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542A - 기능성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기능성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542A
KR20200013542A KR1020180088864A KR20180088864A KR20200013542A KR 20200013542 A KR20200013542 A KR 20200013542A KR 1020180088864 A KR1020180088864 A KR 1020180088864A KR 20180088864 A KR20180088864 A KR 20180088864A KR 20200013542 A KR20200013542 A KR 2020001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functional
pow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484B1 (ko
Inventor
정재학
Original Assignee
비티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티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비티에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8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4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2081/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일회용 컵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밀폐 가능하도록 연결된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소정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본체부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성 밀폐막;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성 밀폐막은, 인체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식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되,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용 필터;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수용성 물질 코팅층; 및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 또는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의 일면에 건강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건강기능성 물질 코팅층;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분말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 분말 또는 잎 형태의 차 및 커피 분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기능성 일회용 컵{Disposable multipurpose cup}
본 발명은 기능성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말 형태나 우려먹을 수 있는 형태의 차, 커피, 건강기능성 물질 등을 충진하고 수용성 밀폐막을 사용하여 밀폐시켜 보관하며, 음용시에는 물만 부어서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tea) 또는 커피 등과 같은 음료들이 티백(tea bag), 필터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감기약 등도 일회용 포장지에 포장되어 간편하게 소지하고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음료가 티백 등으로 포장된 경우 별도의 컵을 소지하거나 구매하여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판매시에도 컵을 추가로 판매하여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음용시에는 티백의 포장지를 제거한 후 티백을 컵에 넣은 후 물을 부어 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한다.
한편, 최근 다양한 종류의 건강 기능성 물질들을 포함한 건강 기능성 제품들은 그래뉼 타입이나 분말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뉼 타입이나 분말 형태의 건강 기능성 물질들을 포함한 건강 기능성 제품들은 주로 물에 타서 마시거나 분말을 입에 넣은 후 물을 마시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건강 기능성 제품들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건강 기능성 제품들을 별도의 컵에 넣은 후 물을 부어 마셔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소지하더라도 외부에서는 마시기 어려운 실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건강 기능성 물질이나 차, 커피 등의 음료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보관 및 판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시에도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일회용 컵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0949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성의 차, 커피, 건강 기능성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충진시키고 밀폐시키고, 음용시에 편리하게 물만 부어 마실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밀폐 가능하도록 연결된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소정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본체부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성 밀폐막;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성 밀폐막은, 인체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식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되,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용 필터;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수용성 물질 코팅층; 및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 또는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의 일면에 건강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건강기능성 물질 코팅층;을 구비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는 분말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 분말 또는 잎 형태의 차 및 커피 분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밀폐 가능하도록 연결된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소정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본체부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성 밀폐막; 및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수용성 밀폐막의 사이에 위치한 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된 내부 분리막;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성 밀폐막은, 인체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식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되,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용 필터;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수용성 물질 코팅층; 및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 또는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의 일면에 건강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건강기능성 물질 코팅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분리막은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용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제1 및 제2 수용 공간으로 분리한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분리막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건강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 공간 중 하나에 분말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이 충진되거나,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이 충진되거나, 분말 형태 또는 잎 형태의 우려먹는 차 또는 커피 분말이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컵 내부의 밀폐된 수용 공간에 분말 형태나 그래뉼 타입의 수용성 건강 기능성 물질이나 커피, 또는 분말 형태나 잎 형태의 차 등을 충진시키고 밀폐시킴으로써, 보관시에는 수분이나 공기, 외부의 냄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컵 내부에 수용성 밀폐막을 사용하여 수용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음용시에 물만 부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기능성 음료를 만들어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수용 공간에 충진시키는 물질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음료수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즉, 충진 물질이 수용성 감기약인 경우 기능성 일회용 컵은 마시는 감기약이 될 수 있으며, 충진 물질이 건강 기능성 물질인 경우 기능성 일회용 컵은 건강 기능 음료가 될 수 있으며, 충진 물질이 커피인 경우 기능성 일회용 컵은 커피 음료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내부에 수용성 물질로 제작된 필터 형태의 수용성 밀폐막을 부착하여 컵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수용 공간에 차, 건강 기능성 물질, 커피 등을 충진한 것으로서, 음용하고자 할 때 물만 부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10)은 본체부(100), 뚜껑부(110), 수용성 밀폐막(120) 및 내부 분리막(130)을 구비하고, 수용성 밀폐막(120)과 내부 분리막(130)의 사이에 제1 수용 공간('A')이 형성되고,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내부 분리막의 사이에 제2 수용 공간('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 공간들에는 물에 녹는 분말 형태 또는 그래뉼 형태의 건강기능성 물질이나 감기약 물질, 커피 등이 충진되거나 물에 우려먹는 분말 형태나 잎 형태의 차(tea) 등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감기약 물질은 한방 감기약 또는 양방 감기약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능성 일회용 컵에 물을 부어 넣어, 제1 및 제2 수용 공간의 분말 등이 녹거나 우려나오게 됨으로써, 음용할 수 있는 차, 커피 음료 또는 마시는 감기약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종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물질, PP, PE, PET, 알미늄 등의 물질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10)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본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밀폐막(120)은 상기 본체부의 소정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본체부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성 밀폐막은, 식품용 필터(122), 식품용 필터의 제1면에 형성된 수용성 물질 코팅층(124)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에 형성된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126)을 구비한다.
상기 식품용 필터(122)는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례로는 식품용 부직포, PE, PET, PP, 나일론, 세라믹, 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124)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제1면에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수분이나 공기, 냄새 등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로는 전분, 녹말,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물어 부어 넣으면, 상기 수용성 밀폐막의 수용성 물질 코팅층이 녹게 되고 수용 공간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수용 공간의 물질들이 물에 녹아나와 음용가능한 차 음료, 커피 음료 또는 건강기능성 음료가 된다.
상기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126)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제2면에 건강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다. 상기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건강 기능성 물질들이 공기나 수분 등에 닿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기능성 물질로는 홍삼, 가시오가피, 감기약, 당귀 혼합 추출물, 천궁 혼합 추출물 및 백작약 혼합 추출물 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분리막(130)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수용성 밀폐막의 사이에 위치한 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부 분리막(130)은 식품용 필터(132) 및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134)을 구비한다. 상기 식품용 필터(132)는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134)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건강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 공간 중 하나에는 분말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이 충진되거나,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이 충진되거나, 우려먹을 수 있는 분말 형태 또는 잎 형태의 차가 충진되거나, 커피 분말이 충진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20)은 본체부(200), 뚜껑부(210) 및 수용성 밀폐막(220)을 구비하고, 수용성 밀폐막(220)과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의 사이에 수용 공간('A')이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의 상기 본체부(200), 상기 뚜껑부(210) 및 상기 수용성 밀폐막(22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용성 밀폐막(220)은, 식품용 필터(222), 식품용 필터의 제1면에 형성된 수용성 물질 코팅층(224) 및 상기 식품용 필터의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에 형성된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226)을 구비한다. 상기 식품용 필터(222)는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례로는 식품용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224)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제1면에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다. 상기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226)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제2면에 건강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분말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이 충진되거나,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이 충진되거나, 우려먹을 수 있는 분말 형태 또는 잎 형태의 차가 충진되거나, 커피 분말이 충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에 물어 부어 넣으면, 상기 수용성 밀폐막의 수용성 물질 코팅층이 녹게 되고 수용 공간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수용 공간의 물질들이 물에 녹아나와 음용가능한 차 음료, 커피 음료 또는 건강기능성 음료가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일회용 컵은 내부에 수용성 물질로 제작된 필터 형태의 수용성 밀폐막을 부착하여 밀폐된 수용 공간을 컵의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밀폐된 수용 공간에 차, 건강 기능성 물질, 커피 등을 충진시킨 후, 음용하고자 할 때 물만 부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수용 공간에는 컵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질들을 선택하여 충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일회용 컵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 기능성 일회용 컵
100, 200 : 본체부
110, 210 : 뚜껑부
120, 220 : 수용성 밀폐막
130 : 내부 분리막
122, 222 : 식품용 필터
124, 224 : 수용성 물질 코팅층
126, 226 :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

Claims (8)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밀폐 가능하도록 연결된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소정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본체부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성 밀폐막;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성 밀폐막은
    인체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되,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용 필터; 및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식용가능한 수용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수용성 물질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밀폐막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 또는 상기 수용성 물질 코팅층의 일면에 건강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건강기능성 물질 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일회용 컵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수용성 밀폐막의 사이에 위치한 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된 내부 분리막;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 분리막은 인체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되 수분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품용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제1 및 제2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분리막은
    상기 식품용 필터의 일면에 건강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건강 기능성 물질 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는 분말 형태 또는 그래뉼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 분말 또는 잎 형태의 차 및 커피 분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 공간 중 하나에 분말 형태의 수용성 면역기능개선 물질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 공간 중 하나에 분말 형태의 수용성 감기약 물질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 공간 중 하나에 분말 형태 또는 잎 형태의 차 또는 커피 분말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일회용 컵.


KR1020180088864A 2018-07-30 2018-07-30 기능성 일회용 컵 KR10216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64A KR102168484B1 (ko) 2018-07-30 2018-07-30 기능성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64A KR102168484B1 (ko) 2018-07-30 2018-07-30 기능성 일회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42A true KR20200013542A (ko) 2020-02-07
KR102168484B1 KR102168484B1 (ko) 2020-11-19

Family

ID=6956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64A KR102168484B1 (ko) 2018-07-30 2018-07-30 기능성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04B1 (ko)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청하머그리드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리드가공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0368A1 (en) * 2001-09-01 2004-02-05 Cai Edward Z.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coffee & espresso beverages
KR20110034812A (ko) * 2009-09-29 2011-04-06 강병식 충전물을 가지는 수용용기
KR101409497B1 (ko) 2011-06-30 2014-06-25 (주)한선 필터가 부착된 일회용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0368A1 (en) * 2001-09-01 2004-02-05 Cai Edward Z.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coffee & espresso beverages
KR20110034812A (ko) * 2009-09-29 2011-04-06 강병식 충전물을 가지는 수용용기
KR101409497B1 (ko) 2011-06-30 2014-06-25 (주)한선 필터가 부착된 일회용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04B1 (ko)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청하머그리드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리드가공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484B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0159A1 (en) Lid for contai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289378B2 (ja) 混合および分注のための容器システム
JP5739338B2 (ja) 可溶性粉末から暖かい飲料を瞬時に生成する装置
AU2008291981B2 (en) Cup including a compartment in the form of an inverted cup
JP2018515320A (ja) 抽出によって飲料を生産するための製品
KR20200013542A (ko) 기능성 일회용 컵
US10155601B2 (en) Method for forming a tubular container for food products, and resulting tube
JPH0360753B2 (ko)
US20160347538A1 (en) Cup with a cup inset for preparing a liquid in the cup
AU750188B2 (en) Coffee/tea/beverage stick
WO2005037678A1 (en) Container for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US20080003343A1 (en) Dissolving element
GB2582856A (en) Multi-tier cup
JP7126893B2 (ja) キャップ、キャップ付き容器、物質混合方法、及び容器入り飲食品
NL2001898C2 (nl) Bereidingsset voor een koffiedrank met een topping.
RU2318714C1 (ru) Упаковка с веществами для разовой заварки
JP6855959B2 (ja) 飲料抽出用パウチ
RU110719U1 (ru) Упаковка продуктов разовой заварки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чая, кофе, какао или напитков на их основе
JP2575586Y2 (ja) 溶解物を備えた容器
KR20180001679U (ko) 일회용 포션팩
RU2281236C1 (ru) Упаковка с порошкообразным материалом
RU2288154C2 (ru) Упаковка сыпучего вещества
TW201006736A (en) Packing container
GB2293360A (en) Individually-packaged portions of beverage compound
WO2019140485A1 (en) A spout unit for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