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706A -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706A
KR20200008706A KR1020180082681A KR20180082681A KR20200008706A KR 20200008706 A KR20200008706 A KR 20200008706A KR 1020180082681 A KR1020180082681 A KR 1020180082681A KR 20180082681 A KR20180082681 A KR 20180082681A KR 20200008706 A KR20200008706 A KR 2020000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racter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135B1 (ko
Inventor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Priority to KR102018008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상기 가상환경에 반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는 캐릭터 선택 데이터 및 배경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PRODUCTION SYSTEM AND PRODUCTION METHOD FOR VIRTUAL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되었으며, 실제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게임 영역 및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넘어 교육, 쇼핑 등 점점 그 적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상에서의 동작을 녹화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작하므로, 컨텐츠 제작이 용이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상기 가상환경에 반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는 캐릭터 선택 데이터 및 배경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한다.
상기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 데이터, 상기 가상환경 내 객체의 이동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 및 배경 선택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선택 목록은 캐릭터 생성 항목,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캐릭터 선택 항목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며 구매 가능한 캐릭터 선택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캐릭터 생성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 캐릭터 생성 공간을 구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상에 가상의 거울 객체를 구현하고, 상기 가상의 거울 객체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로부터 반사되는 배경 및 객체가 표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재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 기준인 1인칭 시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시야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을 바라본 3인칭 시야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접속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 데이터 및 배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 1 가상환경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제 2 사용자는 자신의 가상환경 내에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초대 이벤트를 승낙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상기 제 1 가상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은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이용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서 로그인한 사용자를 승인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배경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수신한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저장된 친구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친구를 사용자의 가상환경에 초대하는 초대 요청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 또는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선택 목록은 캐릭터 생성 항목,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캐릭터 선택 항목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며 구매 가능한 캐릭터 선택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캐릭터 생성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 캐릭터 생성 공간을 구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상에 가상의 거울 객체를 구현하고, 상기 가상의 거울 객체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로부터 반사되는 배경 및 객체가 표현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에서 1인칭 시야로 상기 가상의 거울 객체에 반사된 자신의 캐릭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 또는 재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 기준인 1인칭 시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시야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을 바라본 3인칭 시야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상에서의 동작을 녹화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작하므로, 컨텐츠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20은 도 2의 흐름도의 단계에 따라 진행되는 예시적인 UI화면 및 가상환경의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우선,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서버(100) 및 사용자 환경(10, 10a, 10b)을 포함한다.
사용자 환경(10)은 단말(200), 출력부(300), 입력부(400) 및 센싱부(50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접속되는 단말(200)과 가상현실 영상을 관리해주는 중앙 시스템으로서, 주요한 기능으로는 네트워크(150)를 통한 사용자 관리를 하며 사용자 접속상태를 관리하며, 사용자의 단말(200)의 기반 데이터를 통해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출력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캐릭터, 배경 데이터 및 객체 데이터를 구매할 수 있는 마켓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가상현실상에서 한 사용자의 캐릭터에서 보여지는 1인칭 시야에서 자신이 가상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가상환경을 제공하며, 또한, 시점을 변경하여 특정 지점에서 3인칭 시야로 자신의 캐릭터 및 초대된 상대 캐릭터를 함께 볼 수 있는 시점 변경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프로세스 모듈(110), 저장 모듈(120) 및 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모듈(110)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모듈(110)은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가상환경상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는 선택된 배경에서의 객체 종류, 각 프레임 상에서의 객체의 위치 및 선택된 캐릭터의 옷 정보, 각 프레임 상에서의 캐릭터의 위치 값 및 동작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는 가상현실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움직임과 객체의 이동 및 배치에 다른 동작 변화를 담고 있는 영상 컨텐츠이며, 외부로 출력 또는 편집 가능한 영상 컨텐츠로 360도 방향의 사진, 360도 방향의 동영상뿐만 아니라, 고정된 방식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컨텐츠는 3D로 구현된 가상 공간을 1인칭 시야 또는 3인칭 시야로 360도 방향으로 감상하고 체험하는 프로그램 내지 사진 또는 영상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컨텐츠는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가상 공간에서 상호 대면하여 대화하는 상황에서의 위치, 움직임 및 객체의 이동 및 배치에 다른 동작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상현실 컨텐츠는 사용자의 특정 캐릭터의 시야를 기준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재생 시 사용자의 1인칭 시야 또는 3인칭 시야를 기준으로 재생될 수 있다.
프로세스 모듈(110)은 가상현실 컨텐츠에서 사용자(U)에게 목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목록 화면은 캐릭터 목록, 배경 목록, 객체 목록, 친구 목록 및 컨텐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목록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를 썸네일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배경 목록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을 썸네일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객체 목록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며, 상위 카테고리와 하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친구 목록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친구를 캐릭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며, 해당 친구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목록 화면은 가상환경 내에서 사용자에게 UI(user interface)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환경 내에서 캐릭터 생성 항목을 선택하면, 프로세스 모듈(110)은 가상환경상에 캐릭터 생성 공간을 구현하고, 사용자에게 캐릭터 생성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스 모듈(110)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가상현실 컨텐츠를 촬영,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스 모듈(110)은 사용자의 특정 캐릭터의 시야 기준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촬영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 시 사용자의 1인칭 시야 또는 3인칭 시야를 기준으로 재생될 수 있다.
저장 모듈(120)은 사용자(U)의 로그인 정보에 기반을 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캐릭터 데이터, 배경 데이터, 친구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데이터는 캐릭터명, 캐릭터의 썸네일 이미지 및 설정한 캐릭터의 옷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 데이터는 배경명, 배경의 썸네일 이미지, 배경에 배치된 객체의 수, 배경에 배치된 객체의 종류, 배경에 배치된 객체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친구 데이터는 친구명, 친구의 대표 캐릭터 이미지, 친구의 로그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가상현실상에서 컨텐츠를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 변화에 따른 캐릭터, 배경 및 객체의 위치 이동, 형태 변환 등에 관한 영상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일 예로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은 이동 단말기로 제한되지 않고,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한 임의의 컴퓨터(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200)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유닛,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 및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로서, 일 예로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터치 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유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일 예로 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유닛이 터치 패드이고 이 터치 패드가 출력 유닛과 결합된다면, 입력 유닛과 출력 유닛은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파일 또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HDD, SSD, RAM, ROM, 캐쉬, 레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200)에는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반 데이터 및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내에서 녹화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단말(200)에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편집 또는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편집하거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은 출력부 상에 서버(100) 접속 인증을 위한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300)는 서버(100)에서 제공받은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화면을 재생하여 착용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300)는 서버(200)에서 전송된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화면의 디지털 신호를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300)는 머리 장착형 장치(HMD; Head-Mounted Device)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위한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0)는 통상의 가상 현실 장치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로써, 일 예로 게임 패드, HTC Vive Controller, 태티컬햅틱스 컨트롤러(TacticalHaptics controller)등과 같은, 가상 현실에서 표시되는 아바타의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유선 또는 무선(wireless)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4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 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지부의 상 측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00)는 전원 공급을 위한 내장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0)는 제 1 입력부(410)과 제 2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왼손에 의해 작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 2 입력부(420)은 사용자의 오른손에 의해 작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신호는 홈 이동 신호, 가상현실 영상 녹화 신호, 목록 화면 호출 신호, 선택 신호 및 포인트 이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입력부(410)에서 홈 이동 신호, 가상현실 영상 녹화 신호, 목록 화면 호출 신호 또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 2 입력부(420)에서 포인트 이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 1 입력부(410) 및 제 2 입력부(420) 각각에서 입력 받는 신호 정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500)는 복수의 모션 센서(510, 520)(예를 들어, 카메라) 및 입력부(400)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500)는 복수의 모션 센서(510, 520) 및 입력부(400)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센싱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센싱 데이터는 사용자의 헤드 트레킹 데이터, 가상환경 내 객체의 이동 데이터 및 사용자의 모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트레킹 데이터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로, 시야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가상환경 내 객체의 이동 데이터는 사용자의 보행에 의한 이동, 또는 입력장치의 조작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션 데이터는 카메라, 또는 제스처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이용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20은 도 2의 흐름도의 단계에 따라 진행되는 예시적인 UI화면 및 가상환경의 화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친구 사용자를 자신의 가상환경에 초대하여 협동을 통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는 로그인 단계(S11), 캐릭터 선택 or 생성 단계(S21), 배경 선택 단계(S31), 친구 초대(S41), 객체 선택 및 배치 단계(S51), 영상 녹화 or 영상 재생 단계(S61) 및 로그 아웃 단계(S71)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는 로그인 단계(S12), 캐릭터 선택 or 생성 단계(S22), 친구 초대 승낙 단계(S42) 및 로그 아웃 단계(S72)를 통해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작에 협조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그인 단계(S11, S21)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각자의 단말(20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단말(200)에서는 출력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ID 입력창과 PASSWORD 입력창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로그인 화면에서는 친구 추가창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제 1 사용자가 친구를 추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는 로그인 후, 출력부(300)를 장착하여 메인 화면이 표시된 가상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메인 화면에는 캐릭터 선택창(1), 배경 선택창(2) 및 갤러리 선택창(3)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 화면에서 제 1 사용자가 캐릭터 선택창(1)을 선택하면, 도 5와 같은 캐릭터 선택 화면을 제공 받으며,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제 1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캐릭터 선택 or 생성 단계(S21)를 수행할 수 있다.
캐릭터 선택 화면에는 캐릭터 생성(C1)과 저장된 캐릭터(C2) 항목이 표시되며, 제 1 사용자는 이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가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캐릭터 생성(C1) 항목을 선택하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캐릭터 생성 공간(11)으로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캐릭터 생성 공간(11)은 프로세스 모듈(110)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캐릭터 생성 공간(11)에는 사용자의 입력부(400-1)가 투영될 수 있고, 제 1 사용자는 입력부(400-1)의 포인트 이동 신호를 통해 포인트(P)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입력부(400-1)의 선택 신호를 통해 의상 목록에서 원하는 의상 또는 헤어 스타일을 선택하여 자신의 캐릭터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캐릭터 생성 공간(11)에는 가상의 거울 객체(M-1)가 배치될 수 있다.
캐릭터 생성 공간(11)에서 제 1 사용자는 1인칭 시야로 의상 목록을 열람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의상 또는 헤어 스타일이 자신의 캐릭터에 반영되어 캐릭터가 변경되는 상황을 가상의 거울 객체(M-1)에 비춰서 즉시 확인 할 수 있다.
즉, 선택된 의상 또는 헤어 스타일이 자신의 캐릭터에 반영되며, 반영된 모습은 가상의 거울 객체(M-1)에 비춰진 캐릭터(C1-1)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공간이지만 제 1 사용자는 자신의 시야와 같은 1인칭 시야로 캐릭터를 꾸밀 수 있어, 현실감이 반영될 수 있다.
가상의 거울 객체(M-1)는 현실에서의 거울과 같이, 사용자의 동작 및 상태 변화를 반사시켜, 사용자가 1인칭 시점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상의 거울 객체(M-1)는 평면 반사(Planar Reflection)가 적용된 플레이트 객체 뒤에 어두운 플레이트 객체를 배치하여 물체의 크기가 그대로 나타나게 반사 값을 조절하여 가상의 거울 객체(M-1)를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는 마켓에 저장된 캐릭터를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는 금액을 지불하여 해당 캐릭터를 구매한 후, 자신의 가상환경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200)을 통해 자신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캐릭터를 생성하여 마켓에 업로드할 수 있고, 캐릭터 판매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캐릭터를 선택 또는 생성한 이후, 제 1 사용자는 배경 선택 화면을 제공 받으며, 배경 선택 화면에서 제 1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배경 선택 또는 생성 단계(S31)를 수행할 수 있다.
배경 선택 화면에는 배경 생성(S1)과 저장된 배경 선택(S2) 항목이 표시되며, 제 1 사용자는 포인트(P) 위치를 제어하여 이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배경 선택 화면에서는 마켓에 저장된 배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는 금액을 지불하여 해당 배경을 구매한 후, 자신의 가상환경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200)을 통해 자신의 가상 환경의 배경을 생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배경을 생성하여 마켓에 업로드할 수 있고, 배경 판매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배경을 선택 또는 생성한 이후, 제 1 사용자는 자신에 의해 정의된 가상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는 가상환경상에서 사용자는 입력부(400)를 제어하여, 목록 화면(M)을 불러올 수 있다.
목록 화면(M)은 제 1 사용자의 1인칭 시야 전면에 UI로 표시될 수 있다.
목록 화면(M)은 캐릭터 목록(CM), 객체 목록(OM), 친구 목록(FM) 및 컨텐츠 목록(R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캐릭터 목록(CM)에는 저장된 캐릭터 항목(C2)이 썸네일 이미지와 캐릭터명으로 표시되며, 제 1 사용자는 포인트(P) 위치를 제어하여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캐릭터를 재 변경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객체 목록(OM)에는 저장된 객체 항목(O1)이 썸네일 이미지와 객체명으로 표시되며, 제 1 사용자는 포인트(P) 위치를 제어하여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상환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배치하여, 객체 선택 및 배치 단계(S51)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가상환경 상에서 제 1 사용자는 포인트(P) 위치를 제어하여, 선택된 객체(O1)의 배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 신호를 통해 객체(O1)의 사이즈 조절 또는 방향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3D 그래픽 파일, 3D 애니메이션 파일 또는 2D 이미지 파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는 친구 목록(FM)에서 친구 사용자(F1)(이하, 제 2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객체 선택 및 배치 단계(S51) 이전, 이후 또는 도중에 상관없이 친구 목록(FM)에서 제 2 사용자(F1)를 초대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포인트(P) 위치를 제어하여, 친구 목록(FM)에서 있는 친구 초대(F-I) UI를 선택하여, 자신의 가상환경에 제 2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4와 같이 자신의 가상환경에 제 2 사용자의 제 2 캐릭터(C-U2)를 초대하여, 하나의 가상환경상에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협동을 통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가상환경상에서 제 1 캐릭터(C-U1)와 제 2 캐릭터(C-U2)는 서로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해 상호 대화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 각각은 개별적으로 하나의 가상환경상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제 2 사용자는 서버(100)에 로그인하여 접속하여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여야 친구 초대 이벤트를 요청받을 수 있으며, 친구 초대 이벤트에 대하여 초대 승낙 단계(S42)를 수행하면, 제 1 사용자의 가상환경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는 컨텐츠 목록(RM)을 열람하여, 포인트(P) 위치를 제어하여 가상환경상에서 컨텐츠 목록(RM)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R1)를 재생하거나 녹화 UI(R-S)를 선택하여 새로운 영상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영상 녹화 or 영상 재생 단계(S61)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 재생 중에는 시작 UI, 정지 UI, 재생바 UI(R-P) 등을 가상환경상에 표시하여, 가상환경 상에서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가상환경 내에서 재생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확인하면서, 추가적인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객체를 이동하거나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컨텐츠가 재생되는 재생창은 하나의 객체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재생창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가상환경 내에서 재생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가상환경 내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한 후, 가상현실 컨텐츠 내 캐릭터(R-C)의 1인칭 시점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 중, 시점 변경 신호를 입력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내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R-C)를 바라본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는 각자 로그 아웃 단계(S71, S72)를 수행함으로써, 가상환경에서 로그 아웃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200: 단말
300: 출력부
400: 입력부
500: 센싱부

Claims (14)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상기 가상환경에 반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는 캐릭터 선택 데이터 및 배경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 데이터, 상기 가상환경 내 객체의 이동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 및 배경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선택 목록은
    캐릭터 생성 항목,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캐릭터 선택 항목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며 구매 가능한 캐릭터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캐릭터 생성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 캐릭터 생성 공간을 구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상에 가상의 거울 객체를 구현하고,
    상기 가상의 거울 객체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로부터 반사되는 배경 및 객체가 표현되도록 구현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재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 기준인 1인칭 시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시야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을 바라본 3인칭 시야로 변경하여 재생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접속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 데이터 및 배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 1 가상환경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제 2 사용자는 자신의 가상환경 내에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초대 이벤트를 승낙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상기 제 1 가상환경을 제공받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11. 제 1 항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이용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서 로그인한 사용자를 승인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배경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수신한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저장된 친구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친구를 사용자의 가상환경에 초대하는 초대 요청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스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 또는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릭터 선택 목록은 캐릭터 생성 항목,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캐릭터 선택 항목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며 구매 가능한 캐릭터 선택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캐릭터 생성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 캐릭터 생성 공간을 구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캐릭터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상에 가상의 거울 객체를 구현하고,
    상기 가상의 거울 객체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로부터 반사되는 배경 및 객체가 표현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 생성 공간에서 1인칭 시야로 상기 가상의 거울 객체에 반사된 자신의 캐릭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 또는 재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가상환경상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시야 기준인 1인칭 시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시야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환경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을 바라본 3인칭 시야로 변경하여 재생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180082681A 2018-07-17 2018-07-17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KR10209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81A KR102099135B1 (ko) 2018-07-17 2018-07-17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81A KR102099135B1 (ko) 2018-07-17 2018-07-17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06A true KR20200008706A (ko) 2020-01-29
KR102099135B1 KR102099135B1 (ko) 2020-04-09

Family

ID=6932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681A KR102099135B1 (ko) 2018-07-17 2018-07-17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1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329B1 (ko) * 2020-02-20 2021-05-27 주식회사 비전브이알 인터랙티브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방법 및 장치
WO2022260301A1 (ko) * 2021-06-09 2022-12-15 주식회사 뉴코어 버드뷰 시점을 제공하는 vr 콘텐츠 렌더링 장치 및 방법
WO2023090671A1 (ko) * 2021-11-22 2023-05-25 옥재윤 개별 메타버스 서버들과의 연동을 통한 메타버스 통합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48909A1 (ko) * 2022-09-01 2024-03-07 주식회사 메타스카이 Nft를 이용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1306A (ja) * 2007-08-27 2010-12-24 シャオ,チュエン 宇宙での体性感覚体験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と装置
KR20120090660A (ko) * 2011-02-08 201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가상 현실 사이버 피트니스 서비스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993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체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1306A (ja) * 2007-08-27 2010-12-24 シャオ,チュエン 宇宙での体性感覚体験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と装置
KR20120090660A (ko) * 2011-02-08 201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가상 현실 사이버 피트니스 서비스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993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체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329B1 (ko) * 2020-02-20 2021-05-27 주식회사 비전브이알 인터랙티브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방법 및 장치
US11605196B2 (en) 2020-02-20 2023-03-14 Vision Vr Inc. Providing method and device of interactive virtual reality contents
US11935173B2 (en) 2020-02-20 2024-03-19 Vision Vr Inc. Providing method and device of interactive virtual reality contents
WO2022260301A1 (ko) * 2021-06-09 2022-12-15 주식회사 뉴코어 버드뷰 시점을 제공하는 vr 콘텐츠 렌더링 장치 및 방법
US11779841B2 (en) 2021-06-09 2023-10-10 Newcore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ndering VR content that provide bird's eye view perspectives
WO2023090671A1 (ko) * 2021-11-22 2023-05-25 옥재윤 개별 메타버스 서버들과의 연동을 통한 메타버스 통합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48909A1 (ko) * 2022-09-01 2024-03-07 주식회사 메타스카이 Nft를 이용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135B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135B1 (ko)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US8018455B2 (en) Multi-user animation coupled to bulletin board
CN207037604U (zh) 交互式教学系统
JP7098676B2 (ja) 動画用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動画のオブジェクト描画方法、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サーバ及び動画配信方法
CN114327700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截屏图片播放方法
JP2022500795A (ja) アバターアニメーション
CN112261481B (zh) 互动视频的创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8076939A1 (zh) 视频文件的处理方法和装置
CN112261433A (zh) 虚拟礼物的发送方法、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732089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快捷交互方法
KR20180080012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실감형 음악연주 컨텐츠 생성·공유 장치 및 방법
Sun et al. Enabling participatory design of 3D virtual scenes on mobile devices
CN114302221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投屏媒资播放方法
US11887365B2 (en) Method for producing and replaying courses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system thereof
US20200254358A1 (en) Terminal for action robo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0248682A1 (zh) 一种显示设备及虚拟场景生成方法
CN115129280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投屏媒资播放方法
JP2022018875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666849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컨텐츠 생성 및 수수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7445272B1 (ja) 動画処理方法、動画処理システム、及び動画処理プログラム
US20230326161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831027B1 (ja) 配信システム、動画生成装置、および動画生成方法
US20240112418A1 (en) XR World Build Capture and Playback Engine
US20240037877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playing with toys
TWM560053U (zh) 線上整合擴增實境的編輯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