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369A - ingot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ingot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369A
KR20200013369A KR1020180088494A KR20180088494A KR20200013369A KR 20200013369 A KR20200013369 A KR 20200013369A KR 1020180088494 A KR1020180088494 A KR 1020180088494A KR 20180088494 A KR20180088494 A KR 20180088494A KR 20200013369 A KR20200013369 A KR 2020001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conveyor
mold
discharge side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5177B1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세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주기업 filed Critical (주)세주기업
Priority to KR1020180088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77B1/en
Publication of KR2020001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got manufactur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molds; a casting conveyor in which the molds are installed; a discharge side conveyor receiving an ingot from the casting conveyor to discharge the ingot; and an auxiliary transfer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ingot of the casting conveyor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Accordingly, noise generated due to impacts during the discharge of the ingot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devic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잉곳 제조장치{ingot manufacturing device}Ingot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잉곳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잉곳의 제조와 포장 배출이 가능하며, 주조몰드로부터 잉곳의 원활한 취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잉곳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package the discharge of the continuous ingot, and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impact during the discharge of the ingot while allowing the smooth intake of the ingot from the casting mo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new form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일반적으로, 잉곳(ingot)은 금속 또는, 합금을 한번에 녹인 다음 주형에 흘러넣어 일정한 형태로 굳힌 제품을 의미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잉곳을 이용하여 압연이나 단조 등의 가공처리를 하거나 혹은, 용해시킨 후 주조 제품을 성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In general, an ingot refers to a product in which a metal or an alloy is melted at a time and then poured into a mold and hardened into a certain shape. The ingot is processed by rolling, forging, or the like by using the ingot thus formed, or after casting. It is used for molding products.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여 다양한 음료나 음식 보관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캔 용기의 제조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여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aluminum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widely used for manufacturing can containers in that it is easy to store various beverages or foods.

이러한 알루미늄의 재사용은 알루미늄 폐자재를 용해로에서 용융시킨 다음 주괴 형태의 알루미늄 잉곳으로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성형된 알루미늄 잉곳으로 다양한 알루미늄 제품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is reuse of aluminum is to melt the aluminum waste material in the melting furnace and then to form ingot-shaped aluminum ingots, and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a variety of aluminum products with the molded aluminum ingots.

한편, 최근에는 상기 알루미늄 잉곳으로의 성형은 컨베이어형 주형을 통해 연속적으로 성형되도록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814786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forming of the aluminum ingot is made to be continuously formed through a conveyor-type mold, in this regard, as shown in Patent No. 10-1814786.

즉, 주물용컨베이어의 동작에 의해 일정 위치를 순환하는 다수의 주형에 순차적으로 용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용탕이 배출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주괴형의 잉곳으로 성형되도록 한 후 별도로 제공되는 배출측컨베이어를 통해 순차 적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That is, by sequentially providing the molten metal to a plurality of molds circula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casting conveyor to the molten metal is cool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discharge position to be formed into an ingot of the ingot-type discharge side provided separately Laminated by a conveyor to be sequentially discharged.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간의 교차 부위가 상하로 배치되면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주괴형 잉곳이 낙하하면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에 얹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주괴형 잉곳의 낙하에 따른 충격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청각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손상 발생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ingot-type ingot falls from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located on the upper side while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casting conveyor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is disposed up and down so as to be placed on the discharge side conveyor. As a structure, as well as the impact noise caused by the drop of the ingot-type ingot not only has a very bad effect on the operator's hearing, but also has a problem that caused the damag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은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에 냉각 고화된 잉곳이 배출측컨베이어로 배출될 때 상기 주형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써 주형에 용탕을 제공하기 전에 상기 주형으로부터 잉곳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할 뿐 아니라 이렇게 분리 배출되는 잉곳을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물이 필요시되었던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d a problem that the cooling solidified ingot in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could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ld w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thereby removing the ingot from the mold before providing the molten metal to the mold. In addition to the need for a separate structure for separate discharg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new structure for storing the separated ingot separately is needed.

즉, 전술된 종래 기술은 주물용컨베이어에 의한 냉각 고화된 잉곳의 이송 도중 타격을 제공하여 일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격기가 제공되고는 있지만 해당 작업시 잉곳이 주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다면 사실상 배출컨베이어로 낙하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주형에 고착된 상태로 배출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blower which provides a blow during the transfer of the cooling solidified ingot by the casting conveyor so that the primary separation is made, but in fact, if the ingot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old during the operation, the discharge conveyor is virtually discharged. It could not be dropped, but was forced to be discharged while being stuck to the mold.

특히,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술된 종래 기술에서는 주형을 분할 형성함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주형의 분할 구조는 서로의 형합을 위한 또 다른 구조가 있어야 될 뿐 아니라 해당 주형의 분할과 형합이 정확한 시점에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uggests that the molds are divided and formed. However,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molds has to have another structure for forming each o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tructure must be complicated by being made exactly to.

등록특허 제10-1814786호Patent Registration No. 10-1814786 등록특허 제10-0619133호Patent Registration No. 10-0619133 등록특허 제10-1564661호Patent Registration No. 10-1564661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인 잉곳의 제조와 포장 배출이 가능하며, 주조몰드로부터 잉곳의 원활한 취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잉곳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ingots and packaging discharge, while allowing the smooth intake of the ingot from the casting mold can be made To provide a new type of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impact during the discharge of the product and to prevent equipment dam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에 따르면 용탕을 공급받아 특정 형상의 잉곳을 주조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주형; 상기 각 주형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잉곳 배출측 부위는 점차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주물용컨베이어; 끝단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 직하방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적재위치로 이송하는 배출측컨베이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되는 잉곳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molds are provided to receive a molten metal and to cast an ingot of a specific shape; A casting conveyor configured to be continuous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both ends of each mol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got discharge side portion is gradually inclined upwardly; A discharge side conveyor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directly below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and being separated from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and falling to the loading position; And an auxiliary transfer conveyor positioned between the casting conveyor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to transfer the ingot separated from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여기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됨과 더불어 일부가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을 지나는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체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is located between the casting conveyor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and part of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is provided with an ingot separated from the mold while contacting the mold passing through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hain for conveying.

또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의 각 부위 중 주물용컨베이어의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를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잉곳을 받아 배출측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경사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 which receives the ingot separated from the mol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among the parts of the subsidiary conveying conveyor is guided to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toward the end. It is installed, the end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guide is inclined or rounded so as to sli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receives the ingot falling from the secondary conveying conveyor.

또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에는 상기 각 잉곳이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복수의 위치제한돌기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limiting projections to limit the ingo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 중 경사지게 설치된 부위의 양측에는 각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양측을 서로 시간차이를 가지면서 타격하는 제1타격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에는 주형이 뒤집히기 직전에 상기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어느 한 측을 재차적으로 타격하는 제2타격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asting conveyor is provided with a first striker to strike both sides of the solidified ingot in each mold with a time difference from each other,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for the mold is turned o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riker for hitting any side of the solidified ingot immediately before the mold is further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낙하하여 배출측컨베이어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mpact generated in the process provided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by falling from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by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특히,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잉곳 공급측에는 경사가이드가 더 구비됨으로 인해 잉곳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충격 소음에 의한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충격 하중에 의한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ingot supply sid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clined guide can further reduce the impact due to the fall of the ingot, thereby reducing the work efficiency caused by the impact noise and damage to the device due to the impact load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이루는 안내체인에 복수의 위치제한돌기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각 잉곳의 공급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upply of each ingot can be made sequentially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s a plurality of position limiting projections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guide chain forming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주물용컨베이어의 경사 부위에 제1타격기를 설치하여 해당 부위를 지나는 잉곳의 양측을 시간 차이를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주형이 뒤집히기 직전에 잉곳의 어느 한 측편을 타격하는 제2타격기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잉곳이 주형으로부터 더욱 원활히 분리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it the both sides of the ingot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part by sequentially installing the first striker 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asting conveyor with the ingot immediately before the mold is turned over.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econd striker striking any one side of the ingot has an effect that can be separated more smoothly from the mol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주물용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의 각 컨베이어 간의 연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배출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보조이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제2타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제2타격기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주물용컨베이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적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적재장치의 정역 회전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o explai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asting conveyor i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n to explain the interlocking structure between each conveyor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n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side conveyor i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n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n to explain a second striker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tate diagram show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striker i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shown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sting conveyor i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tate diagram shown for explaining the loading device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loading apparatus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크게 복수의 주형(100) 및 이 주형(100)들이 설치되는 주물용컨베이어(200)와, 주물용컨베이어(200)로부터 잉곳(10)을 제공받아 배출하는 배출측컨베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10)을 배출측컨베이어(300)에 전달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400)를 더 제공함으로써 잉곳(10)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is largely a plurality of molds 100 and the casting conveyor 200 is installed, the mold 100 and the ingot from the casting conveyor 200 It comprises a discharge side conveyor 300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10), in particular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400 for transferring the ingot 10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By providing mor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impact during the discharge of the ingot 10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상기 복수의 주형(100)은 용해로(500)에서 생성된 용탕을 공급받아 특정 형상의 잉곳(10)을 주조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First, the plurality of molds 100 are configured to receive the molten metal generated in the melting furnace 500 and to cast the ingot 10 having a specific shape.

이러한 주형(100)은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이 주형(100)이 상하가 뒤집힌 상태를 이룰 경우 그 내부에 고화된 잉곳(10)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잉곳이 성형되는 공간)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조(주형이 뒤집힌 상태의 경우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mold 100 is formed in a box-shaped structure that is open to the upper side, and when the mold 100 is in an upside down state, the internal space (ingot is ingot) so that the solidified ingot 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erein. The space to be molded) is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top (the structure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bottom when the mold is inverted).

다음으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는 상기 각 주형(100)을 이송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casting conveyor 200 is configured to transfer each of the molds (100).

이와 같은 주물용컨베이어(200)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 공급측에 위치되는 두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 및 잉곳 배출측에 위치되는 두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과, 두 제1체인(230) 및 제1구동모터(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uch a casting conveyor 200 has two front first sprockets 210 positioned at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and two rear first sprockets 220 positioned at the ingot discharge side as shown in FIGS. 4 and 5. ), And two first chain 230 and the first driving motor 240.

여기서, 상기 두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은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단일 구동축(211)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용탕 공급측(첨부된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도면상 오른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두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은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단일 구동축(221)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잉곳 배출측(첨부된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도면상 왼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Here, the two front side first sprockets 21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by a single drive shaft 211 to be rotated on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right side of the drawing when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1). Possible to be installed, the two rear side first sprockets 22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by a single drive shaft 221, as shown in FIG.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eft side.

또한, 상기 제1체인(230)은 상기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 및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chain 23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front side first sprocket 210 and the rear side first sprocket 220.

이때, 주형(100)의 양단은 상기 두 제1체인(230)에 각각 고정되며, 각 주형(100) 간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mold 100 are fixed to the two first chains 230, respectively, and the molds 10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제1구동모터(240)는 상기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에 동력전달용체인(또는, 벨트)(241)으로써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otor 240 is connected to the rear first sprocket 220 so as to transmit power to each other by a power transmission chain (or belt) 241.

즉, 상기 제1구동모터(240)의 구동에 의한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의 회전에 의해 두 제1체인(230)이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 및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을 반복적으로 경유하도록 회전되면서 각 주형(100)들을 각각 연속적이면서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the rotation of the rear first sprocket 220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240, the two first chains 230 are front first sprockets 210 and rear first sprockets 220. By rotating repeatedly through) will be to move each mold 100 in succession and sequentially.

이때, 상기 주형(100)은 용탕 공급측으로부터 잉곳 배출측으로 이송될 때에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위치된 상태를 이룸과 더불어 잉곳 배출측으로부터 용탕 공급측으로 이송될 때에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위치된 뒤집힌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용탕 공급측으로부터 용탕을 공급받은 후 상기 잉곳 배출측으로 점차 이동되면서 상기 용탕을 냉각 고화시키게 되고, 이렇게 고화된 상태의 잉곳(10)은 상기 주형(100)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뒤집히는 위치에 이르게 될 경우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된다.At this time, the mold 100 is installed so as to be in an upside-down state when it is transferred to the ingot discharge side from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and is opened to be opened downward when transferred from the ingot discharge side to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After the molten metal is supplied from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the molten metal is gradually cooled toward the ingot discharge side, thereby cooling and solidifying the molten metal. The solidified ingot 10 may be in a position in which the mold 100 is turned upside down. In this case, the weight falls away from the mold 100 by its own weight.

한편, 상기한 주물용컨베이어(200)는 수평 이동구간(201) 및 경사 이동구간(2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casting conveyor 200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section 201 and an inclined moving section 202.

여기서, 상기 수평 이동구간(201)은 용탕 공급측 부위로부터 해당 용탕이 냉각되어 고화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한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 이동구간(202)은 후술될 배출측컨베이어(300)와의 겹침을 방지하기 위한 구간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구간(201)의 끝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Here, the horizontal moving section 201 is made of a s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from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until the molten metal is cooled and solidified, the inclined moving section 202 is with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to be described later As a section for preventing the overlapping is a portion made to extend upwardly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section 201.

특히,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수평 이동구간(201)에는 냉각기(250)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냉각기(250)를 통한 냉각수의 제공에 의해 상기 주형(100) 내의 용탕은 빠르게 냉각되면서 고화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movement section 201 of the casting conveyor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oler 250, by providing the cooling water through the cooler 250, the molten metal in the mold 100 is rapidly cooled and solidified It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적재장치(600)가 위치된 곳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컨베이어이다.Next,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is a conveyor made to receive the ingot 10 to discharge to the place where the loading device 600 is located.

이와 같은 배출측컨베이어(300)는 그의 잉곳 유입측 끝단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각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적재 위치(적재장치가 위치된 곳)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is an ingot separated from each mold 100 of the casting conveyor 200 while the ingot inlet end thereof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200. (10) is provided and configured to convey to the loading position (where the loading device is located). This is as shown in FIGS. 3 and 6.

이와 함께,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는 전방측 제2스프라켓(310)과 후방측 제2스프라켓(320), 제2체인(330) 및 제2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includes a front side second sprocket 310 and a rear side second sprocket 320, a second chain 330, and a second driving motor 340.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끝단에 경사가이드(3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guide 350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이러한 경사가이드(350)는 후술될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낙하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가이드(35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물용컨베이어(200)로부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 잉곳(10)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소음과 충격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inclined guide 350 is provided to be inclined or rounded so as to sli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by receiving the ingot 10 falling from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clined guide ( The additional provision of 350 is to minimize the impact noise and impact load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ingot 10 from the casting conveyor 200 to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특히, 상기 경사가이드(350)는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비록 짧은 거리라 하더라도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낙하되는 잉곳(10)과의 충격이 일부나마 흡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guide 35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rotatable so that the impact with the ingot 10 falling from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may be partially absorbed even if the distance is short.

다음으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각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되는 잉곳(10)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이송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ingot 10, which is separated from each mold 100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즉, 주물용컨베이어(200)를 따라 이송되는 각 주형(100)이 뒤집혀 해당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그 저부에 위치된 배출측컨베이어(300)로 낙하될 경우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와 배출측컨베이어(300) 간의 이격 거리에 따른 높이 차이로 인해 큰 충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충격에 따른 충격 소음과 충격 하중을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제공을 통해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each of the molds 100 transported along the casting conveyor 200 is inverted so that the ingot 10 solidified in the mold 100 is separated from the mold 100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When falling to th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sting conveyor 200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a large shock is generated, the impact noise and the impact load according to the impact of the auxiliary transfer conveyor (400) ), So that it can be reduced.

이러한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와 배출측컨베이어(300) 사이에 위치되며, 특히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내스프라켓(410) 및 안내체인(420)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안내체인(420)의 일부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을 지나는 주형(1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10)을 받아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This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400 is located between the casting conveyor 200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as shown in Figure 3 attached, in particular the secondary conveying conveyor 400 is attached to FIG. As shown, a plurality of guide sprockets 410 and guide chains 420 and a part of the guide chains 420 are in contact with the mold 100 passing through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he ingot 10 separated from the mold 100 is disposed to be delivered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즉, 주물용컨베이어(200)의 동작에 의한 주형(100)의 뒤집힘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 주형(100) 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10)을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가 받는 구조가 아니라 주형(100) 내로부터 잉곳(10)이 분리됨과 동시에 이 잉곳(10)을 상기 안내체인(420)이 받쳐주면서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mold 100 is turned upside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receives the ingot 10 that is separated from the mold 100 and falls. The ingot 10 is separated from the mold 100 and the ingot 10 is supported by the guide chain 420 while supporting the ingot 10.

이때, 상기 각 안내스프라켓(410) 중 적어도 어느 한 안내스프라켓(410)은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어느 한 안내스프라켓(410)은 텐션조작바(430)의 동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안내체인(420)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guide sprocket 410 of each guide sprocket 410 is installed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at least one guide sprocket 410 is changed in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ension operation bar 430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guide chain 420.

또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안내체인(420)에는 상기 각 잉곳(10)이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복수의 위치제한돌기(421)가 각각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guide chain 420 of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limiting projections 421 for limiting each ingot 1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상기 각 위치제한돌기(421)의 추가 제공에 의해 각 잉곳(10)이 배출측컨베이어(300)에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잉곳(10)이 이송중 서로 부딪힘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일정 수량씩 순차 배출되지 못하는 배출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additional provision of the respective position limiting projections 421, each ingot 10 may be sequentially se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whereby each ingot 10 may be transferr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mission failure phenomenon that can not be discharged in sequence by a certain amount that can be caused by the impact.

이와 함께,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각 부위 중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주형(1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부위는 잉곳(10)을 배출하는 끝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를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잉곳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소음 및 충격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is provided with an ingot 10 separated from the mold 10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mold 100 of the casting conveyor 200 of each part of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The portion to guide the transfer to the ingot 10 toward the discharging end toward the end side towar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is made to be installed inclined downward gradually so that the impact noise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ingot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And to reduce the impact load.

한편,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주물용컨베이어(200)에는 복수의 타격기(260,270)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sting conveyor 200 of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owers (260,270).

즉, 상기 각 타격기(260,270)를 이용하여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잉곳(10)이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ingot 10 may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mold 100 by striking the ingot 10 solidified in the mold 100 by using the respective strikers 260 and 270.

이와 같은 타격기(260,270)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 중 경사 이동구간(202)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두 개의 제1타격기(260)와,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인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에 구비되는 제2타격기(270)로 구성된다.The blowers 260 and 270 are two first strikers 26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moving section 202 of the casting conveyor 200, respectively, and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200. It is composed of a second striker 270 provided on the front side first sprocket 21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제1타격기(260)의 경우 각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의 양측을 서로 시간차이를 가지면서 타격(첨부된 도 4 참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타격기(270)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 중에서 주형(100)이 뒤집히기 직전에 상기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의 어느 한 측을 재차적으로 타격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first strikers 260 are made to strike both sides of the ingot 10 solidified in each mold 100 with a time difference from each other (see FIG. 4 attached). In addition, the second striker 270 is made to strike any one side of the ingot 10 solidified in the mold 100 just before the mold 100 is turned over out of the casting conveyor 200. Present as a feature.

상기한 두 제1타격기(260)의 구조는 주형(100)에 고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잉곳(10)을 시간 차이를 두면서 서로 다른 위치가 연속적으로 타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잉곳(10)과 주형(100) 간의 분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two first striker 260 is the ingot 10 and the mold 100 by arranging the ingot 10 provided in a state fixed to the mold 100 so that different positions are continuously hit with a time difference. The separation between the two is to be made more smoothly.

즉, 잉곳(10)의 어느 한 부분만 타격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부위라 할지라도 동시에 타격하게 될 경우 이 타격 부위로부터 먼 측의 부위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잉곳(10)의 양측을 순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잉곳(10)의 전 부위에 대한 정확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if only one portion of the ingot 10 is hit or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different parts may be separated from the portion away from the hitting portion may not be properly sepa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got ( By hitting both sides of the 10 in sequence to ensure that the accurate separation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ingot (10) can be made.

이와 함께, 상기 제2타격기(270)는 주형(100)이 뒤집히기 직전에 해당 주형(100) 내의 잉곳(10)을 재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제1타격기(260)의 타격에도 불구하고 주형(100)으로부터 잉곳(10)이 미처 분리되지 않은 경우라도 정확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striker 270 hits the ingot 10 in the mold 100 again just before the mold 100 is flipped, thereby insuring the mold 100 in spite of the blow of the first striker 260. Ingot 10 is to be accurately separated even if not yet separated.

상기 제2타격기(270)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271)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second striker 270 is configured to periodically strike using the driving cylinder 271 as shown in FIG. 8.

물론,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에 연동되어 동작되면서 주기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상기 제2타격기(270)는 상기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별도의 회전기어(212)가 이루는 기어잇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걸림턱(271)과, 이 걸림턱(271)의 가압 및 가압 해제 동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잉곳(10)을 타격하는 타격로드(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f cours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9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hit whil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side first sprocket 210, in this case, the second striker 270 is the front side first sprocket ( The engaging jaw 271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gears formed by the separate rotary gear 212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210, and the ingot 10 while being rotated by the pressing and depressurizing operation of the engaging jaw 271. It comprises a hitting rod 272 hitting).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에 의한 잉곳 제조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the ingot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용해로(500)에서 폐알루미늄을 용융시킴으로써 만들어진 용탕은 용탕 주입로(510)를 통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용탕 공급측으로 제공되며, 계속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각 주형(100) 내로 상기 용탕이 공급된다.First, the molten metal produced by melting the waste aluminum in the melting furnace 500 is provided to the molten metal supply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hrough the molten metal injection furnace 510, and subsequently by the operation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he molten metal is supplied into each mold 100 to be moved.

그리고, 상기 주형(100) 내로 공급된 용탕은 해당 주형(100)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동작에 의해 잉곳 배출측으로 이송되는 도중 냉각기(250)를 거치면서 빠르게 냉각되어 고화된다.In addition, the molten metal supplied into the mold 100 is rapidly cooled and sol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ler 250 while the mold 100 is transferred to the ingot discharge side by the operation of the casting conveyor 200.

이후, 상기 주형(100) 내의 고화된 잉곳(10)은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경사 이동구간(202)을 지나는 과정에서 두 제1타격기(260)에 의해 양측 부위가 순차적으로 타격되며, 이로써 상기 주형(100)으로부터의 일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the solidified ingot 10 in the mold 100 is sequentially hit by both first strikers 260 in the course of passing the inclined movement section 202 of the casting conveyor 200, This results in a primary separation from the mold 100.

계속해서, 상기 잉곳(10)이 내장된 주형(100)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를 이루는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을 지나는 도중 제2타격기(270)에 의한 재차적인 타격이 이루어지면서 주형(100)으로부터 미처 분리되지 못한 잉곳(10)이라도 정확히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ile the mold 100 in which the ingot 10 is embedded passes through the front first sprocket 210 constituting the casting conveyor 200, the second blower 270 is hit again. Even the ingot 10 that is not separated from the mold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ld 100 accurately.

이와 함께, 상기 주형(100)은 상기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을 지나면서 점차 뒤집힘에 따라 상기 주형(100) 내의 잉곳(10)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이탈되려 하지만,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안내체인(420)이 해당 주형(1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잉곳(10)의 분리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주형(100)이 완전히 뒤집힌 이후 상기 안내체인(420)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이격될 때부터 상기 잉곳(10)을 받아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잉곳(10)은 상기 안내체인(420)에 구비되는 위치제한돌기(421)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히 배출측컨베이어(300)로 낙하된다.In addition, as the mold 100 is gradually turned ov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ront side first sprocket 210, the ingot 10 in the mold 100 tries to be separated from the mold 100, but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 While the guide chain 420 of 400 is in contact with the mold 100 to prevent the ingo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ld 100, the guide chain 420 is completely inverted after the mold 100 is completely inverted. When the ingot 10 is received from the mold 100 is to be transported. At this time, the ingot 10 is not slipped at a specific position by the position limiting protrusion 421 provided in the guide chain 420, and falls precisely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특히,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잉곳 공급측에는 경사가이드(350)가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낙하되는 잉곳(10)은 상기 경사가이드(350)에 낙하된 후 그 안내를 받아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inclined guide 350 is provided on the ingot supply sid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the ingot 10 dropped from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is dropped to the inclined guide 350 after The guide is sli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상면으로 이동된 잉곳(10)은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동작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적재장치(600)로 배출된다.Then, the ingot 10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loading device 600 while being guid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각 주형(100)으로부터 낙하하여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falling from each mold 100 of the casting conveyor 200 by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is provided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The generated shock can be reduced.

특히,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잉곳 공급측에는 경사가이드(350)가 더 구비됨으로 인해 잉곳(10)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충격 소음에 의한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충격 하중에 의한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inclined guide 3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got supply sid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the impact due to the fall of the ingot 10 can be further reduced, resulting in the operation efficiency due to the impact noise caused by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ce damage due to degradation and impact loa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400)를 이루는 안내체인(420)에 복수의 위치제한돌기(421)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각 잉곳(10)의 공급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lurality of position limiting projections 421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guide chain 420 constituting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the supply of each ingot 10 is mutually It can be made sequentially without overlapp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경사 부위에 제1타격기(260)를 설치하여 해당 부위를 지나는 잉곳(10)의 양측을 시간 차이를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주형(100)이 뒤집히기 직전에 잉곳(10)의 어느 한 측편을 타격하는 제2타격기(27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잉곳(10)이 주형(100)으로부터 더욱 원활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first striker 260 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asting conveyor 200, and having a time difference on both sides of the ingot 10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portion sequentially. The ingot 10 is mor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mold 100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econd striker 270 that strikes either side of the ingot 10 just before the mold 100 is turned upside down. It becomes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 implemented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컨대,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 끝단을 수평하게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최대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보조이송컨베이어(400)에 잉곳(10)이 얹히는 과정에서의 충격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ingot discharge side end of the casting conveyor 200 is installed to 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discharges the ingot of the casting conveyor 200 as much as possible. By being configured to extend along the side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mold 100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mpact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ingot 10 on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400).

또한,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배출측컨베이어(300)로부터 배출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적재하는 적재장치(600)가 픽업이송부(610)에 의해 공급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ferred from the supply position to the loading position by the pick-up transfer unit 610, the loading device 600 for receiving and loading the ingot 10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side conveyor (300). It is configured to. This is as shown in FIG. 11.

특히, 상기 픽업이송부(610)는 번갈아가면서 90°씩 정역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층별 잉곳(10)의 적재 방향이 90°씩 교차되도록 하며, 이러한 90°씩의 정역 회전은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실린더(620)를 이용하여 픽업이송부(610)의 상면에 설치된 회전링크(6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정역실린더(620)의 동작에 의한 빠른 방향 전환 및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ickup transfer unit 610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rotate forward and backward by 90 °, so that the loading direction of the ingot 10 for each floor crosses by 90 °, and such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by 90 ° is shown in FIG. 12.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o use the forward / reverse cylinder 620 to rotate the rotary link 6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ckup transfer unit 610. That is, the fast direction change and accurate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cylinder 620 are possible.

이렇듯,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As such, the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10. 잉곳 100. 주형
200. 주물용컨베이어 201. 수평 이동구간
202. 경사 이동구간 210. 전방측 제1스프라켓
220. 후방측 제1스프라켓 211,221. 구동축
212. 회전기어 230. 제1체인
240. 제1구동모터 241. 동력전달용체인
250. 냉각기 260. 제1타격기
270. 제2타격기 271. 걸림턱
272. 타격로드 300. 배출측컨베이어
310. 전방측 제2스프라켓 320. 후방측 제2스프라켓
330. 제2체인 340. 제2구동모터
350. 경사가이드 400. 보조이송컨베이어
410. 안내스프라켓 420. 안내체인
421. 위치제한돌기 430. 텐션조작바
500. 용해로 510. 용탕주입로
600. 적재장치 610. 픽업이송부
620. 정역실린더 630. 회전링크
10. Ingot 100. Mold
200. Casting Conveyor 201. Horizontal Moving Section
202. Inclined moving section 210. First side sprocket
220. First side sprocket 211,221. driving axle
212. Rotating gear 230. First chain
240. First drive motor 241. Power transmission chain
250. Cooler 260. First striker
270. Second striker 271. Jamming jaw
272. Strike rod 300. Discharge conveyor
310. Front side second sprocket 320. Rear side second sprocket
330. Second Chain 340. Second Drive Motor
350. Slope Guide 400. Auxiliary Conveyor
410. Information Sprockets 420. Information Chains
421. Position Limiting 430. Tension Control Bar
500. Melting Furnace 510. Melting Furnace
600. Loading device 610. Pickup transfer unit
620. Forward and reverse cylinders 630. Rotary links

Claims (5)

용탕을 공급받아 특정 형상의 잉곳을 주조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주형;
상기 각 주형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잉곳 배출측 부위는 점차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주물용컨베이어;
끝단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 직하방에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적재위치로 이송하는 배출측컨베이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되는 잉곳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제조장치.
A plurality of molds provided to receive molten metal and to cast ingots of a specific shape;
A casting conveyor configured to be continuous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both ends of each mol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got discharge side portion is gradually inclined upwardly;
A discharge side conveyor having an end positioned at a distance directly below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and receiving an ingot separated from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and falling to a loading position;
And an auxiliary transfer conveyor positioned between the casting conveyor an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and transporting the ingot separated from each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는
복수의 안내스프라켓 및 이 안내스프라켓을 경유하는 안내체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체인의 일부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을 지나는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받아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전달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i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guide sprockets and guide chains via the guide sprockets,
Part of the guide chain is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receive the ingot separated from the m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and to deliver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의 각 부위 중 주물용컨베이어의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를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잉곳을 받아 배출측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경사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Each part of the subsidiary conveying conveyor is provided with an ingot separated from the mol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mold of the casting conveyor and guided to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side conveyor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side conveyor toward the end. ,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further comprises an inclined or rounded inclined guide to receive the ingot falling from the secondary conveying conveyor to sli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convey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의 안내체인에는 상기 각 잉곳이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복수의 위치제한돌기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chain of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limiting projections to limit each ingo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 중 경사지게 설치된 부위의 양측에는 각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양측을 서로 시간차이를 가지면서 타격하는 제1타격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에는 주형이 뒤집히기 직전에 상기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어느 한 측을 재차적으로 타격하는 제2타격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asting conveyor is provided with a first striker that strikes both sides of the solidified ingot in each mold with a time difference from each other,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got discharge side of the casting convey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blower for hitting any one side of the ingot solidified in the mold just before the mold is turned over.
KR1020180088494A 2018-07-30 2018-07-30 ingot manufacturing device KR102105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94A KR102105177B1 (en) 2018-07-30 2018-07-30 ingot manufac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94A KR102105177B1 (en) 2018-07-30 2018-07-30 ingot manufact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69A true KR20200013369A (en) 2020-02-07
KR102105177B1 KR102105177B1 (en) 2020-04-28

Family

ID=6957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94A KR102105177B1 (en) 2018-07-30 2018-07-30 ingot manufact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7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4132A (en) * 2022-06-10 2022-10-18 立中四通轻合金集团股份有限公司 Automatic finishing system for Huafu ingots
CN116900285A (en) * 2023-09-08 2023-10-20 亿川科技(成都)有限责任公司 Movable ingot casting auxiliary demoulding device suitable for long-term high-temperature working condition
KR102638643B1 (en) * 2023-06-26 2024-02-21 오리진 주식회사 Loading and discharging system of this product ingo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738U (en) * 1991-10-29 1993-05-28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イ Ingot manufacturing line
KR200237277Y1 (en) * 2001-04-20 2001-10-11 주식회사 실보스틸 Continuity casting machine
KR20030097514A (en) * 2002-06-21 2003-12-31 백성기 Device to sort garlics
KR100619133B1 (en) 2004-08-11 2006-09-19 주식회사 에이엘에프 Continual casting device for non-iron metal
KR101564661B1 (en) 2013-01-11 2015-10-30 지케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ium alloy ingot
KR101814786B1 (en) 2017-07-03 2018-01-03 조용철 Aluminum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738U (en) * 1991-10-29 1993-05-28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イ Ingot manufacturing line
KR200237277Y1 (en) * 2001-04-20 2001-10-11 주식회사 실보스틸 Continuity casting machine
KR20030097514A (en) * 2002-06-21 2003-12-31 백성기 Device to sort garlics
KR100619133B1 (en) 2004-08-11 2006-09-19 주식회사 에이엘에프 Continual casting device for non-iron metal
KR101564661B1 (en) 2013-01-11 2015-10-30 지케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ium alloy ingot
KR101814786B1 (en) 2017-07-03 2018-01-03 조용철 Aluminum ingot manufactur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4132A (en) * 2022-06-10 2022-10-18 立中四通轻合金集团股份有限公司 Automatic finishing system for Huafu ingots
KR102638643B1 (en) * 2023-06-26 2024-02-21 오리진 주식회사 Loading and discharging system of this product ingots
CN116900285A (en) * 2023-09-08 2023-10-20 亿川科技(成都)有限责任公司 Movable ingot casting auxiliary demoulding device suitable for long-term high-temperature working condition
CN116900285B (en) * 2023-09-08 2023-12-15 亿川科技(成都)有限责任公司 Movable ingot casting auxiliary demoulding method suitable for long-term high-temperature working cond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177B1 (en)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369A (en) ingot manufacturing device
JP2006335460A (en) Transport device for rod-shaped food
US2954862A (en) Article loading machine
KR101563363B1 (en) Ferro silicon molding method
KR100825574B1 (en) An apparatus for removing coal adhered on a mavable chute of belt conveyor
KR20200125839A (en) Apparatus for casting aluminium ingot continuously
US40405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ingo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arrangements
EP3192754A1 (en) Metal plate conveyor for hot slag
US6533022B2 (en) Pouring conveyor for mold handling system
CN206519567U (en) A kind of aluminium ingot cast molding conveying device
CN207222924U (en) Material for chain transfer demoulds vibration body and application
JP2003018953A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weighing fresh fish
KR200237277Y1 (en) Continuity casting machine
CN204018698U (en) A kind of tin bar automatic discharge unit
KR100978714B1 (en) Guide apparutus for steel transfer
MXPA04008746A (en) Nut transport element for use in high production nutcracking apparatus.
JP3853281B2 (en) Granular slag production equipment
CN220466640U (en) Red pig iron transportation device of coming off production line
KR101323294B1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2676316B2 (en) Ice vertical conveyor
CN218706204U (en) Material receiving and conveying mechanism
JP3130713B2 (en) Dispensing device for forging equipment and conveyor used for it
CN214185173U (en) Iron blocking plate of pig casting machine
US1230360A (en) Casting-machine.
KR101225401B1 (en) tilting table for tung dis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