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277A - 컨버터 - Google Patents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277A
KR20210012277A KR1020190089720A KR20190089720A KR20210012277A KR 20210012277 A KR20210012277 A KR 20210012277A KR 1020190089720 A KR1020190089720 A KR 1020190089720A KR 20190089720 A KR20190089720 A KR 20190089720A KR 20210012277 A KR20210012277 A KR 2021001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racket
electronic component
convert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277A/ko
Publication of KR2021001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컨버터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며,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후크부가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컨버터{Converter}
본 실시예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라 함은,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를 말하며,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의 전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컨버터의 내부에는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이 하우징 또는 타 전자부품과 접촉 시 쇼트 발생에 의해 제품이 오작동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의 절연구조는 성능 확보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그러나 컨버터의 협소한 공간 내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절연 구조를 고려한 부품 배치에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향상된 전자부품의 절연 구조를 포함하는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는,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며,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후크부가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절연 재질의 브라켓을 통해 전자부품을 하우징 내 결합시키게 되므로 타 구성과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 내 전자부품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전자부품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브라켓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절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절연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전자부품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브라켓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1은 컨버터의 상, 하면을 바꾸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Converter)(100)는 하우징(1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베이스(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버터(100)의 외면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열핀(1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 또는 상기 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배치를 위한 전자부품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전자부품(190) 및 상기 전자부품(190)이 결합되는 브라켓(140)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116)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서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116)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140) 또는 상기 전자부품(190)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수용부(116)의 외측으로 상기 브라켓(140) 및 상기 전자부품(190)의 일부 영역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90)은 상기 컨버터(100)의 구동을 위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전자부품(190)의 하면에 배치된다 할 때, 상기 전자부품(19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을 위한 연결부(19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의 예로, 인덕턴스를 얻기 위한 인덕터 모듈, 전압조절을 위한 변압기, 전압을 증폭시키기 위한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ET 소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90)은 타 전자부품 또는 상기 하우징(110)과의 쇼트 방지를 위해 상기 브라켓(130) 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용부(116)에는 상기 전자부품(190)이 결합된 상기 브라켓(13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절연을 위해, 상기 브라켓(13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전자부품(19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130)에는 상기 전자부품(19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수용부(132)는 상기 브라켓(13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190)의 상면 및 측면들은 상기 브라켓(130)의 내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190)의 하면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90)의 하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자부품(190)의 하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9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132)의 단면적은 상기 전자부품(19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수용부(132)의 내면과 상기 전자부품(190)의 외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90) 및 상기 브라켓(130)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이라 할 때, 상기 전자부품(190)의 네 측면은 상기 제2수용부(13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자부품(190)의 네 측면 중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은 상기 제2수용부(132)의 내면에 접촉되고, 상기 2개의 측면과 이웃하는 다른 2개의 측면은 상기 제2수용부(13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전자부품(190)의 네 측면 모두는 상기 제2수용부(13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132)의 개구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브라켓(130)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 영역의 둘레를 따라 하면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134)의 단면적은 상기 브라켓(130)의 타 영역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134)는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134)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135, 1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 중 상기 가이드홈(135, 136)가 마주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35, 136)에 결합되는 가이드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브라켓(130)이 상기 제1수용부(116)에 결합 시, 상기 브라켓(130)의 결합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5, 136)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135, 136)은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상기 제2가이드홈(136)은 상기 제2수용부(132)를 기준으로 대향하는 상기 하면부(134)의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상기 제2가이드홈(136)은 상기 제2수용부(13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상기 제2가이드홈(136)은 수평 방향으로 상호 오버랩(overlab)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브라켓(130)의 결합 방향이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에는 후크부(140, 1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116)에는 내면 중 일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40, 150)가 후크(hook) 결합되는 후크홈(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제1수용부(116)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40, 150)는 제1후크부(140)와 제2후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부(140)와 상기 제2후크부(150)는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 중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후크부(140)와 상기 제2후크부(150)는 수평 방향으로 상호 오버랩(overlab)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제1후크부(140)와 상기 제2후크부(150)는 상기 브라켓(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지 않는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넓은 영역에서 상기 브라켓(130)와 상기 하우징(110) 간 결합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부(140)는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부(150)는 상기 제2가이드홈(136)과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부(140)와 상기 제2후크부(150)는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후크부(140)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130)과 상기 하우징(110) 간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후크부(140)는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부(140)는 일단이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1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부(130)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브라켓(130)의 상, 하면을 바꾸어 도시하였는 바, 상기 제1후크부(130)의 단면은 상, 하 영역이 바뀐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후크부(140)는 단부가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141)와, 일단이 상기 제1수평부(141)에 결합되고 적어도 1회 이상 절곡 영역을 가지는 절곡부(142)와, 상기 절곡부(142)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42)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부(145)는 상기 절곡부(142)의 측면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인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후크부(140)의 외면 중 상기 제2수평부(145)의 하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43)는 상기 절곡부(142)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홈(121)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3)는 상기 제2수평부(145)와 상기 리브(143)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이 상기 하우징(112)에 결합 시, 상기 리브(143)의 하면은 상기 돌출부(123)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브라켓(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 하 방향을 바꾸어 도시하였는 바, 상기 리브(143)의 상면이 상기 돌출부(123)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30)이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 시, 상기 후크홈(121)의 내측에 상기 후크부(140, 1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브(143)와 상기 돌출부(123) 간에 걸림이 이루어져, 상기 후크홈(121) 내 상기 후크부(140, 15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2수평부(145)의 조작을 통해, 상기 후크부(140, 150)를 상기 후크홈(12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있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버터(200)는, 하우징(2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에는 베이스(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버터(200)의 외면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열핀(2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 내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 또는 상기 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배치를 위한 전자부품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에는 전자부품(190) 및 상기 전자부품(190)이 결합되는 브라켓(230)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16)은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에서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16)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240) 또는 상기 전자부품(190)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수용부(216)의 외측으로 상기 브라켓(240) 및 상기 전자부품(190)의 일부 영역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90)은 타 전자부품 또는 상기 하우징(210)과의 쇼트 방지를 위해 상기 브라켓(230) 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용부(216)에는 상기 전자부품(190)이 결합된 상기 브라켓(23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절연을 위해, 상기 브라켓(23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30)은 상기 전자부품(19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230)에는 상기 전자부품(19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수용부(232)는 상기 브라켓(23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190)의 상면 및 측면들은 상기 브라켓(230)의 내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190)의 하면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32)의 단면적은 상기 전자부품(19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수용부(232)의 내면과 상기 전자부품(190)의 외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90) 및 상기 브라켓(230)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이라 할 때, 상기 전자부품(190)의 네 측면은 상기 제2수용부(23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자부품(190)의 네 측면 중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은 상기 제2수용부(232)의 내면에 접촉되고, 상기 2개의 측면과 이웃하는 다른 2개의 측면은 상기 제2수용부(23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전자부품(190)의 네 측면 모두는 상기 제2수용부(23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32)의 개구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브라켓(230)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 영역의 둘레를 따라 하면부(2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36)의 단면적은 상기 브라켓(230)의 타 영역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36)는 상기 브라켓(23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36)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23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 중 상기 가이드홈(237)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37)에 결합되는 가이드리브(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브라켓(230)이 상기 제1수용부(216)에 결합 시, 상기 브라켓(230)의 결합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 중 상기 제1수용부(216)의 둘레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돌출되는 가이드벽(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22)는 상기 가이드벽(2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222)의 하면은 상기 하면부(236)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37) 및 상기 가이드 리브(222)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30)의 측면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39)는 상기 브라켓(230)의 측면 중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변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단일의 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239)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39)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23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브라켓(230)의 하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39)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돌출부(239)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출부(239)는 외측으로 갈수록 양 측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116)의 내면 중 상기 제1돌출부(239)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내면 중 일부가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홈(23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39)는 상기 제1홈(23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39)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홈(232b)의 내주면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39)의 외면은 상기 제1홈(232b)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수용부(116)의 내면은, 상기 브라켓(230)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내면(232a)과, 상기 제1홈(232b)의 내주면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갭(g)은, 상기 제1내면(232a) 중 일부와 상기 브라켓(230)의 측면 중 제1돌출부(239)가 배치되는 면과 이웃하는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30)의 측면 중 상기 제1돌출부(239)가 배치되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을 제1측면이라 하고, 상기 제1측면에 이웃하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을 제2측면이라 할 때, 상기 갭(g)은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1수용부(116)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부(232)의 바닥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40)는 상기 제1수용부(216)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상기 브라켓(230)의 상면부의 하면(24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232)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상기 전자부품(190)의 상면에는 상기 제2돌출부(240)가 결합되도록 제2홈(19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190)이 상기 브라켓(230)에 결합 시, 상기 제2돌출부(240)가 상기 제2홈(198)에 결합되어, 상기 제2수용부(232) 내에서 상기 전자부품(19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40)는 상기 브라켓(230)의 중앙 영역 보다 상대적으로 가장자리 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절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절연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이다.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310)의 절연 구조는, 전자부품(310)과, 상기 전자부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38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80) 상에 상기 전자부품(310)을 결합시키는 브라켓(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310)의 외면 상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15)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부(3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5)는 상기 전자부품(31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부품(3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40)은 상면에 상기 전자부품(310)이 배치되는 결합면(34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40)의 중앙 영역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4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310)의 배치를 위해, 상기 관통홀(340a)의 단면적은 상기 전자부품(3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40a)을 통해 상기 전자부품(3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40)의 재질은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40)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345, 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45, 34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34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45, 342)의 내면은 상기 전자부품(310)의 측면 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45, 342)를 통해 상기 전자부품(310)과 상기 브라켓(340)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자부품(310)이 상기 브라켓(3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45, 342)는 상기 전자부품(31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가이드 리브(342)와, 상기 전자부품(310)의 모서리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가이드 리브(3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4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부(3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40)의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할 때, 상기 다리부(341)는 상기 브라켓(340) 하면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34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8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4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에 후크 결합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홈(347a)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47)의 외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에는 상기 결합부(347)가 관통하는 홀(3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38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47)는 상기 홀(382)을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걸림부(347)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홀(382)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홀(382) 내 배치되는 상기 다리부(341)의 영역은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자(389)가 실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자(389)는 상기 전자부품(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자(389)의 높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브라켓(340)의 하면까지의 상, 하 방향 길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80)의 영역 내 보다 많은 부품들이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부에는 지지 플레이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부품(310)의 하면은 상기 브라켓(34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3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329)에는 고정나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330)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머리부(334) 및 다리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330)는 절연을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3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홀(329)의 개수도 상기 고정나사(33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34)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면과 하면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32)는 상기 머리부(33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329)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32)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에 후크 결합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홈(333)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외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329)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나사(330)의 영역은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고정나사(330) 대신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의 하면과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면 사이에는 고무 재질의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상기 전자부품(3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의 하면 또는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자부품(310)의 상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자부품(310)의 하면은 상기 브라켓(3340)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80) 상에 지지되므로, 타 구성과의 전기적 쇼트 발생 없이, 컨버터 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며,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후크부가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후크부는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overlab)되지 않게 배치되는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일단이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수평부;
    일단이 상기 제1수평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상기 후크홈에 수용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 및
    상기 절곡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수평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컨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브와 상기 제2수평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컨버터.
  5.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며,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제2수용부에 결합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의 내면 중 상기 제1돌출부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홈이 배치되는 컨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양 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내주면 형상은 상기 제1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컨버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1돌출부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컨버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는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하면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면부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상기 가이드홈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가 배치되는 컨버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브라켓의 외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컨버터.
  10. 전자부품;
    상기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부품의 하면을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전자부품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내면이 상기 전자부품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다리부가 배치되는 컨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전자부품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나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컨버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의 상면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 사이에는 고무 재질의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컨버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단면적은 상기 전자부품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컨버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적어도 일부와 상, 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소자가 배치되는 컨버터.



KR1020190089720A 2019-07-24 2019-07-24 컨버터 KR20210012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20A KR20210012277A (ko) 2019-07-24 2019-07-24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20A KR20210012277A (ko) 2019-07-24 2019-07-24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77A true KR20210012277A (ko) 2021-02-03

Family

ID=7457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720A KR20210012277A (ko) 2019-07-24 2019-07-24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1195B (zh) 蓄电单元
KR102458346B1 (ko) 컨버터
US10236121B2 (en) Capacitor unit and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KR102590523B1 (ko) 컨버터
KR20210012277A (ko) 컨버터
KR20210006804A (ko) 컨버터
US11812591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KR102653882B1 (ko) 컨버터
KR20220157198A (ko) 컨버터
KR20210044651A (ko) 컨버터
KR20220157808A (ko) 컨버터
KR102634417B1 (ko) 컨버터
KR102515174B1 (ko) 전원 단자 모듈
KR20210049623A (ko) 인쇄회로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40045891A (ko) 인쇄회로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40022924A (ko)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39580A (ko) 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EP4277444A1 (en) Converter
KR20200072251A (ko) 컨버터
KR102587236B1 (ko) 컨버터
KR102476402B1 (ko) 컨버터
KR20230073100A (ko) 컨버터
KR20210012275A (ko) 컨버터
KR20240054103A (ko) 전자장치
KR20230041548A (ko)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