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092A -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092A
KR20230065092A KR1020210150940A KR20210150940A KR20230065092A KR 20230065092 A KR20230065092 A KR 20230065092A KR 1020210150940 A KR1020210150940 A KR 1020210150940A KR 20210150940 A KR20210150940 A KR 20210150940A KR 20230065092 A KR20230065092 A KR 2023006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module
disposed
conver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092A/ko
Publication of KR2023006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컨버터는,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에 결합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3바디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접촉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라 함은,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를 말하며,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의 전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컨버터는 하우징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외면에는 배터리 또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모듈이 배치된다. 커넥터 모듈과 외부단자의 결합 시, 컨버터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거나, 변환된 전원을 부하로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모듈을 주변으로 고전압이 형성되므로, 하우징 내로 전기적인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하우징과 커넥터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통하여 노이즈 차폐 구조를 고안하였으나, 금속 플레이트와 하우징, 금속 플레이트와 커넥터 모듈 간 이종 재질인 특성에 의해 커넥터 모듈의 결합 시 버(Burr)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접합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는,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에 결합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3바디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접촉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돌기를 통한 하우징과 커넥터 모듈 간 접촉 구조를 구현하여, 고전압 발생 영역에서 하우징 내로 전기적인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폐부가 하우징 및 커넥터 모듈과 각각 면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결합 과정에서 버(burr)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내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내 차폐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내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내 차폐부를 확대한 도면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10)는, 하우징(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컨버터(10)의 구동을 위한 내부 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내부 공간(110)이 상방으로 개구되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110)에 배치되는 냉매관(미도시)으로 냉매를 유입하거나, 냉매관 내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입출구 및 토출구의 기능을 하는 냉매 파이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커넥터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122)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이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장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의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 모듈(200)이 결합되는 장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22)은 상기 장착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장착부(1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커넥터 모듈(200)의 제1바디(2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도 1 을 기준으로 상기 냉매 파이프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의 위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상기 장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122)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1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을 상기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미도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변환된 저전압을 차량 내 다른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바디, 실링부(240) 및 차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커넥터 모듈(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바디(210), 제2바디(220) 및 제3바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는 상기 제2바디(220)와 상기 제3바디(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의 각 코너 영역에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나사홀(212)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가 상기 나사홀(212)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즉 상기 장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바디(220) 및 상기 제3바디(2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120)의 형상 및 단면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의 외면 중 상기 하우징(100)과 마주하는 면을 내면이라 하고, 상기 내면과 반대되는 면을 외면이라 할 때,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에는 상기 제3바디(230)가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210)의 외면에는 상기 제2바디(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는 상기 제1바디(2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의 내측에는 외부 단자(미도시)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222)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단자가 상기 결합 공간(222)에 결합 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고전압이 상기 컨버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224)가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2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24)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균일한 강성 보강을 위해서 상기 제2바디(22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230)는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바디(230)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바디(22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230)는 상기 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 시, 상기 제3바디(230)는 상기 홀(1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바디(210, 220, 23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 내지 제3바디(210, 220, 2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200)은 연결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바디(22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3바디(230) 내 배치되어,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컨버터(10)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버터(10) 내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단자의 일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는 버스바 또는 터미널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0)는 상기 제1바디(210)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0)는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0)는 상기 제3바디(2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0)의 단면적은 상기 제3바디(2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모듈(200)이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 시, 상기 장착부(120)의 외면과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0)는 가이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42)는 상기 실링부(240) 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제1바디(2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242)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240)와 상기 제1바디(21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4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0)는 상기 하우징(100) 및 상기 커넥터 모듈(200)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컨버터(10) 내 공간으로 전기적인 노이즈 유입을 방지하고, 그라운드(Ground)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컨버터(10)의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0)는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에는 상기 제3바디(230) 및 상기 차폐부(250)가 결합되는 결합부(21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7)는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7)의 내면은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과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7)의 단면적은 상기 제3바디(2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0)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바디(210,220,230)와 일체로 인서트 몰딩 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결합부(217)와 상기 제3바디(230)의 경계면 부분에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상기 차폐부(250)가 삽입되어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접촉되고, 외면이 상기 제1바디(21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폐부(250)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장착부(1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차폐부(250)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252), 상기 몸체(25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5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252)는 상기 결합부(217)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252)는 상기 제3바디(230)의 외면 중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252)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252)는 관통홀(2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54)는 상기 몸체(252)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254)의 단면적은 상기 돌기(260)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54)은 상기 돌기(260)의 형성을 위해 상기 몸체(252)의 일부를 절개시킨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돌기(260)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254)의 내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25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260)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기(260)의 내면은 상기 장착부(1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기(260)는 내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252)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돌기(26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돌기(260)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260)는 제1영역(262)과, 제2영역(2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62)은 상기 몸체(252)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영역(264)은 상기 제1영역(262)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64)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64)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62)과 상기 제2영역(264)은 각각 상기 몸체(252)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62)은 상기 몸체(252)에 대하여 제1각도(a)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64)은 상기 몸체(252)에 대하여 제2각도(b)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a)는 상기 제2각도(b)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62)과 상기 제2영역(264)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영역(262)과 상기 제2영역(264)의 두께는 상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영역(262)의 두께가 상기 제2영역(264)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돌기를 통한 하우징과 커넥터 모듈 간 접촉 구조를 구현하여, 고전압 발생 영역에서 하우징 내로 전기적인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폐부가 하우징 및 커넥터 모듈과 각각 면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결합 과정에서 버(burr)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에 결합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접촉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컨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관통홀 내 배치되는 컨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컨버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는 컨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몸체와 제1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몸체와 제2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 보다 큰 컨버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면 접촉되는 컨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차폐부 및 상기 제3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컨버터.
  9. 제1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의 보강부가 형성된 제2 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3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폐부;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바디 및 상기 차폐부 외측에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KR1020210150940A 2021-11-04 2021-11-04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30065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40A KR20230065092A (ko) 2021-11-04 2021-11-04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40A KR20230065092A (ko) 2021-11-04 2021-11-04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092A true KR20230065092A (ko) 2023-05-11

Family

ID=8637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940A KR20230065092A (ko) 2021-11-04 2021-11-04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2636B2 (en) Terminal block for rotary electric machine
KR20230065092A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US11812591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KR102619705B1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20157198A (ko) 컨버터
KR102476402B1 (ko) 컨버터
US20240008194A1 (en)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comprising same
KR20210049624A (ko) 컨버터
KR20210075685A (ko) 컨버터
KR20220157808A (ko) 컨버터
KR102634417B1 (ko) 컨버터
KR102631926B1 (ko) 컨버터
KR20230106405A (ko) 컨버터
KR20210049623A (ko) 인쇄회로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102653882B1 (ko) 컨버터
KR102515174B1 (ko) 전원 단자 모듈
KR20240022924A (ko)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653879B1 (ko) 컨버터
KR20210077378A (ko) 실링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장품
EP4068922A1 (en) Converter
KR102587236B1 (ko) 컨버터
US20220377931A1 (en) Converter
KR102482964B1 (ko)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10044652A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30094898A (ko) 컨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