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878A - 피부용 다기능 조성물 시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피부용 다기능 조성물 시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878A
KR20200015878A KR1020190054100A KR20190054100A KR20200015878A KR 20200015878 A KR20200015878 A KR 20200015878A KR 1020190054100 A KR1020190054100 A KR 1020190054100A KR 20190054100 A KR20190054100 A KR 20190054100A KR 20200015878 A KR20200015878 A KR 2020001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unit
functional
function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261B1 (ko
Inventor
강주섭
이민호
김세미
황지우
조세훈
차왕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바이오메드
Publication of KR2020001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직접접촉을 통해서 피부조직의 항산화 및 항염증을 통해서 피부의 조직재생과 상태를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법과 그에 따른 시트 형태로 용이하게 피부에 조성물이 접촉하도록 하는 얼굴용 마스크 팩과 그 사용방법 등에 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미용이나 치료를 함에 있어서 시간차를 두고 각 기능들이 작용이 되도록 각 조성물들의 배치와 사용하는 부재들의 형태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기능들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용 다기능 조성물 시트 조립체 {Multifunctional composition sheet assembly for skin}
본 출원은 피부에 직접접촉을 통해서 피부조직의 항산화 및 항염증을 통해서 피부의 조직재생과 상태를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법과 그에 따른 시트 형태로 용이하게 피부에 조성물이 접촉하도록 하는 얼굴용 마스크 팩과 그 사용방법 등에 대한 것이다.
특히 피부의 표면에 직접 접촉시에 과민반응이나 부작용이 없도록 하면서 피부에 유용한 성분이나 치료 또는 조직재생과 같은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효성분을 가진 조성물들이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그 조성물의 특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은 상이한 물질인 제1 기능성 조성물과 제2 기능성 조성물이 피부에 접촉함에 있어 동시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하는 얼굴용 마스크 팩의 구조와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피부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 조성물을 피부조직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여 미용이나 상태개선 및 치료 등과 같은 분야에 사용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물에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다르게 다양한 성분들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만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은 사람에 따라서 환경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노폐물, 피지 및 땀, 화장품성분 중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에 잔류하여 자외선이나 열 및 공기중의 다양한 성분들과의 작용이나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 등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사한 것으로 염증과 아토피 등도 유사한 형태로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 조성물들을 피부에 침투시켜 치료나 상태 개선을 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있다. 본 출원은 상이한 제1 기능성 조성물 및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예시적으로 치료나 미용 등의 피부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접촉시키기 전에 피부조직에 열을 인가하여 활성화 시킨 후에 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의 마스크 시트 중 하나의 구체예에 의하면 발열성분이 피부에 먼저 작용한 후 유효 물질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피부에 접촉하여 체온 수준의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도포된 시트는 공지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얼굴 피부 온도와 유사한 약 30~35℃ 전후 범위로 화상 이나 부작용 없이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열을 인가하고 발열의 시간도 10~20분 정도로 지속되는 기술이 공지가 되어 있다. 이는 단순히 열을 인가하는 물질의 조성과 함께 미용 등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유용한 성분의 침투의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개시 된 기술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얼굴 표면에 적당한 열을 인가하는 기술들이 개시가 되고 있고, 열의 인가에 따른 피부조직의 변화, 모세혈관의 확장 등의 현상과 미용이나 피부에 유용한 성분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돕는 방법들이 개시가 되어 있다. 또한 공기나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발열물질이 도포되거나 함유된 시트를 피부에 근접시키거나 전기적 발열장치를 피부의 표면에 접촉시켜서 전체적으로 열이 피부조직에 전달한 후에 후속적으로 기능성 마스크 팩을 접촉시키는 방법들이 제공되기도 한다. 또한 마스크 팩을 실시하기 전에 세안과 같이 피부를 깨끗하게 한 뒤에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방법으로 피부에 수분이나 기타 목적으로 하는 유용한 조성물들을 피부 속으로 전달하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특허등록 101495117B1
상기한 공지기술들은 기본적으로 피부조직에 열이 외부로부터 인가되거나 운동이나 기타 요인들로 인해서 피부조직 자체적으로 활성화가 되면 모공이나 땀샘 등으로부터 노폐물을 포함하는 땀 등이 배출되어지고 이때 활성화된 피부조직의 표면이나 모공, 땀샘 등으로 유용한 성분이 침투되는 메커니즘을 개시한 것이다. 대부분의 피부 내부로 유용한 성분을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에 피부에 열을 인가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별도의 장치를 통한 피부에 열을 인가하는 것은 휴대성이 낮아지고, 열원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형태에 따라서 활용성이 실내의 특정한 위치로 그 사용성이 제한이 생기게 된다.
또한 다양한 피부미용효과를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가진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를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에 수분이나 기타 유용한 성분을 흡수시키려는 시도들이 있으나,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의존하여 개인적인 성향이나 방법을 사용함으로 원하는 유효한 성분들이 피부조직에 흡수되거나 침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때로는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단순히 외부에서 수분을 보완하는 것으로 그 효과의 지속성이 낮고 일시적인 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피부에서 유출된 노폐물, 땀 등의 이물질들과 침투시키고자 하는 약용 조성물들이 혼합된 상태이거나 침투경로를 막고 있는 상황 또는 각질 등이 흡수를 하는 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기술들의 목적에 따라 제조된 상기 조성물들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거나 침투하는 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초기에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를 얼굴에 배치시키는 과정에서도 도포된 액상의 조성물들의 유동성이 커서 흘러내리거나 사용하기에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다수의 약용 조성물들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설계 또는 사용 단계의 분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나 그 효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약용 조성물들이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크 시트의 구조에 있어 각각의 약용 조성물이 갖는 시트 구조물에 대한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데 시트 구조물을 기준으로 제1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단위체의 높이를 제2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단위체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하면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제2 기능성 조성물 보다 먼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를 각각 제조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시트 조립체를 피부 조직에 접촉함; 제1 시트 조립체를 피부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2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시트 조립체를 피부 조직에 접촉함을 통하여 각각의 약용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기술한 본 출원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대상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일 수 있다. 이때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5%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 추출물은 60~100℃의 물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퀘르세틴, 캠퍼롤 및 흡광도 370nm에서 약 7.8min에 분리 검출되는 성분의 3가지 유효성분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외부에서 침투시키기 위한 적절한 추출물은 농도 5~30 mg/ml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0 mg/ml로 함유하는 저농도인 경우 또는 20~30 mg/ml로 함유하는 중농도로 함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의 성분이 피부조직에서의 유효한 작용 및 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선행 특허출원의 발명자들이 포함된 등록된 특허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행 등록된 특허의 조성물들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치료 또는 침투시킬 피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온열감을 제공하여 열에 의한 피부조직의 활성화를 선행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의 피부접촉 및 흡수를 위한 단계이전에 부가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류와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발열성분을 더 포함하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얼굴용 발열 마스크 팩으로 피부의 표면과 내부조직을 활성화 또는 열을 인가한 후에 상기한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그것이 도포된 시트나 마스크를 접촉시켜서 상기한 조성물이 용이하게 피부내부로 전달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발열성분의 조성은 시트 등에 도포되어 제공될 수 있는바, 약용 조성물과 동일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접촉하는 피부에 대하여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시간적으로 해당 작용이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다. 즉, 피부에 1차적으로 접촉된 발열 조성물에 의하여 피부의 조직이 활성화가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발열작용이 종료되면 순차적으로 약용 조성물이 피부조직으로 작용 및 그 효과가 나타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의 시트의 조직에 선행적으로 발열 조성물이 배치되고 약용 조성물이 그물망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나 구조에 의한 배치에 따라서 피부에 적절한 열을 인가하는 시간에 수용성 겔 타입의 약용 조성물이 활성화가 되어 피부가 열에 의하여 활성화가 되고 분비물이 유출되는 후반부에 약용 조성물이 침투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피부의 조직으로부터 노폐물이나 땀 등이 용이하게 나올 수 있도록 초기에 피부의 표면에 액상의 조성물이 과도하게 배치되어 분비물의 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각질과 같은 분비물에 약용 조성물들이 흡수가 되어 피부조직에 침투나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도 방지를 할 수 있다.
상기한 수단들에 의하여 발열 조성물에 의하여 인가된 열에 의하여 활성화된 피부조직으로부터 분비물들이 용이하게 유출되고, 약용 조성물의 침투를 방해하거나 불필요한 약용 조성물의 허비되는 문제들을 줄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피부에 보습이나 미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의 공급을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치료를 목적으로 피부의 조직을 치유함으로써 피부의 조직을 건강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기능성을 가진 약용 조성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발열기능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로 선행하여 피부조직을 활성화하고 나서 용출된 노폐물이나 땀 등과 각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면봉과 같은 구조에 상기한 노폐물들을 부분적으로 녹이거나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통해 제거하고 2차적으로 기능성 조성물이 보다 용이하게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패키지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적인 피부조직의 활성화 상태에서 치료 또는 피부의 재생 등의 후속적인 피부의 조직에 대한 조치를 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토피 유사 피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용 조성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조직에 흡수 또는 침투시키기 위한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들 중의 하나는 상기 염증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예시적으로 사용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의 일 실시예 이외의 다른 측면, 특징, 효과들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조직에 기능성 조성물을 침투시키는 방법은 상이한 기능을 가진 조성물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각각의 기능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유한 기능을 갖는 피부 기능개선 조성물들을 용이하게 피부조직에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고, 피부조직에 직접 접촉을 통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기능성 조성물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제1 기능성 조성물을 메쉬에 도포한 마스크 시트의 예시로 원사에 액상 형태의 조성물이 물리적으로 표면에 도포된 상태이다.
도 2는 제1, 2 기능성 조성물이 결합된 조립체의 예시로 도1에서 만들어진 상태에서 2차적인 기능성 조성물을 일측에 도포 내지는 시트형태로 배치한 것이다.
도 3은 도2에 만들어진 조립체를 피부에 접촉시킴에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제1 기능성 조성물인 발열 내지 온열 작용에 따라 제2 기능성 조성물의 상태가 변화되고 점진적으로 피부와 접촉을 하게 되는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로써 시트 형태의 지지체 표면에 부분적으로 제1,2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하되 구조적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도포 내지는 배치한 조립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시트형태의 지지체 상부에 선행적으로 제2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2차적으로 그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제1 기능성 조성물을 배치시킴으로써 제1 기능성 조성물이 피부와 먼저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조립체 예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대상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일 수 있고,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95%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물 추출물은 60~100℃의 물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퀘르세틴, 캠퍼롤 및 흡광도 370nm에서 약 7.8min에 분리 검출되는 성분의 3가지 유효성분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외부에서 침투시키기 위한 적절한 추출물은 농도 5~30 mg/ml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0 mg/ml로 함유하는 저농도인 경우 또는 20~30 mg/ml로 함유하는 중농도로 함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꾸지뽕의 추출물의 성분이 피부조직에서의 유효한 작용 및 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선행 특허출원의 발명자들이 포함된 등록된 특허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행 등록된 특허의 조성물들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치료 또는 침투시킬 피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온열감을 제공하여 열에 의한 피부조직의 활성화를 선행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의 피부접촉 및 흡수를 위한 단계 이전에 부가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류와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발열성분을 더 포함하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얼굴용 발열 마스크 팩으로 피부의 표면과 내부조직을 활성화 또는 열을 인가한 후에 상기한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그것이 도포된 시트나 마스크를 접촉시켜서 상기한 조성물이 용이하게 피부 내부로 전달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발열성분의 조성은 시트 등에 도포되어 제공될 수 있는바, 약용 조성물과 동일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접촉하는 피부에 대하여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시간적으로 해당 작용이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다. 즉, 피부에 1차적으로 접촉된 발열 조성물에 의하여 피부의 조직이 활성화가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발열작용이 종료되면 순차적으로 약용 조성물이 피부조직으로 작용 및 그 효과가 나타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의 시트의 조직에 선행적으로 발열 조성물이 배치되고 약용 조성물이 그물망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망사구조 또는 다양한 형태의 그물망 등의 메쉬형태의 구조물에 1차적으로 발열 조성물을 도포시켜서 조직을 감싸는 형태로 시트를 만들고, 상기 시트에 적층하여 액상 또는 고상의 약용 조성물을 배치시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설명이 되는 마스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메쉬의 재질은 통상의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무방하며, 멸균처리 후 상기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다. 더욱 바람직한 재질로는 수술시 봉합사로 사용되고 있는 생분해성 재질 poly(glycolide -co-caprolactone)과 이식용 메쉬로 사용되고 있는 비분해성 재질 polypropylene으로 구성된 복합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한 메쉬를 기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질의 특성이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물망 구조를 기반으로 그물망의 원사의 표면에 배치된 발열 기능을 가진 조성물이 배치되고 그물 구조에 있어서 원사들의 내부에 약용 조성물들이 액상 또는 고상의 시트형태로 배치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기능성 조성물들이 순차적으로 작용을 하도록 하는 특징들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한 기저가 그물망을 사용하지 않고, 기능성 조성물이 지지체인 시트에 대하여 피부 쪽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거나 약용 조성물 도포된 표면에 발열 조성물을 부분적으로 형성함으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성 조성물이 피부 조직에 대하여 시간차를 가지고 효과를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본 출원에 의한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는 기능성 조성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제1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단위체; 및 제2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용하고자 하는 기능성 조성물이 2 이상인 경우 부가적인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위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제1 기능성 조성물은 발열성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제2 기능성 조성물은 유효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제2 기능성 조성물은 정상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능성 조성물은 고체 또는 유동성이 작은 젤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 상에 있어 제2 기능성 조성물은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점도가 감소함으로써 유동성이 있는 액체 또는 젤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피부 조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이때 제2 기능성 조성물은 탄성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 상에 있어 제2 기능성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되지 않다가 사용자가 마스크 팩에 힘을 인가하는 경우 탄성에 의해 밀려나와 사용자의 피부 조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능성 조성물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의해 나올 수 있도록 영률 (Young's modulus)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제1 단위체 및 제2 단위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입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출원에 의한 조립체는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메쉬형 시트 조립체
도 2 및 3과 같이 메쉬 형태의 구조물에 1차적으로 제1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시트에 적층하여 제2 기능성 조성물을 배치하여 본 출원에 의한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100)은 조직의 간격이 있는 메쉬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한다.
또한 제1 단위체는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상기 구조물을 둘러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200). 이때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방향인 구조물의 상부 면에 제1 단위체가 위치하여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구조물 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제2 단위체는 제1 단위체의 상부 면보다 낮도록 위치할 수 있다 (300). 도면과 같은 실시예의 경우 구조체의 하부 면에 제2 단위체를 위치하여 높이 차를 형성하였다. 이 높이 차를 통하여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제2 기능성 조성물 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렇게 하면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작용하며,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제2 기능성 조성물이 구조물 사이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지지체형 시트 조립체
도 4와 같이 지지체형 시트에 제1 기능성 조성물과 제2 기능성 조성물을 서로 다른 높이를 같도록 위치하여 본 출원에 의한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400)은 지지체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체 (200)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면에 제1 기능성 조성물을 위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2 단위체 (300)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면에 제2 기능성 조성물을 위치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 단위체의 높이를 제2 단위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높이 차를 통하여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제2 기능성 조성물 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렇게 하면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작용하며,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제1 단위체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지지체형 시트 조립체
도 5와 같이 지지체형 시트에 제2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단위체를 형성하고, 그 위에 제1 기능성 조성물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제1 단위체를 형성하여 본 출원에 의한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400)은 지지체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체 (200)는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제2 단위체 상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2 단위체 (300)는 제2 기능성 조성물이 구조물 상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 단위체는 제2 단위체 상에 형성되므로, 이 높이 차를 통하여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제2 기능성 조성물 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렇게 하면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작용하며,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제1 단위체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나 구조에 의한 배치에 따라서 피부에 적절한 열을 인가하는 시간에 수용성 겔 타입의 약용 조성물이 활성화가 되어 피부가 열에 의하여 활성화가 되고 분비물이 유출되는 후반부에 약용 조성물이 침투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피부의 조직으로부터 노폐물이나 땀 등이 용이하게 나올 수 있도록 초기에 피부의 표면에 액상의 조성물이 과도하게 배치되어 분비물의 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각질과 같은 분비물에 약용 조성물들이 흡수가 되어 피부조직에 침투나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도 방지를 할 수 있다.
상기한 수단들에 의하여 발열 조성물에 의하여 인가된 열에 의하여 활성화된 피부조직으로부터 분비물들이 용이하게 유출되고, 약용 조성물의 침투를 방해하거나 불필요한 약용 조성물의 허비되는 문제들을 줄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피부에 보습이나 미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의 공급을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치료를 목적으로 피부의 조직을 치유함으로써 피부의 조직을 건강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기능성을 가진 약용 조성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발열기능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로 선행하여 피부조직을 활성화하고 나서 용출된 노폐물이나 땀 등과 각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면봉과 같은 구조에 상기한 노폐물들을 부분적으로 녹이거나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통해 제거하고 2차적으로 기능성 조성물이 보다 용이하게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패키지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부를 활성화 하기 위한 온열팩의 기능과 노폐물 제거용 부재와 주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를 하나의 패키지로 제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적인 피부조직의 활성화 상태에서 치료 또는 피부의 재생 등의 후속적인 피부의 조직에 대한 조치를 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토피 유사 피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용 조성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조직에 흡수 또는 침투시키기 위한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단순한 미용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을 통한 마스크 팩에서뿐만 아니라 치료작용을 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피부조직에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통상 아토피 유사 피부질환은 염증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토피 유사 피부질환은 인구의 2~7%에서 발생하는 알레르기(allergy)성 피부병으로 생후 1개월에서 1년 사이의 유아에게서 주로 발병하고 3세가 되면 어느 정도 가라앉으나 생활환경, 개인차 등에 의해 다시 재발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전형적으로 손의 피부, 두피, 얼굴, 목 부위, 팔꿈치 또는 무릎의 주름 등에서 나타난다. 아토피 유사 피부염이 발병된 피부는 매우 건조하고 가려우며, 염증이 생기고 비늘처럼 벗겨진다. 병리학적으로 살펴보면 아토피 유사 피부염이 발생한 곳에는 혈청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E가 증가하고, 인터루킨[interleukin(IL)-4] 같은 T 헬퍼(helper) 2 사이토카인(cytokines)을 발현하는 세포수가 증가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피부조직에서 나타나는 염증은 신체 국소에 일어나는 상해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이다. 즉, 각종의 유해한 자극(stressor)에 응답하여,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반응이 염증반응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 등이 있으며, 염증반응에 관련된 생체구성인자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단백질, 당질, 지질 등의 저분자나 고분자의 화학물질과, 혈장, 혈구, 혈관 및 결합조직 등이 있다.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항원 물질을 알레르기 항원이라 하며 알레르기 항원이 호흡기를 통하거나 소화기, 혹은 피부를 통하여 우리 몸에 들어오게 되면 알레르기 항원에 특이한 IgE 항체가 생성되어 알레르기 유발세포 표면에 부착되고, 이때 알레르기 항원이 다시 신체에 들어오면 알레르기 유발세포 표면의 IgE 항체와 결합하고 자극 받은 알레르기 유발세포는 히스타민을 포함한 여러 가지 매개물을 내보낸 후 호산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염증세포가 몰려들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들 중의 하나는 상기 염증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예시적으로 사용한다. 특정한 치료를 수행하는 기능성 조성물과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조성물이 사용자의 특별한 어려움이 없이 접촉되는 피부의 통상의 체온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기능성 조성물의 배치형태와 접촉시키는 순서와 용이하게 사용자로 하여금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패키징을 구성하여 제공한다.
상기한 예시에 부가적으로 하기와 같은 구성을 더 구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 될 수 있다.
도 1은 제1 기능성 조성물(200)이 도포된 메쉬(100)의 예시로 원사에 액상 형태의 조성물이 물리적으로 표면에 도포된 상태(110,120)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원사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그물망 구조의 시트에 발열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형성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한 메쉬의 간격이나 직경 등은 사용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준비가 될 수 있다. 접촉되는 피부의 탄력정도에 따라서 그 간격과 굵기를 선택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메쉬는 그 재질에 따라서 제1 기능성 조성물의 기능이 종료되거나 진행과정에 피부의 유출물이나 제1 기능성 조성물이 흡수가 되도록 유체나 미세한 피부조직들이 흡착이 되도록 재질이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쉬의 간격은 상기 제1 기능성 조성물이 도포되거나 형성된 이후, 적어도 제2 기능성 조성물이 피부 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하도록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능성 조성물의 도포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의 간격은 0.05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이때 메쉬의 간격은 0.05mm, 0.1mm, 0.5mm 또는 1mm 이상일 수 있다. 또는 메쉬의 간격은 2mm, 1mm, 0.5mm 또는 0.1mm 이하일 수 있다. 메쉬의 직경은 0.1mm 이상 1mm 이하일 수 있다. 이때 메쉬의 직경은 0.1mm, 0.3mm, 0.5mm, 0.7mm 또는 0.9mm 이상일 수 있다. 또는 메쉬의 직경은 1 mm, 0.9mm, 0.7mm, 0.5mm 또는 0.3mm 이하일 수 있다.도 2는 제1, 2 기능성 조성물이 결합된 조립체의 예시로 도1에서 만들어진 상태에서 2차적인 기능성 조성물(300)을 일측에 도포 내지는 시트형태로 배치한 것이다. 1차적으로 원사의 표면에 도포되고 겔 또는 젤 수준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그물망의 구조상 내부 공극들이 생기게 되며 후술하는 공기층이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제공되는 제2 기능성 조성물의 물질의 상태에 따라서 도2에서 설명되는 두 조성물간의 뚜렷한 경계면 존재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시트형태로 제공되는 경우는 본 도면과 같이 형성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기능성 조성물은 상온 또는 피부의 접촉시에 인가되는 열이나 피부에서 제공되는 수분 등에 의하여 표면에 점착기능을 갖게 됨으로 두 기능성 조성물의 결합은 별도의 접착성분을 인가하지 않고도 계면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접착성분을 추가여부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도2에 만들어진 조립체를 피부에 접촉시킴에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제1 기능성 조성물인 발열 내지 온열 작용에 따라 제2 기능성 조성물의 상태가 변화되고 점진적으로 피부와 접촉을 하게 되는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작용을 설명하면 얼굴에 상기한 조립체1을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 피부의 온도나 습기 또는 조성의 특성에 따라서 외부 온도 및 약간의 수분 등에 의하여 1차적으로 발열기능을 나타내므로 피부 조직에 온열감을 제공하여 피부조직을 활성화 하여 모세혈관, 모공 등을 확장시켜 피부조직내의 분비물이나 노폐물, 땀 등이 용이하게 배출이 되도록 하고 메쉬의 구조상 미량으로 피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서 용이하게 배출이 될 수 있게 된다. 용이하게 배출되는 시점에는 발열 조성물에 의하여 제2 기능성 조성물에도 열이 인가가 되어서 조성물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촉매 내지는 활성화 온도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포된 제2 기능성 조성물의 상태에 따라서 고상이 액상으로 변화되어 피부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얼굴 표면에 배치 시키는 단계에서 조성물들의 유동성이 낮아서 액을 흘리거나 시트가 서로 달라 붙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되는 이점도 있게 된다. 이는 제1 실시 예의 하나의 변형에 해당한다. 조성물의 상태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으나, 도 3은 그물망 상부에 배치된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열에 의하여 그물망을 통과하여 피부에 접촉하여 활성화된 이후에 피부로 조성물이 침투하도록 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상기 도1의 설명에서와 같이 피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질들은 사용되는 메쉬의 재질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흡수가 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로써 시트 형태의 지지체 표면에 부분적으로 제1,2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하되 구조적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도포 내지는 배치한 조립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의 마스크 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시트 상부에 두개의 조성물이 충분히 교반된 상태에서 뿌려지거나, 시간차를 두고 흩 뿌려서 서로 다른 기능성 조성물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시트에 형성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시된 그림과 같이 제1,2 조성물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이 되도록 도포할 수 있다. 도식화 된 것과 같이 상호 단차가 있지만 시간적으로 먼저 기능을 수행할 조성물의 높이는 높임므로 피부와의 접촉을 통하여 제1 기능을 작용케하고 후차적으로 제2 조성물이 피부에 닿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두드리거나 추가적인 밀착을 통해서 접촉량이나 힘을 증가시켜서 조성물을 피부로 침투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의 두 기능성 조성물의 높이와 이웃하는 동일 기능성 조성물간의 간격은 앞서 설명된 메쉬를 사용하는 경우의 메쉬의 직경이나 간격과 유사한 수치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메쉬의 경우는 부가적인 지지체의 구성상 직조나 제작의 용이성에 의하여 직경이나 간격이 결정이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능성 조성물을 시트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디스펜싱 장비나 방법에 의하여 보다 조밀하게 형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표면에 본 실시예에서의 2가지 조성물의 속성에 따라서 그 표면장력이 위치에 따라 달리 되도록 사전에 시트의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두가지 이상의 조성물을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시트형태의 지지체 상부에 선행적으로 제2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2차적으로 그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제1 기능성 조성물을 배치시키므로 제1 기능성 조성물이 피부와 먼저 접촉이 될 수 있도록 한 조립체 예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통상의 시트지에 후속적으로 작용시킬 조성물을 먼저 배치시키고, 후에 제1 기능성 조성물을 부분적으로 배치하여 피부와의 최소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서의 구성도 도4에서의 설명과 같이 시트에 전처리를 함으로써 용이하게 기능성 조성물 자체로써 단차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공극이나 공간은 치료 또는 미용상 사용하는 마스크 팩의 적정한 사용의 제약에서 피부조직이 공기와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열작용과 약용작용의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시간을 확보하는 것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공극으로 인해서 피부활성화에 따른 분비물이 용이하게 올라 올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해 주는 효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그물망, 메쉬, 원사
110: 제1 단위체가 둘러싸고 있는 메쉬
120: 제1, 2 단위체가 결합된 조립체1
130,140: 제1 단위체의 작용에 따른 제2 단위체의 변화
200: 제1 단위체
210: 지지체 표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2 단위체 조립체2
220: 지지체 상부에 적층된 제2 단위체 상에 부분적으로 적층된 제1 단위체 조립체3
300: 제2 단위체
400: 조성물 지지체
500: 피부조직 단면 개략도

Claims (13)

  1. 기능성 조성물을 지지하기 위한 메쉬 형태의 구조물;
    상기 구조물을 둘러싸고 있는 제1 기능성 조성물이 형성하는 제1 단위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 기능성 조성물은 발열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보다 낮게 위치한 제2 기능성 조성물이 형성하는 제2 단위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은 유효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면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상기 메쉬의 간격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전달을 위한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2. 기능성 조성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상기 구조물보다 상부에 위치한 제1 기능성 조성물이 형성하는 제1 단위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 기능성 조성물은 발열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보다 상부에 위치한 제2 기능성 조성물이 형성하는 제2 단위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은 유효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단위체의 상부 면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을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면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상기 제1 단위체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전달을 위한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아크릴레이트 화이버 흡습 또는 흡수 발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체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면에 상기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위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체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면에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체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면에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위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체는 상기 제2 단위체의 상부 면에 상기 제1 기능성 조성물이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부직포와 같은 시트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증, 아토피치료, 보습, 미백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상의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체는 고체, 겔 또는 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한 후 외부에서 힘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단위체가 밀려나와 사용자의 피부 조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체는 온도에 따라 점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체의 상부 면이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면 특정 시간이 지난후 제1 기능성 조성물에서 발생한 열로 인하여 상기 제2 단위체의 점도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제2 기능성 조성물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조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1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및;
    표면에 다공성 조직을 갖고 흡습기능을 가지는 면봉을 포함하는 다기능 피부용 조성물 시트 조립체 키트.
KR1020190054100A 2018-08-02 2019-05-09 피부용 다기능 조성물 시트 조립체 KR102367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0524 2018-08-02
KR1020180090524 2018-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878A true KR20200015878A (ko) 2020-02-13
KR102367261B1 KR102367261B1 (ko) 2022-02-25

Family

ID=6951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100A KR102367261B1 (ko) 2018-08-02 2019-05-09 피부용 다기능 조성물 시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2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949A (ja) * 2002-06-13 2004-03-04 Lion Corp 発熱性粒子及び発熱性組成物、該組成物を使用した発熱性シート
KR200466565Y1 (ko) * 2012-01-31 2013-04-23 (주)아모레퍼시픽 마스크 팩
KR20140128110A (ko) * 2013-04-26 2014-11-05 강원도 고성군 (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101495117B1 (ko) 2011-08-16 2015-02-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949A (ja) * 2002-06-13 2004-03-04 Lion Corp 発熱性粒子及び発熱性組成物、該組成物を使用した発熱性シート
KR101495117B1 (ko) 2011-08-16 2015-02-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466565Y1 (ko) * 2012-01-31 2013-04-23 (주)아모레퍼시픽 마스크 팩
KR20140128110A (ko) * 2013-04-26 2014-11-05 강원도 고성군 (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261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12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JP4694564B2 (ja) 灸効果を持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圧鋒
JP5042209B2 (ja) 酸化窒素による美容治療、前記治療を実施する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2800B1 (ko) 마이크로 니들 장치
US8784875B2 (en) Collage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BR9510364A (pt) Tecido com medicamento para aplicação a um usuário
KR20040107854A (ko) 통합적 향기 요법을 위한 정유 혼합 조성물
KR102367261B1 (ko) 피부용 다기능 조성물 시트 조립체
KR100837083B1 (ko) 피부 흡수 향상 장치
KR102413394B1 (ko) 멍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재
CA2194442A1 (en) Hydrogel for the application of therapeutic and/or cosmetic active substances to the skin
DE102010056029B4 (de) Wärmekompresse und deren Verwendung
KR100729002B1 (ko) 알러지성 비염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 부터제조되는 알러지성 비염 완화 및 치료용 패치
US20060067996A1 (en) Preventing/treating signs of skin stress/aging by bioenergetically modifying acupuncture points of the face or neck
US1116076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fungal infections of the nails
KR100937688B1 (ko) 기능성 식물성 섬유 탑시트 제조방법
KR100853341B1 (ko)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강 파스
CN103393854A (zh) 一种神灸植物精油及制备方法及应用
KR100809488B1 (ko)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CN102319313A (zh) 艾灸熏蒸囊
JP2003169852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剤、これを用いたマイナスイオン発生シート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貼付剤
KR20070024177A (ko) 치료용 근육 고정 테이프 조성물
KR100709921B1 (ko)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8840A (ko) 비침습적 수송 방법
JP2001106633A (ja) 酸化チタンを薬あるいはそれに類する物質としての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