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336A -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336A
KR20200009336A KR1020180083565A KR20180083565A KR20200009336A KR 20200009336 A KR20200009336 A KR 20200009336A KR 1020180083565 A KR1020180083565 A KR 1020180083565A KR 20180083565 A KR20180083565 A KR 20180083565A KR 20200009336 A KR20200009336 A KR 2020000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image
module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키드
김지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키드, 김지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키드
Priority to KR102018008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336A/ko
Publication of KR2020000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촬영한 가상의 공간에 구매하고자하는 3D 가구 모델을 직접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인테리어를 효과를 극대화하고,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마커로 인식하여 조립 또는 분해하고자 하는 영상을 바로 확인하며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어, 가구 조립 및 분해를 쉽게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굳이 설명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는 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조립법, 및 구성을 포함하는 가구 정보와 가구의 3D 모델이 각 저장되어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카메라가 포함되어 현실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현실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구를 서버로부터 받아 촬영한 영상 위에 선택 배치하여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판매가구의 외형과 일치하는 가상의 가구 이미지를 마커로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판매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및 구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촬영한 가상의 공간에 구매하고자 하는 3D 가구 모델을 직접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인테리어를 효과를 극대화하고,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마커로 인식하여 조립 또는 분해하고자 하는 영상을 바로 확인하며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어, 가구 조립 및 분해를 쉽게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굳이 설명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새로운 환경을 생성한다.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은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의자, 책상, 서랍장, 등을 포함하는 가구는 플라스틱, 목재, 종이, 철재 등으로 조립 및 제작되나, 배송이나 취급이 불편하여 대량생산에 소비되는 비용과 시간이 과도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가구 사용자는 가구 구매시, 가구를 배치할 환경에 가구의 색상, 패턴, 분위기 등이 적합한지 미리 알 수가 없고, 가구가 조립 가구일 경우 설명서를 동봉하긴 하나 부분적인 그림 또는 글 설명으로 참고해도 조립이 잘되지 않을 때에는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 찾기가 까다롭고,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2016-0033495호(2016.3.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송이 보다 용이하고, 가구 구매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미리 환경에 가구가 어울리는지 알 수 있으며, 가구 조립시 안내가 용이하고 재미를 부여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조립법, 및 구성을 포함하는 가구 정보와 가구의 3D 모델이 각 저장되어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카메라가 포함되어 현실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현실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구를 서버로부터 받아 촬영한 영상 위에 선택 배치하여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판매가구의 외형과 일치하는 가상의 가구 이미지를 마커로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판매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및 구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단말기는 판매하는 가구 정보와 일치하고, 마커가 구비된 3D 모델을 서버에 저장하는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는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를 3D 공간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현실영상 제공모듈, 현실영상 제공모듈로부터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3D 공간 이미지에 서버에 저장된 가구 3D 모델을 증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가구 증강 모듈, 및 가구 증강 모듈로 증강된 가구 3D 모델의 특정 부분 또는 전체의 색상이나 패턴, 또는 재질을 하나 이상 접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선택사항 적용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촬영한 가상의 공간에 구매하고자하는 3D 가구 모델을 직접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인테리어를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마커로 인식하여 조립 또는 분해하고자 하는 영상을 바로 확인하며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어, 가구 조립 및 분해를 쉽게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굳이 설명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31)을 구비함으로써,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촬영한 가상의 공간에 구매하고자하는 3D 가구 모델을 직접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인테리어를 효과를 극대화하고,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28)을 구비함으로써, 마커로 인식하여 조립 또는 분해하고자 하는 영상을 바로 확인하며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어, 가구 조립 및 분해를 쉽게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굳이 설명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 사용자단말기(20), 및 판매자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서버(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0)는 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조립법, 및 구성을 포함하는 가구 정보와 가구의 3D 모델이 각 저장되어 사용자단말기(20), 판매자단말기(30)에 제공한다.
사용자단말기(20)는 카메라가 포함되어 현실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현실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구를 서버(10)로부터 받아 촬영한 영상 위에 선택 배치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주문 모듈(21), 현실영상 제공모듈(22), 가구 증강 모듈(23), 수치입력 및 범위확인 모듈(24), 사이즈 조절 모듈(25), 선택사항 적용모듈(26), 연결 모듈(27), 및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주문 모듈(2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주문 모듈(21)은 판매자의 특정 가구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의 가구의 특정 부품만 구매할 수도 있도록 한다. 사용자단말기(20)로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조립법, 및 구성을 미리 확인하고, 구매 의사에 따라 주문할 수 있도록하는 모듈로 주문이 완료되게 되면 판매자단말기(30)로 주문 내역이 전송되고, 판매자는 주문을 확인하고 구매자에게 물품을 배송한다.
현실영상 제공모듈(22)은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를 3D 공간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가구 증강 모듈(23)은 현실영상 제공모듈(22)로부터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3D 공간 이미지에 판매자 단말기로 등록되어 서버(10)에 저장된 가구 3D 모델을 증강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 증강 모듈(23)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장소를 촬영하여 가구 3D 모델을 증강시켜 배치해볼 수 있어, 구매 결정에 많은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수치입력 및 범위확인 모듈(24)은 현실영상 제공모듈(22)로 디스플레이되는 3D 공간 이미지에서 가구가 위치할 수 있는 부분의 가로, 세로, 및 너비를 포함하는 수치를 입력하여, 공간 내 가구 가용 부분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20)에서 수치입력 및 범위확인 모듈(24)로 3D 공간 이미지에 인테리어 가능 공간의 수치를 직접 입력하고, 가용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며, 3D 가구 모델을 배치하였을 때 그 가용 공간에 배치되는지 아닌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구매 시 사이즈를 잘못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랍, 장농 같은 경우, 놓였을 때 서랍장 문이나 장농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범위까지도 디스플레이 되어 가용 공간과 가구 사이즈가 비슷할 경우, 구매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사이즈 조절 모듈(25)은 가구 증강 모듈(23)로 3D 공간 이미지에 가구를 증강시킬 경우, 초기 치수로 설계된 3D 가구 모델을 증강시켜 가구 가용 범위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차이가 발생한다면 3D 가구 모델의 가로, 세로, 및 너비를 포함하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된 사이즈로 주문 모듈(21)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택사항 적용모듈(26)은 가구 증강 모듈(23)로 증강된 가구 3D 모델의 특정 부분 또는 전체의 색상이나 패턴, 또는 재질을 하나 이상 접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20)에서 3D 공간 이미지에 3D 가구 모델링을 증강시켜 판매자단말기(30)의 렌더링 등록 모듈(32)로 등록된 색상, 패턴, 및 재질을 선택사항 적용모듈(26)로 적용시켜 확인할 수 있어, 구매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연결 모듈(27)은 판매자단말기(30)의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31)로 등록된 3D 가구 모델의 마커와 마커가 구비된 실제 가구의 마커를 인식하는 모듈이다.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28)은 마커가 구비된 현실 가구를 조립 또는 분해할 경우, 연결 모듈(27)로 마커가 인식되면, 판매자단말기(30)의 3D 조립 또는 분해 영상 등록모듈(33)로부터 조립 또는 분해 과정을 포함하는 3D 모델 영상파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가구의 조립 및 분해 시 마커가 구비된 실제 가구를 현실 공간에 배치하고, 사용자단말기(20)의 연결 모듈(27)로 마커를 연결시키면, 실제 가구와 동일한 3D 가구 모델의 조립 또는 분해 영상이 재생되어 사용자는 조립 또는 분해하고자 하는 영상을 바로 확인하며 가구를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구 조립 및 분해를 쉽고 재미있게 하고,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판매자단말기(30)는 판매가구의 외형과 일치하는 가상의 가구 이미지를 마커로 서버(10)에 저장할 수 있고, 판매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및 구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단말기(30)는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31), 렌더링 등록 모듈(32), 및 3D 조립 또는 분해 영상 등록모듈(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31)은 판매하는 가구 정보와 일치하고, 마커가 구비된 3D 모델을 서버(10)에 저장한다.
상기 마커는 사용자단말기(20)의 연결 모듈(27)로 실제 가구에 구비된 마커에 인식된다.
렌더링 등록 모듈(32)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가구 특정 부분의 색상, 패턴, 및 재질을 변경 주문할 수 있도록 3D 가구 모델 등록모듈에서 등록된 3D 모델의 특정 부분에 선택 가능한 색상, 패턴, 및 재질을 렌더링하여 서버(1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더링 등록 모듈(32)은 사용자단말기(20)의 선택사항 적용모듈(26)로 특정 가구의 색상, 패턴, 및 재질을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3D 렌더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3D 조립 또는 분해 영상 등록모듈(33)은 각 마커가 구비된 3D 가구 모델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포함하는 3D 모델 영상파일을 등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3D 조립 또는 분해 영상 등록모듈(33)은 사용자단말기(20)의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28)로 마커가 연결된 특정 가구의 3D 조립 또는 분해 영상을 실시간 제공받아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어, 가구 조립 및 분해를 쉽게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에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서버
20 - 사용자단말기
21 - 주문 모듈
22 - 현실영상 제공모듈
23 - 가구 증강 모듈
24 - 수치입력 및 범위확인 모듈
25 - 사이즈 조절 모듈
26 - 선택사항 적용모듈
27 - 연결 모듈
28 - 조립 또는 분해 영상 시청모듈
30 - 판매자단말기
31 -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
32 - 렌더링 등록 모듈
33 - 3D 조립 또는 분해 영상 등록모듈
100 -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3)

  1. 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조립법, 및 구성을 포함하는 가구 정보와 가구의 3D 모델이 각 저장되어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카메라가 포함되어 현실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현실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구를 서버로부터 받아 촬영한 영상 위에 선택 배치하여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판매가구의 외형과 일치하는 가상의 가구 이미지를 마커로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판매가구의 재질, 사이즈, 가격, 컬러, 원산지, 및 구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판매자단말기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판매자단말기는
    판매하는 가구 정보와 일치하고, 마커가 구비된 3D 모델을 서버에 저장하는 3D 가구 모델 등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는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현실 공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를 3D 공간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현실영상 제공모듈,
    현실영상 제공모듈로부터 가구를 배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3D 공간 이미지에 서버에 저장된 가구 3D 모델을 증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가구 증강 모듈, 및
    가구 증강 모듈로 증강된 가구 3D 모델의 특정 부분 또는 전체의 색상이나 패턴, 또는 재질을 하나 이상 접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선택사항 적용모듈
    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083565A 2018-07-18 2018-07-18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09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65A KR20200009336A (ko) 2018-07-18 2018-07-18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65A KR20200009336A (ko) 2018-07-18 2018-07-18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336A true KR20200009336A (ko) 2020-01-30

Family

ID=6932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565A KR20200009336A (ko) 2018-07-18 2018-07-18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3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83B1 (ko) * 2021-07-27 2022-03-10 김준수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397810B1 (ko) * 2021-03-05 2022-05-13 신용식 위치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WO20231461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95659A1 (ko) * 2022-04-06 2023-10-1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증강현실을 이용한 행사장 인테리어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810B1 (ko) * 2021-03-05 2022-05-13 신용식 위치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102372283B1 (ko) * 2021-07-27 2022-03-10 김준수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WO20231461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95659A1 (ko) * 2022-04-06 2023-10-1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증강현실을 이용한 행사장 인테리어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9336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367250B2 (en) Virtual interaction with three-dimensional indoor room imagery
US10755485B2 (en) Augmented reality product preview
WO2018072617A1 (zh) 一种虚拟现实/增强现实空间环境中的数据对象交互方法及装置
CN106875244A (zh) 一种虚拟现实购物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887810B1 (ko)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이삿짐 시뮬레이션 제공과 이를 통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JP2022505998A (ja) 拡張現実データの提示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CN108985878A (zh) 一种物品展示系统及方法
US20230001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puter-generated environment
CN104851004A (zh) 一种饰品试戴的展示装置和展示方法
JP6618700B2 (ja)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配信装置
KR201300521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 피팅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897483A (zh) 直播交互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092435A (zh) 基于商标图形识别并互动的方法及系统
CN111325604A (zh) 一种在线展示多种类型商务信息的装置
KR102378011B1 (ko)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5638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의 수익 시스템
KR20210102074A (ko) 인공지능 기반의 가구추천장치
JP2020119283A (ja) 学習モデル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を製造する方法
JP2019207448A (ja) 販売システム
KR20200000288A (ko)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14758106A (zh) 一种在线拟真的购物系统
KR20190023486A (ko) 3차원 피팅 방법 및 장치
JP2002109307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と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842199B1 (ja) 交換レンズの情報提供方法及び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