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184A -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 Google Patents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184A
KR20200015184A KR1020180090663A KR20180090663A KR20200015184A KR 20200015184 A KR20200015184 A KR 20200015184A KR 1020180090663 A KR1020180090663 A KR 1020180090663A KR 20180090663 A KR20180090663 A KR 20180090663A KR 20200015184 A KR20200015184 A KR 20200015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oss
composition
shampoo
hai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053B1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기 filed Critical 이원기
Priority to KR102018009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0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 비듬 및/또는 가려움 개선성분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 및 손상 모발 케어성분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이 각각 별도의 용기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점도는 각각 1,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상기 키트를 사용하기 위한 탈모방지용 듀얼샴푸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Dual Shampoo Compositon kit and Dual Shampoo Container to Prevent Hair Loss}
본 발명은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 비듬 및 가려움 개선성분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 및 손상 모발 케어성분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이 각각 별도의 용기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용기에 관한 것이다.
탈모란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두피의 굵고 검은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가리킨다. 평균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5~7만 개의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하루에 약 50~70개의 머리카락이 빠진다. 하지만 자고 일어났을 때나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머리카락의 개수가 100개가 넘어간다면 탈모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탈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성 안드로겐성 탈모의 원인은 안드로겐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여성형 탈모의 일부에서 남성형 탈모와 같은 경로로 탈모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그 양상에는 조금 차이가 있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 면역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휴지기 탈모증은 내분비 질환, 영양 결핍, 약물 사용, 출산, 발열, 수술 등의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후에 일시적으로 발생한다.
남성형 탈모인 유전성 안드로겐성 탈모는 대머리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20 ~ 30대부터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며 진행된다. 이마와 머리카락의 경계선이 조금씩 뒤로 밀리면서 양측 측두부로 M자 모양으로 이마가 넓어지며, 정수리 부위에도 서서히 탈모가 진행된다. 여성형 탈모는 남성형 탈모와 비교했을 때 이마 위의 모발선이 머리숱이 전체적으로 적어진다. 원형 탈모증은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탈모반이주로 머리에 발생하며 드물게 수염이나 눈썹속눈썹에도 생길 수 있으며, 증상 부위가 확대되면서 큰 탈모반이 형성되기도 한다. 휴지기 탈모증은 원인 자극이 발생한 이후 개월 후부터 탈모가 시작되어 전체적으로 머리숱이 감소한다 원인이 제거되면 수개월에 걸쳐 휴지기 모발이 정상적으로 회복되며 모발 탈락이 감소한다.
최근 탈모환자들이 늘어나면서 탈모에 좋은 샴푸 외에도 탈모 클리닉이나 머리숱이 많아지는 방법과 탈모에 좋은 음식 등 수많은 탈모관리 및 예방 방법들이 관심을 끌 있다. 특히 남성, 여성탈모로 가장 흔한 정수리탈모와 원형탈모, M자 탈모 외에도 대머리 등 각종 탈모증상과 비듬, 각질, 두피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지루성 두피염과 같은 문제성 두피 질환을 앓는 사람이 증가하는 가운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탈모방지법이나 두피관리법을 한 가지 이상은 실천해봤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중에서도 특히 많은 이들이 가장 쉽게 실천하는 방법은 탈모샴푸나 두피샴푸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평상시에 꾸준히 탈모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탈모치료나 모발이식이나 주기적인 센터 관리에 비해 비교적 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에 발맞춰 탈모시장은 급격히 성장했고 최근에는 천연탈모샴푸 등 천연추출물을 다량 함유한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최근미세먼지와 황사, 꽃가루 등으로 알러지성 비염, 피부병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문제는두피도 피부에 속하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관리가 소홀하다는 것이다.
두피는 모발의 근간이 되는 뿌리, 즉 모근을 품고 있는 중요한 부위 중 하나다.
탈모방지를 위하 한방추출물을 이용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8585호(2012.4.24. 공개)에는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탈모를 방지하고 두피를 보호함과 동시에 두피의 혈액순환을 자극하여 발모를 촉진시키며 항균 및 항산화효과까지 제공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7974호(2014.10.8.공개)에는 모근강화에 효과적인 두발화장품 조성물로서 홍삼, 상백피, 고삼 및 세신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의 트러블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로 인해 모근을 강화해 모발을 건강하게 하여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687749호(2016.12.19.자 공고)에는 세정성분 및 정발성분을 포함하여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풍부한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형 샴푸를 제공하면서 탈모방지 및 손상모발 개선을 위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탈모방지용 샴푸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및 코카아이드디이에이와 같은 화학 계면활성제, 피부알러지나 부작용 가능성이 있는 코카이도프로필베타인, 수분증발과 피부건조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계면활성제인 소듐폴리나프탈렌설포네이트 및 모발 및 피부건조증일 일으킬 수 있는 트리에탄올아민, 실리콘 계열 성분인 디메치콘은 피부 표미에 남아 자극을 줄 가능성이 있는 성분이며, PEG-45M와 같은 PEG계열은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있고, 자주 사용되는 방부제성분인 페녹시에탄올을 피부자극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 적색소, 청색소 및 황색소와 같은 다양한 화학색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샴푸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탈모방지, 비듬 및 가려움 개선, 및 모발 손상 케어를 모두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샴푸를 제공하는 것은 용이하제 않다. 이는 함유된 다양한 화학성분들의 친수성 및 소수성 정도가 다르고, 각 성분들 간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기능이 분리된 샴푸를 사용하는 것은 번거로운 면이 있어,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모든 기능은 동시에 만족시키는 기능의 샴푸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샴푸를 포함한 미용 관련 사업을 다년간 수행해왔다. 특히 두족류의 먹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를 등록받고 사업화에 성공하였다.(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4891호, 2008년.6.3. 공고) 이를 바탕으로 위와 같은 샴푸의 다양한 기능성을 모두 충족하면서 발휘하면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종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모 방지용 혼합물, 비듬 및 가려움 개선성분, 및 손상 모발 케어성분이 혼합에 의해 침전을 일으켜 각각의 기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이 충분히 효과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 손상 모발 케어성분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 및 비듬 및/또는 가려움 개선성분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이 각각 별도의 용기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점도는 각각 1,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L-멘톨, 살리실산, 덱스판테놀,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산아미드, 피리티온아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제1조성물 100 g 중 L-멘톨 0.3 g, 살리실산 0.25 g, 및/또는 덱스판테놀 0.27 g을 포함하고,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제2조성물 100g 중 비오틴 0.06g, 덱스판테놀 0.50g, 니코틴산아미드 0.30g, 및/또는 피리티온아연 2.10 g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의 용매는 엘라스틴이 용해된 실크수이며,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의 용매는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듬 및 가려움 개선성분은 흑마늘박 발효(여과)물일 수 있다.
상기 손상모발케어 성분은 두족류 먹물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의 제1조성물은 아미노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필름형성제, pH 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착향제, 및/또는 손상모발케어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조성물은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보습제, pH 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착향제 및/또는 두피케어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듀얼샴푸 용기는 각각의 샴푸조성물이 담겨있는 제1용기 및 제2용기; 상기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샴푸배출구; 상기 샴푸배출구 각각에 결합된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의 상부가 상호 연결되어 한번 누름에 따라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동시에 작동되는 듀얼피스톤 작동캡; 상기 제1용기 내에 배치된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 비듬 및/또는 가려움 개선성분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상기 제2용기 내에 배치된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 및 손상모발케어성분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점도는 1,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는 탈모 방지용 혼합물, 비듬 및 가려움 개선성분, 및 손상 모발 케어성분이 잘 분산된 조성물을 선택하여 탈모 방지 이외에도 비듬 및 가려움 개선성분, 및 손상 모발 케어성분이 잘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으며, 장기간 효과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도1은 용액 100 g 중 L-멘톨 0.3 g, 살리실산 0.25 g, 덱스판테놀 0.2 g을 함유한 탈모 방지용 샴푸(판테놀타입)와 비오틴0.06 중량%,덱스판테놀0.50 중량%,니코틴산아미드0.30 중량%,피리티온아연액2.10 중량%을 함유한 탈모 방지용 샴푸(징크타입)의 사진이다.
도2는 판테놀타입 샴푸와 징크타입 샴푸 혼합액의 침전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도3은 탈모방지용 듀얼샴푸용기에 관한 일례를 보여준다.
이하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기재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유추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아래의 실시예 1 및 2 는 외부 임상연구기관에 의뢰하여 얻은 자료이다.
[실시예 1]
용액 100 g 중 L-멘톨 0.3 g, 살리실산 0.25 g, 덱스판테놀 0.2 g을 함유한 탈모 방지제품의 탈모증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을 시행하였다. 평균연령 41.2세인 25명의 시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무작위로 선발하여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으며, 대조군은 상기 성분의 포함이 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동일한 탈모방지제품을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한 뒤 치료 시작 전과 제품 사용 후 8주, 16주, 24주째에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하였다.
(1) 모발밀도
시험군에서는 최초 측정시 평균 75.3개/cm2이었고, 도포 후 8주째 80.1개/cm2, 16주째 85.0개/cm2, 24주째 89.4개/cm2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모발의 평균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주째는 최초 측정 시와 비교하여 유미한 차이를 보였고, 16주째의 모발의 평균밀도는 8주째 및 최초 측정시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24주째의 모발의 평균밀도 또한 16주째, 8주째 및 최초 측정시와 비교하여 각각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에서는 최초 측정시 평균 66.2개/cm2이었고, 사용 후 8주째 67.0개/cm2, 사용 후16주째 68.8개/cm2, 사용 후 24주째 70.8개/cm2로 통계학적 분석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 라 점차적으로 모발의 평균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후 8주째는 최초 측정시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6주째의 모발의 평균밀도는 사용 후 8주째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최초 측정시와 비교하였을 경우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4 주째의 모발의 평균밀도 또한 사용 후 16주째, 8주째와 비교하여 각각 유의하게 증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최초 측정시와 비교하였을 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최초 측정시 및 사용 후 8주, 16주, 24주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평균모발 밀도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시험기간 전체에 걸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A군과 B군의 모발밀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Greenhouse-Geisser,p<0.01). [표1]은 두피모발 분석 장비를 이용한 모발 밀도 측정결과(95% 신뢰구간)를 보여준다.
Figure pat00001
(2) 모발굵기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최초 측정시 및 사용 후 8주, 16주, 24주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평균모발 굵기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시험기간 전체에 걸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A군과 B군의 모발굵기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Greenhouse-Geisser, p<0.01)[표2]. [표2]는 두피모발 분석 장비를 이용한 모발 굵기 측정결과(95% 신뢰구간)를 보여준다.
Figure pat00002
(3) 안전성 평가 결과
사용 후 24주 후까지 추적관찰이 진행되었으며 그동안 탈모 방지 제품으로 인한 이상 반응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임상결과에서 남성형 및 여성형 탈모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최신 영상학적 기법과 객관적이고 검증된 임상연구 방법을 통하여 L-멘톨, 살리실산 및 덱스판테놀을 포함한 도포제로 치료 받는 환자군인 시험군(A군)과 L-멘톨, 살리실산 및 덱스판테놀이 포함되지 않은 도포제로 치료한 환자군인 대조군(B군) 간의 탈모증의 개선 효과에 대하여 24주간의 시험기간을 통해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시험종료일까지 시험자와 피험자 모두 A 및 B로 표기된 시료의 내용물을 봉안 제거 이전까지 알 수 없도록 하였다. 평가는 Folliscope 2.5 영상 획득, 디지털 임상 사진, 피험자 주관평가 등을 통해 실시하였다.
Folliscope을 통한 검사 결과, 모발 밀도는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모발 밀도의 증가량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모발의 굵기 또한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모발 굵기의 증가량 또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실시예 2]
비오틴0.06 중량%,덱스판테놀0.50 중량%,니코틴산아미드0.30 중량%,피리티온아연액2.10 중량%의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제품(A제품): 헤르겐액(비오틴0.06%, 덱스판테놀0.50%, 니코틴산아미드0.30%, 피리티온아연액2.10%)을 포함한 샴푸이며, 대조제품(B제품): 유효성분을 제외한 샴푸이다.
본 시험에서는 연구자에 의해 탈모증으로 진단 받은 만 18~54세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탈모증상에 대한 시험제품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시험을 종료한 시험대상자 51명(중도탈락자: 5명 제외)은 남성8명, 여성43명으로, 평균연령은 만 46.314세였다. 선정된 시험대상자들은 특별한 피부 증상은 없었으며,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 및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
(1) 모발 밀도
Figure pat00003
[표3]은 두피모발 분석 장비를 이용한 모발 밀도 측정결과 (95% 신뢰구간)를 보여준다. 시험제품 사용군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8주 후, 사용 16주 후, 사용 24주 후 모두 유의하게(p<0.017) 증가하였다.
대조제품 사용군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시험제품과 대조제품의 군간 비교 결과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
(2) 연구자 육안평가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군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16주 후, 사용 24주 후 유의하게(p<0.017) 증가하였다. 대조제품 사용군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시험제품과 대조제품의 군간 비교 결과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 시험제품 사용 후 유효성 평가 결과, 사용 8주 후, 모발 빠짐 개선, 모발 두께 개선에 대하여 각각 88%, 100%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고, 나머지 항목인 탈모 증상 개선, 정수리 부위 모발 풍성함, 이마 라인 모발풍성함, 모발 성장속도 개선에 대하여는 96%의 시험대상자가 보통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사용 16주 후, 모발 빠짐 개선에 대하여 96%의 시험대상자가 보통이상으로 평가하였고, 나머지 항목인 탈모 증상 개선, 정수리 부위모발 풍성함, 이마 라인 모발 풍성함, 모발 성장속도 개선, 모발 두께 개선에 대하여는 100%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사용 24주 후, 정수리 부위 모발 풍성함 항목에 대하여 96%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고, 나머지 항목인 탈모 증상 개선, 이마 라인 모발 풍성함, 모발 빠짐 개선, 모발 성장속도 개선, 모발두께 개선에 대하여는 100%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후 유효성 평가 설문조사 결과, 사용 8주 후, 모발 빠짐 개선, 모발 두께 개선에 대하여 88.462%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고, 나머지 항목인 탈모 증상 개선, 정수리 부위 모발 풍성함, 이마 라인 모발 풍성함, 모발 성장속도 개선에 대하여는 92%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사용 16주 후, 모발 빠짐 개선과 모발 두께 개선에 대하여 각각 85%, 92%의 시험대상자가 보통이상으로 평가하였고, 탈모 증상 개선, 모발 성장속도 개선에 대하여는 96%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으며, 정수리 부위 모발 풍성함, 이마라인 모발 풍성함에 대하여 100%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사용 24주 후, 정수리 부위 모발 풍성함 개선 항목에 대하여 92%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고, 나머지 항목인 탈모 증상 개선, 이마 라인 모발 풍성함, 모발 빠짐 개선, 모발 성장속도개선, 모발 두께 개선에 대하여는 96%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3) 피부이상반응
시험대상자가 시험제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에도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제품인 비오틴0.06%,덱스판테놀0.50%,니코틴산아미드0.30%, 피리티온아연액2.10%은 24주 사용으로 탈모 방지 효과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판테놀타입과 징크타입 및 이들의 혼합물 형태의 샴푸에 대한 침전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1의 탈모증상완화성분 및 손상모발케어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실크샴푸([표4] 제1조성물을 포함하는 판테놀타입 샴푸의 조성)와 실시예2의 탈모증상완화 및 비듬과 가려움 개선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녹차샴푸([표5]제2조성물을 포함하는 징크타입 샴푸의 조성)를 제조하고, 이들 샴푸와 이들의 혼합물 형태의 샴푸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표6]각 성분별 침전도)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각각의 샴푸는 52주(1년)간 별다른 침전물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실시예1과 2의 혼합물 형태의 샴푸 조성물은 1일이 경과한 후, 유백색 성분의 침전 현상이 발생하였다. 유백색 성분은 피리치온징크에 의해 나타나는 색이다.
따라서 이러한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조성물을 별개의 키트로 구성하여, 듀얼 샴푸로 이용한 결과, 별도의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샴푸와 혼합물 형태의 샴푸를 시험 대상자들에게 사용하도록 한 결과, 판테놀타입은 거품력이 낮은 단점을 제시하였고, 유백색의 징크 타입을 사용한 경우에는 모발이 뻣뻣해지는 단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판테놀타입인 제1조성물의 경우에는 아미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어, 거품력이 약한 단점이 있으며, 징크타입인 제2조성물은 아연에 의해 비듬을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모발을 뻣뻣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들 두 조성물이 각각의 용기에서 분출된 상태의 샴푸를 사용한 결과, 사용자들은 샴푸 시 풍부한 거품력과, 샴푸 후 모발이 부드러운 효과를 동시에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샴푸가 일정 수치범위 이상의 점도를 유지하고 있어, 쉽게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침전의 발생에 의한 저해는 일으키지 않는 반면, 사용자는 샴푸를 하는 동안 각각이 성분의 긍정적인 효과를 느끼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샴푸의 점도는 1,000 내지 2,000cP의 점도를 보였다. 그러나, 두 성분이 별도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1,000 이상의 점도를 갖는 샴푸 조성물이면 충분하다. 대체로 점도 100 내지 10,000cP의 점도를 사용하는 것이면 충분하나, 샴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점도의 상한은 제한이 없다.
[실시예 4]
듀얼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를 제조하였다.
듀얼 샴푸는 피스톤에 의해 내용물이 분출되는 동일한 크기의 각각 제1 용기 및 제2 용기를 나란히 배치하고, 각각 제1 및 제2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 샴푸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사용자가 1회 누름에 따라 두 개의 피스톤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듀얼피스톤 작동캡부가 각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용기의 하부에는 두 개의 용기가 고정되도록 별도의 두얼샴푸용기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도3)
상부의 캡을 누르면 각각의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동시에 분출되나, 각각의 쉽게 섞이지 않도록 충분한 점도를 띄고 있어, 머리를 감는 동안 각각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1-1, 1-2: 제1, 제2 용기
2-1, 2-2: 제1, 제2 샴푸배출구
3-1, 3-2: 제1, 제2 피스톤
4: 듀얼샴푸용기 결합부
5: 듀얼피스톤 작동캡부

Claims (8)

  1.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 손상모발케어성분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 및 비듬 및/또는 가려움 개선성분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이 각각 별도의 용기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점도는 각각 1,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L-멘톨, 살리실산, 덱스판테놀,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산아미드, 피리티온아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제1조성물 100 g 중 L-멘톨 0.3 g, 살리실산 0.25 g, 및/또는 덱스판테놀 0.27 g을 포함하고,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은 제2조성물 100g 중 비오틴 0.06g, 덱스판테놀 0.50g, 니코틴산아미드 0.30g, 및/또는 피리티온아연 2.10 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의 용매는 엘라스틴이 용해된 실크수이며,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의 용매는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듬 및/또는 가려움 개선성분은 흑마늘박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상모발케어 성분은 두족류 먹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조성물은 아미노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필름형성제, pH 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착향제, 및/또는 손상모발케어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조성물은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보습제, pH 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착향제 및/또는 두피케어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8. 각각의 샴푸조성물이 담겨있는 제1용기 및 제2용기;
    상기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샴푸배출구;
    상기 샴푸배출구 각각에 결합된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의 상부가 상호 연결되어 한번 누름에 따라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동시에 작동되는 듀얼피스톤 작동캡;
    상기 제1용기 내에 배치된 제1탈모 방지용 혼합물, 비듬 및/또는 가려움 개선성분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상기 제2용기 내에 배치된 제2탈모 방지용 혼합물 및 손상모발케어성분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점도는 1,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듀얼샴푸용기
KR1020180090663A 2018-08-03 2018-08-03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KR10208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663A KR102082053B1 (ko) 2018-08-03 2018-08-03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663A KR102082053B1 (ko) 2018-08-03 2018-08-03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84A true KR20200015184A (ko) 2020-02-12
KR102082053B1 KR102082053B1 (ko) 2020-02-26

Family

ID=6956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663A KR102082053B1 (ko) 2018-08-03 2018-08-03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574B1 (ko) * 2020-03-20 2020-08-05 주식회사 세리화장품 두피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38B1 (ko) 2021-07-16 2021-10-20 주식회사 코스니즈 항노화 식물유래줄기세포 캘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041A (ko) * 2009-01-15 2010-07-23 이원기 두피재생촉진 모발처리제 조성물
KR20110001698U (ko) * 2009-08-12 2011-02-18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20150013994A (ko) * 2013-07-25 2015-02-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437B1 (ko) * 2015-08-19 2016-04-04 주식회사 성보네츄럴시스템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닉, 샴푸 및 트리트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041A (ko) * 2009-01-15 2010-07-23 이원기 두피재생촉진 모발처리제 조성물
KR20110001698U (ko) * 2009-08-12 2011-02-18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20150013994A (ko) * 2013-07-25 2015-02-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437B1 (ko) * 2015-08-19 2016-04-04 주식회사 성보네츄럴시스템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닉, 샴푸 및 트리트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574B1 (ko) * 2020-03-20 2020-08-05 주식회사 세리화장품 두피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053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0210C (en) Hair growth compositions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nd green coffee extracts
US20220117880A1 (en) Use Of A Composition For The Pigmentation Of Hair And Hairs
KR20190094913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두피 강화용 조성물
KR102082053B1 (ko) 탈모방지용 듀얼샴푸 조성물 키트 및 듀얼 샴푸 용기
CN111012693B (zh) 一种多效头皮护理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50025121A (ko) 한방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2040490B1 (ko)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1199A (ko) 탈모방지 및 양모를 위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EP3801778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bixa orellana
JPH0853327A (ja) アラントインまたはその誘導体による養毛・育毛剤
Rieger Cosmetics
JP4469617B2 (ja) 育毛料
CN112656747A (zh) 一种防脱发洗剂及其制备方法
JP6782085B2 (ja) 白毛化抑制剤、細胞死抑制剤、活性酸素発生抑制剤、dna損傷抑制剤、ミトコンドリア損傷抑制剤
JPH08157337A (ja) 頭髪化粧料
US20040037900A1 (en) Shaving gel formulation and methods of use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JPH07206662A (ja) 化粧料
JPH0826947A (ja) 頭部用組成物
Mokle et al. HERBAL ANTI-DANDRUFF SHAMPOO
JP2023092422A (ja) 毛髪ケア組成物
JPH08188517A (ja) 皮脂分泌抑制剤
KR20110124439A (ko) 혈압상승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세정 조성물
KR20170136925A (ko) 달맞이꽃을 이용한 샴푸 및 그 제조방법
JPH09227342A (ja) 養毛・育毛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