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011B1 -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011B1
KR102378011B1 KR1020180026085A KR20180026085A KR102378011B1 KR 102378011 B1 KR102378011 B1 KR 102378011B1 KR 1020180026085 A KR1020180026085 A KR 1020180026085A KR 20180026085 A KR20180026085 A KR 20180026085A KR 102378011 B1 KR102378011 B1 KR 10237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ervice
user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702A (ko
Inventor
김남석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주)이해라이프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해라이프스타일 filed Critical (주)이해라이프스타일
Priority to KR102018002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0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공간 이미지 합성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urniture shopping service through virtual experienc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판매되는 다수의 가구 중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가구를 추천하는 서비스와 온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가구의 이미지와 상기 가구가 실제 배치될 공간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가구의 이미지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터넷 환경의 향상으로 인터넷 이용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터넷 쇼핑몰을 들 수 있다.
쇼핑몰은 인터넷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실물 세계에서 존재하고 있었던 개념이다. 실제로, Walmart, E-mart 등의 많은 쇼핑몰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러한 쇼핑몰의 개념을 인터넷에서 그대로 구현한 것이 인터넷 쇼핑몰이다. 즉, 사이버 쇼핑몰이란, 구매자가 물건을 구입하려고 할 때, 물품 판매처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상에 구축된 웹사이트를 통하여 물건을 구입하고 결재(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 등)를 실시하는 형태를 말하며,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은 흔히 전자 상거래(EC : Electronic Commerce) 업체라고 불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들은 접근의 편리성, 구매 결제 수단의 발달, 배송시스템의 발달 등으로 인해 구매 등의 쇼핑 관련 분야에서는 오프라인의 쇼핑에 버금가는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제품을 일일이 확인한 후 구매하는 가구 쇼핑 분야에서도 예외일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가구 쇼핑몰은 로그인한 사용자가 방대한 상품들을 검색한 후 자신이 원하는 가구 제품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종래의 온라인 가구 쇼핑몰은 사용자의 가구 선택을 위한 방법으로서 이미지 보기(view)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므로 구입하고자 하는 가구가 실제 거실, 부엌 등의 공간에 조화롭게 잘 어울리는지 인터넷 쇼핑몰의 이미지만을 가지고는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가구 소비자의 구매 선택을 돕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배경 이미지와 가구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선보이고 있기는 하나, 이들 서비스의 경우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인식되는 가구의 색감과 현실에서 인식되는 실제 가구의 색감 간의 괴리가 있어, 실제 구매 후 공간에 배치하였을 때 어울리지 않거나 기대했던 색감이 아니어서 해당 가구에 대한 구매를 후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가구를 구매할 때 자신이 원하는 가구를 보다 더 쉽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온라인 쇼핑을 통해 가구를 구매하더라도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인식되는 가구 이미지의 색감과 현실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실제 가구의 색감 간의 괴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실제 가구를 구매 후 공간에 배치하였을 때 예상과는 달리 어울리지 않다거나 기대했던 색감이 아니어서 해당 가구에 대한 구매를 후회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공간 이미지 합성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증강현실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증강현실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부합하는 가구 제품들을 추천받을 수 있어 쉽고 신속하게 가구 제품을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는 가구 이미지와 상기 가구를 배치하게 될 실제 공간 또는 장소에 대한 이미지의 색감차이를 동기화 작업을 통해 최소화하여 공간 이미지 합성 또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쇼핑을 통해 가구를 구매하더라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인식되는 가구 이미지의 색감과 현실에서 인식되는 실제 가구의 색감 간의 괴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실제 가구를 구매 후 공간에 배치하였을 때 예상과는 달리 어울리지 않다거나 기대했던 색감이 아니어서 해당 가구에 대한 구매를 후회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공간 이미지 합성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공간 이미지 합성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가구에 대한 디자인, 기능, 사이즈, 소재, 제조사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를 원하는 가구에 대해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리하게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 결정전에 관심 있는 가구의 이미지를 사용자가 촬영한 공간 이미지에 합성하여 보여 주는 서비스 등을 앱이나 웹사이트 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는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에 구비되어 관리된다. 상기 취향별 유형화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미리 마련해 놓은 소비자 취향에 대한 유형 자료를 기반으로 회원 각각에 대해 설문 조사를 통해 해당 회원의 가구 취향을 특정 유형으로 판단하고 분류한 자료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미리 마련해 놓은 소비자 취향에 대한 유형 자료는 수많은 소비자들에 대한 인터뷰 자료, 인터넷 상의 방대한 빅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가구 소비자들의 유형을 특성이나 취향에 따라 특정 유형으로 정의하고 분류한 자료를 의미한다.
상기 공간 이미지 정보는 공간 이미지 데이터,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서는 저장된 회원 정보 또는 사용자측 공간 이미지 정보에 변경이 생기거나, 신규 회원 정보 또는 신규 공간 이미지 정보가 추가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는 업데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다양한 가구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가구들의 정보 데이터들이 소비자의 구매 취향에 관한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가령, 본 발명의 가구 정보 저장부는 기능, 디자인, 가격, 조화 등 가구 구매자들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점 요소들에 맞추어 가구 구매자들의 구매 결정 취향 별로 분류 정보 요소들을 마련하고, 각각의 가구 정보 데이터에 해당 분류 정보 요소를 포함시켜 가구 정보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가구 추천 서비스,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에 탑재될 수도 있고, 사용자 측의 단말기에 앱을 통해 탑재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접속한 사용자에게 구매 취향에 맞는 가구 제품들을 별도 추천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거나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구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면서 동시에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구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가 사용자의 공간상에 배치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본인이 관심 있어 하는 가구를 구매 결정하기 전에 미리 실제 배치할 공간이나 장소에 배치되었을 때 예상되는 공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매할 가구가 배치될 공간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구현할 때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의 색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합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온라인 쇼핑을 통해 가구를 구매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인식되는 가구의 색감과 현실에서 인식되는 실제 가구의 색감 간의 괴리가 있어, 실제 구매 후 공간에 배치하였을 때 어울리지 않거나 기대했던 색감이 아니어서 해당 가구에 대한 구매를 후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은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합성할 때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의 색감에 관한 정보 수치를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합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공간에 가구가 배치된 이미지에 최대한 근접한 색감으로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확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동기화 작업은 리니어 워크플로우(Linear Workflow)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니어 워크플로우는 가구에 대한 원본 이미지의 감마 익스포절 화이트밸런스(Gamma exposure whitebalance) 수치를 조정하여 리니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확인하더라도 실제 공간에서 육안으로 인식하는 색감과 거의 유사한 색감을 발휘하도록 보정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니어 워크플로우(Linear Workflow) 작업을 통해 사용자가 현실 공간에서 촬영한 공간 이미지의 색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구 이미지의 감마 익스포절 화이트밸런스(Gamma exposure whitebalance) 수치를 조정하여 리니어하게 보정함으로써, 상기 공간 이미지에 가구 이미지를 합성하였을 때 색감 상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구현할 때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간의 색감뿐만 아니라 조감, 그림자 방향 및 재질감의 부조화나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가장 자연스러운 합성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의 색감, 조감, 그림자 방향 및 재질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사용자가 가구의 이미지를 공간 이미지 상에서 위치시킬 위치를 임의로 지정하면, 공간 이미지 상의 지정된 위치에 가구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증강현실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증강현실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증강현실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가구에 대한 디자인, 기능, 사이즈, 소재, 제조사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를 원하는 가구에 대해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리하게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 결정전에 관심 있는 가구의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사용자 지정 위치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등을 앱이나 웹사이트 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는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에 구비되어 관리된다. 상기 취향별 유형화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미리 마련해 놓은 소비자 취향에 대한 유형 자료를 기반으로 회원 각각에 대해 설문 조사를 통해 해당 회원의 가구 취향을 특정 유형으로 판단하고 분류한 자료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미리 마련해 놓은 소비자 취향에 대한 유형 자료는 수많은 소비자들에 대한 인터뷰 자료, 인터넷 상의 방대한 빅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가구 소비자들의 유형을 특성이나 취향에 따라 특정 유형으로 정의하고 분류한 자료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에서는 저장된 회원 정보 또는 사용자측 공간 이미지 정보에 변경이 생기거나, 신규 회원 정보 또는 신규 공간 이미지 정보가 추가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는 업데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다양한 가구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가구들의 정보 데이터들이 소비자의 구매 취향에 관한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가령, 본 발명의 가구 정보 저장부는 기능, 디자인, 가격, 조화 등 가구 구매자들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점 요소들에 맞추어 가구 구매자들의 구매 결정 취향 별로 분류 정보 요소들을 마련하고, 각각의 가구 정보 데이터에 해당 분류 정보 요소를 포함시켜 가구 정보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가구 추천 서비스, 증강현실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에 탑재될 수도 있고, 사용자 측의 단말기에 앱을 통해 탑재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접속한 사용자에게 구매 취향에 맞는 가구 제품들을 별도 추천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거나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구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면서 동시에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구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구현부는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앱이나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시킨 후, 상기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사용자 지정 위치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본인이 관심 있어 하는 가구를 구매 결정하기 전에 미리 실제 배치할 공간에 배치되었을 때 예상되는 공간 외관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매할 가구가 배치될 공간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구현할 때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색감을 일치 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온라인 쇼핑을 통해 가구를 구매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인식되는 가구의 색감과 현실에서 인식되는 실제 가구의 색감 간의 괴리가 있어, 실제 구매 후 공간에 배치하였을 때 어울리지 않거나 기대했던 색감이 아니어서 해당 가구에 대한 구매를 후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구현할 때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색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공간에 가구가 배치된 외관에 최대한 근접한 색감으로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동기화 작업은 리니어 워크플로우(Linear Workflow)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니어 워크플로우는 가구에 대한 원본 이미지의 감마 익스포절 화이트밸런스(Gamma exposure whitebalance) 수치를 조정하여 리니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상으로 확인하더라도 실제 공간에서 육안으로 인식하는 색감과 거의 유사한 색감을 발휘하도록 보정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니어 워크플로우(Linear Workflow) 작업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색감 정보 수치를 기준으로 상기 가구 이미지의 감마 익스포절 화이트밸런스(Gamma exposure whitebalance) 수치을 조정하여 리니어하게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에 선택한 가구 이미지를 겹쳤을 때 색감 상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구현할 때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 간의 색감뿐만 아니라 조감, 그림자 방향 및 재질감의 부조화나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가장 자연스러운 합성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색감, 조감, 그림자 방향 및 재질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공간 배경 상에서 위치시킬 위치를 임의로 지정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공간 배경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가구 이미지가 겹쳐져서 보이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도면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10), 가구 추천 서비스,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 구현부(120)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1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가구 정보 검색, 가구 구매, 공간 이미지 합성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로그인한 후 상기 앱 상에서 제공되는 가구 추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구현부(120)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거나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앱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로그인한 후 특정 가구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앱 상에서 제공되는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구현부(120)는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13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가 사용자의 공간상에 배치된 이미지를 상기 앱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 가구 추천 서비스, 증강현실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 구현부(220)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2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가구 정보 검색, 가구 구매, 증강현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후 상기 웹사이트 상에서 제공되는 가구 추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구현부(220)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거나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웹사이트 상으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후 특정 가구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웹사이트 상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구현부(220)는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23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시킨 후, 상기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사용자 지정 위치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210 : 사용자 정보 저장부
120, 220 : 서비스 구현부
130, 230 : 가구 정보 저장부

Claims (12)

  1.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공간 이미지 합성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가 사용자의 공간상에 배치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공간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구현하되, 상기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전송한 공간 이미지의 색감, 조감, 그림자 방향 및 재질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합성시키기고,
    색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은 사용자가 현실 공간에서 촬영한 공간 이미지의 색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구 이미지의 감마 익스포절 화이트밸런스(Gamma exposure whitebalance) 수치를 조정하여 리니어하게 보정하는 리니어 워크플로우(Linear Workflow)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거나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구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고,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에 탑재되거나, 사용자 측의 단말기에 앱을 통해 탑재되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나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가구 정보 표시, 가구 구매 및 증강현실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가구 추천 서비스, 증강현실 서비스 및 구매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구현부; 및
    다양한 가구 정보 및 가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가구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앱이나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시킨 후, 상기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사용자 지정 위치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구현하되, 상기 추출한 가구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되는 공간 배경의 색감, 조감, 그림자 방향 및 재질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을 거쳐 겹쳐져서 보이도록 하고,
    색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작업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색감 정보 수치를 기준으로 상기 가구 이미지의 감마 익스포절 화이트밸런스(Gamma exposure whitebalance) 수치을 조정하여 리니어하게 보정하는 리니어 워크플로우(Linear Workflow)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 및 서비스 내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사용자의 취향별 유형화 정보에 매칭 되거나 구매 건수가 가장 많은 분류 정보 요소를 가지는 다른 가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가구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고,
    상기 서비스구현부는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에 탑재되거나, 사용자 측의 단말기에 앱을 통해 탑재되는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26085A 2018-03-06 2018-03-06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7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85A KR102378011B1 (ko) 2018-03-06 2018-03-06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85A KR102378011B1 (ko) 2018-03-06 2018-03-06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02A KR20190105702A (ko) 2019-09-18
KR102378011B1 true KR102378011B1 (ko) 2022-03-24

Family

ID=6807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85A KR102378011B1 (ko) 2018-03-06 2018-03-06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40B1 (ko) 2019-12-05 2022-03-04 최찬호 가구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0823B1 (ko) * 2021-02-03 2021-11-24 구본웅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맞춤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3379505A (zh) * 2021-06-28 2021-09-10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0316A (ja) * 2009-01-22 2010-08-0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拡張現実表示装置、拡張現実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6197342A (ja) * 2015-04-03 2016-11-24 株式会社サイバーウォーカー 拡張現実プログラム、拡張現実提供方法、拡張現実提供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282B2 (en) * 2007-04-26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0316A (ja) * 2009-01-22 2010-08-0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拡張現実表示装置、拡張現実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6197342A (ja) * 2015-04-03 2016-11-24 株式会社サイバーウォーカー 拡張現実プログラム、拡張現実提供方法、拡張現実提供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02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011B1 (ko)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751535A (zh) 一种基于vr的全景购物系统及方法
US20220036444A1 (en) Virtual display device for an interactive merchant sales environment
US115938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ositions for three-dimensional models relative to spatial features
KR20220013903A (ko) 다중 사용자 증강 현실에서 사용자 상호 작용을 표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670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media
CN111580788B (zh) 模板搭配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08004635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tchmaking of artwork transaction
JP2002063508A (ja) 商品表示・販売システム
US20150006325A1 (en) Product search using user selections in images systems and methods
WO2014147776A1 (ja) 商品提示サーバおよび商品提示方法
US202203834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models corresponding to product bundles
JP2019521459A (ja) ネットワーク・プラットフォームにおけるデータベースエントリをリンク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80288370A1 (en) Business Method and System Related to a Fashionable Items Utilizing Internet
KR20090001665A (ko) 가상 의류 착용 방법
KR101697290B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0600A (ko) 쇼핑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웹쇼핑 제공방법
KR20140039508A (ko) 가상 코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758106A (zh) 一种在线拟真的购物系统
CN112200632A (zh) 一种个性化定制服装系统
KR20230024698A (ko) 실공간 변형 합성 기술을 이용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390615A1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KR100994257B1 (ko) 전자카탈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WO2020099915A1 (en) Virtual mall system for shopping decoration equipment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ix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