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905A -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905A
KR20200008905A KR1020180083156A KR20180083156A KR20200008905A KR 20200008905 A KR20200008905 A KR 20200008905A KR 1020180083156 A KR1020180083156 A KR 1020180083156A KR 20180083156 A KR20180083156 A KR 20180083156A KR 20200008905 A KR20200008905 A KR 202000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cross
sectional area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705B1 (ko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7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02T10/72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라 함은,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를 말하며,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의 전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컨버터는 하우징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외면에는 배터리 또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이 외부단자와 결합 시, 컨버터는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거나, 변환된 전원을 부하로 인가할 수 있다.
커넥터 모듈은 서로 다른 전원값을 가지는 복수의 외부단자와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의 커넥터 단자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복수의 외부단자와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각각 3개일 수 있다. 각각의 외부단자들은 서로 동일한 전원값을 가지는 커넥터 단자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컨버터의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의 주의를 요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전원값을 가지는 단자들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단자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수용부 및 결합홀을 형성하여, 부품 간에 오조립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커넥터 및 단자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컨버터 내에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별도의 확인 없이도 단자 및 커넥터를 상호 대응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 공수가 줄어들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넥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상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를 보다 하위 구성들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제조 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커넥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상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100)는, 하우징(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컨버터(100)의 구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2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컨버터(10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하우징(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하우징(10)은 상호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에는 스크류(미도시)가 결합되어, 양 구성을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방열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구조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자부품들의 구동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 예로, 상기 방열구조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방열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12)은 복수로 구비되어, 인접한 방열판과 상호 이격되기 위한 갭(Gap)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의 열은 상기 하우징(10)을 통해 외부로 전도되어, 상기 방열판(12)을 통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버터(100)의 인접한 영역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방열판(12)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커넥터 결합부(18)와, 외부단자 결합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18)와 상기 외부단자 결합부(16)는 각각 커넥터 모듈(50)과 외부단자(미도시)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자 결합부(16)에는 외부단자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자는 상기 컨버터(100) 내에 배치되는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단자는 상기 컨버터(100)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제공단자이거나, 상기 컨버터(100)의 구동을 위한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는 구동단자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18)는 커넥터 모듈(50)이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커넥터 결합부(18)에 형성된 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커넥터 결합부(18)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컨버터(100)와 배터리(미도시), 상기 컨버터(100)와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전원이 상기 컨버터(100)에서 변환되어 상기 부하로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된 고전압의 전원은 상기 컨버터(100)에서 변환되어, 상기 부하로 저전압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컨버터(10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 또는 상기 컨버터(1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구성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일체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를 보다 하위 구성들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50)은,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일측에 배치되는 터미널(101)과, 상기 프레임(60)의 타측에 배치되는 단자(120, 140, 1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커넥터 모듈(5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커넥터 모듈(50)의 몸체로서 이해된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60)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은 하면을 형성하는 제1몸체(61)와, 상기 제1몸체(6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60)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2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60)에는 상기 단자(120, 140, 160) 및 상기 터미널(101)이 배치되는 수용부(66, 67, 68)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66, 67, 68)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몸체(60)에는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66, 67, 68)를 상호 구획하는 구획부(65)가 배치된다. 상기 구획부(65)는 복수의 수용부(66, 67, 68)가 각각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인접한 수용부 사이 또는 상기 제1몸체(60)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수용부(66, 67, 68)는 상기 프레임(6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66, 67, 68)에는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상기 터미널(101)의 일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수용부(66, 67, 68)의 바닥면에는 결합핀(111, 131, 151)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부(66, 67, 68)의 바닥면에는 타 영역 보다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6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69)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핀(111, 131, 151)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핀(111, 131, 151)은 상기 결합홈(69)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일단이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101)은 일단이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상기 터미널(101)은 상기 결합핀(111, 131, 15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101)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에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몸체(62)에는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62)의 내면 중 상기 관통홀(56)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결합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상기 하우징 결합부(55)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결합부(55)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0)의 홀의 내주면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90)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90)는 단면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영역에 상기 터미널(101)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62)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53)은 상기 제2몸체(6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별도의 스크류가 상기 나사홀(53)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60)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1)은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120, 140, 160)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들로 전달하거나, 상기 컨버터(100) 내에서 변환된 전원을 상기 단자(120, 140, 160)를 외부부하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01)의 일단은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별도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컨버터(100) 내에 배치되어 전원의 변환과 관련된 전자회로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0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1)은 제1터미널(110), 제2터미널(130), 제3터미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미널(101)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터미널(110)에는 12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터미널(130)에는 그라운드 영역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터미널(150)에는 48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1)은 상호 단차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101)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은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터미널(110)은 제1결합핀(111)에 결합되는 제1-1영역(11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1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영역(114)은 상기 제1-1영역(112)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영역(112)에는 제1결합핀(111)가 관통하도록 제1결합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1영역(114)에는 상기 하우징(10) 내 구성들과 결합을 위한 제1연결부(116)가 결합되도록 제1장착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11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터미널(110)의 일단에는 상기 제1결합홀(1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1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장착홀(114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130)은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는 제1-2영역(13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2영역(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2영역(134)은 상기 제1-2영역(132)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132)에는 제2결합핀(131)가 관통하도록 제2결합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2영역(134)에는 상기 하우징(10) 내 구성들과 결합을 위한 제2연결부(136)가 결합되도록 제2장착홀(13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13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터미널(130)의 일단에는 상기 제2결합홀(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130)의 타단에는 상기 제2장착홀(134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3터미널(150)은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는 제1-3영역(15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3영역(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3영역(154)은 상기 제1-3영역(152)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영역(152)에는 제3결합핀(151)가 관통하도록 제3결합홀(15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영역(154)에는 상기 하우징(10) 내 구성들과 결합을 위한 제3연결부(156)가 결합되도록 제3장착홀(15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연결부(15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터미널(150)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홀(152a)이 형성되고, 상기 제3터미널(150)의 타단에는 상기 제3장착홀(154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외부부하 또는 배터리를 상기 컨버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외부 케이블 또는 단자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케이블 또는 단자라 함은, 상기 외부부하 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의 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단자(120, 140, 16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상기 제1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120)와, 상기 제2터미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140)와, 상기 제3터미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단자(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상기 터미널(101)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프레임(60)에 형성된 수용부(66, 67, 68) 내에서 상기 결합핀(111, 131, 15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단자(120, 140, 160)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자(120)에는 12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단자(140)에는 그라운드 영역의 전압이 형성되며, 상기 제3단자(160)에는 48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1결합핀(11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21)와,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제1단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1)에는 상기 제1결합핀(111)가 관통하도록 제4결합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부(12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도록 제1단자홀(123, 도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1)와 상기 제1단자부(12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120)는 일단이 상기 제1결합핀(1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41)와,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제2단자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41)에는 상기 제2결합핀(131)가 관통하도록 제5결합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자부(14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도록 제2단자홀(143, 도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41)와 상기 제2단자부(14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단자(140)는 일단이 상기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단자(160)는 상기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161)와,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제3단자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61)에는 상기 제3결합핀(151)가 관통하도록 제6결합홀(16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단자부(16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도록 제3단자홀(163, 도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61)와 상기 제3단자부(16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단자(160)는 일단이 상기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제조 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1 내지 3 결합핀(111, 131, 151)에는 상기 제1 내지 3결합홀(112a, 132a, 152a)을 통해 상기 터미널(110, 130, 15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10, 130, 150)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내지 3단자(120, 140, 160)들이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 내지 3단자(120, 140, 160)에 형성된 상기 제4 내지 6결합홀(121a, 141a, 161a)에 상기 제1 내지 3결합핀(111, 131, 151)들이 각각 관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10, 130, 150)과 상기 단자(120, 140, 160)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양 구성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3단자(120, 140, 160)의 상부에는 제1 내지 3와셔(125, 145, 165)와, 제1 내지 3 너트(126, 146, 16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110, 130, 150)에 상기 단자(120, 140, 1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125, 145, 165)와 상기 너트(126, 146, 166)가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110, 130, 150)과 상기 단자(120, 140, 1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셔(125, 145, 165)와 상기 너트(126, 146, 166)는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50)은 제조 과정에서 서로 다른 전원값을 가지는 단자 및 터미널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결합핀(111), 상기 제2결합핀(131) 및 상기 제3결합핀(151)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3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내지 3결합홀(112a, 132a, 152a)과, 상기 제4 내지 6결합홀(121a, 141a, 161a)의 단면적은 결합되는 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핀(111)의 단면적은 상기 제3결합핀(15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핀(131)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핀(111)와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홀(112a)이 형성된 제1터미널(110)과, 제4결합홀(121a)이 형성된 제1단자(120)는, 제2결합핀(131)에는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는 제3결합홀(152a)이 형성된 제3터미널(150)과, 제6결합홀(161a)이 형성된 제3단자(160)는 각각 제1결합핀(111)과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01)과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설정된 결합핀에만 결합될 수 있어, 다른 크기의 전원이 형성된 구성들과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3결합핀(111, 131, 151)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와셔(125, 145, 165)와 상기 너트(126, 146, 166)에 형성된 홀의 단면적 또한 결합되는 결합핀(111, 131, 151)의 단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66, 67, 68)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120, 140, 160) 중 상기 수용부(66, 67, 68) 내에 배치되는 영역, 즉 상기 제1 내지 3결합부(121, 141, 161)의 단면적 또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상기 수용부(66, 67, 68)의 단면적은,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결합부(121, 141, 161)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부(141)가 결합되는 제2수용부(67)의 단면적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21)가 결합되는 제1수용부(66)의 단면적은 상기 제2수용부(67)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3결합부(161)가 결합되는 제3수용부(68)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1수용부(66)와,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2수용부(67)에 상기 제2결합핀(131)의 단면적에 의해 결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수용부(68)의 단면적과 상기 제1결합부(12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66)의 단면적과 상기 제2결합부(14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1수용부(66)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수용부(68)의 단면적과 상기 제2결합부(14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결합핀(111)의 단면적과 상기 제6결합홀(161a)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3단자(160)는 상기 제1수용부(66)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핀(131)의 단면적과 상기 제6결합홀(161a)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3단자(160)는 상기 제2수용부(67)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단자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수용부 및 결합홀을 형성하여, 부품 간에 오조립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커넥터 및 단자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컨버터 내에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별도의 확인 없이도 단자 및 커넥터를 상호 대응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 공수가 줄어들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핀은 제1 내지 3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일단에 상기 제1결합핀에 끼워지는 제1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
    일단에 상기 제2결합핀에 끼워지는 제2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 및
    일단에 상기 제3결합핀에 끼워지는 제3결합홀을 포함하는 제3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는,
    일단에 상기 제1결합핀에 끼워지는 제4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단자;
    일단에 상기 제2결합핀에 끼워지는 제5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단자; 및
    일단에 상기 제3결합핀에 끼워지는 제6결합홀을 포함하는 제3단자를 ?마하며,
    상기 제1내지 3터미널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내지3 단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는 커넥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핀의 단면적은 상기 제3결합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3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바닥면에 상기 제1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제1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
    바닥면에 상기 제2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터미널 및 제2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
    바닥면에 상기 제3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3터미널 및 상기 제3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 상기 제2수용부와 상기 제3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내지 3수용부를 상호 구획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지 3수용부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단자의 영역,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단자의 영역,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3단자의 영역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수용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수용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2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제3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과 상기 단자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와셔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을 기준으로 상기 터미널과 상기 단자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모듈.
  10. 내부에 전원을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회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KR1020180083156A 2018-07-17 2018-07-17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10261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56A KR102619705B1 (ko) 2018-07-17 2018-07-17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56A KR102619705B1 (ko) 2018-07-17 2018-07-17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05A true KR20200008905A (ko) 2020-01-29
KR102619705B1 KR102619705B1 (ko) 2024-01-02

Family

ID=6932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56A KR102619705B1 (ko) 2018-07-17 2018-07-17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685A1 (ko) * 2020-12-14 2022-06-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5208A (ja) * 2013-01-30 2016-02-18 ラビナル・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70012779A (ko) * 2015-07-23 2017-02-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팩의 외부 커넥터
JP2017195703A (ja) * 2016-04-20 2017-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20180036794A (ko) * 2010-08-20 2018-04-09 클린웨이브 테크놀로지스, 인크. 전력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794A (ko) * 2010-08-20 2018-04-09 클린웨이브 테크놀로지스, 인크. 전력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6505208A (ja) * 2013-01-30 2016-02-18 ラビナル・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70012779A (ko) * 2015-07-23 2017-02-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팩의 외부 커넥터
JP2017195703A (ja) * 2016-04-20 2017-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685A1 (ko) * 2020-12-14 2022-06-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705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45148A1 (ko) 컨버터
KR20200008905A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US10516243B2 (en) Wire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two circuit assemblies
KR102590523B1 (ko) 컨버터
US11558967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1812591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EP4277444A1 (en) Converter
KR102515174B1 (ko) 전원 단자 모듈
KR20210049624A (ko) 컨버터
KR102476402B1 (ko) 컨버터
KR102645803B1 (ko) 컨버터
KR102634417B1 (ko) 컨버터
KR20220157198A (ko) 컨버터
CN219394461U (zh) 车载充电机及车辆
KR102653879B1 (ko) 컨버터
US20240008194A1 (en)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comprising same
KR20210012275A (ko) 컨버터
KR20220157808A (ko) 컨버터
KR20230094898A (ko) 컨버터
CN114982392A (zh) 转换器
KR20230106405A (ko) 컨버터
KR20230065092A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190143180A (ko) 컨버터
KR20210075685A (ko) 컨버터
KR20210039580A (ko) 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