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137A - 프레임 절곡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 절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137A
KR20200015137A KR1020180090535A KR20180090535A KR20200015137A KR 20200015137 A KR20200015137 A KR 20200015137A KR 1020180090535 A KR1020180090535 A KR 1020180090535A KR 20180090535 A KR20180090535 A KR 20180090535A KR 20200015137 A KR20200015137 A KR 2020001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groove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319B1 (ko
Inventor
이기형
Original Assignee
킨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킨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킨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절곡방법은 프레임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을 형성하고 여유홈 가장자리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하여서 절곡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하며, 용접없이도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절곡방법{A frame structure and method for bending a frame}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절곡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프레임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V"형상의 여유홈을 형성하고 여유홈 가장자리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하여서 절곡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하며, 용접없이도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절곡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LCD 모니터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전기신호가 각 영상을 구현하도록 회로를 갖는 PCB어셈블리와, 상기 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형성하는 전/후면 케비넷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각형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은 사각틀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11)의 제작은 통상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원판(10)에 절곡전의 프레임(11)형상으로 펀칭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절곡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원판(10)으로부터 프레임(11)을 일체형으로 하여 펀칭제작하는 경우에는 펀칭된 프레임(11) 외측 및 내측의 금속원판(10)들이 쓸모없이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형태로 절단한 프레임(20)의 수평면(21a)(22a)에 "V"형 여유홈(24)을 형성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21a)(22a)과 수직면(21b)(22b)이 직각이 되도록 절곡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형 여유홈(24)을 중심으로 프레임(20)을 직각으로 절곡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직각이 되도록 절곡한 프레임(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가 맞닿은 여유홈(24) 부분을 용접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한 직각으로 절곡된 2개의 프레임(20)을 도 6에서와 같이 배치하고, 용접하여 사각틀 프레임을 제작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프레임 절곡방법은 도 5에서와 같이, 직각이 되도록 절곡한 프레임(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가 맞닿은 여유홈(24) 부분을 용접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각틀 프레임의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V"형 여유홈(24)은 "V"형 그라인더로(30)로 연마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프레임(20)을 직각으로 절곡할때 절곡부분의 변형(우글쭈글해지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여유홈(24)의 첨예부분은 프레임(20)의 수직면(21b)과의 경계부분에 접하도록 연마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실제 용접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접을 위하여 여유홈(24)이 형성된 2mm 정도 두께의 프레임(20)을 절곡할때, 수직면(21b)(22b)의 외측이 팽창되면서 절곡부분(A)이 절단되는 제작불량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는, 용접작업을 위하여는 작업자가 프레임(20)의 절곡상태를 유지시키면서 파지하여야 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프레임(20)을 잘못 파지하는 등으로 절곡부의 유동이 발생되어 피로 파손되는 것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08755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V"형 여유홈을 형성한 프레임을 절곡한 후 절곡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거나 별도의 지그를 이용함이 없이도 절곡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프레임 구조체 및 프레임 절곡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절곡부를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단면형상이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면에 제1경사변과 제2경사변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변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편이 형성되어서,
상기 여유홈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이 직각으로 절곡될때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경사변으로부터 상기 수평면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며, 상기 결합편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프레임을 절곡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절곡방법에 있어서,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꺽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면에 제1결합홈이 형성된 제1경사변과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이 돌출된 제2경사변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을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결합편을 상기 수평면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벤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여유홈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을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벤딩된 제1결합편을 상기 수평면과 동일 평면상으로 다시 벤딩하여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절곡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 수평면에 제2결합홈이 형성된 제3경사변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이 돌출된 제4경사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절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홈은 상기 제1,3경사변으로부터 상기 수평면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편은 상기 제1,2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100)에 "V"형상의 여유홈(115)을 형성하고, 여유홈의 가장자리에 제1결합편(117)과 제1결합홈(116)을 형성하여 절곡시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없이도 절곡상태가 유지된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결합홈(116)은 제1경사변(111a)으로부터 수평면(111)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도록 하고, 제1결합편(117)은 제1결합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서, 상호 이탈이 방지되어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평면(111)(112)에 제1결합홈(116)이 형성된 제1경사변(111a)과 제1결합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117)이 돌출된 제2경사변(112a)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115)을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하고, 프레임(100)의 일측 단부 수평면에는 제2결합홈(118)이 형성된 제3경사변(118a)을 형성하고, 프레임(100)의 타측 단부 수평면에는 제2결합홈(118)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119)이 돌출된 제4경사변(119a)을 형성함으로써, 용접작업 없이도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프레임 절곡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 내지 도 6은 종래 절곡장치로 절곡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LCD,PDP등의 모니터류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V"형 그라인더로 "V"형 여유홈을 연마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종래 프레임 절곡시 문제점을 설명하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절곡방법으로 절곡된 사각틀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구조체 및 절곡방법을 설명하는 사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절곡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는 프레임의 절곡부분에 절곡을 원할히하기 위한 여유홈(예컨대, "V"커팅)이 형성되고, 여유홈 가장자리에 상호 결합되는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하여서 절곡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용접없이도 사각틀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사각틀 프레임은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것으로써,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단면형상이 수평면(111)(112)과 수직면(113)(114)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면(111)(112)에 제1경사변(111a)과 제2경사변(112a)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경사변(111a)에는 제1결합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경사변(112a)에는 상기 제1결합홈(116)에 결합되는 제1결합편(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여유홈(115)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100)이 직각으로 절곡될때 상기 제1결합편(117)이 상기 제1결합홈(116)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 프레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116)은 상기 제1경사변(111a)으로부터 상기 수평면(111)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며, 상기 제1결합편(117)은 상기 제1결합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호 이탈이 방지되어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조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편(117)이 상기 제1결합홈(116)에 결합되어서 절곡상태가 유지되므로,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공정없이도 사각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을 절곡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절곡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상태의 프레임(100)으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111)(112)과 수직면(113)(114)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꺽인 프레임(100)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수평면(111)(112)에 제1결합홈(116)이 형성된 제1경사변(111a)과 상기 제1결합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117)이 돌출된 제2경사변(112a)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115)을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단부 수평면에는 제2결합홈(118)이 형성된 제3경사변(118a)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 단부 수평면에는 상기 제2결합홈(118)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119)이 돌출된 제4경사변(119a)을 형성한다.
상기 제1,2결합홈(116)(118)은 상기 제1,3경사변(111a)(118a)으로부터 상기 수평면(111)(112)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편(117)(119)은 상기 제1,2결합홈(116)(11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2결합홈(116)(118) 및 상기 제1,2결합편(117)(119)은 펀칭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결합편(117)(118)을 상기 수평면(111)(112)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벤딩시키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유홈(115)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100)을 절곡한다.
이어서 상기 벤딩된 제1,2결합편(117)(119)을 상기 수평면(111)(112)과 동일 평면상으로 다시 벤딩하여 상기 제1,2결합홈(116)(118)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절곡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결합편(117)(119)과 상기 제1,2결합홈(116)(118)의 결합으로 용접 작업없이도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100...프레임 111,112..수평면
113,114...수직면 115...여유홈
116,118...제1,2결함홈 117,119...제1,2결합편

Claims (5)

  1.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절곡부를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단면형상이 수평면(111)(112)과 수직면(113)(114)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면(111)(112)에 제1경사변(111a)과 제2경사변(112a)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115)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변(111a)에 결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변(112a)에 상기 결합홈(116)에 결합되는 결합편(117)이 형성되어서,
    상기 여유홈(115)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100)이 직각으로 절곡될때 상기 결합편(117)이 상기 결합홈(116)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6)은 상기 제1경사변(111a)으로부터 상기 수평면(111)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며,
    상기 결합편(117)은 상기 결합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3. 프레임을 절곡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절곡방법에 있어서,
    수평면(111)(112)과 수직면(113)(114)을 갖도록 "ㄱ"자형으로 꺽인 프레임(10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면(111)(112)에 제1결합홈(116)이 형성된 제1경사변(111a)과 상기 제1결합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117)이 돌출된 제2경사변(112a)을 갖는 "V"형상의 여유홈(115)을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결합편(117)을 상기 수평면(111)(112)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벤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여유홈(115)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100)을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벤딩된 제1결합편(117)을 상기 수평면(111)(112)과 동일 평면상으로 다시 벤딩하여 상기 제1결합홈(116)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절곡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단부 수평면에 제2결합홈(118)이 형성된 제3경사변(118a)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 단부 수평면에 상기 제2결합홈(118)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결합편(119)이 돌출된 제4경사변(119a)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절곡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홈(116)(118)은 상기 제1,3경사변(111a)(118a)으로부터 상기 수평면(111)(112) 몸체로 진입할수록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편(117)(119)은 상기 제1,2결합홈(116)(11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절곡방법.
KR1020180090535A 2018-08-02 2018-08-02 프레임 절곡방법 KR10208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35A KR102084319B1 (ko) 2018-08-02 2018-08-02 프레임 절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35A KR102084319B1 (ko) 2018-08-02 2018-08-02 프레임 절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37A true KR20200015137A (ko) 2020-02-12
KR102084319B1 KR102084319B1 (ko) 2020-03-03

Family

ID=6956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535A KR102084319B1 (ko) 2018-08-02 2018-08-02 프레임 절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40B1 (ko) * 2019-05-14 2020-07-01 (주)알루코 노치가 개선된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한 압출 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합금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43B1 (ko) 2007-02-12 2008-12-26 첨단하이테크 주식회사 프레임 절곡장치
KR20130106119A (ko) * 2012-03-19 201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138534A (ko) * 2014-05-29 2015-12-10 희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패널 보호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43B1 (ko) 2007-02-12 2008-12-26 첨단하이테크 주식회사 프레임 절곡장치
KR20130106119A (ko) * 2012-03-19 201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138534A (ko) * 2014-05-29 2015-12-10 희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패널 보호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40B1 (ko) * 2019-05-14 2020-07-01 (주)알루코 노치가 개선된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한 압출 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합금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19B1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848B1 (ko) 표시 패널의 지지 프레임 제조 방법, 표시 패널의 지지프레임, 및 표시 장치
KR10239255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제조 방법
TWI472495B (zh) Breaking device
JP2008116619A (ja) 板金の位置決め構造とそれを用いて形成されてなる画像形成装置
KR102015730B1 (ko) 프레임 펀칭장치
KR102084319B1 (ko) 프레임 절곡방법
US20180006183A1 (en) Division device and division method thereof
JP2014139472A (ja) シール部材、及び、シール部材の製造方法
JP6961070B2 (ja) ディスプレイ溝加工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
CN104193159A (zh) 残材检测及去除装置及其方法
US20220092569A1 (en) Unit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900013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shaped square pipe, device for manufacturing l-shaped square pipe, and l-shaped square pipe
JP2005141170A (ja) 金属製板材の接合方法並びにこの接合方法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のシールド用フレーム並びにこのシールド用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10134793B1 (en) Method of form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chip arrays
JP2020017652A (ja) ワーク接触部テーパー付きワーククランプトレイ
ES2640319T3 (es) Pieza de soldadura, soldadura de virutas, y método para fabricar una soldadura de virutas
JP2014145509A (ja) 段差付き冷間圧延板及び室外機器用前面板とその製造方法
CN208937867U (zh) 带有增大的显示区域的显示小块
US20190178269A1 (en) Jointed metal plat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08939A (ja) 液晶表示装置のケース
JP5003203B2 (ja) フレームの切断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6115562A (ja) 電気コネクタ
CN104953085A (zh) 一种制备锂离子电池极片元件的装置
TWI439333B (zh) 背板結構及其製造方法
KR20140017145A (ko) 사각틀 프레임 및 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