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882B1 - 컨버터 - Google Patents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882B1
KR102653882B1 KR1020190089719A KR20190089719A KR102653882B1 KR 102653882 B1 KR102653882 B1 KR 102653882B1 KR 1020190089719 A KR1020190089719 A KR 1020190089719A KR 20190089719 A KR20190089719 A KR 20190089719A KR 102653882 B1 KR102653882 B1 KR 10265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wall
dispose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276A (ko
Inventor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37Housings with compartments containing a PCB, e.g. partitioning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turn-bolt or screw me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2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wherein the control and power circuits of a power converter are arranged within the sam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컨버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폐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차폐벽;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차폐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차폐벽과 한 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차폐벽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복수의 제2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며, 제1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면에 접촉된다.

Description

컨버터{Converter}
본 실시예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라 함은,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를 말하며,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의 전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컨버터의 내부에는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내 전자부품들 중 일부는 구동에 의해 타 전자부품들과 전기적 노이즈(noise)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적 노이즈 발생이 높은 전자부품들은 컨버터 내 공간에서 타 영역과 구획되도록 노이즈 차폐를 위한 격벽을 주변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컨버터의 협소한 공간 내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노이즈 차폐 구조 형성을 위한 공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컨버터 내 부품 배치에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다. 또한, 노이즈 차폐 구조 형성 시 체결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요구되므로, 부품 수 증가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향상된 노이즈 차폐 구조를 포함하는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폐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차폐벽;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차폐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차폐벽과 한 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차폐벽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복수의 제2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며, 제1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전자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차폐벽과 한몸으로 형성하여, 부품 수 감소에 따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 배치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내부 공간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벽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변형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내부 공간을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벽의 전개도 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10)는 하우징(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버터(10)의 외형은 내부 공간(22)의 상방으로 개구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 내 형성되는 상기 내부 공간(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2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부 공간(22)에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들이 서로 다른 높이를 형성하며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인쇄회로기판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22)에는 인쇄회로기판(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컨버터(10)의 구동을 위한 전자부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부품은 위한 인덕터 모듈, 전압조절을 위한 변압기, 전압을 증폭시키기 위한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부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컨버터(10) 내 배치되어 구동되는 것이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의 구동에 전기적 노이즈(noise)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10) 내에는 노이즈 차폐 구조(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면과 차폐벽(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폐벽(110)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 및 상기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영역이 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하우징(20)의 내면과 상기 차폐벽(110)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배치되는 공간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01)는 대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는 상기 차폐벽(110)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의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20) 내 타 영역과 연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는 상면이 개구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는 상기 차폐벽(110)과 다른 차폐벽과의 결합에 의해 내측에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측면 중 일부만을 커버하는 차폐벽(11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벽(110)은 공간부(101)의 하면을 커버하는 제1차폐벽(116)과, 상기 공간부(101)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차폐벽(112) 및 제3차폐벽(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벽(112) 및 상기 제3차폐벽(114)은 상호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01)의 측면 중 상기 제2차폐벽(112)과 대향하는 영역과, 상기 제3차폐벽(114)과 대향하는 영역에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차폐벽(112, 114, 116)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차폐벽(112, 114, 116) 중 적어도 하나의 차폐벽에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면 또는 타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 체결부(1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체결부(118)는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가 상기 관통홀(117)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20)의 내면 또는 타 구성요소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내지 3차폐벽(112, 114, 116) 중 적어도 하나의 차폐벽이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체결부(118)는 상기 제1 내지 3차폐벽(112, 114, 116)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체결부(118)는 상기 제1 내지 3차폐벽(112, 114, 116)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차폐벽(112)에 형성된 나사 체결부(118)를 기준으로, 상기 나사 체결부(118)는 상기 제2차폐벽(11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116)은 상기 공간부(101)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32)을 통해 상기 전자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32)은 상기 전자부품의 배치 영역과 이격된 영역에도 배치되어, 상기 홀(32)을 통해 상기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하면은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하면과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면 사이에는,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1차폐벽(116)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80)는 상기 제1결합부(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부(180)는 상기 제1결합부(120)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2결합부(180) 보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의 내면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차폐 구조(100)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이 아닌 타 구성과 결합된다 할 때,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타 구성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80)는 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스크류(190)가 결합되는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하면과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80)는 하단이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180)의 홀과 상, 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19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180)의 홀에 나사 결합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상기 제1차폐부(11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측면부(140)와, 상기 제1측면부(140)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측면부(130)와, 나사홀(152)이 형성된 상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120)는 일측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부(14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일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부(140)는 상기 제1차폐벽(116)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130)는 상기 제1측면부(14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130)는 일단이 상기 제1측면부(14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측면부(130)와 상기 제1측면부(140)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19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측면부(130)의 상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130)에는 후술할 상기 상면부(150)의 제1돌기(154)가 결합되는 제1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132)은 상기 제2측면부(13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거리 절개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홈(132)은 상기 제1돌기(15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132)은 상기 제2측면부(132)의 양 측면 중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50)는 상기 제1측면부(140)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5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나사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152)에는 상기 스크류(190)가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나사홀(152)과 상, 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1차폐벽(116)에도 상기 스크류(190)가 결합되는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50)의 측면 중 상기 제1홈(132)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5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기(154)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측면부(13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부(150)는 상기 제1돌기(154)가 상기 제2측면부(130) 내 제1홈(132)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0)는 단일의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제1차폐벽(116)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차폐벽(116)의 외측으로 상기 제1측면부(140), 상기 제2측면부(130) 및 상기 상면부(154)의 단면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 영역이 상호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의 조립 순서는, 먼저 상기 제1측면부(140)를 상기 제1차폐벽(116)에 대하여 절곡시킨 다음, 상기 상면부(150)를 상기 제1측면부(140)에 대하여 절곡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제2측면부(130)를 상기 제1측면부(140)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곡시키면, 상기 제1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측면부(130)에 제1홈(132)이 상기 제1돌기(15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면부(140)와 상기 제2측면부(130) 사이, 상기 제1측면부(140)와 상기 상면부(150)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 영역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변형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는 제1차폐벽(116)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측면부(220)와, 상기 제1측면부(22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2측면부(210)와, 상기 제1측면부(2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30)에는 나사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제2측면부(210)와 상기 상면부(230)는 별도의 돌기 및 홈의 결합 구조없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면부(230)의 하면이 상기 제2측면부(21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의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3결합부가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있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는, 제1베이스(310)와, 상기 제1베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베이스(320)와, 상기 제2베이스(3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차폐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벽(110), 상기 인쇄회로기판(30),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18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가 상기 제1베이스(310) 및 상기 제2베이스(32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0)와 상기 제2베이스(3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0)와 상기 제2베이스(320)는 일면 상에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320)는 하면이 상기 제1베이스(3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베이스(310)와 상기 제2베이스(320)의 사이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4결합부(3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결합부(315)는 상면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홀과 마주하는 상기 제2베이스(32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가 상기 제2베이스(320)의 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4결합부(315)의 나사홀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벽(110)은 상기 제2베이스(3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벽(110)의 하면은 상기 제1베이스(3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차폐벽(116)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2베이스(320)와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310)와 상기 차폐벽(110)의 사이에는 제5결합부(3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결합부(318)는 상면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홀과 마주하는 상기 제1차폐벽(116)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가 제1차폐벽(116)의 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5결합부(318)의 나사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5결합부(318)의 상, 하 방향 높이는 상기 제4결합부(315)의 상, 하 방향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차폐벽(116)에 제3결합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복수의 제1결합부(120)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하면과 상기 제2베이스(32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하면과 상기 제2베이스(320)의 상면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상단이 상기 제1차폐벽(116)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2베이스(3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결합부(350)는 제3측면부(360)와, 상기 제3측면부(360)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측면부(370)와, 나사홀이 형성되는 하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측면부(36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일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측면부(360)는 상기 제1차폐벽(116)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측면부(370)는 상기 제3측면부(360)의 양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측면부(370)는 일단이 상기 제3측면부(36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4측면부(370)와 제3측면부(360)에 의해, 상기 제3결합부(350)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316)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일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측면부(370)에는 후술할 제2돌기(382)가 결합되는 제2홈(3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홈(372)은 상기 제4측면부(37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거리 절개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홈(372)은 상기 제2돌기(38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홈(372)은 상기 제4측면부(470)의 양 측면 중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380)는 상기 제3측면부(360)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38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에는 스크류(316)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316)는 상기 하면부(380) 및 상기 제2베이스(320)를 관통하여, 상기 제4결합부(31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3결합부(350), 상기 제2베이스(230) 및 상기 제4결합부(315)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380)의 측면 중 상기 제2홈(372)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38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돌기(382)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4측면부(37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면부(380)는 상기 제2돌기(382)가 상기 제4측면부(370) 내 상기 제2홈(372)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마찬가지로 단일의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는 상기 제1차폐벽(116)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350)의 조립 순서는, 먼저 상기 제3측면부(360)를 상기 제1차폐벽(116)에 대하여 절곡시킨 다음, 상기 하면부(380)를 상기 제3측면부(360)에 대하여 절곡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제4측면부(370)를 상기 제3측면부(360)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곡시키면, 상기 제3결합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측면부(470)에 상기 제2홈(372)이 상기 제2돌기(38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측면부(360)와 상기 제4측면부(370) 사이, 상기 제3측면부(360)와 상기 하면부(380)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 영역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차폐벽(116)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부(120)를 통해 상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3결합부(360)를 통해 상기 제2베이스(3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의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6결합부가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있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 2,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차폐 구조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벽(110)에서 제4차폐벽(4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차폐벽(490)은 하우징(20, 도 1참조)의 내면이거나, 별도의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 도 1참조) 상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은 하면이 제1차폐벽(116)에 의해 커버되고, 측면이 제2차폐벽(112), 제3차폐벽(114), 제4차폐벽(490) 및 하우징(20)의 내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차폐벽(116)과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사이에는, 상기 제1차폐벽(116) 상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80)와, 제6결합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차폐벽(116)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결합부(120) 중 하나가 상기 제6결합부(400)로 대체되는 데 특징이 있다.
상기 제6결합부(400)는 상기 제1차폐벽(116)과 한몸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6결합부(400)는, 제5측면부(410), 제6측면부(420), 제7측면부(430) 및 제2상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측면부(410)는 상기 제1차폐벽(116)의 일변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측면부(410)는 상기 제1차폐벽(116)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측면부(420)는 상기 제5측면부(410)의 일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측면부(420)에는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3홈(4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홈(425)은 상기 제6측면부(420)의 일측면부로부터 절개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3홈(425)은 상기 제6측면부(4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측면부(430)은 상기 제5측면부(410)의 타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7측면부(430)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홈(4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7측면부(430)의 외면은 상기 제4차폐벽(490)의 내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6측면부(420)와 상기 제7측면부(430) 중 상기 제7측면부(430)가 상기 제4차폐벽(490)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부(440)는 상기 제5측면부(410)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부(44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나사홀(4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442)에는 스크류(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나사홀을 관통한 스크류가 상기 나사홀(442)에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제1차폐벽(116)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부(440)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기(4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돌기(446)는 상기 제3홈(4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돌기(446)가 형성되는 상기 제2상면부(440)의 일측면은, 상기 제6측면부(420)와 마주하는 측면일 수 있다. 상기 제3돌기(446)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6측면부(42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부(440)의 타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기(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돌기(440)의 하면 중 일부는 상기 제4홈(43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돌기(440)는 상기 제4홈(432)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차폐벽(490)에는 상기 제4돌기(440)가 결합되는 제5홈(4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홈(492)은 상기 제4차폐벽(490)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홈(492)에는 상기 제4돌기(440)의 단부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6결합부(400)의 상기 제4돌기(440)가 상기 제4차폐벽(490) 내 상기 제5홈(492)에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폐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차폐벽;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차폐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차폐벽과 한 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차폐벽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복수의 제2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며, 제1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제2측면부에는 각각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을 관통하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에는 타 영역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홈에 결합되는 제1돌기가 배치되는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나사홀과 상, 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나사홀이 배치되며,
    스크류가 상기 제2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차폐벽을 포함하는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상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과 이격되는 컨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중 일부는 상기 제2차폐벽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커버되는 컨버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벽과 이격되는 상기 제1차폐벽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차폐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차폐벽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3측면부;
    상기 제3측면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4측면부; 및
    상기 제3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에는 스크류가 결합되는 제3나사홀이 형성되는 컨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제4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3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4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컨버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측면부에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의 양 측면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홈에 결합되는 제2돌기가 배치되는 컨버터.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차폐벽;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차폐벽;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차폐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제1차폐벽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5측면부;
    상기 제5측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6측면부;
    상기 제5측면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7측면부; 및
    상기 제5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5나사홀을 포함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벽에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제3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홈에 결합되는 제3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7측면부에는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제5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타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5홈에 결합되는 제4돌기가 배치되는 컨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측면부의 외면은 상기 제2차폐벽의 내면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6측면부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4홈이 배치되는 컨버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7측면부에는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제5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타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5홈에 결합되는 제4돌기가 배치되는 컨버터.

KR1020190089719A 2019-07-24 2019-07-24 컨버터 KR10265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19A KR102653882B1 (ko) 2019-07-24 2019-07-24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19A KR102653882B1 (ko) 2019-07-24 2019-07-24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76A KR20210012276A (ko) 2021-02-03
KR102653882B1 true KR102653882B1 (ko) 2024-04-03

Family

ID=7457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719A KR102653882B1 (ko) 2019-07-24 2019-07-24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8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789A (ja) * 2004-04-06 2005-10-27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JP2013004536A (ja) * 2011-06-10 2013-01-07 Clarion Co Ltd 電子基板組付構造
JP2014239105A (ja) * 2013-06-06 2014-12-18 コーセル株式会社 電源回路基板及びシャーシと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2789A (ja) * 2004-04-06 2005-10-27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JP2013004536A (ja) * 2011-06-10 2013-01-07 Clarion Co Ltd 電子基板組付構造
JP2014239105A (ja) * 2013-06-06 2014-12-18 コーセル株式会社 電源回路基板及びシャーシと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76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346B1 (ko) 컨버터
KR102590523B1 (ko) 컨버터
KR102653882B1 (ko) 컨버터
KR20210006804A (ko) 컨버터
KR102631926B1 (ko) 컨버터
KR20240045891A (ko) 인쇄회로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102630246B1 (ko) 컨버터
KR102587236B1 (ko) 컨버터
KR102634417B1 (ko) 컨버터
US20230010263A1 (en)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KR20220157198A (ko) 컨버터
KR102645803B1 (ko) 컨버터
EP4277444A1 (en) Converter
KR102482964B1 (ko)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US20220377931A1 (en) Converter
KR20230073100A (ko) 컨버터
KR20210012277A (ko) 컨버터
KR20210075685A (ko) 컨버터
KR102641305B1 (ko) 컨버터
KR102653879B1 (ko) 컨버터
KR20240022924A (ko)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40054103A (ko) 전자장치
KR20210044651A (ko) 컨버터
KR20240073693A (ko) 전자부품 모듈 및 전자장치
KR102476402B1 (ko)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