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702A -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702A
KR20200010702A KR1020180084520A KR20180084520A KR20200010702A KR 20200010702 A KR20200010702 A KR 20200010702A KR 1020180084520 A KR1020180084520 A KR 1020180084520A KR 20180084520 A KR20180084520 A KR 20180084520A KR 20200010702 A KR20200010702 A KR 2020001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loc
weight
feed
water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527B1 (ko
Inventor
김성락
Original Assignee
김성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락 filed Critical 김성락
Priority to KR102018008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40Mineral licks, e.g. sal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600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 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 또는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인 보조사료 10kg을 더 추가하여 조성된 바이오플락 사료를 이용하여 다슬기를 양식하는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Feed and liquid cultured for Marsh snail including Biofloc}
본 발명은 효모와 유산균, 고농축혼합미생물, 당밀, 대두 등으로 조성된 사료로 구성된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을 이용한 다슬기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하우스 양식, 일명 바이오플락(Biofloc) 양식이 그 해결책으로 대두 되고 있다. 바이오플락 양식이란, 종속 영양세균 (heterotrophic bacteria, 타급영양세균, 타가영양균)과 수산물을 함께 양식하여 종속 영양세균이 수조 물속의 유기부산물(질소를 포함한)을 조류(algae, 물에 사는 하등식물)보다 10~100배 빨리 분해하여 물을 정화시킴으로서 종속 영양세균에 분해된 유기부산물은 다시 단백질 먹이가 되어 물 교환 및 수처리등의 여과 과정이 필요 없는 양식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바이오플락 양식 기술은 바닷물을 교환하지 않으므로 바닷물을 통하여 유입되는 질병원의 전염을 차단 가능하고, 양식밀도를 높임으로써 양식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새우의 플락 재섭취를 통하여 사료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독립된 공간에서 양식함으로 사료의 손실이 적어 경제적이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한 양식기술이므로 항생제등 다른 화학제품의 사용이 필요 없어 식품 안전성이 담보된 친환경기술이다.
이와 같은 바이오플락 양식은 양식수 교환 없이 독립된 공간에서 사육하므로 수질오염에 따른 수산물의 폐사가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이오플락 양식에 있어서는 자체적인 정화능력을 갖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핵심이다. 바이오플락 양식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민간양식에 많이 공급되지 않는 원인은 아직 자체적으로 수질을 개선하는 미생물과 그 이용방법이 확립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종래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플락 양식 기술은 1990년대 이스라엘에서 틸라피아 양식에 처음 시도되었으며 새우 양식기술에는 1990년대 미국에서 처음 적용되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동남아에서도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국내에서는 2003년 수산과학원에서 기술개발에 착수하였으며 2011년 이후 민간양식에 기술이전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민간양식에서는 미생물 종류와 증식상태 등이 부적절하여 효과적으로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을 제거하지 못하거나 사료첨가량과 투여시기, 탄소와 질소 비율 조절 등 관리 부족으로 인하여
양식에 실패하는 경우도 많아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오플락 양식기술은 독립되고 밀폐된 공간에서 수산물을 양식하므로 첨가된 사료의 부패, 수산물의 배설물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이 많이 생성되는데 이런 물질은 수산물에 독소로 작용하여 폐사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바이오플락 양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유용 미생물이 양식장에서 증식하면서 첨가된 사료의 부패, 새우의 배설물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들 미생물을 수산물이 섭취하여 영양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수산물의 증체량과 면역력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바이오플락 양식기술의 핵심이다.
종래 수산양식에서 미생물의 이용은 식물먹이생물 (Fukami et al., 1997; Rico et al.,1998), Rotifer(Gatesoupe, 1991; Douillet, 2000), Artemia (Verschuere et al.,1999), 어류(Beveridge et al.,1989;Skjermo and Vadstein, 1999), 패류 (Riquelme et al., 1997; Gibson et al., 1998) 및 새우류 (Rengpipat etal., 1998; Rengpipat et al., 2000; Shariff et al., 2001) 등 수산양식 의 거 의 모든 분야에 걸쳐 사용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 양식 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혼합되어있는 미생물제를 사용하고 있어 미생물의 관리가 어렵고 문제 발생시 원인 파악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되지 않아 재현성있게 양식이 되지 않고,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66770(2018.06.19.)호에는 암모니아 및 아질산 분해능을 갖는 신규미생물 페니바실러스 속 DB8균주(panibacillus sp. DB8) KCTC 13134BP,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플락 수산물 양식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수산물 양식 방법 및 바이오플락 수산물 양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72192(2018.06.29.)호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테퀼렌시스 (Bacillus tequilensis), 페니바실러스 일리노이센시스(Paenibacillus illinoisensis) 및 사카로미콥시스 스코에니(Saccharomycopsis schoenii) 균주를 혼합한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취 및 어류 양식장 수질정화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오폐수처리장, 축사, 퇴비공장 또는 화장실에 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어류 양식장에 처리하여 수질을 정화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706310000(2013.05.28.)호에는 좁은 공간 안에서 자연생태계에서 생태학적 위치(ecological niche)가 다른 생물(어류, 패류, 무척추동물, 식물)을 복합적으로 사육함으로 사료의 절감, 수질의 정화 등을 환경친화적으로 조절하며 생산하고 유지할 수 있는 수조 시스템으로, 어류사육시 잔여 먹이, 배설물 등을 새우류가 섭식하고 어류와 새우에서 배설된 잔류물과 분해된 유기물을 패류 및 무척추동물이 섭취하며 사육수내에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용해된 질소원을 수경재배용 식물이 이용하여 다영양양식(multitropic culture)이 가능하다. 사육수는 환수를 최소화함으로서 서식하는 미생물이 번식하게 하여 바이오플락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바이오플락이 사육생물의 먹이로 재 섭취되는 효과를 갖게 된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47761(2016.05.03.)호에는 어패류가 사육되는 양식조에 연결되며 내부에서 조류를 배양하는 조류배양조로 이루어진 조류배양부를 구비하여 양식조에서 생성된 질산염과 인산염등의 영양염류가 함유된 오염수를 조류에 의하여 제거하고, 각종 수조의 하부에 배양된 조류 및 조류플락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를 형성하여 어패류의 사육시 소비되는 사료를 자체적으로 소모하며, 조류배양조에서 배양된 조류의 성장으로 인하여 양식조의 내부에 자연적 산소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는 조류 배양조가 구비된 순환형 어패류 양식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80550000(2015.03.26.)호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외부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부수조와 집수정이 설치되고; 사육수 공급파이프는 집수정에서 출발하여 수조본체로 연결되고; 상기 수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는 부수조와 배수파이프로 연결되고; 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는 집수정과 복수개의 파이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가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41350000(2003.01.30.)호에는 다슬기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다슬기는 대부분 자연산으로 채취하였으나 민물의 유입, 물의 온도조절, 유속발생, 급배수,부양토등으로 다슬기가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양식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66770(2018.06.19.)호 2.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72192(2018.06.29.)호 3.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706310000(2013.05.28.)호 4.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47761(2016.05.03.)호 5.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80550000(2015.03.26.)호 6.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41350000(2003.01.30.)호
종래의 다슬기 양식은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하거나, 페니바실러스 속 DB8균주 (panibacillus sp. DB8) KCTC 13134BP,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테퀼렌시스(Bacillus tequilensis), 페니바실러스 일리노이센시스(Paenibacillus illinoisensis) 및 사카로미콥시스
스코에니(Sacch aromycopsis schoenii) 균주를 혼합한 혼합 균주 또는 그들의 바이오플락 배양액을 사용하여 왔으나, 다슬기 양식에는 크게 영양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 600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 또는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인 보조사료 10kg을 더 추가하여 조성된 바이오플락 사료를 이용하여 다슬기를 양식하는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효모, 유산균 등의 균주와 고농축혼합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바이오플락을 양식생물이 다시 섭식하여 영양분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병원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이 적어 항생제 및 약제 비용 절감은 물론 안전한 수산물을 생상하는 장점과,
양식에 사용되는 물을 회수하여 여과하여 재사용함으로 환수하지 않고, 가둬둔 상태에서 양식생물을 사육하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 600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 또는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인 보조사료 10kg을 더 추가하여 조성된 바이오플락 사료를 이용하여 다슬기를 양식하는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플락이란 어패류가 배출하는 배설물을 미생물이 섭취하도록 하고, 이 미생물이 성장하면 다시 어패류가 섭취하게 해 사료의 양을 줄이는 양식 기술이다. 바이오플락은 본래 미생물 덩어리라는 뜻이다.
미생물이 어패류의 배설물을 섭취하면서 불어나고, 불어난 미생물을 다시 어패류가 섭취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양식보다 사료량이 30% 가량 줄어든다. 배설물이 쌓이지 않아 물도 하루 0.5~1% 정도만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온도를 유지하기도 쉽다. 또 성장이 빨라 생산량도 늘어나고 연중 출하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농축혼합미생물는 탄소원으로 유산균과 고초균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를 사용한다.(한국바이오컨설팅에서 제조 판매됨, 상품명;클린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당밀은 설탕을 제조할 때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자당을 함유하는 액체의 총칭으로 더 이상 설탕을 회수하기 어려운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당밀은 정제당, 분밀당과 사탕무당을 제조할 때에, 백하(白下; 진공결정관에서 전당하여 얻은 설탕의 결정과 모액의 혼합물)에서 설탕을 분리한 잔사액(모액)을 말한다. 백하의 종류에 따라 1번밀, 2번밀… 최종밀 등으로 불린다. 폐당밀과 달라 그대로도 식용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용당밀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담황색의 투명하고 점조한 당액으로 수분 20~30%, 당분 60~70%(이중 자당 20~30%, 환원당 30~50%), 회분 5~10%, 유기비당분 2~3%이다. 용도는 과자류 착색용으로 쓰지만 알코올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분당밀의 대응어로 쓰이는 정당밀(폐당밀, final molasses 또는 waste molasses)은 보통 방법으로는 경제적으로 설탕의 결정을 취할 수 없는 공장 최종단계의 흑갈색, 점조성의 당밀로 알코올, 아세톤, 부탄올, 구연산 등의 발효원료 또는 주형사, 내화벽돌 등의 제조에 사용한다. 사탕무로부터의 식용당밀은 당도 50도 전후이다. 사탕수수와 사탕무 당밀의 주요 차이는 전자에는 환원당이 다량으로 함유되고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당밀 [molasses]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광일문화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효모는 자낭균강에 속하는 효모로서, 빵, 맥주, 포도주를 생산하는 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eae)의 변종을 사용한다.
효모는 일반적으로 빵·맥주·포도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의 총칭이다.
효모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끓는다’는 뜻을 가진다. 이것은 효모에 의한 발효 중에 이산화탄소가 생겨 거품이 많이 생기는 것에서 유래한다. 대부분 토양 속에 살지 않으며 꽃의 꿀샘이나 과일의 표면과 같은 당농도가 높은 곳에 많이 생육하고 있다. 당을 발효시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 많다. 이 성질은 맥주의 제조나 빵의 발효에 이용되고 있으며, 기원전 수천 년경에 이미 상당히 완성된 형태로 행해졌던 것이 바빌로니아의 고도 발굴이나 로제타석(石), 이집트의 유적 연구 등에서 확인되었다. 과일주와 같은 간단한 술은 더 일찍 만들어졌고,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승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효모 자체는 값싼 지방·단백질원으로 사료에 사용된다. 비타민 B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또 비타민 D를 함유하는 것도 있으며, 의약품 공업에도 사용되고 있다. 효모를 처음으로 관찰한 것은 현미경의 발명자 레벤후크(Anton van Leeuwenhoek)이며, 1680년 맥주효모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효모 발효의 생물학적 의의가 알려진 것은 1861년이었으며,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는 포도주 발효가 효모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
효모의 발효현상에 대한 더 진보적인 해명은 에두아르 부흐너(Eduard Buchner)가 1897년 치마아제(zymase)를 발견하면서 비약적으로 진전되어 효모는 생화학적으로 가장 잘 해석된 미생물이 되어 생화학의 발전에도 큰 역할을 했다. 효모의 세포벽은 주로 글루칸과 만난에 의하여 구성되며, 그 밖에 지질·단백질과 소량의 키틴질을 함유한다. 세포 내에는 핵·미토콘드리아·액포·글리코젠 과립을 가지며, 발효뿐만 아니라 호흡도 잘한다.
또한 효모는 다량의 RNA를 함유하며, 1967년까지 전구조가 결정된 5종의 tRNA는 모두 효모에서 유래한 것이다. 효모의 생활사의 경우, 1935년 윈게가 처음으로 세대교번을 밝혔고, 1960년 도널드 호손(Donald Hawthorne), 모티머(R. K. Mortimer)가 염색체지도를 완성해 유전학의 좋은 재료로 쓰였다. 1953년 에프루시가 발견한 호흡결손균은 세포질유전의 유명한 예이며, 미토콘드리아의 기원과 관련하여 주목을 받았다.
또한 효모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진핵생물로 인간의 세포와 세포주기가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점을 바탕으로 진핵생물의 DNA 복제, 교차, 세포 분화 등의 원리를 효모를 통하여 밝혀왔다. 또한 인간의 물질대사에 필수적인 많은 단백질들과의 유사성이 발견되어 현대 분자생물학·세포학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효모 [yeast, 酵母] (두산백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은 젖산균이라고도 한다.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을 생성하는 세균의 총칭. “유산균”이라고 부르는 이름은 관용명이고 분류학적인 위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유산균의 정의에 적합한 것은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Pediococcus, Bifidobacterium 등의 균속이다. 형태적으로는 구균(Lactococcus, Pediococcus, Leuconostoc)과 간균(Lactobacillus, Bifidobacterium)으로 나누어지고 그람(Gram) 염색성은 양성이다. 어느 것이나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잘 발육하여 각종 당으로부터 락트산을 생성한다. 산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영양요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당류 이외에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을 요구하며 균종, 균주에 따라 미량 영양소를 가하지 않으면 생육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유산균 발효형식에 따라 정상(homo)유산발효와 이상(hetero)유산발효로 나뉘어 진다. 유산균은 농산물이나 식품에서부터 사람이나 동물의 몸까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확실한 생육처를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Lactococcus는 10℃에서 발육하지만 45℃에서는 발육하지 않고 최적온도가 30℃ 전후의 구균으로 정상발효를 한다. 유제품의 스타터(starter)로서 식품가공에 사용되는 균종이 많다. Pediococcus는 정상발효를 하는 구균으로 4련의 세포배열을 한다. 생육온도, 유산의 선광성 등에 의해 8종류의 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Pediococcus는 Leuconostoc과 함께 발효에 관련된 대부분의 균이 동물의 생체와는 관계가 적다. Leuconostoc은 이상발효하는 연쇄구균으로 당 분해, 성장, 생육 pH 등에 의해 4종류의 균종으로 분류되고 또한 L. mesenterides는 3가지 아균종으로 분류된다. Lactobacillus는 정상발효와 이상발효를 하는 2종류로 대별되는데 생육온도, 당분해, 성장, 생성 유산의 선광성 등에 따라 55균종 11아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Lactobacillus는 대표적인 유산균으로서 각종 발효식품에 사용되고 또한 장관 상재 균총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 Bifidobacterium와 L. mesenterides는 이상발효를 하는 편성혐기성 Gram양성 간균으로서 주로 유산과 초산을 최종산물로 생산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광일문화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은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Pediococcus, Bifidobacteri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산균 또는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사료는
사료의 품질저하 또는 변질을 방지하고 사료의 영양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효능을 높이기 위하여 첨가되는 사료. 첨가제.
[네이버지식;농업용어사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사료는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두는 고단백질, 고지방질이므로 분리단백질의 제품, 대두유의 제조 원료로 하는 외에 우리나라에서는 간장, 된장, 두부, 청국장 등 각종의 대두 가공식품의 원료로 삼아 왔다. 어느 것의 경우나 대두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가공법이다. 대두에 들어 있는 이들 단백질은 더운물에 쉽게 용해되므로 전 단백질의 86%가 추출된다. 이를 이용하여 두부를 만들 수 있다. 이밖에 글루텐(gluten), 프로테오스(proteose)를 함유하고 있다. 아미노산 조성은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틴(cystine) 등 황 함유 아미노산 함량이 적은 것 이외에는 동물성 단백질의 조성과 흡사하며 리신(lysine), 트립토판(tryptophan), 트레오닌(threonine), 아르기닌(arginine) 등이 많다. 따라서 콩을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렀다. 한편 식품성 단백질의 특징인 글루탐산(glutamic acid)도 많다(총 아미노산의 20%). 생물가는 75로서 식물성 단백질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 지방질의 함량도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17~20%(수분 9~13%)이다. 지방질은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 주성분은 단백질과 지방질 및 탄수화물이다. 단백질의 함량은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34~42%(수분 9~13%)이다. 이 중 단백질은 글로불린(globulin)에 속하는 글리신(glycinin) 70~80%와 알부민(albumin)에 속하는 레구멜린(legumelin) 5%이다. Triglyceride이 많고, 그 지방산의 과반수량이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9,12)), 올레산(oleic acid, C18:(9)),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9,12,15)),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C20:0),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 C24:0) 등을 함유한다.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 triglyceride) 이외에 레시틴(lecithin), 세팔린(cephalin) 등의 카로텐, 클로로필, 토코페롤 등의 비검화 물질(비누화 되지 않는 물질)을 약 1% 함유한다. 스테롤은 sitosterol과 stigmasterol이다. 콜로로필은 특히 미숙한 대두, 녹색 대두에 많다. 탄수화물의 함량도 단백질, 지방질처럼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23~26%로 녹말은 미숙할 때 약간 함유하였을 뿐 완숙된 대두에는 대체로 존재하지 않고 주로 설탕, 갈락탄(galactan), 아라비난(arabinan; araban), 스타키오스(stachyose), 섬유소(cellulose) 등이다. 녹말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는 것은 다른 두류에 있어서 탄수화물의 주가 녹말임에 비해서 크게 다른 점이다. 무기질은 인(P)과 칼슘(Ca)이 많다. 인은 피틴(phytin)으로서 존재하고,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도 피틴과 결합하여 있다. 비타민은 100g당 B1 0.3~0.60mg, B2 0.17~0.23mg으로서 비교적 많은 편이고 콩기름에서는 비타민E가 77mg%로 많다. 대두에는 18~27mg% 함유되어 있어 유지의 산패방지역할도 한다.
비타민 C는 콩나물이 됨에 따라 생성된다. 특수성분으로 생대두(生大豆)의 단백질에는 트립신(trypsin) 저해물질(inhibitor) 및 혈액응고물질(hemagglutinin) 등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있으나 이들 물질은 가열에 의해서 파괴된다. 또 배당체(glycoside)인 사포닌(saponin; saponoside)도 약간 존재하지만 용혈작용은 거의 나타내지 않고 독성도 없다.
노란색 대두 껍질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계 색소, 검정색 대두 껍질에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 색소가 있다. 대두의 소화율은 영양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조직이 단단하므로 소화율이 낮다.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linoleic acid)은 인체의 구성 성분을 이루는 외에도 혈관벽에 붙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 제거에 효과가 있다. 또 레시틴(lecithin)도 이와 같은 효과가 있으므로 이 두 성분은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대두는 반드시 가열을 거쳐서 식용해야 한다. 생대두(날대두)는 거의 소화되지 않으며 특유한 냄새를 띠고 있다. 가열에 의해서 단백질의 소화를 향상시키지만 볶은 콩은 60%, 삶은 콩은 70% 정도이다. 이것은 단백질에 의한 것이 아니며 대두의 구조에 의한 것이다. 조직을 부순 콩가루는 83%, 단백질만을 응고시킨 두부는 95%의 소화율을 나타낸다. 대두를 삶기 위해서는 충분한 물을 필요로 하므로 삶기 전에 물에 담가 물을 흡수시킨다. 대두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은 강하고, 내부의 자엽부도 극히 조밀하고 단단하므로 적어도 6~7시간 물에 담가 두어야 한다. 대두를 물에 담글 때 소금을 약 1% 가해두면 콩을 연하게 삶을 수 있다. 이것은 대두단백질인 글리시닌이 물만 있을 때보다 염류의 용액에서 용해되기 쉽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두 [大豆, soybean]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광일문화사)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톤의 용기에 물 600kg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살균후. 가온된 물에 고농축혼합미생물은 탄소원으로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을 첨가하여 희석시킨 다음, 당밀 120kg을 첨가하고 위와 같이 잘 회석한 다음, 50℃ 이하로 효모 500g을 넣어 회석한 후에,
온도가 40℃ 이하일 때(37℃ 유지하면 더욱 좋음) 유산균(Lactobacillus) 1kg 첨가하고 계속 희석시킨 다음, 2일 간 배양 후 사용 하여 바이오플락 배양액을 제조한 후,
바이오플락 배양액 중량대비 분말대두를 100:5 비율로 혼합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플락사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바이오플락 배양액은 물 600kg,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 효모 0.5 kg, 유산균(Lactobacillus) 1kg 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바이오플락 사료는 물 600kg,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 효모 0.5 kg, 유산균(Lactobacillus) 1kg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전에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인 보조사료를 10kg 첨가하면 더욱 효과 좋음.)
물 500톤에 상기에서 제조된 바이오플락사료 10~20kg을 살포하여 다슬기 양식조로 이송시켜 다슬기를 양식하는 방법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제1공정(비이오플락 배양액)
1톤의 용기에 물 600kg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살균후. 가온된 물에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을 첨가 하여 잘 희석시킨 다음, 당밀 118,5kg을 첨가하고 위와 같이 잘 회석한 다음, 50℃ 이하로 효모 0.5 kg을 넣어 회석한 후에,
37℃ 로 유지하면서 유산균(Lactobacillus) 1kg 첨가하고 계속 희석시킨 다음, 2일 간 배양 후 사용 하여 바이오플락 배양액을 제조한 후,
제2공정(비이오플락 사료)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분말대두를 첨가하되, 바이오플락 배양액 중량대비 분말대두를 100:5 비율로 첨가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플락사료를 제조하였다.
제3공정(다슬기 양식)
물 500톤에 상기에서 제조된 바이오플락사료 15kg을 살포하여 다슬기 사육조로 이송시켜 다슬기를 사육(양식)하는 방법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바이오플락 배양액은 물 600 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바이오플락 사료는 물 600 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제1공정(바이오플락 배양액 제조)
1톤의 용기에 물 600kg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살균후. 가온된 물에 고농축혼합미생물은 탄소원으로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을 첨가하여 희석시킨 다음, 당밀 120kg을 첨가하고 위와 같이 잘 회석한 다음, 50℃ 이하로 효모 500g을 넣어 회석한 후에,
온도가 40℃ 이하일 때(37℃ 유지하면 더욱 좋음) 유산균(Lactobacillus) 1kg 첨가하고 계속 희석시킨 다음,
2일 간 배양 후 사용 하여 바이오플락 배양액을 제조한 후,
제2공정(바이오플락 사료제조)
상기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 의 보조사료 10kg를 첨가하고,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분말대두를 첨가하되, 바이오플락 배양액 중량대비 분말대두를 100:5 비율로 첨가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플락사료를 제조하였다.
제3공정 (다슬기 양식)
물 500톤에 상기에서 제조된 바이오플락사료 15kg을 살포하여 다슬기 사육조로 이송시켜 다슬기를 양식하는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오플락사료는
물 600 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 와,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 인 보조사료 10kg 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종자양식 성장비교)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 제조된 다슬기와 규조토에 의해 양식된 다슬기를 각각 2개월간 동일 조건으로 양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래의 식물플랭크톤(규조류) 양식;2개월
본 발명의 실시예 1
:2개월
본 발명의 실시예 2
:2개월
비고
크기
(mm)
4~5 8~10 8 ~ 10
상기 표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다슬기의 크기가 종래의 식물플랭크톤으로 사육한 상태보다 2배의 크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있어서,
    물 600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중량부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락 배양액.
  2. 바이오플락 사료에 있어서,
    물 600중량부,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락 사료.
  3. 바이오플락 사료에 있어서,
    물 600kg,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중량부, 효모 0.5 중량부, 유산균(Lactobacillus) 1 중량부로 조성된 바이오플락배양액과, 상기 바이오플락배양액 중량대비 100:5인 분말대두 와,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인 보조사료 10kg 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락 사료.
  4. 바이오플락 사료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비이오플락 배양액)
    1톤의 용기에 물 600kg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살균후. 가온된 물에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을 첨가 하여 잘 희석시킨 다음, 당밀 118,5kg을 첨가하고 위와 같이 잘 회석한 다음, 50℃ 이하로 효모 0.5 kg을 넣어 회석한 후에,
    37℃ 로 유지하면서 유산균(Lactobacillus) 1kg 첨가하고 계속 희석시킨 다음, 2일 간 배양 후 사용 하여 바이오플락 배양액을 제조한 후,

    제2공정(비이오플락 사료)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분말대두를 첨가하되, 바이오플락 배양액 중량대비 분말대두를 100:5 비율로 첨가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플락사료를 제조하였다.

    제3공정(다슬기 양식)
    물 500톤에 상기에서 제조된 바이오플락사료 15kg을 살포하여 다슬기 사육조로 이송시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를 양식방법.
  5. 바이오플락 사료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바이오플락 배양액 제조)
    1톤의 용기에 물 600kg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살균후. 가온된 물에 고농축혼합미생물은 탄소원으로 유산균과 고초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고농축혼합미생물 80kg을 첨가하여 희석시킨 다음, 당밀 120kg을 첨가하고 위와 같이 잘 회석한 다음, 50℃ 이하로 효모 500g을 넣어 회석한 후에,
    온도가 40℃ 이하일 때(37℃ 유지하면 더욱 좋음) 유산균(Lactobacillus) 1kg 첨가하고 계속 희석시킨 다음,
    2일 간 배양 후 사용 하여 바이오플락 배양액을 제조한 후,

    제2공정(바이오플락 사료제조)
    상기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성분등록번호 제CCBN0001호로 성분이 이산화규소, 50%이상, 염기치환용량(CES)5.0meq/100g 이상, 수분 12%이하 의 보조사료 10kg를 첨가하고,
    바이오플락 배양액에 분말대두를 첨가하되, 바이오플락 배양액 중량대비 분말대두를 100:5 비율로 첨가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플락사료를 제조하였다.


    제3공정 (다슬기 양식)
    물 500톤에 상기에서 제조된 바이오플락사료 15kg을 살포하여 다슬기 사육조로 이송시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의 양식방법.
KR1020180084520A 2018-07-20 2018-07-20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KR102139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20A KR102139527B1 (ko) 2018-07-20 2018-07-20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20A KR102139527B1 (ko) 2018-07-20 2018-07-20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702A true KR20200010702A (ko) 2020-01-31
KR102139527B1 KR102139527B1 (ko) 2020-07-31

Family

ID=6936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20A KR102139527B1 (ko) 2018-07-20 2018-07-20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52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35Y1 (ko) 2002-11-13 2003-02-14 양철훈 다슬기양식장치
US20070062865A1 (en) * 2003-01-22 2007-03-22 Development Center For Biotechnology Novel biological flocculants and production methods
KR101270631B1 (ko) 2012-10-23 2013-06-04 대한민국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
KR101508055B1 (ko) 2013-06-08 2015-04-0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
KR20160047761A (ko) 2014-10-23 2016-05-03 김치열 조류 배양조가 구비된 순환형 어패류 양식 시스템
KR101644085B1 (ko) * 2015-06-26 2016-08-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플락 양식 시스템용 미생물 제제
KR20170056277A (ko) * 2015-11-13 2017-05-23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와 그 생산방법
KR20170056873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 플락 양식과정에서 생산되는 유용유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사료 및 사료제조방법
KR20170109742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해삼 사료와 그 생산방법
KR2018006677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단바이오텍 암모니아 및 아질산 분해능을 갖는 신규미생물 페니바실러스 속 db8균주,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플락 수산물 양식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수산물 양식 방법 및 바이오플락 수산물 양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72192A (ko) 2016-12-21 2018-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유용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산양식용 바이오플락 수질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35Y1 (ko) 2002-11-13 2003-02-14 양철훈 다슬기양식장치
US20070062865A1 (en) * 2003-01-22 2007-03-22 Development Center For Biotechnology Novel biological flocculants and production methods
KR101270631B1 (ko) 2012-10-23 2013-06-04 대한민국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
KR101508055B1 (ko) 2013-06-08 2015-04-0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
KR20160047761A (ko) 2014-10-23 2016-05-03 김치열 조류 배양조가 구비된 순환형 어패류 양식 시스템
KR101644085B1 (ko) * 2015-06-26 2016-08-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플락 양식 시스템용 미생물 제제
KR20170056277A (ko) * 2015-11-13 2017-05-23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와 그 생산방법
KR20170056873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 플락 양식과정에서 생산되는 유용유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사료 및 사료제조방법
KR20170109742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해삼 사료와 그 생산방법
KR2018006677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단바이오텍 암모니아 및 아질산 분해능을 갖는 신규미생물 페니바실러스 속 db8균주,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플락 수산물 양식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수산물 양식 방법 및 바이오플락 수산물 양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72192A (ko) 2016-12-21 2018-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유용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산양식용 바이오플락 수질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527B1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34238A (zh) 对虾养殖用的发酵软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US20160135483A1 (en) Aquaculture feed formed from fermented soybean meal and earthworm meal, including the fermentation preparation method for the mixture ingredient
CN1279835C (zh) 一种发酵法消除豆粕中抗营养因子的方法
CN101897383A (zh) 一种发酵法去除棉菜粕毒物和提高营养价值的方法、一种饲用发酵棉菜粕蛋白原料及其应用
CN110731417B (zh) 一种小龙虾微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989024A (zh) 一种蟹类饲料
KR101857327B1 (ko) 바이오 플락 양식과정에서 생산되는 유용유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사료 및 사료제조방법
CN101268804A (zh) 微生物饲料添加剂、其制备方法及应用
CN108813223A (zh) 一种水产养殖专用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000047B (zh) 一种提高螃蟹产蟹膏量的饲料
CN105918693A (zh) 一种提高螃蟹肉质的水产饲料
CN103478441B (zh) 一种大米活性菌肽鱼饲料及其应用
KR101854016B1 (ko)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와 그 생산방법
CN106418008A (zh) 一种螃蟹饲料
KR101922053B1 (ko) 멸치 어분을 이용한 양어사료 제조공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양어사료
CN106983043B (zh) 一种可改善池塘底泥的南美白对虾饲料
CN103493987B (zh) 一种防治畜禽腹泻及促进生长的水溶性复合酶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81415A (ko) 동애등에 유충을 포함한 육식성 내수면어류 양식용 사료 제조법
CN104161223B (zh) 用于三疣梭子蟹养殖的复合配方饲料
CN111990295B (zh) 一种一年养殖两批斑点叉尾鮰的养殖方法
JP2021534749A (ja) 有機物からリンを遊離する方法
CN102334597A (zh) 一种利用平菇发酵小桐子饼粕制作脱毒动物饲料的方法
KR101938942B1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139527B1 (ko) 바이오플락 배양액, 바이오플락 사료 및 그를 이용한 다슬기 양식방법
TWI722976B (zh) 營養組成物之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