파운드 K(compound K)가 봉입된 피부제형과 효능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컴파운드 K의 대사체인 20(S)-protopanaxadiol(PPD)이라는 물질이 컴파운드 K보다 주름억제 활성과 관련한 피부 노화방지 효과가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Han et al 2017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그러나, 20(S)-protopanaxadiol는 컴파운드 K보다 지용성이 더 높아져, 통상적인 액상 제형으로는 20(S)-protopanaxadiol를 가용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20(S)-protopanaxadiol의 피부 흡수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20(S)-protopanaxadiol를 가용화하여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제형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은 난용성인 유효성분을 피부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제형이라고 제안되고 있다. 친유성 및 친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난용성 유효성분의 용해도를 높여서 농도 구배에 의한 피부 투과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마이크로에멀젼 제형으로 난용성인 20(S)-protopanaxadiol의 피부 투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이 보고된 바가 있다(Kim et al 2017 Journal of Ginseng Research). 그러나, 이전에 보고된 마이크로에멀젼 조성에는 높은 농도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므로 피부 자극성을 일으킬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4771호(2015.07.02.공개)에는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조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7595호(2013.11.04.등록)에는 가공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이멀젼계 하이드로겔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따른 피부 자극 발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낮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낮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0(S)-protopanaxadiol(PPD) 0.1 내지 10 중량%, 오일류 5 내지 10 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50 중량%, 수용성 분산매 40 내지 65 중량%, 잔탄검 0.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는, 바람직하게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지방산 에스테르, 미글욜(Miglyol), 유기농 오일, 캄프물 MCM(Capmul MCM), 올리브유, 유탄올 G(Eutanol G), 세티놀 CC(Cetiol CC),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chain Triglyceride), 스쿠알렌 및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아르간 오일, 바보밥 오일,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라브라솔(Labrasol), 트윈(Tween), 스판(Span)과 같은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s), 플루롤 올레이크(Plurol oleique), 로우 포밍 설펙탄트(Low foaming surfactants), EO-PO 블록 프라이머(Block polymers),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loyoxyethylene sorbit fatty acid est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분산매는, 바람직하게 pH 4.0~8.5의 친수성 액체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H 4.0~8.5의 친수성 액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완충용액 또는 물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20(S)-protopanaxadiol(PPD), 오일류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20(S)-protopanaxadiol(PPD)를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20(S)-protopanaxadiol(PPD)가 용해된 용액을 200 내지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증류수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micro emulsion)을 제조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 후,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에 잔탄검을 혼합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전체 중량 대비 20(S)-protopanaxadiol(PPD) 0.1 내지 10 중량%, 오일류 5 내지 10 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50 중량%, 수용성 분산매 40 내지 65 중량%, 잔탄검 0.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지방산 에스테르, 미글욜(Miglyol), 유기농 오일, 캄프물 MCM(Capmul MCM), 올리브유, 유탄올 G(Eutanol G), 세티놀 CC(Cetiol CC),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chain Triglyceride), 스쿠알렌 및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아르간 오일, 바보밥 오일,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라브라솔(Labrasol), 트윈(Tween), 스판(Span)과 같은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s), 플루롤 올레이크(Plurol oleique), 로우 포밍 설펙탄트(Low foaming surfactants), EO-PO 블록 프라이머(Block polymers),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loyoxyethylene sorbit fatty acid est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분산매는, 바람직하게 pH 4.0~8.5의 친수성 액체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H 4.0~8.5의 친수성 액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완충용액 또는 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20(S)-protopanaxadiol(PPD) 함유 마이크로에멀전 겔은 낮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낮아짐에 따라 피부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20(S)-protopanaxadiol(PPD) 함유 마이크로에멀전 겔은 20(S)-protopanaxadiol(PPD)를 첨가하고자 하는 화장품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20(S)-protopanaxadiol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성상 변화를 관찰한 1일차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성상 변화를 관찰한 7일차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성상 변화를 관찰한 28일차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7일차 시료를 원심분리 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2의 7일차 시료를 원심분리 한 뒤 뒤집어서 침전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잔탄검의 함량(0.5, 2, 3 중량%)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제형으로,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20(S)-protopanaxadiol(PPD)는 진세노사이드의 일종이다. 진세노사이드는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s, PDs; Rb1, Rb2, Rc, Rd, Rg3, Rh)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triols, PTs; Rg1, Rg2, Re, Rf, Rh1)로 분류되며, 아글리콘 프로토파낙사디올(aglycone protopanaxadiol)은 프로토파낙사디올계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c 및 진세노사이드 Rd 등에서 글루코오스 부분이 가수분해 되어 생성된다. 20(S)-protopanaxadiol(PPD)는 특히 주름억제 활성과 관련한 피부 노화방지 효과가 좋다고 보고되었다.
20(S)-protopanaxadiol(PPD)를 수용성 분산매와 섞을 경우, 층분리가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화제(예,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에멀젼 형태로 제조하는데, 그 사이즈가 10~200nm 정도의 것을 마이크로에멀젼이라 부른다.
마이크로에멀젼(micro emulsion)이란 친수성 물질, 친유성 물질 및 계면활성 물질의 혼합계로, 에멀젼 중의 각 성분이 서로 상평형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유효성분이 친유성 물질일 경우 피부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에멀젼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에멀젼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피부 자극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낮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최소화 한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세노사이드(gindsenoside)의 일종인 난용성 20(S)-protopanaxadiol(PPD)를 마이크로에멀젼 형태로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에멀젼은 제형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로, 이를 피부에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낮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편, 낮은 비율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의 경우 제형 안정성이 저조하여 피부에 도포 및 전달하기에 부적절 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에멀젼에 증점제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20(S)-protopanaxadiol(PPD)를 오일성분에 용해시킨 뒤 친수성 물질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고, 잔탄검을 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은 잔탄검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의 0.5 내지 3 중량%일 경우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높은 계면활성제 함량으로 피부 자극의 부작용이 있었던 문제를 해결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20(S)-protopanaxadiol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20(S)-protopanaxadiol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원료는 아래 표 1과같은 함량으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점증제를 함유하지 않은 마이크로에멀젼이다.
Isopropyl myristate, Labrasol, Tween 80, Plurol oleique를 혼합한 뒤 bathsonicator를 사용하여 20(S)-protopanaxadiol을 완전히 녹였다. 오일과 계면활성제에 20(S)-protopanaxadiol이 완전히 녹아 투명한 용액상태를 확인한 뒤, 용액에 magnetic bar를 넣고 2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물(증류수)을 천천히 떨어뜨리며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점증제를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에 천천히 추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대조군 비교예 1 비교예2
함량비
(중량%)
함량비
(중량%)
함량비
(중량%)
함량비
(중량%)
20(S)-PPD 0.1 0.1 0.1 0.1
Isopropyl myristate 6 6 6 6
계면활성제 Labrasol 21.5 21.5 21.5 21.5
Tween 80 8 8 8 8
Plurol oleique 4 4 4 4
Water 59.4 60.4 59.4 59.4
점증제 Xanthan gum 1 - - -
Aerosil®200 - - 1 -
Carbopol 941 - - - 1
한편, 마이크로에멀젼에 점증제를 첨가하기 전에 Otsuka Electronics의 ELS(electrophoretic light-scattering)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입자크기는 81.13±6.98 nm, PDI는 0.272±0.009였다.
마이크로에멀젼에 봉입되지 않은 PPD를 제거하기 위해, 16,000×g로 5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메탄올로 희석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LC-MS/MS)으로 PPD의 양을 정량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의 조건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
칼럼 Hypersil BDS C18 column
(50 mm × 4.6 mm, 5㎛; Termo Fisher Scientific Co.)
이동상 아세토니트릴 : 0.2 (v/v)% formic acid 수용액
= 93 : 7
유속 0.37 ml/min
주입량 3 ㎕
질량
분석기
기체상 온도 120 ℃
기체상 유속 9 l/min
Nebulizer 25 psi
Capillary voltage 6000 V, (+) charge mode
m/z 461.4 (wide) → 452.5 (unit)
Fragment voltage 111 V
상기 표 2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PPD의 양을 정량하였다. 봉입률은 처음 넣은 PPD 중량 대비 마이크로에멀젼에 녹아있는 PPD의 중량으로 계산하였다. 처음 넣은 PPD의 106.51±5.84 %가 마이크로에멀젼에 봉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마이크로에멀젼에 녹지 않은 PPD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Carl Zeiss의 LIBRA120 에너지 여과 투과전자현미경(Energy-filter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에멀젼 입자를 확인하였으며(도 2), 입자경 100 nm 이하의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한 뒤, 점증제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점증제로 각각 잔탄검(Xanthan gum), Aerosil®200, Carbopol 941을 사용하여 상기 표 1의 함량비로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최대 28일까지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성상의 변화는 도 3 내지 도 5와 같다.
상온 보관 결과, 실시예 1은 대조군과 동일하게 28일동안 성상의 변화가 없었으나, 비교예 1 및 2는 제조 후 1일차 부터 혼탁해지면서 상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에멀젼에 첨가되는 점증제로 잔탄검이 제형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각각의점증제를 추가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상을 보다 면밀히 관찰하기 위해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7일간 상온 보관 후 원심분리(16,000×g, 20℃, 6분)하였다. 사용한 원심분리기 모델은 Eppendorf의 Centrifuge5415R이다.
7일 차의 시료를 원심분리 한 결과를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는 겔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현탁 정도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에서와 같이 원심분리 한 비교예 1과 2를 뒤집어 관찰한 결과, 침전물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실시예 1은 기포만 제거되었을 뿐 원심분리 후에도 고르게 투명한 형상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20(S)-protopanaxadiol를 함유하는 마이크로 에멀전 겔을 제조함에 있어서, 마이크로에멀젼에 첨가되는 점증제로 잔탄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실험예 1 : 20(S)-protopanaxadiol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잔탄검 함량에 따른 제형 안정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잔탄검이 실질적으로 제형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잔탄검 함량을 늘려가며, 그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제형 안정성 증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잔탄검 함량은 아래 표 3과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함량비 (중량%) 함량비 (중량%) 함량비 (중량%)
20(S)-protopanaxadiol 0.1 0.1 0.1
Isopropyl myristate 6 6 6
Labrosol 21.5 21.5 21.5
Tween 80 8 8 8
Plurol oleique 4 4 4
Water 59.9 58.4 57.4
Xanthan gum 0.5 2 3
상기 표 3과 같은 함량으로 마이크로에멀젼 겔을 제조한 뒤 형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 4에서 모두 투명한 겔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잔탄검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형 안정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제조한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점도 측정]
본 실험에서는 상기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의 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잔탄검을 첨가하기 전의 마이크로에멀젼의 점도를 사용하였다. 점도측정에 사용한 장비는 Brookfield의 LVDV-E viscometer이며,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점도 측정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점도(cP)
대조군 200 ~ 210
비교예 1 (Aerosil®200) -
비교예 2 (Carbopol 941) 840 ~ 860
실시예 1 (Xanthan gum 1 중량%) 1,090 ~ 1,110
실시예 2 (Xanthan gum 0.5 중량%) 460 ~ 480
실시예 3 (Xanthan gum 2 중량%) 1,440 ~ 1,460
실시예 4 (Xanthan gum 3 중량%) 1,850 ~ 1,880
비교예 1은 대조군보다 점도가 낮아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2는 대조군 대비 점도가 증가하였으나, 상기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에멀젼과 점증제의 상분리가 관찰되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잔탄검의 양이 증가할수록 점도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20(S)-protopanaxadiol(PPD) 0.1 내지 10 중량%, 오일류 5 내지 10 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50 중량%, 수용성 분산매 40 내지 65 중량%, 잔탄검 0.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지방산 에스테르, 미글욜(Miglyol), 유기농 오일, 캄프물 MCM(Capmul MCM), 올리브유, 유탄올 G(Eutanol G), 세티놀 CC(Cetiol CC),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chain Triglyceride), 스쿠알렌 및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아르간 오일, 바보밥 오일,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라브라솔(Labrasol), 트윈(Tween), 스판(Span)과 같은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s), 플루롤 올레이크(Plurol oleique), 로우 포밍 설펙탄트(Low foaming surfactants), EO-PO 블록 프라이머(Block polymers),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loyoxyethylene sorbit fatty acid est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분산매는,
    pH 4.0~8.5의 친수성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H 4.0~8.5의 친수성 액체는,
    완충용액 또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6. 20(S)-protopanaxadiol(PPD), 오일류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20(S)-protopanaxadiol(PPD)를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20(S)-protopanaxadiol(PPD)가 용해된 용액을 200 내지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증류수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micro emulsion)을 제조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 후,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에 잔탄검을 혼합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S)-protopanaxadiol(PPD) 0.1 내지 10 중량%, 오일류 5 내지 10 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50 중량%, 수용성 분산매 40 내지 65 중량%, 잔탄검 0.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지방산 에스테르, 미글욜(Miglyol), 유기농 오일, 캄프물 MCM(Capmul MCM), 올리브유, 유탄올 G(Eutanol G), 세티놀 CC(Cetiol CC),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chain Triglyceride), 스쿠알렌 및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아르간 오일, 바보밥 오일,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라브라솔(Labrasol), 트윈(Tween), 스판(Span)과 같은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s), 플루롤 올레이크(Plurol oleique), 로우 포밍 설펙탄트(Low foaming surfactants), EO-PO 블록 프라이머(Block polymers),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loyoxyethylene sorbit fatty acid est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분산매는,
    pH 4.0~8.5의 친수성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H 4.0~8.5의 친수성 액체는,
    완충용액 또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91393A 2018-08-06 2018-08-06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6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93A KR20200016098A (ko) 2018-08-06 2018-08-06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93A KR20200016098A (ko) 2018-08-06 2018-08-06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98A true KR20200016098A (ko) 2020-02-14

Family

ID=6951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393A KR20200016098A (ko) 2018-08-06 2018-08-06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710B1 (ko) 2021-10-28 2022-11-16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흡입압력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펌프를 구비한 지방흡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95B1 (ko) 2011-10-05 2013-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공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이멀젼계 하이드로겔
KR20150074771A (ko) 2013-12-24 2015-07-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95B1 (ko) 2011-10-05 2013-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공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이멀젼계 하이드로겔
KR20150074771A (ko) 2013-12-24 2015-07-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710B1 (ko) 2021-10-28 2022-11-16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흡입압력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펌프를 구비한 지방흡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o et al. A combination of a microemulsion and a phospholipid complex for topical delivery of oxymatrine
CN105902408B (zh) 含有褐藻和红藻精华的化妆品组合物
KR20170076223A (ko)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069418A (zh) 包含他克莫司的局部组合物
CN112386507A (zh) 一种囊泡型载体的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DE69822814T2 (de) Zusammensetzung enthaltend Cyclosporin in einem hydrophilen Träger
KR20200016098A (ko) 20(S)-protopanaxadiol(PP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97255B (zh) 一种黄体酮醇质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392198A (zh)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60018715T2 (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Cyclosprin als aktiven Bestandteil
KR20190079276A (ko) 난용성 올레아노릭산을 가용화한 나노입자 유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품 및 항노화 화장품 제조방법
WO2008078905A1 (en) Compositions for external use containing minoxidil for hair growth which have an improved skin permeability
KR102436044B1 (ko) 투명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3142A (ko)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생리 활성 물질 흡수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309312A1 (en) Dermal composition comprising polymeric reversed micel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32660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vermectin compounds without solid fatty substances
KR102536077B1 (ko) 지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사르사사포게닌을 안정화한 삼중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볼륨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190576A (zh)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332183A (zh) 含有甾类化合物的o/w型乳化制剂
KR20200049592A (ko) 나노리포솜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27611B1 (ko) 피코시아닌을 포함하는 유중수 마이크로 또는 나노에멀젼
CN117398293B (zh) 一种使用微射流均质机制备包裹舒缓修护成分脂质体的制备方法和应用
Pardeshi et al. New cationic neuronanoemulsion-laden Eulophia herbacea mucilage based mucoadhesive hydrogel for intranasal delivery of chlorpromazine
CN104382850B (zh) 一种罗替戈汀微乳及微乳凝胶
CN114588053B (zh) 一种稳定的脂质体包裹工艺及其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