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371A - 식물 제초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제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371A
KR20200015371A KR1020190072826A KR20190072826A KR20200015371A KR 20200015371 A KR20200015371 A KR 20200015371A KR 1020190072826 A KR1020190072826 A KR 1020190072826A KR 20190072826 A KR20190072826 A KR 20190072826A KR 20200015371 A KR20200015371 A KR 2020001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e
weeding
blad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900B1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US17/051,60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235607A1/en
Priority to PCT/KR2019/009475 priority patent/WO2020027541A1/ko
Publication of KR2020001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2Apparatus for mechanical de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5/00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065Hoes; Hand cultivators powered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는 중앙에 관통된 결합공을 갖는 하우징; 상기 결합공에 관통되어 탄력적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봉; 상기 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 연동하여 흙을 파해쳐 식물을 제초시키는 제초날;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수단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식물 제초 장치{Apparatus for withering plant}
본 발명은 식물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 속의 잡초뿌리까지 제초하여 잡초의 완전 제거를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 제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농부들이 직접 손으로 삽, 호미, 갈고리 등의 농기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진다.
농부들이 직접 상기 농기구를 잡고 땅에 쪼그려 안거나 서서 수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무릎과 허리에 부담이 가해져 잡초 제거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힘든 작업인 만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점점 농업 인력의 고령화와 농촌의 인력부족으로 인해 농작물의 경 작에 많은 고초를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통상적인 제초작업은 수작업으로 잡초를 일일이 뽑아서 제거하는 방법과 낫이나 예초기를 이용하여 베어내 제거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제초작업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단시간내에 잡초가 재성장하게 되므로 제초의 지속효과가 짧은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제초의 지속효과가 큰 제초방법으로는 제초제를 살포하는 방안이 있으나, 제초제는 독성이 장시간 지속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등 위험성을 수반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술한 종래 제초작업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팀을 이용한 잡초제거방법 및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1681호로 개시되어 있다.
스팀을 이용한 잡초제거방법 및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초의 상부를 가압판(10)으로 덮어준 후 잡초 제거기(40)에서 발생되는 스팀열을 열원공급라인(30)을 통하여 가압판의 내공간(14)에서 충전하고 노즐구멍(11)을 통해 골고루 방사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때, 스팀열은 잡초의 종류에 따라 120℃에서 170℃로 하고, 방사시간은 30초에서 1?2분간 잡초의 종류와 굵기에 따라 지속하는 방식으로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스팀을 잡초제거방법 및 장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 가압판(10)을 장시간 동안 특정 위치에 체류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서 수작업에 의한 제초작업보다도 작업효율이 낮아 현실적인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또한, 스팀이 장시간 공급되는 과정에서 가압판의 주변으로 새어나오는 스팀에 의해 주변 동식물이 열손상 및 화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고, 스팀의 소모가 심하여 운전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9314(2008년09월12일) [특허문헌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1509(2016년04월18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이 식물 제초장치는 흙 속의 잡초의 뿌리까지 제초하여 잡초의 완전 제거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와 무게가 가벼워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며 서서 작업을 함으로 편리함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초장치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동력수단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흔히 보유하고 있는 드릴링 머신 등의 동력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수단을 통해 절삭날을 회전시켜 흙을 파해치면서 발생하는 저항력이 발생하여도 파지수단이 흙속에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도록 지지대를 구성하여 절삭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으로 지면 위로 복귀시켜주어 작업에 있어서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과 제초날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가 용이함으로서, 제초장치의 유지 관리성과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는 중앙에 관통된 결합공을 갖는 하우징; 상기 결합공에 관통되어 탄력적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봉; 상기 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 연동하여 흙을 파헤쳐 식물을 제초시키는 제초날;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수단 및 상기 하우징은 일단 둘레에 설치되어 흙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제초날의 회전을 지지하는 파지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결합공에 관통된 봉의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결합공 일측에 설치된 제1단턱부재와 타측에 설치된 제2단턱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봉의 이동에 의해 연동하는 제1단턱부재를 통해 탄성부재가 압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형성한 장착공 에 고정볼을 수납하여 상기 고정볼이 설치공 내부에 선택적으로 부분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홀더가 마련되어 상기 홀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을 통해 홀더가 탄력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홀더의 이동상태에 따라 홀더 내주연에 지름이 다른 다단의 인입공을 통하여 고정볼이 설치공에 노출되는 상태가 결정되고,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단부가 설치공 내부로 결합하면, 상기 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과 다단의 인입공 중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인입공에 고정볼이 수용되면서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을 압착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면 고정볼은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인입공으로 고정볼이 이동하면서 단부의 내입홈에서 이탈되어 봉에서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 입구 단부에 요홈을 형성시켜 스냅링에 지지되는 고정볼을 수납하고,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단부의 제2단부가 설치공에 결합하되, 상기 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에 고정볼이 부분 수납되면서 스냅링을 통해 수납된 상태를 유지시켜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과 연통공이 상호 지름이 다른 다단 형태로 형성하되, 봉의 외주연에서 연통공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다단의 제1단부와 제2단부가 설치공과 연통공에 결합되고 나면, 상기 제2단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연결공을 상호 연통시켜 걸림쇠 결합으로 봉에서 제초날을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봉의 일단부에 유입공과 걸림홈을 상호 연통되게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과 연통되고 봉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봉의 외주연에 연통공과 상호 연통되는 등분할로 복수의 절개공을 형성시켜 탄력적으로 걸림홈이 확개되도록 하여 상기 제초날에 제1단부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 걸림단부가 유입공을 통해 걸림홈에 걸림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설치공 바닥면에 형성시킨 돌출부에 설치공을 형성시켜 제초날의 걸림단부 후방에 형성시킨 제2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절개공의 끝단부에는 확개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부 외주연에 이탈공을 형성시켜 설치공 바닥면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이탈공을 통해 제초날의 제2단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뾰족한 기구를 이용하여 이탈공에 삽입하여 설치공에서 제초날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장착공을 형성하여 고정볼을 내입시키며, 상기 제초날에 제1단부, 내입홈 및 제2단부가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반원의 내입홈은 장착공과 연통되어 고정볼이 결합되어 제조날과 봉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2단부가 설치공에 공회전 방지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결속홈에 결속수단을 결합하여 장착공에서 고정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는 중앙에 관통된 결합공을 갖는 하우징; 상기 결합공에 관통되어 탄력적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봉; 상기 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 연동하여 흙을 파헤쳐 식물을 제초시키는 제초날;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수단 및 상기 하우징은 일단 둘레에 설치되어 흙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제초날의 회전을 지지하는 파지수단으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흙 속의 잡초의 뿌리까지 제초하여 잡초의 완전 제거를 가능하도록 하여 잡초 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제초장치는 부피와 무게가 가벼워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다.
특히, 전원주택의 정원이나 잔디밭 공원, 운동장, 골프장 산소 등에 식재한 잔디에 서식하고 있는 잡초를 서서 간단하게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잡초의 뿌리를 뽑거나 캐내지 않고 뿌리를 갈아버림으로서 잡초 제거 후 잔여물을 수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제초장치는 제초장치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동력수단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흔히 보유하고 있는 드릴링 머신 등의 동력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제초장치는 구동수단을 통해 절삭날을 회전시켜 흙을 파해치면서 발생하는 저항력이 발생하여도 파지수단이 흙속에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어 절삭날의 효과적인 제초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제초장치는 봉과 제초날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가 용이함으로서, 제초장치의 유지 관리성과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파지수단을 흙에 침투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절삭날을 통해 식물을 제초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계략도.
도 16 및 도 1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내지 도 22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 및 도 24는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파지수단을 흙에 침투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절삭날을 통해 식물을 제초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계략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0은 내지 도 22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3 및 도 24는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제초장치 100는 하우징 110, 봉 120, 제초날 130 및 동력수단 140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 110은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이 관통된 결합공 111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 110의 결합공 111에는 봉 120을 관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110의 결합공 111 일측으로 제1단턱부재 113와 커버 116를 결합한다.
상기 제1단턱부재 113는 결합공 111 일측 내주연에 결합하고 하우징 110 외부에서 도구를 통해 셋트스크류 114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셋트스크류 114는 봉 12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제1단턱부재 113가 봉 120에 고정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116의 제1단턱부재 113에 연접되어 결합공 111의 일측이 밀폐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 111 타측에는 제2단턱부재 115를 결합하되, 상기 봉 120이 제2단턱부재 115를 관통되도록 한다.
상기 제1단턱부재 113와 제2단턱부재 115는 봉 12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봉 120이 결합공 111 중앙에 수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 111에 설치된 제1단턱부재 113와 제2단턱부재 115 사이에는 탄성부재 112를 내재시키되, 상기 탄성부재 112는 결합공 111에 관통된 봉 120의 외주연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 120은 상기 결함공에 관통되어 탄력적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봉 120은 하우징 1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봉 120을 전후진 이동시키면 제1단턱부재 113는 연동하여 탄성부재 112를 제2단턱부재 115 사이에서 압박하여 봉 120의 탄력적인 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초날 130은 상기 봉 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 연동하여 흙을 파해쳐 식물을 제초시킨다.
상기 제초날 130은 원형의 판 상태로 형성되고, 등분할로 모서리를 갖는 복수의 절삭면 131을 형성시킨다.
상기 절삭면 131은 뾰족한 선을 갖는 모서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봉 120에 의해 회전하면서 흙에 압박되면 절삭면 131이 회전을 통해 흙을 용이하게 파해칠 수 있다.
이때, 제초날 130은 동력수단 140을 통해 회전되되, 상기 동력수단 140은 상기 봉 120의 타단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봉 120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동력수단 140은 가정 또는 산업 현장에서 흔히 구비된 휴대용 드릴링 머신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봉 120의 일측면에는 평면 상태의 연결면 121이 형성되어 드릴링 머신에 설치된 소켓에 연결될 수 있어 드릴링 머신의 회전력이 공회전 없이 봉 120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삭날이 흙을 파해칠 때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자칫 봉 120과 구동수단에 저항력이 전달되면서 작업자는 많은 지지력이 필요를 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하우징 110의 일측단 둘레에는 복수의 파지수단 150을 설치하여 흙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수의 파지수단 150의 안쪽으로 제초 대상 식물을 수용하도록 한 다음 복수의 파지수단 150을 가압하여 흙속으로 침투시킨다.
이후, 구동수단을 통해 절삭날을 회전시켜 흙을 파해치면서 발생하는 저항력이 발생하여도 파지수단 150이 흙속에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어 절삭날의 효과적인 제초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제초 대상 식물을 복수의 파지수단 150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파지수단 150을 보다 넓은 지름의 확개 형태로 형성시킨다.
즉, 파지수단 150은 외부로 일정 각도로 절곡시킨 절곡부 151를 갖고, 상기 절곡부 151와 일체로 연장되고 뾰족한 선단을 갖는 침투부 152를 갖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침투부 152가 흙 속에 보다 쉽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고, 파지수단 150의 안쪽에 제초 대상 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흙 속의 잡초의 뿌리까지 제초하여 잡초의 완전 제거를 가능하도록 하여 잡초 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부피와 무게가 가벼워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여 주말농장, 전원주택의 정원, 잔디밭, 공원, 운동장, 골프장, 산소 등의 잔디에 서식 하고 있는 잡초를 서서 간단하게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뿌리를 뽑거나 캐내지 않고 뿌리를 갈아버림으로서 잡초 제거 후 잔여물을 수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초장치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동력수단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흔히 보유하고 있는 드릴링 머신 등의 동력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수단을 통해 절삭날을 회전시켜 흙을 파해치면서 발생하는 저항력이 발생하여도 파지수단이 흙속에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어 절삭날의 효과적인 제초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봉 120과 제초날 130의 결합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3가지이다.
먼저, 도 9 내지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봉 120의 끝부분에 설치공 122을 형성하고 상기 봉 120의 외주연에 형성한 장착공 123에 고정볼 124을 수납하여 상기 고정볼 124이 설치공 122 내부에 선택적으로 부분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봉 120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홀더 160가 마련되어 상기 홀더 16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161을 통해 홀더 160가 탄력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 160의 이동 상태에 따라 홀더 160 내주연에 지름이 다른 다단의 인입공 162을 통하여 고정볼 124이 설치공 122에 노출되는 상태가 결정되고, 상기 제초날 130에 돌출되게 형성한 단부가 설치공 122 내부로 결합하면, 상기 단부 132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135과 다단의 인입공 162 중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인입공 162에 고정볼 124이 수용되면서 봉 120과 제초날 130를 상호 고정시킨다.
상기 스프링 161을 압착시키면서 홀더 160를 이동시키면 고정볼 124은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인입공 162으로 고정볼 124이 이동하면서 단부의 내입홈 135에서 이탈되어 봉 120에서 제초날 130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봉 120과 제초날 130의 결합 및 분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봉 120과 제초날 130의 결합 방법은 봉 120에 제초날 130의 결합을 위해 홀더 160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는, 고정볼 124이 인입공 162 중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인입공 162으로 고정볼 124이 이동하여 하게 되면, 설치공 122 내부에 간섭 상태를 없애 제초날 130의 단부가 설치공 122 내부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후방 이동한 홀더 160에서 손을 떼게 되면 스프링 161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 160가 원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161은 홀더 160의 제1걸림턱 163과 봉 120의 제2걸림턱 127사이에서 압착되었던 스프링 161은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홀더 160를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 160의 이동에 의해 큰 인입공 162에서 작은 인입공 162으로 고정볼 124이 내입되면서 제초날 130의 단부에 형성된 내입홈 135으로 고정볼 124의 절반이 결합되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봉 120에서 제초날 13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홀더 160를 이동시키면 지름이 작은 인입공 162과 내입홈 135 사이에 결합된 상태의 고정볼 124이 지름이 큰 인입공 162측으로 이동하면서 봉 120과 제초날 130의 결합이 해제되어 분리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공 122의 내주연과 단부 132의 외주연은 상호 동일한 육각 모양으로서 상호 공회전이 방지된다.
도 16 및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 입구 단부에 요홈을 형성시켜 스냅링에 지지되는 고정볼을 수납한다.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단부가 설치공에 결합하되, 상기 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에 고정볼이 부분 수납되면서 스냅링을 통해 수납된 상태를 유지시켜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고정볼 124은 단면이 볼 타입이고, 일부가 절개된 환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스냅링 12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 124의 내경 지름이 가변되어 제초날 130의 내입홈 135에 탄력적으로 내입되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8 및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상기 봉 120의 끝부분에 설치공 122과 연통공 136이 상호 지름이 다른 다단 형태로 형성하되, 봉 120의 외주연에서 연통공 136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연결공 138을 형성한다.
상기 제초날 130에 돌출되게 형성한 다단의 제1단부 133와 제2단부 134가 설치공 122과 연통공 136에 결합되고 나면, 상기 제2단부 134에 형성된 걸림공 139과 연결공 138을 상호 연통시켜 걸림쇠 137 결합으로 봉 120에서 제초날 130을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걸림쇠 137를 이용한 걸림 구조로 봉 120과 제초날 130의 결합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공 138 입구에는 결속홈 129을 형성시켜 걸림쇠가 137가 연결공 138에 결합 후 환형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아 탄력적으로 지름 가변이 가능한 결속수단 128을 결속홈 129에 결합하여 걸림쇠 137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봉과 제초날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교체가 용이함으로서, 제초장치의 유지 관리성과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는 아래와 같다.
상기 봉 120의 일단부에 유입공 122d과 걸림홈 122a을 상호 연통되게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 122a과 연통되고 봉 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통공 13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봉 120의 외주연에 연통공 136과 상호 연통되는 등분할로 복수의 절개공 122b을 형성시켜 탄력적으로 걸림홈 122a이 확개되도록 하여 상기 제초날 130에 제1단부 133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 걸림단부 133a가 유입공 122d을 통해 걸림홈 122a에 걸림 구조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설치공 122 바닥면에 형성시킨 돌출부 120a에 설치공 122을 형성시켜 제초날 130의 걸림단부 133a 후방에 형성시킨 제2단부 134가 결합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절개공 122b의 끝단부에는 확개공 122c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부 120a외주연에 이탈공 136a을 형성시켜 설치공 122 바닥면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이탈공 136a을 통해 제초날 130의 제2단부 134가 노출되도록 하여 뾰족한 기구를 이용하여 이탈공 136a에 삽입하여 설치공 122에서 제초날 130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초날 130의 가압에 의해 제2단부 134는 설치공 122으로 내입되어 상호 육각형 조합에 의한 결합을 통해 공회전이 방지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걸림단부 133a는 유입공 122d과 걸림홈 122a에 압입되면 절개공 122b을 통해 걸림홈 122a이 확개되어 걸림단부 133a가 걸림홈 122a의 하단부에 걸림 구조로 결합된다.
도 23 및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 제초 장치의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는 아래와 같다.
상기 봉 120의 끝부분에 설치공 122이 형성되고, 상기 봉 120의 외주연에 장착공 123을 형성하여 고정볼 124을 내입시키며, 상기 제초날 130에 제1단부 133, 내입홈 135 및 제2단부 134가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반원의 내입홈 135은 장착공 123과 연통되어 고정볼 124이 결합되어 제초날 130과 봉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2단부 134가 설치공 122에 공회전 방지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봉 120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결속홈 129에 결속수단 128을 결합하여 장착공 123에서 고정볼 12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결국, 고정볼 124을 통하여 제초날 130과 봉 120의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고정볼 124은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수단 128의 이탈을 통해 장착공 123에서 고정볼 124을 분리하면 제초날 130과 봉 120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100 : 제초장치
110 : 하우징 111 ; 결합공
112 : 탄성부재 113 : 제1단턱부재
114 : 셋트스크류 115 : 제2단턱부재
116 : 커버 118 : 관통공
120 : 봉 120a: 돌출부
121 : 연결면 122 : 설치공
122a : 걸림홈 122b : 절개공
122c: 확개공 122d : 유입공
123 : 장착공 124 : 고정볼
125 : 요홈 126 : 스냅링
127 : 제2걸림턱 128 : 결속수단
129 : 결속홈 130 : 제초날
131 : 절삭면 131a : 선단
132 : 단부 133 : 제1단부
133a : 걸림단부 134 : 제2단부
135 : 내입홈 136 : 연통공
136a : 이탈공 137 : 걸림쇠
138 : 연결공 139 : 걸림공
140 : 동력수단 150 : 파지수단
151 : 절곡부 152 : 침투부
160 : 홀더 161 : 스프링
162 : 인입공 163 : 제1걸림턱

Claims (7)

  1. 중앙에 관통된 결합공을 갖는 하우징;
    상기 결합공에 관통되어 탄력적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봉;
    상기 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 연동하여 흙을 파헤쳐 식물을 제초시키는 제초날;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수단 및
    상기 하우징은 일단 둘레에 설치되어 흙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제초날의 회전을 지지하는 파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공에 관통된 봉의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결합공 일측에 설치된 제1단턱부재와 타측에 설치된 제2단턱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봉의 이동에 의해 연동하는 제1단턱부재를 통해 탄성부재가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형성한 장착공에 고정볼을 수납하여 상기 고정볼이 설치공 내부에 선택적으로 부분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홀더가 마련되어 상기 홀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을 통해 홀더가 탄력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홀더의 이동상태에 따라 홀더 내주연에 지름이 다른 다단의 인입공을 통하여 고정볼이 설치공에 노출되는 상태가 결정되고,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단부가 설치공 내부로 결합하면,
    상기 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과 다단의 인입공 중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인입공에 고정볼이 수용되면서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을 압착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면 고정볼은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인입공으로 고정볼이 이동하면서 단부의 내입홈에서 이탈되어 봉에서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 입구 단부에 요홈을 형성시켜 스냅링에 지지되는 고정볼을 수납하고,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단부의 제2단부가 설치공에 결합하되,
    상기 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내입홈에 고정볼이 부분 수납되면서 스냅링을 통해 수납된 상태를 유지시켜 봉과 제초날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과 연통공이 상호 지름이 다른 다단 형태로 형성하되, 봉의 외주연에서 연통공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초날에 돌출되게 형성한 다단의 제1단부와 제2단부가 설치공과 연통공에 결합되고 나면,
    상기 제2단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연결공을 상호 연통시켜 걸림쇠 결합으로 봉에서 제초날을 결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일단부에 유입공과 걸림홈을 상호 연통되게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과 연통되고 봉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봉의 외주연에 연통공과 상호 연통되는 등분할로 복수의 절개공을 형성시켜 탄력적으로 걸림홈이 확개되도록 하여 상기 제초날에 제1단부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 걸림단부가 유입공을 통해 걸림홈에 걸림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설치공 바닥면에 형성시킨 돌출부에 설치공을 형성시켜 제초날의 걸림단부 후방에 형성시킨 제2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절개공의 끝단부에는 확개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돌출부 외주연에 이탈공을 형성시켜 설치공 바닥면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이탈공을 통해 제초날의 제2단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뾰족한 기구를 이용하여 이탈공에 삽입하여 설치공에서 제초날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끝부분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장착공을 형성하여 고정볼을 내입시키며,
    상기 제초날에 제1단부, 내입홈 및 제2단부가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반원의 내입홈은 장착공과 연통되어 고정볼이 결합되어 제조날과 봉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2단부가 설치공에 공회전 방지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봉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결속홈에 결속수단을 결합하여 장착공에서 고정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제초 장치.
KR1020190072826A 2018-08-03 2019-06-19 식물 제초 장치 KR10209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51,609 US20210235607A1 (en) 2018-08-03 2019-07-30 Plant weeding device
PCT/KR2019/009475 WO2020027541A1 (ko) 2018-08-03 2019-07-30 식물 제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48 2018-08-03
KR20180090848 2018-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71A true KR20200015371A (ko) 2020-02-12
KR102090900B1 KR102090900B1 (ko) 2020-03-18

Family

ID=695697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33A KR20200015367A (ko) 2018-08-03 2019-05-30 식물 제초 장치
KR1020190072826A KR102090900B1 (ko) 2018-08-03 2019-06-19 식물 제초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33A KR20200015367A (ko) 2018-08-03 2019-05-30 식물 제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235607A1 (ko)
KR (2) KR202000153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3347A (zh) * 2021-03-18 2021-06-08 塔里木大学 一种旋耕刀的柔性安装结构及翻压装置
CN112913347B (zh) * 2021-03-18 2024-05-10 塔里木大学 一种旋耕刀的柔性安装结构及翻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5187A (zh) * 2021-07-19 2021-10-26 邓育玲 一种用于农业种植用的稻田除草装置
CN113826606B (zh) * 2021-09-07 2023-05-02 山东朗森机械有限公司 一种园艺除草机
CN114946816B (zh) * 2022-06-06 2023-03-28 刘秋菊 一种园艺用智能除根割草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8402A (ja) * 1987-10-09 1989-04-17 Hattori Hamono Kk 園芸用穿孔器
JPH0650403U (ja) * 1992-12-17 1994-07-12 春二 森 動力式雑草抜取機
JP3050027U (ja) * 1997-11-20 1998-06-30 春二 森 雑草堀り起こし装置
KR100859314B1 (ko) 2007-04-11 2008-09-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폭조절 기능을 갖는 제초장치
KR200457952Y1 (ko) * 2009-12-18 2012-01-12 이종업 골프용 잔디뿌리 제거기
KR20160041509A (ko) 2014-10-08 2016-04-18 유인희 잔디 및 잡초의 뿌리 인발, 줄기 커팅 겸 에어레이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4293A (en) * 1969-01-31 1971-01-12 Ivan W Rowell Rotary weeding and edging attachment for rotary power source
JP3050027B2 (ja) 1993-12-27 2000-06-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ンコーダのパルスカウント回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8402A (ja) * 1987-10-09 1989-04-17 Hattori Hamono Kk 園芸用穿孔器
JPH0650403U (ja) * 1992-12-17 1994-07-12 春二 森 動力式雑草抜取機
JP3050027U (ja) * 1997-11-20 1998-06-30 春二 森 雑草堀り起こし装置
KR100859314B1 (ko) 2007-04-11 2008-09-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폭조절 기능을 갖는 제초장치
KR200457952Y1 (ko) * 2009-12-18 2012-01-12 이종업 골프용 잔디뿌리 제거기
KR20160041509A (ko) 2014-10-08 2016-04-18 유인희 잔디 및 잡초의 뿌리 인발, 줄기 커팅 겸 에어레이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3347A (zh) * 2021-03-18 2021-06-08 塔里木大学 一种旋耕刀的柔性安装结构及翻压装置
CN112913347B (zh) * 2021-03-18 2024-05-10 塔里木大学 一种旋耕刀的柔性安装结构及翻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67A (ko) 2020-02-12
US20210235607A1 (en) 2021-08-05
KR102090900B1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5371A (ko) 식물 제초 장치
US5651418A (en) Convertible, user-supported, garden cleaning implement for cutting/macerating weeds and like
US5810093A (en) Multi-purpose landscaping device for use with a hand-held rotary power tool
CA2456885C (en) Multipurpose rotary cutting tool having interchangeable heads
CN102550528A (zh) 电动拔草机
WO2013089451A1 (ko)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JP2010057436A (ja) 草抜き器具
KR20120008998A (ko) 제초기
CN202396150U (zh) 电动拔草机
KR102330530B1 (ko) 잡초제거 괭이
US20060059882A1 (en) Rake-Hoe TM
KR20190091934A (ko) 예초기 부착형 제초기
CN104472038B (zh) 除草器
WO2020027541A1 (ko) 식물 제초 장치
US20090283281A1 (en) Multipurpose gardening and weeding tool that enables the user to easily and effectively remove dandelions and other unwanted weeds in and around yards, around shrubbery, and in and around vegetable and flower gardens
CN209949796U (zh) 一种便携式园林绿化种植、除草器具
US20170042079A1 (en) Multi-function modular soil cavity creator tool
US20030159841A1 (en) Weed extraction home gardening tool
US20170295712A1 (en) Hand-held weed extractor and cultivator
JPH0650403U (ja) 動力式雑草抜取機
KR200408890Y1 (ko) 농업용 비닐 천공기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US7083001B1 (en) Multipurpose, hand held, weed extracting, garden tool
CN219644503U (zh) 一种多用途园林除草装置
KR20100054059A (ko) 예초기용 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