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794B1 -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794B1
KR102189794B1 KR1020200074853A KR20200074853A KR102189794B1 KR 102189794 B1 KR102189794 B1 KR 102189794B1 KR 1020200074853 A KR1020200074853 A KR 1020200074853A KR 20200074853 A KR20200074853 A KR 20200074853A KR 102189794 B1 KR102189794 B1 KR 102189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foam
foam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vacuum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홍만
손경목
손상현
추명주
Original Assignee
(주)인셀
주식회사 거명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셀, 주식회사 거명인텍 filed Critical (주)인셀
Priority to KR102020007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8Internal lining, e.g. insu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3Trains, tr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나 각종 구조물의 격벽 구조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각 시공관로 내에, 진공팩 내에 충전폼을 진공 압축하여 포장된 충전폼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충전폼 부재를 팽창하여서, 상기 시공관로 내에 팽창된 충전폼부재에 의해 격벽 구조체의 향상된 단열성능과 차음성능을 확보하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가동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부;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가동로드에 배치되어 진공팩 내에 충전폼을 진공 압축한 충전폼 부재의 후단부를 고정하여서, 상기 가동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면서 일렬 정렬된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충전폼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Filling form member insertion construction device having bulkhead structure}
본 발명은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나 지하철 등에서 각종 구조물을 형성하는 격벽 구조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각 시공관로에, 진공팩 내에 충전폼을 진공 압축하여 포장된 충전폼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충전폼 부재를 팽창하여서, 상기 시공관로 내에 팽창된 충전폼 부재에 의해 격벽 구조체의 향상된 단열성능과 차음성능을 확보하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철도나 지하철 등의 각종 구조물에는 다양한 형상이나 규격을 갖는 길이가 긴 시공관부가 형성된 격벽 구조체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 구조체의 각 시공관로에는 단열과 차음을 도모하는 봉상의 충전폼(充塡foam)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해당 격벽 구조체의 단열과 차음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KTX경부선 운행 열차 이후에 계속적으로 적용되는 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압출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격벽 구조체의 각 시공관로에 충전폼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충전폼 부재는 통상 우레탄 등을 발포한 발포 성형폼으로 이루어지며, 재질 특성상 강도가 높지 않아 구조물의 시공관로에 삽입시 쉽게 휘어지고 시공관부의 내벽과의 간섭 등에 의해 안정된 삽입이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충전폼을 진공팩에 삽입하여 이를 진공 압축시킨 상태로 포장한 충전폼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진공 압축하여 포장된 충전폼 부재를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진공팩을 칼 등으로 개봉하여서, 충전폼이 본래의 체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구조물의 시공관로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진공 압축하여 포장된 충전폼은 압축에 의해 밀도가 증가되어 소정의 강도를 갖는 관계로,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부에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에는 진공 압축된 충전폼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전용의 장치가 제공되지 아니한 관계로, 진공 압축된 봉상의 충전폼을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삽입된 진공팩을 칼 등으로 개방하여 팽창하는 수작업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상기 진공 압축된 충전폼, 및 상기 충전폼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는 길이가 3M 내지 10M에 이를 뿐 아니라, 또 진공 압축된 충전폼이 삽입되는 시공관로의 내벽, 그리고 입구부에는 모서리나, 버, 용접과정에 발생된 스패드 등의 이물돌기들이 불가피하게 생성한다.
따라서, 진공 압축된 충전폼이 시공관로에 길이방향으로 진입되는 과정에 진공팩이 버나 날카로운 이물돌기에 의해 진공상태가 해체되어 충전폼이 팽창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고, 또 시공관로 내에 돌출된 이물돌기와의 간섭에 의해 충전폼이 시공관로를 따라 정형화되게 진입하지 못하는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KR 10-2016-0007188 A KR 10-2004-0094197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나 지하철 등에서 구조물을 형성하는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진공 압착된 충전폼 부재의 삽입과 팽창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간편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삽입과정에 충전폼의 진공 압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충전폼의 고른 팽창을 도모하여, 충전폼 부재의 삽입과 팽창에 따른 시공 편리성과 품질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가동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로드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가동로드의 진행방향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진공팩 내에 충전폼이 진공 압축된 충전폼 부재를 상기 가동부의 이동방향 전방에 일렬 정렬된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진공팩 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삽입할 충전폼 부재의 후미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되어 충전폼 부재의 후미를 포킹하는 하나 이상의 포크핀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포크핀 부재가 삽입할 충전폼 부재의 후단부를 포킹한 상태로 상기 가동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면서 충전폼 부재를 상기 시공관로내로 삽입하되,
상기 헤드부의 포크핀 부재는 포킹된 충전폼 부재의 진공팩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통기관로가 형성된 중공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포크핀 부재가 전방으로 진출하여 충전폼 부재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진공팩 내의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진공팩 내부공간을 감압하는 흡기 압착부가 진공 흡입관을 통해 상기 포크핀 부재의 통기관로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삽입 완료된 충전폼 부재의 진공팩 내에 압축공기를 강제 주입하여 진공팩을 강제 팽창키킴으로써, 진공팩 내에서 진공 압축된 충전폼의 팽창공간을 확보하는 급기 팽창부가 급기관을 통해 상기 포크핀 부재의 통기관로와 연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포크핀 부재를 통해 포킹된 충전폼 부재의 후단부를 협지하여, 충전폼 부재의 유동 발생을 억제하며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에 삽입된 충전폼 부재를 후방으로 후퇴하여 취출하는 핑거 그립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충전폼 부재의 삽입 및 팽창을 정형화된 장치를 통해 삽입 팽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충전폼 부재의 삽입 팽창에 따른 작업성과, 품질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에 포크핀 부재를 통해 가압되는 충전폼 부재의 후미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한 상태로 가압하므로, 시공관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충전폼 부재의 후미가 굽힘되어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특히, 상기 충전폼 부재가 시공관로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진공 흡입력을 통해 진공 압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또 삽입이 완료되면 압축공기를 통해 진공팩을 팽창하여 충전폼의 충분한 팽창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충전폼은 진공팩에 의한 과도한 팽창 저항없이 균일한 밀도로 신속히 팽창하여서, 해당 시공관로의 단열과 차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를 통한 충전폼 부재의 삽입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에 있어, 헤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를 통한 충전폼 부재의 순차적인 작업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를 통한 충전폼 부재의 삽입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에 있어, 헤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를 통한 충전폼 부재의 순차적인 작업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1)는,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철도나 지하철 등에서 차체나 내외벽을 형성하는 격벽 구조체(100)의 각 시공관로(110) 내에, 진공팩(210) 내에 충전폼(220)을 진공 압축하여 포장한 충전폼 부재(200)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삽입한 다음 충전폼(220)을 팽창시켜서, 상기 시공관로(110) 내에 삽입 팽창된 충전폼 부재(200)에 의해 격벽 구조체(100)의 향상된 단열성능과 차음성능이 확보되도록 하는 전용수단이다.
상기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가동로드(21)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부(20)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가동로드(21)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충전폼 부재(200)의 후단부를 고정하는 헤드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충전폼 부재(200)의 삽입을 요하는 격벽 구조체(100)가 안착된 작업대(T)의 일측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부(20)와 헤드부(30)를 탑재한 본체(10)를 이송롤러(11)가 마련된 대차형으로 구성하여서, 상기 본체(10)는 이송롤러(11)를 통해 폭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면서 격벽 구조체(100)에 형성된 각 시공관로(110)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일렬 정렬된 시공관로(110)에 순차적으로 충전폼 부재(200)를 삽입 시공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본체(10)가 직접 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기 헤드부(30)가 탑재된 가동부(20)를 본체(10)에 폭방향 이송구조로 배치하여, 가동부(20)는 폭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면서 격벽 구조체(100)에 형성된 각 시공관로(110)에 충전폼 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삽입 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도 2와 같이 조절 볼트유닛(13)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강 테이블(12)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 테이블(12)에는 가동부(20)와 헤드부(30)를 탑재하여서, 상기 가동부(20)와 헤드부(20)는 승강 테이블(12)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하여 작업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20)는 실린더에 의해 가동로드(21)가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실린더형, 또는 전동모터의 정역 구동에 의해 가동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전동모터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체(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진퇴레일(22)과; 상기 진퇴레일(22)에 진퇴구조로 배치되어 진퇴레일(2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부에 가동로드(21)가 형성된 가동자(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퇴레일(2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가동자(23)에 의해 가동로드(21)가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가동자 이송형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가동자(23)는 전동이나 공압 등을 통해 진퇴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견인하여 진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모두를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자(23)에 진퇴레일(22)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안내롤러(23a)를 마련하여, 가동자(23)는 안내롤러(23a)를 통해 진퇴레일(22)과 구름 마찰하면서 진퇴레일(22)에 의해 정해진 궤적을 따라 진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30)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포크핀 부재(31)가 마련되어, 상기 포크핀 부재(31)을 통해 충전폼 부재의 후미를 길이방향으로 포킹(Poking)하여서, 가동자(2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면서 포킹된 충전폼 부재(200)를 격벽 구조체(100)의 시공관로(110) 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충전폼 부재(200)를 포킹하는 포크핀 부재(31)는, 주사바늘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고 선단이 뽀죡하며 통기관로(31a)가 관통되게 형성된 장방향의 중공관체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포킹된 충전팩 부재(200)의 후반부를 길이방향으로 지지 관통하여 충전팩 부재(200)의 후반부가 외력에 의해 굽힙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한편, 진공팩(210) 후미부의 천공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천공된 진공팩(210) 흡기와 급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30)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진출되는 충전폼 부재(200)가 삽입되는 격벽 구조체(100)의 시공관로(110)는, 길이가 3M 내지 10M에 이르는 길이가 긴 장방향 몸체로 구성될 뿐 아니라, 시공관로(110)의 내벽이나 입구부에는 버나 모서리(111), 용접과정에 발생된 스패드 등 날카로운 날형상이나 단차형상의 이물돌기들이 잔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공관로(110)에 충전폼 부재(20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시공관로(110) 상에 형성된 날카로운 모서리나, 버, 그리고 이물돌기에 의해 충전폼 부재(200)를 구성하는 진공팩(210)이 물리적으로 파열되어 충전폼(220)의 진공 압축상태가 해체될 수 있다.
상기 진공팩(210)의 파열에 의해 충전폼 부재의 삽입과정에 충전폼(220)이 임의 팽창되면 충전폼 부재(200)와 시공관로(11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전폼 부재(200)의 안정적인 삽입이 어렵고, 또 이물돌기에 견착되어 진공 압착된 충전폼 부재(200)의 원활하게 삽입되지 아니하면 충전폼 부재(200)를 시공관로(110)에서 취출한 다음 삽입방향을 전환하여 재삽입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시공관로(110)에 충전폼 부재(20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진공팩(210)을 천공하여 진공 압축된 충전폼(220)을 팽창함에 있어, 충전폼(220)을 수납한 진공팩(210)이 전체적으로 확장되어야 충전폼(220)이 균일한 밀도로 팽창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공팩(210)이 자연 흡기에 의해 팽창하면 충전폼(220)의 균일한 팽창을 담보하기 어려워 팽창된 충전폼(220)에 의한 시공관로(110) 내 균일한 단열이나 차음을 담보하기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30)에, 상기 포크핀 부재(31)의 통기관로(31a)와 진공 흡입관(32)을 통해 연통되어, 진공팩(210) 내에 잔류된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진공팩(210) 내 감압을 도모하여 진공팩(210) 내에 포장된 충전폼(220)의 진공 압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흡기 압착부(35)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핀 부재(31)에 의해 포킹되어 격벽 구조체(100)의 시공관로(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입되는 충전폼 부재(200)는 흡기 압착부(35)를 통해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진공팩(210) 내에 잔류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배기하여 감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즉, 상기 헤드부(30)에 의해 충전폼 부재(200)가 시공관로(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입되는 과정에 진공팩(210)이 모서리나, 버, 이물돌기 등에 간섭되어 파열되더라도, 상기 진공팩(210)은 흡기 압착부(35)를 통해 제공되는 흡기력에 의해 지속적인 감압을 도모하여 충전폼(220)이 지속적으로 진공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크핀 부재(31)와 급기관(33)을 통해 연통하여 급기관(33)을 통해 포크핀 부재(31)의 통기관로(31a)를 통해 압축공기를 강제 주입하여서, 격벽 구조체(100)의 시공관로(110) 내에 진입 완료된 진공팩(210) 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진공 압축된 충전폼(220)을 강제 팽창하는 급기 팽창부(36)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공관로(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 완료된 충전폼 부재(200)의 진공팩(210)은 급기관(33)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강제 팽창하여서, 진공 압축된 충전폼(220)의 충분한 팽창공간을 순간적으로 강제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충전폼(220)은 시공관로(110) 내에서 균일한 압력 및 밀도로 팽창하여 격벽 구조체(100)의 안정된 단열성능과 차음성능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흡기 압착부(35)의 진공 흡입관(32)과, 급기 팽창부(36)의 급기관(33) 중 어느 하나를 포크핀 부재(31)의 통기관로(31a)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유닛(3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5와 도 6과 같이 상기 충전폼 부재(200)를 고정한 헤드부(30)가 길이방향으로 진출하여 고정된 충전폼 부재(200)를 격벽 구조체(100)의 시공관로(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포크핀 부재(31)의 통기관로(31a)는 흡기 압착부(35)와 연통하여 충전폼 부재(200)의 지속적인 진공 압착을 도모함으로써, 진공팩(210)의 파열이 발생되더라도 충전폼(220)은 진공 압착된 상태로 시공관로(110)에 길이방향으로 안정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시공관로(110)에 충전폼 부재(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포크핀 부재(31)는 급기관(33)과 연통하여 진공팩(210)의 가압 팽창을 통해 충전폼의 팽창공간을 확보하고, 결과적으로 진공 압축된 충전폼(220)은 진공팩(21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균일한 밀도로 신속히 팽창된다.
이후, 상기 헤드부(30)는 도 8과 같이 가동부(20)에 의해 후퇴하고, 시공관로(110) 내에 삽입 및 팽창되어 시공관로(110)의 내벽에 밀착된 충전폼 부재(200)의 포킹상태를 해제하면서 원복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서 격벽 구조체(110)에 형성된 각 시공관로(110)에 충전폼 부재(200)를 삽입 및 팽창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헤드부(30)에 포크핀 부재(31)를 포킹한 충전폼 부재(200)의 후단부를 협지하여 충전폼의 유동 발생을 억제하며, 상기 격벽 구조체(100)의 시공관로(110)에 삽입된 충전폼 부재(200)를 후방으로 후퇴하여 취출하는 핑거 그립퍼(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핑거 그립퍼(37)는 헤드부(30)에 공회전 구조로 설치되어, 공회전을 통해 충전폼 부재(200)의 진공팩(210)의 후단부를 다양한 각도로 협지함으로써, 핑거 그립퍼(37)를 통해 협지함에 따라 시공관로(110)와 핑거 그립퍼(37)에 의해 협지된 충전폼 부재(200)의 정렬상태가 흐트러지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포크핀 부재(31)에 의해 헤드부(30)에 포킹된 충전폼 부재(200)는, 핑거 그립퍼(37)에 의해 협지하여 고정되어서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는 헤드부(30)에 의해 시공관로(1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유동하거나 꺽임되는 현상이 억제된다.
특히, 상기 핑거 그립퍼(37)를 통해 포크핀 부재(31)에 의해 포킹된 충전폼 부재(200)의 후단을 협지하여 고정하면, 시공관로(110)를 따라 진입되는 과정에 충전폼 부재(200)가 시공관로(110)의 내벽에 돌출된 이물돌기에 간섭시 헤드부(30)를 통해 후퇴하여 충전폼 부재(200)를 시공관로(110)에서 취출한 다음, 상기 이물돌기를 제거하거나 충전폼 부재(200)의 삽입방향을 변경하여 해당 충전폼 부재(200)를 시공관로(110) 내에 재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1.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삽입 시공장치
10. 본체 11. 이송롤러
12. 승강 테이블 13. 조절 볼트유닛
20. 가동부 21. 가동로드
22. 진퇴레일 23. 가동자
23a. 안내롤러
30. 헤드부 31. 포크핀 부재
32. 진공 흡입관 33. 급기관
34. 밸브유닛 35. 흡기 압착부
36. 급기 팽창부 37. 핑거 그립퍼
100. 격벽 구조체 110. 시공관로
200. 충전폼 부재 210. 진공팩
220. 충전폼 T. 작업대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가동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로드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가동로드의 진행방향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진공팩 내에 충전폼이 진공 압축된 충전폼 부재를 상기 가동부의 이동방향 전방에 일렬 정렬된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삽입할 충전폼 부재의 후미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되어 충전폼 부재의 후미를 포킹하는 하나 이상의 포크핀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포크핀 부재가 삽입할 충전폼 부재의 후단부를 포킹한 상태로 상기 가동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진출하면서 충전폼 부재를 상기 시공관로내로 삽입하되,
    상기 헤드부의 포크핀 부재는 포킹된 충전폼 부재의 진공팩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통기관로가 형성된 중공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포크핀 부재가 전방으로 진출하여 충전폼 부재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진공팩 내의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진공팩 내부공간을 감압하는 흡기 압착부가 진공 흡입관을 통해 상기 포크핀 부재의 통기관로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 내에 삽입 완료된 충전폼 부재의 진공팩 내에 압축공기를 강제 주입하여 진공팩을 강제 팽창키킴으로써, 진공팩 내에서 진공 압축된 충전폼의 팽창공간을 확보하는 급기 팽창부가 급기관을 통해 상기 포크핀 부재의 통기관로와 연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포크핀 부재를 통해 포킹된 충전폼 부재의 후단부를 협지하여, 충전폼 부재의 유동 발생을 억제하며 격벽 구조체의 시공관로에 삽입된 충전폼 부재를 후방으로 후퇴하여 취출하는 핑거 그립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KR1020200074853A 2020-06-19 2020-06-19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KR102189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53A KR102189794B1 (ko) 2020-06-19 2020-06-19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53A KR102189794B1 (ko) 2020-06-19 2020-06-19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794B1 true KR102189794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853A KR102189794B1 (ko) 2020-06-19 2020-06-19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7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694B2 (ja) * 1990-11-28 1998-04-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すきま充填用膨張性防熱材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40094197A (ko) 2003-05-02 2004-11-09 이주태 스펀지나 스펀지를 포함한 물품의 압축 진공 포장방법
KR20100007106A (ko) * 2008-07-11 2010-01-22 장소현 파이프 인발기의 심봉 장입장치와 그 작동방법
KR20130130180A (ko) * 2012-03-07 2013-12-02 (주)동성화인텍 진공 팽창팩 및 제조방법
KR20160007188A (ko) 2014-07-11 2016-01-20 (주) 인셀 충진폼 압착 포장장치
KR20160024905A (ko) * 2016-02-22 2016-03-07 (주) 인셀 충전폼의 충전방법 및 충전폼 압착 포장장치
KR101970937B1 (ko) * 2019-01-15 2019-08-13 대한폴리텍(주) 진공압축 흡음재 압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재 제조방법
KR20200011667A (ko) * 2018-07-25 2020-02-04 (주) 인셀 충진폼 압착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694B2 (ja) * 1990-11-28 1998-04-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すきま充填用膨張性防熱材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40094197A (ko) 2003-05-02 2004-11-09 이주태 스펀지나 스펀지를 포함한 물품의 압축 진공 포장방법
KR20100007106A (ko) * 2008-07-11 2010-01-22 장소현 파이프 인발기의 심봉 장입장치와 그 작동방법
KR20130130180A (ko) * 2012-03-07 2013-12-02 (주)동성화인텍 진공 팽창팩 및 제조방법
KR20160007188A (ko) 2014-07-11 2016-01-20 (주) 인셀 충진폼 압착 포장장치
KR20160024905A (ko) * 2016-02-22 2016-03-07 (주) 인셀 충전폼의 충전방법 및 충전폼 압착 포장장치
KR20200011667A (ko) * 2018-07-25 2020-02-04 (주) 인셀 충진폼 압착 장치
KR101970937B1 (ko) * 2019-01-15 2019-08-13 대한폴리텍(주) 진공압축 흡음재 압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794B1 (ko) 격벽 구조체의 충전폼 부재 삽입 시공장치
EP1044793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ushions filled with a gaseous medium
BRPI1003606A2 (pt) processos de formaÇço de ponta
WO2018157566A1 (zh) 软管的气胀穿套装置及方法
CN1176164A (zh) 射钉枪
DE3443715C2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ein Ansetzteil aufweisenden Hohlkörpers
EP1283801B1 (en) Blow molded sealed aseptic bottle, method and apparatus with a sealing blade for producing the bottle
US3372703A (en) Tobacco moistener
KR101970937B1 (ko) 진공압축 흡음재 압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재 제조방법
CN211129588U (zh) 一种套缩肠衣抽真空封尾机构
EP3090633A1 (en) Multi-rod shirring machine
CN104870159A (zh) 在气体辅助注射模制工艺中用于生产元件的模制工具
WO2000043270A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pneumatically filled packing cushions
JP3538550B2 (ja) 針吹きノズル、エアー冷却方法及び装置、中空成形方法及び装置
CN215283106U (zh) 一种手模注塑模具结构
CN112077592B (zh) 一种软管阀自动装配机及其装配软管阀的方法
KR102354390B1 (ko) 핀치 라인 없는 라이너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비
US7067025B2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ir pillows used for packaging by means of a tubular film disposed on a reel
CN112872858A (zh) 一种快速打孔设备
KR200490157Y1 (ko) 타이어 펑크 봉합장치
CN208800558U (zh) 一种空心铸锭
KR200350781Y1 (ko) 금형가스제거장치
CN214912179U (zh) 一种经皮气管手术用气管扩张钳
US1702031A (en) Apparatus for leak stoppers and the like
CN220219628U (zh) 塑料制品用吹塑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