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667A - 충진폼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충진폼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667A
KR20200011667A KR1020180086391A KR20180086391A KR20200011667A KR 20200011667 A KR20200011667 A KR 20200011667A KR 1020180086391 A KR1020180086391 A KR 1020180086391A KR 20180086391 A KR20180086391 A KR 20180086391A KR 20200011667 A KR20200011667 A KR 2020001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filling foam
vacuum
seal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100B1 (ko
Inventor
추홍만
김기훈
경 목 손
Original Assignee
(주) 인셀
주식회사 거명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셀, 주식회사 거명인텍 filed Critical (주) 인셀
Priority to KR102018008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1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07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충진폼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 등의 공관에 삽입되는 충진폼을 압착하여 공관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진폼 압착 장치{FILLING FOAM COM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충진폼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 등의 공관에 삽입되는 충진폼을 압착하여 공관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 도입되어 운행하고 있는 고속 열차의 차체는 알루미늄 격벽 구조로 제작된다.
도 1은 열차의 알루미늄 격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열차의 차체에는 길이 방향의 빈 공간인 공관이 복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열차의 운행 시, 레일 및 공기와의 마찰에 의한 진동이 공관에서 공진을 일으켜 객실 내부에 크게 전달된다.
따라서, 객실 내부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공관에 충진폼을 삽입하여 빈 공간을 채우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KTX경부선 운행열차 이후에 계속적으로 적용되는 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완성된 알루미늄 차체에 충진폼을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충진폼은 길이가 긴 봉상으로 구성되고, 강도가 높지 않아 공관에 삽입시 쉽게 휘어져 안정된 삽입이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충진폼을 압착하여 강도를 높인 후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평판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하 압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압축된 충진폼의 폭은 공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관 삽입 시 말단까지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0912호 “철도차륜 전동소음 흡음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2017.03.22 공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공관의 단면에 대응하여 충진폼을 가압 성형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스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충진폼을 압착하도록 가압 프레스의 간격을 조절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공팩의 공기를 안정적으로 흡입하도록 흡입 모듈의 위치를 잡아주고 고정시키는 충진폼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진폼을 가압 성형하는 프레스부, 가압 성형된 충진폼을 진공상태로 밀폐하는 진공 밀폐부 및 상기 진공 밀폐부를 이동시키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스부는 상면이 절곡된 형태인 하부 프레스 및 상기 하부 프레스의 절곡된 상면과 대응하여 하면이 절곡된 형태인 상부 프레스를 포함하되, 상기 충진폼이 상기 하부 프레스 및 상기 상부 프레스의 절곡된 면 형태에 대응하여 가압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밀폐부는 가압 성형된 상기 충진폼을 수용한 진공팩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듈 및 상기 진공팩의 개폐단을 열융착하여 밀폐시키는 밀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진공 밀폐부를 이동시키는 레일 프레임 모듈 및 상기 진공 밀폐부가 상기 충진폼을 수용한 진공팩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위치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스는 상기 하부 프레스의 양단에 배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간격 조절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폐 모듈은 상기 진공 상태의 진공팩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부를 차단하는 차단 바 및 차단된 상기 개폐부가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충진폼 압착 장치에 의하면, 공관의 다양한 단면 형상에 맞추어 충진폼을 가압 성형함으로써, 열차의 공관에 빈틈없이 충진폼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사이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여, 충진폼의 압착 정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 위에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흡입 모듈이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열차의 알루미늄 격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압착된 충진폼이 공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공관에 삽입된 충진폼이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충진폼 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충진폼 압착 장치가 충진폼을 압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b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위치 가이드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프레스부가 충진폼을 가압 성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흡입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진공 밀폐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압착된 충진폼이 공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b는 공관에 삽입된 충진폼이 팽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충진폼 압착 장치에 의하여 압착된 충진폼(10)은 진공팩(20)에 진공 밀폐된 상태로 공관(30)에 삽입된 후, 진공팩(20)이 개봉되어 본래의 체적으로 팽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충진폼 압착 장치는 충진폼(10)을 공관(30)의 형상에 맞추어 압착 가능하므로 공관(30)에 빈 틈이 생기지 않고 충진폼(10)의 밀도가 균일하게 팽창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충진폼 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충진폼 압착 장치가 충진폼을 압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충진폼 압착 장치는 프레스부(100), 진공 밀폐부(200) 및 레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부(100)는 충진폼(10)을 가압하고, 절곡된 단면의 모양에 따라 충진폼(10)을 성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스부(100)는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스(120)의 상면은 절곡된 형태일 수 있고, 상부 프레스(110)의 하면은 하부 프레스(120)의 상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부 프레스(110)는 하부 프레스(120) 상부에 승강 구조로 설치되고, 상부 프레스(110)가 하강하여 하부 프레스(120)의 절곡된 면에 안착된 충진폼(10)에 압력을 가하여 가압 성형할 수 있다. 이 때, 충진폼(10)은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의 절곡된 면 형대에 대응하여 가압 및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스부(100)의 절곡된 단면은, 충진폼(10)이 삽입되는 공관(3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완충 탄성 부재(40)는 하부 프레스(120)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가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부 프레스(110)가 하부 프레스(120)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어, 충진폼(10)이 가압 성형되지 않은 상태를 제1상태, 상부 프레스(110)가 하부 프레스(120)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충진폼(10)에 가압 및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를 제2상태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프레스부는 제1상태이고, 도 4의 프레스부는 제2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진공 밀폐부(200)는 가압 성형된 충진폼(10)을 진공상태로 진공팩(20)에 수용하여 밀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 밀폐부(200)는 가압 성형된 충진폼(10)을 수용하는 진공팩(20)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듈(220) 및 진공팩(20)의 개폐단을 열융착하여 밀폐시키는 밀폐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듈(220)이 진공팩(20)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팩(20)을 진공 상태로 만든 후, 밀폐 모듈(210)은 진공팩(20)이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팩(20)의 개폐단을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레일부(300)는 진공 밀폐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스부(100)에는 다양한 형태의 절곡된 형상이 존재하고, 각 형상에 맞는 충진폼(10)이 프레스부(100)의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진공 밀폐부(200)는 이러한 충진폼(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하여야 하며,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부(300)는 진공 밀폐부(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고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부(300)는 진공 밀폐부(200)를 이동시키는 레일 프레임 모듈(310) 및 상기 진공 밀폐부(200)가 상기 충진폼(10)을 수용한 진공팩(20)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위치 가이드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 프레임 모듈(310)은 레일 및 레일이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밀폐부(200)의 상판(230) 하부에 부착되는 롤러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밀폐부(20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프레스부(100)의 다양한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프레스부(100)의 다양한 위치에 안착한 충진폼(10)을 수용한 진공팩(20)을 진공 밀폐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5b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위치 가이드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5d를 참고하면, 위치 가이드 모듈(320)은 레일 프레임 모듈(310)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가이드 모듈(320)은 진공 밀폐부(200)의 고정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가이드 모듈(320)은 덮개(321), 외측 커버(322), 돌출 보조 부재(323), 돌출 부재(324), 제1스프링(325) 및 제2스프링(32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덮개(321)의 덮개 개방 부재(321a)에 압력을 가하면, 외측 커버(322)에 고정되어 있던 덮개 고정 부재(321b)가 분리되어 덮개(321)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덮개(321)의 개방에 의하여, 제1스프링(325)이 이완되어 돌출 보조 부재(323)가 상부로 돌출되고, 제2스프링(326)의 이완에 의하여 돌출 부재(324)가 돌출할 수 있다.
이 때, 돌출 보조 부재(323)는 제1가이드(322a)에 의하여 외측 커버(322)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 부재(324)는 제2가이드(323a)에 의하여 돌출 보조 부재(323)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돌출할 수 있다.
돌출 부재(324)는 돌출되어 진공 밀폐부(200)의 상판(230)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밀폐부(200)가 레일 위를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하부 프레스(120)는 하부 프레스(120)의 양단에 배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간격 조절 나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스(110)에는 간격 조절 나사(121)가 삽입되거나 빠지도록 하는 홀이 존재할 수 있다.
프레스부(100)의 간격 조절 나사(121)는 상부 프레스(110)와 하부 프레스(120)의 제2상태에서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절 나사(121)는 충진폼(10)의 압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스(120)의 간격 조절 나사(121)의 양 단에 탄성 부재가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한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부 프레스(110) 및 하부 프레스(120)가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부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스(110)의 홀 내부에도 탄성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프레스(120)의 간격 조절 나사(121)와 상부 프레스(110)의 홀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프레스부가 충진폼을 가압 성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을 참고하면, 제1상태의 프레스부(100)에 충진폼(10)이 안착될 수 있다.
프레스부(100)의 절곡된 형상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공관(30)은 열차 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공관(30)의 단면 형태에 따라 충진폼(10)의 단면 형태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충진폼(10)에 적합하게 가압 성형하기 위하여, 프레스부(100)의 절곡된 형상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b를 참고하면, 제2상태의 프레스부(100)에 충진폼(10)이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프레스(110)와 하부 프레스(120)의 이격 거리는 간격 조절 나사(12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고하면, 압착된 충진폼(10)이 진공팩(20)에 포장되어 가이드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흡입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흡입 모듈(220)의 단부는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여, 흡입 모듈(220)이 진공팩(20)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진공 밀폐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밀폐 모듈(210)은 진공 상태의 진공팩(20)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부를 차단하는 차단 바(211) 및 차단된 상기 개폐부가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 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흡입 모듈(220)은 진공팩(2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팩(20)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b를 참고하면, 흡입 모듈(220)이 진공팩(20)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생기는 틈에 의하여 진공팩(20)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 바(211)가 진공팩(20)의 개폐부를 가압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바(211)의 일단은 탄성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c를 참고하면, 가열 바(212)가 개폐부를 가열하여 개폐부를 밀봉할 수 있다. 가열 바(212)에는 열선이 배치되어 진공팩(20)의 개폐부를 열융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공팩(20)은 진공 상태로 밀봉되어 공관(3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진폼 압착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진폼 20: 진공팩
30: 공관 40: 완충 탄성 부재
100: 프레스부 110: 상부 프레스
120: 하부 프레스 121: 간격 조절 나사
200: 진공 밀폐부 210: 밀폐 모듈
211: 차단 바 212: 가열 바
220: 흡입 모듈 230: 상판
300: 레일부 310: 레일 프레임 모듈
320: 위치 가이드 모듈 321: 덮개
321a: 덮개 개방 부재 321b: 덮개 고정 부재
322: 외측 커버 322a: 제1가이드
323: 돌출 보조 부재 323a: 제2가이드
324: 돌출 부재 325: 제1스프링
326: 제2스프링

Claims (6)

  1. 충진폼을 가압 성형하는 프레스부;
    가압 성형된 충진폼을 진공상태로 밀폐하는 진공 밀폐부; 및
    상기 진공 밀폐부를 이동시키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상면이 절곡된 형태인 하부 프레스; 및
    상기 하부 프레스의 절곡된 상면과 대응하여 하면이 절곡된 형태인 상부 프레스;를 포함하되,
    상기 충진폼이 상기 하부 프레스 및 상기 상부 프레스의 절곡된 면 형태에 대응하여 가압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밀폐부는
    가압 성형된 상기 충진폼을 수용한 진공팩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듈; 및
    상기 진공팩의 개폐단을 열융착하여 밀폐시키는 밀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진공 밀폐부를 이동시키는 레일 프레임 모듈; 및
    상기 진공 밀폐부가 충진폼을 수용한 상기 진공팩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위치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스는
    상기 하부 프레스의 양단에 배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간격 조절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모듈은
    진공 상태의 상기 진공팩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부를 차단하는 차단 바; 및
    차단된 상기 개폐부가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폼 압착 장치.
KR1020180086391A 2018-07-25 2018-07-25 충진폼 압착 장치 KR10211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391A KR102118100B1 (ko) 2018-07-25 2018-07-25 충진폼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391A KR102118100B1 (ko) 2018-07-25 2018-07-25 충진폼 압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67A true KR20200011667A (ko) 2020-02-04
KR102118100B1 KR102118100B1 (ko) 2020-06-03

Family

ID=6957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391A KR102118100B1 (ko) 2018-07-25 2018-07-25 충진폼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794B1 (ko) * 2020-06-19 2020-12-11 (주)인셀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81B2 (ja) * 1993-11-11 1997-10-29 ヤマハ株式会社 Frtp予備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50014694A (ko) * 2013-07-30 2015-02-09 에코브라인 주식회사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KR20160007188A (ko) 2014-07-11 2016-01-20 (주) 인셀 충진폼 압착 포장장치
KR101751814B1 (ko) *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81B2 (ja) * 1993-11-11 1997-10-29 ヤマハ株式会社 Frtp予備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50014694A (ko) * 2013-07-30 2015-02-09 에코브라인 주식회사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KR20160007188A (ko) 2014-07-11 2016-01-20 (주) 인셀 충진폼 압착 포장장치
KR101751814B1 (ko) *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794B1 (ko) * 2020-06-19 2020-12-11 (주)인셀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100B1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667A (ko) 충진폼 압착 장치
US321217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glazing unit
CN103921723A (zh) 缓冲夹
PT1042240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o bambeamento de folhas de vidro
US20040113373A1 (en) Device for sealing a gap between car door and car wall in an elevator car
KR101557491B1 (ko) 엘보우 제조장치
CN115848707A (zh) 包装设备
CN1890447A (zh) 止动阻尼器
KR20160007188A (ko) 충진폼 압착 포장장치
CN108382853A (zh) 真空吸附装置及其壳体
KR20190060404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캐리어 플레이트
JP2019018917A (ja) ポンプ式液体密閉容器
CN111140587A (zh) 一种吸盘及吸盘挂钩
KR101703848B1 (ko) 충전폼의 충전방법 및 충전폼 압착 포장장치
KR102222334B1 (ko) 청소기
CN101239213B (zh) 用于为病人供给呼吸气体的装置
KR101957649B1 (ko) 진공 밀폐용 캡
KR101106549B1 (ko) 차량용 도어의 릴리스 케이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31470B1 (ko) 음식물 진공 저장용기
CN217970075U (zh) 可稳定加压的产品包装抽真空整形装置及自动生产线
CN207513506U (zh) 一种用于推拉密闭门的密封带
KR101783303B1 (ko) 더스트커버의 이젝터 흡착이 가능한 저분진 로봇
CN217436135U (zh) 一种真空封口机的泄压结构
CN217945796U (zh) 防变形的产品包装抽真空整形装置及自动生产线
CN218617365U (zh) 气缸驱动式真空封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