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584A - 신규 단백질 소재 - Google Patents

신규 단백질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584A
KR20200011584A KR1020207002225A KR20207002225A KR20200011584A KR 20200011584 A KR20200011584 A KR 20200011584A KR 1020207002225 A KR1020207002225 A KR 1020207002225A KR 20207002225 A KR20207002225 A KR 20207002225A KR 20200011584 A KR20200011584 A KR 2020001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iogenin
lactoperoxidase
protein material
bone
degrada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775B1 (ko
Inventor
아이코 오마치
히로아키 마츠야마
요시카즈 모리타
유코 이시다
다카유키 나라
켄 가토
아츠시 세리자와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4Mixtures of enzymes or proenzymes covered by more than a single one of groups A61K38/44 - A61K38/46 or A61K38/51 - A61K38/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91Angiogenesic factors; Angioge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65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e.g. lipases, ribonucle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1/00Oxidoreductases acting on a peroxide as acceptor (1.11)
    • C12Y111/01Peroxidases (1.11.1)
    • C12Y111/01007Peroxidase (1.11.1.7), i.e. horseradish-peroxid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27Endoribonucleases producing 3'-phosphomonoesters (3.1.2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고, 일상적으로 섭취함으로써,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한 신규 단백질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구 섭취에 의해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한 골강화용 음식품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2∼15 ㎎/100 ㎎ 함유하고, 또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하여, 질량비 0.3∼20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단백질 소재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단백질 소재를 섭취함으로써, 뼈를 강화, 특히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단백질 소재{NOVEL PROTEIN MATERIAL}
본 발명은, 신규 단백질 소재 및 이 단백질 소재를 배합한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또는 음식품, 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재는 골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분화 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다.
최근, 세계적 규모로, 고령화 등에 따라, 골다공증이나 골절 혹은 요통 등의 여러 가지 뼈에 관련된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것은, 칼슘의 섭취 부족이나 칼슘 흡수 능력의 저하, 폐경 후의 호르몬 언밸런스 등이 원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젊은 시절부터 골아세포에 의한 골형성을 촉진하여 체내의 골량을 가능한 한 증가시키고, 최대 골량이나 골강도(골밀도+골질)를 높이는 것이 유효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골질이란, 뼈의 미세 구조나 대사 회전, 미소 골절, 석회화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뼈는 균형이 잡힌 흡수와 형성을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지만(리모델링), 폐경 후의 호르몬 밸런스의 변화 등에 의해, 골흡수가 골형성을 상회하여, 이것이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여 골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뼈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現狀)으로부터, 뼈를 강화할 목적으로, 탄산칼슘이나 인산칼슘, 젖산칼슘 등의 칼슘염 및 유청 칼슘이나 우골분(牛骨粉), 난각(卵殼) 등의 천연 칼슘제를, 각각 단독으로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 등에 첨가한 것이 섭취되고 있다. 또는, 이들 칼슘제를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나 올리고당 등의 칼슘 흡수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과 함께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 등에 첨가한 것이 섭취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칼슘염이나 천연 칼슘제를 음식품에 첨가한 것을 섭취한 경우의 칼슘의 흡수율은 50% 이하로서, 대부분의 칼슘은 흡수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에 흡수된 칼슘이라도, 그 형태나 동시에 섭취되는 다른 영양 성분의 종류에 따라 뼈에 대한 친화성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골대사의 개선이나 골강화의 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 골다공증 치료나 골강화를 위한 의약으로서, 여성 호르몬 제제나 활성형 비타민 D3 제제, 비타민 K2 제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칼시토닌 제제 등이 알려져 있고, 항RANKL 항체 등의 신약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의약품을 이용한 경우, 이명(耳鳴), 두통, 식욕부진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물질은 안전성 및 비용 등의 면에서, 현재 음식품에 첨가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한편,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질병의 성질로부터, 장기적으로 경구 섭취할 수 있고, 골형성 촉진적 및 골흡수 억제적으로 작용하여 골강도를 높여, 그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골강화제 또는 음식품, 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골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식품 소재로는, 예컨대, 젖 유래의 염기성 단백질이나 그 효소 분해물인 펩티드 분획에 골아세포의 증식 활성이나 파골세포의 골흡수 억제 활성, 및, 이들을 통한 골강화 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젖 유래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 중에 포함되는 안지오제닌이나 락토페록시다아제에는, 각각 단독으로 골대사를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2, 3, 4).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5133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7585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8320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0321호 공보
본 발명은, 안전하고, 일상적으로 섭취함으로써 골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분화 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뼈를 강화할 수 있는 신규 단백질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구 섭취에 의해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한 골강화용 의약품 또는 음식품,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특정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고, 또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하여 특정 범위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단백질 소재를 섭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골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분화 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1)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2∼15 ㎎/100 ㎎ 함유하고, 또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하여 질량비 0.3∼20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단백질 소재.
(2) (1)에 기재된 단백질 소재를 함유하는 음식품 또는 사료.
(3) (1)에 기재된 단백질 소재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골강화제.
(4) (1)에 기재된 단백질 소재를 5 ㎎/일 이상 섭취하는 골강화 방법.
(5) 다음 1)∼3)의 공정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단백질 소재의 제조 방법.
1)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조제하는 공정.
2)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조제하는 공정.
3) 상기 2)의 공정에서 조제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상기 1)의 공정에서 조제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하여, 질량비가 0.3∼20이 되도록 배합하는 공정.
(6) 젖 및/또는 젖 원료로부터,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질량비가 0.3∼20이 되도록,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단백질 소재의 제조 방법.
(7) 안지오제닌과 락토페록시다아제를 포함하는 분획 중의 안지오제닌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를 효소 분해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6)에 기재된 단백질 소재의 제조 방법.
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통한 골강화 작용이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배합한 의약품 또는 음식품, 사료는, 뼈를 강화하여,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의 특징은,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특정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고, 또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하여 특정 범위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특정 범위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한 것이나, 젖, 또는 탈지유나 유청 등의 젖 유래의 젖 원료로부터 직접,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특정 범위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분획을 추출하여 조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에 효소 등을 작용시켜, 안지오제닌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를 분해한 것도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에 포함된다.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로 하는 경우,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이나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포함하는 분획으로는, 인간, 소, 물소, 염소, 양 등의 포유류의 젖으로부터 조제되는 분획이나 유전자 공학적 수법에 의해 생산되는 분획, 혈액이나 장기로부터 정제된 분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제되어, 시판되고 있는 안지오제닌이나 락토페록시다아제의 시약을 사용할 수도 있고,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를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안지오제닌을 포함하는 분획, 안지오제닌의 시약이나 락토페록시다아제를 포함하는 분획, 락토페록시다아제의 시약 등을 각각 1종류 이상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분해한 것을 안지오제닌 분해물이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젖, 또는 탈지유나 유청 등의 젖 유래의 원료로부터 직접,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특정 범위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분획을 추출하여 조제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젖 또는 젖 원료를 양이온 교환수지와 접촉시킨 후, 그 수지에 흡착된 젖 유래 단백질을 0.1∼2.0 M의 염 농도로 용출하고, 역침투막이나 전기 투석막, 한외 여과막, 정밀 여과막 등에 의해 탈염, 농축한 후, 필요에 따라, 트립신, 판크레아틴, 키모트립신, 펩신, 파파인, 칼리크레인, 카텝신, 서몰리신, V8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분자량이 8,000 이하가 되도록 한정 분해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분해 효소로 한정 분해하는 경우는, 분자량의 하한은 5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단백질 소재는, 동결 건조나 분무 건조 등에 의해 건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의 프로테옴 해석을 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변성 및 환원 하에서 소화 효소에 의한 한정 분해를 행한 후, LC/MS/MS에 의해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과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 이외에, αs1 카제인, αs2 카제인, β 카제인, 혹은, κ 카제인 중 어느 하나의 단백질 및/또는 이들 단백질의 분해물을 적어도 하나 함유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을 2∼15 ㎎/100 ㎎ 함유하고,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을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질량비가 0.3∼20인 범위에서 함유한다.
이후의 시험예에서 나타내지만,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질량비가 0.3∼20임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보다도 효과적으로 골강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참고이기는 하지만, 우유 중의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은 약 0.001%이고,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질량비는 20 정도이다. 또한, 훼이 단백질 농축물(WPC) 중에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이 약 0.1% 포함되고,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질량비는 30 정도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서 적절하게 배합하여 골강화제로서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그대로 골강화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골강화제로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인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 이외에, 당류나 지질, 단백질, 비타민류, 미네랄류, 플레이버 등, 다른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에 통상 사용하는 원재료 등과 혼합하는 것이나, 또한, 통상법에 따라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와 다른 골강화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 예컨대 칼슘이나 비타민 D, 비타민 K, 이소플라본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후술하는 실험동물에서의 시험에 있어서, 체중 1 ㎏당 5 ㎎ 이상 경구 섭취시킴으로써, 뼈를 강화할 수 있다. 이 실험동물에 있어서의 섭취량은, 혈중 약물 농도에 있어서, 성인 1인당의 섭취량에 해당하기 때문에(나카지마 미츠요시(1993) 「제8권 약효평가」 히로카와쇼텐 2-18 페이지), 통상, 성인 1인 1일당,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5 ㎎ 이상 섭취함으로써 골강화, 특히, 골다공증이나 골절,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예방이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골강화제 등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이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통상의 음식품, 예컨대 요구르트, 음료, 웨이퍼스, 디저트 등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음식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음식품 100 g당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0.25∼1000 ㎎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배합량으로 함으로써 골강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료, 예컨대 가축용 사료나 애완동물 사료 등에 배합하여, 골강화용 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사료 100 g당 0.25∼1000 ㎎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의 형태로 조제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탈이온수에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를 현탁 혹은 용해시키고, 교반 혼합하여 이용한다. 교반 혼합의 조건으로는,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가 균일하게 혼합되면 되고, 울트라 디스퍼서나 TK 호모 믹서 등을 사용하여 교반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소재의 용액은,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에 사용하기 쉽도록, 필요에 따라, 역침투막 등에 의한 탈염, 농축이나, 동결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살균 처리를 행하여도 골강화에 관한 활성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상기 소재를 분말상으로 한 경우에는 건열 살균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는, 액상, 겔상, 분말상, 과립상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참고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예 1]
(안지오제닌 분획의 조제 1)
양이온 교환수지인 술폰화 키토펄(후지보세키사 제조) 30 ㎏을 충전한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칼럼에 미살균 탈지유 1,000 ℓ(pH 6.7)를 통액시켰다. 다음에, 이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0.1∼2.0 M의 염화나트륨의 직선 농도 구배로 용출하였다. 그리고, 안지오제닌을 함유하는 용출 분획을 S-Sepharose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아머샴바이오사이언스사 제조)로 분획하고, 얻어진 안지오제닌 함유 분획을 9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하고, 원심 분리함으로써 침전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 안지오제닌 함유 분획을 Superose12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였다. 이 용출액을 역침투막에 의해 탈염한 후, 동결 건조시켜 안지오제닌의 순도가 90%인 안지오제닌 분획 16.5 g을 얻었다. 이들 일련의 처리를 30회 반복하였다.
[참고예 2]
(안지오제닌 분획의 조제 2)
헤파린어피니티세파로오스(GE 헬스케어사 제조) 10 ㎏을 충전한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칼럼에 미살균 탈지유 1000 ℓ(pH 6.7)를 통액시켰다. 다음에, 이 칼럼을 0.6 M의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충분히 세정한 후, 1.5 M의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역침투막에 의해 탈염한 후, 동결 건조시켜 안지오제닌의 순도가 2%인 안지오제닌 분획 32 g을 얻었다. 이들 일련의 처리를 50회 반복하였다.
[참고예 3]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의 조제)
양이온 교환수지인 술폰화 키토펄(후지보세키사 제조) 600 g을 충전한 칼럼(직경 5 ㎝×높이 30 ㎝)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칼럼에 미살균 탈지유 360 ℓ(pH 6.7)를 유속 25 ㎖/min으로 통액시켰다. 통액 후,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2.0 M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0.02 M 탄산 완충액(pH 7.0)으로 용출하였다. 그리고 락토페록시다아제를 함유하는 용출 분획을 S-Sepharose FF 칼럼(아머샴바이오사이언스사 제조)에 흡착시켜,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10 mM의 인산 완충액(pH 7.0)으로 평형화한 후, 0∼2.0 M의 염화나트륨의 리니어 그래디언트(linear gradient)로 흡착시킨 분획을 용출하고, 락토페록시다아제를 포함하는 분획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그 분획을 HiLoad 16/60 Superdex 75 pg(아머샴바이오사이언스사 제조)를 이용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였다. 이 용출액을 역침투막에 의해 탈염한 후, 동결 건조시켜 락토페록시다아제의 순도가 90%인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27 g을 얻었다. 이들 일련의 처리를 25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1
참고예 1의 안지오제닌 분획 0.59 ㎎과 참고예 2의 안지오제닌 분획 98.58 ㎎과 참고예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0.83 ㎎을 혼합하여,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2.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0.3인 단백질 소재(실시예품 1)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참고예 1의 안지오제닌 분획 0.73 ㎎과 참고예 2의 안지오제닌 분획 92.33 ㎎과 참고예 3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6.94 ㎎을 혼합하여,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2.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2.5인 단백질 소재(실시예품 2)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
참고예 1의 안지오제닌 분획 1.83 ㎎과 참고예 2의 안지오제닌 분획 42.61 ㎎과 참고예 3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55.56 ㎎을 혼합하여,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2.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20인 단백질 소재(실시예품 3)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1]
참고예 1의 안지오제닌 분획 0.57 ㎎과 참고예 2의 안지오제닌 분획 99.15 ㎎과 참고예 3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0.28 ㎎을 혼합하여,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2.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0.1인 단백질 소재(비교예품 1)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2]
참고예 1의 안지오제닌 분획 2.08 ㎎과 참고예 2의 안지오제닌 분획 31.25 ㎎과 참고예 3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66.67 ㎎을 혼합하여,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2.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24인 단백질 소재(비교예품 2)를 조제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에 대해서, 골아세포 증식 효과,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효과 및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골아세포 증식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주화(株化) 골아세포(MC3T3-E1)를 96 구멍의 평판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2×103 cells/well이 되도록 파종하고,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α-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전부 제거한 후,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지 않는 α-MEM 배지를 90 ㎕씩 첨가하고,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를 용해한 용액을 10 ㎕씩 첨가하여, 24시간 배양을 더 계속하였다. Cell Proliferation kit(GE 헬스케어사 제조) 부속의 브로모데옥시우리딘(BrdU)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페록시다아제 표지 항BrdU 항체와 반응시켜, 기질인 3,3',5,5'-테트라메틸벤지딘을 첨가하고, 450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에 함유된 BrdU량을 측정함으로써 골아세포 증식 활성을 구하였다. 배지에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를 첨가하지 않은 군(대조)의 450 ㎚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대하여, 첨가한 군의 흡광도가 유의하게 높았을 경우에, 골아세포 증식 활성 양성으로 하였다.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5일령의 토끼의 경골 및 대퇴골을 적출하여, 연조직을 제거한 후, 5% FBS를 포함하는 α-MEM 배지 중에서 기계적으로 세절(細切)한 파골세포를 포함하는 전체 골수세포를 1×106 cells/well이 되도록 결정성 인산칼슘 플레이트(Cornig사 제조)의 웰 상에 뿌려, 배양하였다. 배양 2시간 후에, 배지를 전부 제거한 후, 5% FBS를 포함하는 α-MEM 배지를 180 ㎕씩 첨가하고,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를 용해한 용액을 20 ㎕씩 첨가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5%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세포를 제거한 후, 인산칼슘 플레이트의 웰 상에 생긴 골흡수 구멍(피트)을 실체 현미경 하에서 촬영하고, 화상 해석에 의해 그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세노 다케시 연구진, 연구 테마별 동물 배양 세포 메뉴얼, pp. 199-200, 1993). 배지에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를 첨가하지 않은 군(대조)의 피트 면적에 대하여, 첨가한 군의 피트 면적이 유의하게 낮았을 경우에, 파골세포 골흡수 억제 활성 양성으로 하였다.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ddy 마우스(7 또는 8주령, 웅성)의 대퇴골로부터 채취한 골수세포를 4×104 cells/well이 되도록, 96 well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25 ng/㎖ M-CSF를 함유한 10% FBS 함유 α-MEM 배지(GIBCO사 제조) 200 ㎕에서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2일 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5 ng/㎖ RANKL 및 25 ng/㎖ M-CSF를 함유한 10% FBS 함유 α-MEM 배지를 180 ㎕/well 첨가하고,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를 용해한 용액을 20 ㎕씩 첨가하여, 37℃, 5% CO2의 조건으로 2일간 배양한 후, 배지를 교환하여 1일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을 제거하여, PBS로 세정하고, 아세톤-에탄올(1:1) 용액으로 1분간 처리하여 고정한 후, 1.5 ㎎/㎖의 p-니트로페닐인산이나트륨-20 mM 타르타르산나트륨-50 mM 시트르산 완충액(pH 4.5)을 100 ㎕/well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1 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50 ㎕/well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한 후, 405 ㎚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파골세포 분화 성숙의 지표로 하였다. 배지에 실시예품 1∼3 및 비교예품 1, 2를 첨가하지 않은 군(대조)의 405 ㎚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대하여, 첨가한 군의 흡광도가 유의하게 낮았을 경우에, 파골세포 분화 억제 활성 양성으로 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인 실시예품 1∼3은 모든 세포 분석의 활성이 양성이었다. 그것에 대하여, 비교예품 1, 2에서는, 일부의 세포 분석의 활성이 양성이었지만, 음성의 세포 분석도 존재하였다.
실시예 4
양이온 교환수지인 술폰화 키토펄(후지보세키사 제조) 600 g을 충전한 칼럼(직경 5 ㎝×높이 30 ㎝)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칼럼에 미살균 탈지유(pH 6.7) 40 ℓ를 유속 25 ㎖/min으로 통액시켰다. 통액 후, 이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78 M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0.02 M 탄산 완충액(pH 7.0)으로 수지에 흡착된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역침투막에 의해 탈염한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의 단백질 소재 18 g을 얻었다(실시예품 4). 이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2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18이고, 그대로 골강화제, 또는 골강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프로테옴 해석의 결과, 이 단백질 소재에는, β 카제인과 κ 카제인의 분해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5
양이온 교환수지인 SP 토요펄(도소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0 ㎏을 충전한 칼럼(직경 20 ㎝×높이 100 ㎝)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칼럼에 75℃에서 15초간 가열 살균한 유청 3 t(pH 6.2)를 유속 10 ℓ/min으로 통액시켰다. 통액 후, 이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68 M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0.1 M 시트르산 완충액(pH 5.7)으로 수지에 흡착된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전기 투석막에 의해 탈염한 후, 동결 건조시켰다. 이 일련의 조작을 20회 반복하여, 분말상의 단백질 소재 3.3 ㎏을 얻었다(실시예품 5). 이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1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0.8이고, 그대로 골강화제, 또는 골강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프로테옴 해석의 결과, 이 단백질 소재에는, αs1 카제인과 κ 카제인의 분해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품 4의 단백질 소재 4 g을 물 800 ㎖에 용해하고, 최종 농도가 0.02 중량%가 되도록 단백질 분해 효소인 판크레아틴(시그마사 제조)을 첨가하여 37℃에서 8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였다. 그리고, 90℃에서 5분간 가열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단백질 소재 3.2 g을 얻었다(실시예품 6).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함량이 2.0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16이고, 분자량이 8,000 이하였기 때문에, 그대로 골강화제, 또는 골강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프로테옴 해석의 결과, 이 단백질 소재에는, β 카제인과 κ 카제인의 분해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품 5의 단백질 소재 4 g을 물 800 ㎖에 용해하고, 최종 농도가 0.03 중량%가 되도록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시그마사 제조)을 첨가하여, 37℃에서 8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였다. 그리고, 90℃에서 5분간 가열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단백질 소재 3.0 g을 얻었다(실시예품 7).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함량이 14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0.7이고, 분자량이 8,000 이하였기 때문에, 그대로 골강화제, 또는 골강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프로테옴 해석의 결과, 이 단백질 소재에는, αs1 카제인과 κ 카제인의 분해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교예 3]
참고예 3의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획 10 ㎎과 실시예품 4의 단백질 소재 100 ㎎을 혼합하여,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1.8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22.5인 단백질 소재(비교예품 3)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4]
참고예 1의 안지오제닌 분획 1 g과 실시예품 5의 단백질 소재 2 g을 혼합하여, 물 800 ㎖에 용해하고, 최종 농도가 0.02 중량%가 되도록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시그마사 제조)을 첨가하여, 37℃에서 12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였다. 그리고, 90℃에서 5분간 가열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단백질 소재 2.8 g을 얻었다(비교예품 4).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함량이 39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0.2였다.
[비교예 5]
양이온 교환수지인 CM 세파로오스 FF(GE 헬스케어사 제조) 100 g을 충전한 칼럼(직경 5 ㎝×높이 5 ㎝)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칼럼에 미살균 탈지유(pH 6.7) 40 ℓ를 유속 40 ㎖/min으로 통액시켰다. 통액 후, 이 칼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98 M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0.02 M 탄산 완충액(pH 6.8)으로 수지에 흡착된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역침투막에 의해 탈염한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의 단백질 소재 20 g을 얻었다(비교예품 5). 이 단백질 소재는,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의 함량이 1.5 ㎎/100 ㎎, 또한 안지오제닌 및/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에 대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및/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의 질량비가 30이었다.
[시험예 2]
실시예품 4, 5 및 비교예품 3, 5의 골강화 작용에 대해서 동물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실험에는 5주령의 C3H/HeJ계 수컷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1주일 동안 예비 사육한 후, 마우스를 6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실시예품 4, 5 및 비교예품 3, 5를 마우스 체중 1 ㎏당, 각각 5 ㎎이 되도록 1일 1회 존데로 경구 투여하여 4주일 동안 사육하였다. 또한, 실시예품 4, 5 및 비교예품 3, 5를 투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투여 종료 후(4주째)에, 마우스의 우측 경골의 골밀도를 마이크로 CT[(주)리가쿠 제조]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인 실시예품 4, 5를 4주일 동안 경구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 또는 비교예품 3, 5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골밀도가 상승하였다.
[시험예 3]
실시예품 6, 7 및 비교예품 4, 5의 골강화 작용에 대해서 동물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실험에는 51주령의 SD계 암컷 래트 48마리를 이용하였다. 래트를 8마리씩 6군으로 나누어, 5군은 난소 적출 수술을 행하고, 나머지 1군은 유사 수술을 실시하였다. 4주일 동안의 회복 기간을 두고, 난소 적출 수술을 실시한 래트에게 실시예품 6, 7 및 비교예품 4, 5를 래트 체중 1 ㎏당, 각각 5 ㎎이 되도록 1일 1회 존데로 경구 투여하여 16주일 동안 사육하였다. 실시예품 6, 7 및 비교예품 4, 5를 투여하지 않는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또한, 4주일 동안의 회복 기간 후, 유사 수술을 실시한 래트도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16주일 동안 사육하였다. 투여 종료 후(16주째)에, 래트의 우측 대퇴골의 골밀도를 마이크로 CT[(주)리가쿠 제조]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백질 소재인 실시예품 6, 7을 16주일 동안 경구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 또는 비교예품 4, 5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골밀도가 상승하고, 그 값은 유사 수술군에 가까운 레벨이었다.
실시예 8
(골강화용 액상 영양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품 4의 단백질 소재 5 g을 4995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TK 호모 믹서(TK ROBO MICS; 도쿠슈기카고교사 제조)로, 6000 rpm으로 30분간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품 4를 100 ㎎/100 g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 5.0 ㎏에, 카제인 4.0 ㎏, 대두 단백질 5.0 ㎏, 어유 1.0 ㎏, 차조기유 3.0 ㎏, 덱스트린 18.0 ㎏, 미네랄 혼합물 6.0 ㎏, 비타민 혼합물 1.95 ㎏, 유화제 2.0 ㎏, 안정제 4.0 ㎏, 향료 0.05 ㎏을 배합하고, 200 ㎖의 레토르트 파우치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살균기(제1종 압력 용기, TYPE: RCS-4CRTGN, 히사카세이사쿠쇼사 제조)로 121℃, 20분간 살균하여, 골강화용 액상 영양 조성물 50 ㎏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골강화용 액상 영양 조성물에는, 침전 등은 확인되지 않고, 풍미에 이상은 느껴지지 않았다.
실시예 9
(골강화용 겔상 식품의 조제)
실시예품 5의 단백질 소재 2 g을 708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울트라 디스퍼서(ULTRA-TURRAX T-25; IKA 재팬사 제조)로, 9500 rpm으로 30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이 용액에, 소르비톨 40 g, 산미료 2 g, 향료 2 g, 펙틴 5 g, 유청 단백질 농축물 5 g, 젖산칼슘 1 g, 탈이온수 235 g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200 ㎖의 치어팩에 충전하고, 85℃, 20분간 살균 후, 마개를 막아, 골강화용 겔상 식품 5봉지(200 g 들이)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골강화용 겔상 식품에는, 침전 등은 확인되지 않고, 풍미에 이상은 느껴지지 않았다.
실시예 10
(골강화용 음료의 조제)
산미료 2 g을 706 g의 탈이온수에 용해한 후, 실시예품 6의 단백질 소재 4 g을 용해하고, 울트라 디스퍼서(ULTRA-TURRAX T-25; IKA 재팬사 제조)로, 9500 rpm으로 30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말티톨 100 g, 환원 물엿 20 g, 향료 2 g, 탈이온수 166 g을 첨가한 후, 100 ㎖의 유리병에 충전하고, 95℃, 15초간 살균 후, 마개를 막아, 골강화용 음료 10개(100 ㎖ 들이)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골강화용 음료에는, 침전 등은 확인되지 않고, 풍미에 이상은 느껴지지 않았다.
실시예 11
(골강화용 사료의 조제)
실시예품 7의 단백질 소재 2 ㎏을 98 ㎏의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TK 호모 믹서(MARKII 160형; 도쿠슈기카고교사 제조)로, 3600 rpm으로 40분간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품 7의 단백질 소재를 2 g/100 g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 10 ㎏에 대두박(大豆粕) 12 ㎏, 탈지분유 14 ㎏, 대두유 4 ㎏, 콘유 2 ㎏, 팜유 23.2 ㎏, 옥수수전분 14 ㎏, 밀가루 9 ㎏, 밀기울 2 ㎏, 비타민 혼합물 5 ㎏, 셀룰로오스 2.8 ㎏, 미네랄 혼합물 2 ㎏을 배합하고, 120℃, 4분간 살균하여, 골강화용 개사육 사료 100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골강화제(정제)의 조제)
표 4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1 g으로 성형, 타정하여 골강화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4

Claims (4)

  1. 안지오제닌 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또는 둘 다를 2∼15 ㎎/100 ㎎ 함유하고, 또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 또는 둘 다를, 안지오제닌 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또는 둘 다에 대하여 질량비 0.3∼20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골밀도 증진용 식품 조성물.
  2. 다음 1)∼3)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골밀도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 안지오제닌 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또는 둘 다를 조제하는 공정.
    2) 락토페록시다아제 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 또는 둘 다를 조제하는 공정.
    3) 상기 2)의 공정에서 조제한 락토페록시다아제 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 또는 둘 다를, 상기 1)의 공정에서 조제한 안지오제닌 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또는 둘 다에 대하여, 질량비가 0.3∼20이 되도록 배합하는 공정.
  3. 젖 또는 젖 원료 또는 둘 다로부터, 락토페록시다아제 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 또는 둘 다의 안지오제닌 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또는 둘 다에 대한 질량비가 0.3∼20이 되도록, 안지오제닌 또는 안지오제닌 분해물 또는 둘 다와 락토페록시다아제 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분해물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분획을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골밀도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안지오제닌과 락토페록시다아제를 포함하는 분획 중의 안지오제닌 또는 락토페록시다아제 또는 둘 다를 효소 분해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골밀도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7002225A 2012-07-31 2012-07-31 골밀도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7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9392 WO2014020676A1 (ja) 2012-07-31 2012-07-31 新規タンパク質素材
KR1020197015143A KR20190060895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143A Division KR20190060895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584A true KR20200011584A (ko) 2020-02-03
KR102277775B1 KR102277775B1 (ko) 2021-07-15

Family

ID=5002740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143A KR20190060895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KR1020157004087A KR20150036667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KR1020187020463A KR20180085063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KR1020207002225A KR102277775B1 (ko) 2012-07-31 2012-07-31 골밀도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143A KR20190060895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KR1020157004087A KR20150036667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KR1020187020463A KR20180085063A (ko) 2012-07-31 2012-07-31 신규 단백질 소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150297690A1 (ko)
EP (1) EP2880995A4 (ko)
JP (1) JP6203724B2 (ko)
KR (4) KR20190060895A (ko)
CN (1) CN104507334B (ko)
AU (1) AU2012386759B2 (ko)
BR (1) BR112015002045A2 (ko)
CA (1) CA2879948C (ko)
HK (1) HK1207259A1 (ko)
MX (1) MX2015001339A (ko)
PH (1) PH12015500049B1 (ko)
SG (1) SG11201500457RA (ko)
TW (1) TWI586362B (ko)
WO (1) WO2014020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79962C (en) 2012-07-31 2018-11-20 Megmilk Snow Brand Co., Ltd. A drink of the combination of angiogenin and lactoperoxidase for use in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
MY167578A (en) 2012-07-31 2018-09-20 Megmilk Snow Brand Co Ltd Novel chees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50297690A1 (en) 2012-07-31 2015-10-22 Megmilk Snow Brand Co., Ltd. Novel protein material
CA2879992C (en) 2012-07-31 2020-08-25 Megmilk Snow Brand Co., Ltd. Novel fermented milk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196245A1 (en) * 2014-06-25 2015-12-30 Adelaide Research & Innovation Pty Ltd Modulation of osteogenesis and or angiogenesis by modulating peroxidase functiona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331A (ja) 1994-09-30 1996-06-1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強化剤
JPH107585A (ja) 1996-06-20 1998-01-13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形成促進及び骨吸収防止剤
JP2004238320A (ja) 2003-02-05 2004-08-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吸収抑制剤
JP2005060321A (ja) 2003-08-15 2005-03-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形成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7619B2 (en) 2003-08-15 2014-02-11 Megmilk Snow Brand Co., Ltd. Osteogenesis promoter
US8021659B2 (en) * 2006-04-28 2011-09-20 Naidu Lp Coenzyme Q10, lactoferrin and angiogenin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NZ547859A (en) * 2006-06-09 2009-05-31 Dec Int Nz Ltd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for mastitis
CA2702645C (en) * 2006-11-10 2018-01-02 Agriculture Victoria Services Pty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giogenin
RU2366294C1 (ru) 2008-03-12 2009-09-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рикладной биотехнолог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добавки "мобелиз" и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бад "мобелиз"
AU2009246053B2 (en) 2008-05-14 2014-07-24 Agriculture Victoria Services Pty Ltd. Use of angiogenin or angiogenin agonists for treating diseases and disorders
US20110262422A1 (en) * 2008-05-14 2011-10-27 Murray Goulburn Co-Operative Co., Limited Orally administrable dosage forms comprising angiogenin and uses thereof
KR20100084454A (ko) * 2009-06-24 2010-07-2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안지오제닌을 함유하는 뼈 재생용 조성물
MY167578A (en) 2012-07-31 2018-09-20 Megmilk Snow Brand Co Ltd Novel chees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2879992C (en) 2012-07-31 2020-08-25 Megmilk Snow Brand Co., Ltd. Novel fermented milk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140162B2 (ja) 2012-07-31 2017-05-31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骨強化用粉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A2879962C (en) 2012-07-31 2018-11-20 Megmilk Snow Brand Co., Ltd. A drink of the combination of angiogenin and lactoperoxidase for use in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
US20150297690A1 (en) 2012-07-31 2015-10-22 Megmilk Snow Brand Co., Ltd. Novel protein materi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331A (ja) 1994-09-30 1996-06-1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強化剤
JPH107585A (ja) 1996-06-20 1998-01-13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形成促進及び骨吸収防止剤
JP2004238320A (ja) 2003-02-05 2004-08-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吸収抑制剤
JP2005060321A (ja) 2003-08-15 2005-03-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骨形成促進剤
KR20060058107A (ko) * 2003-08-15 2006-05-29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골 형성 촉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775B1 (ko) 2021-07-15
MX2015001339A (es) 2015-09-04
WO2014020676A1 (ja) 2014-02-06
US9861687B2 (en) 2018-01-09
CA2879948A1 (en) 2014-02-06
BR112015002045A2 (pt) 2017-08-01
SG11201500457RA (en) 2015-03-30
CN104507334B (zh) 2016-11-16
CN104507334A (zh) 2015-04-08
JP6203724B2 (ja) 2017-09-27
PH12015500049A1 (en) 2015-03-02
PH12015500049B1 (en) 2015-03-02
TW201410254A (zh) 2014-03-16
AU2012386759B2 (en) 2016-05-19
KR20180085063A (ko) 2018-07-25
US20170348399A1 (en) 2017-12-07
AU2012386759A1 (en) 2015-03-05
US20150297690A1 (en) 2015-10-22
HK1207259A1 (en) 2016-01-29
NZ704911A (en) 2016-01-29
EP2880995A4 (en) 2015-12-23
KR20190060895A (ko) 2019-06-03
EP2880995A1 (en) 2015-06-10
TWI586362B (zh) 2017-06-11
CA2879948C (en) 2017-03-14
KR20150036667A (ko) 2015-04-07
JPWO2014020676A1 (ja)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090B1 (ko) 골 형성 촉진제
US9861687B2 (en) Protein material
TWI626010B (zh) 奶粉類之用途及其製造方法
TWI620509B (zh) 飲料之用途及其製造方法
US20210393751A1 (en) Novel protein material
JP6357266B2 (ja) 骨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タンパク質素材
JP6357265B2 (ja) 骨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タンパク質素材
NZ704911B2 (en) Protein material comprising angiogenin and lactoperoxidase
NZ704905B2 (en) Protein material comprising angiogenin and cystat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