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503A -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503A
KR20200008503A KR1020190080783A KR20190080783A KR20200008503A KR 20200008503 A KR20200008503 A KR 20200008503A KR 1020190080783 A KR1020190080783 A KR 1020190080783A KR 20190080783 A KR20190080783 A KR 20190080783A KR 20200008503 A KR20200008503 A KR 2020000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idget
update
updating
interfa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527B1 (ko
Inventor
룽치 장
친 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0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6Updates while ru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당해 방법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는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고,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통신 가능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된다. 이어서,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한다. 추출된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서버에 의해 발표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나서,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업데이트한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르면,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PPLICATION, AND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본 개시 내용의 구현 방식은, 개괄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처리 능력이 제고됨에 따라, 현재까지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많이 출현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복잡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데 대량의 시간을 허비하여야 한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본인의 기대에 미달임이 발견될 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이미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거하게 된다.
현재까지 이미 점점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이 출현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사전 체험하도록 지원한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가 업데이트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발표하므로, 이는 시용 플랫폼에서 이에 따라 부단히 플랫폼의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요구되는바, 이로써 사용자가 최신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확보된다. 따라서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기술 방안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안이 제공된다.
본 개시 내용의 제1 측면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당해 방법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는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통신 가능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된다. 이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한다. 추출된 상기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서버에 의해 발표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업데이트한다.
본 개시 내용의 제2 측면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당해 장치는, 획득 모듈, 추출 모듈, 결정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당해 획득 모듈은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고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통신 가능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된다. 당해 추출 모듈은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결정 모듈은 추출된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서버에 의해 발표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업데이트 모듈은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제3 측면에서는, 기기가 제공된다. 당해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본 개시 내용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본 개시 내용의 제4 측면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는바,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본 개시 내용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발명 내용 부분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개시 내용의 구현 방식의 핵심 또는 중요 특징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도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기타 특징은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이해하기 쉽게 될 것 이다.
첨부 도면을 결부하고 이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각 구현 방식의 상술한 및 기타의 특징, 이점 및 측면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하는바, 여기서:
도1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기술 방안이 적용될 수 있는 응용 환경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기술 방안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위젯 지식 모델을 획득하기 위한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을 획득하기 위한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위젯 지식 모델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의 애플리케이션의 기타 실례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개시 내용의 복수의 구현 방식을 구현 가능한 컴퓨팅 기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 내용의 구현 방식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비록 첨부 도면에 본 개시 내용의 어떤 구현 방식이 도시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은 여러 가지 형식으로 구현 가능한 것으로, 여기서 서술하는 구현 방식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반대로, 이러한 구현 방식을 제공하는 것은 본 개시 내용을 더욱 투철하게 그리고 완전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첨부 도면 및 구현 방식은 예시적 작용을 위한 것으로, 본 개시 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구현 방식의 설명에서, 전문 용어 ‘포함’ 및 그 유사 용어는 개방적 포괄, 즉,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문 용어 ‘기반하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문 용어 '하나의 구현 방식' 또는 '당해 구현 방식'은 '적어도 하나의 구현 방식'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문 용어 '제1', ‘제2’ 등은 부동한 또는 동일한 대상을 지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또한, 기타의 명확한 및 묵시적인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기술 방안이 적용될 수 있는 응용 환경(100)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은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하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 ..., 114 등)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 설치된 게임 A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4)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 설치된 게임 B일 수 있다. 비록 도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는 게임 A의 복수의 실례가 존재할 수 있다. 통사적으로 게임의 업데이트 빈도는 보다 높은바, 때문에 본 개시의 전반 서술에서는 게임을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전반 서술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기타 프로그램, 예를 들어, 쇼핑, 티켓 예매 또는 기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은 네트워크(140)를 통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은 게임 A를 위한 서버일 수가 있고, 서버(132)는 게임 B를 위한 서버일 수가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는 각자의 모바일 기기(120, ?, 122)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체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20)를 통해 그리고 네트워크(140)를 경유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액세스할 수 있고, 다른 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22)를 통해 그리고 네트워크(140)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4)를 액세스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가 업데이트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발표하므로, 이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이에 따라 부단히 플랫폼의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요구된다. 현재 이미 제공된 바는,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설치 패키지를 정기적으로 캡처링하고 플랫폼이 사용하는 설치 패키지의 버전과 최신 설치 패키지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는 통상적으로 최초 설치 패키지의 내용에 대해 수정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작동 과정에서 설치 패키지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를 사용자한테 알린다(이를 '핫 업데이트'로 호칭함). 선행 기술은 이러한 핫 업데이트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애플리케이션 버전이 최신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확보할 수 없다.
선행 기술 중의 상술한 부족함에 기반하여, 더욱 편리하고 빠른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술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당해 기술 방안이 현존하는 기술 방안과 결합될 수 있고, 될수 있는 한 선행 기술방안의 하드웨어 구조를 변경하지 않는 상황에서 구현될 것을 희망한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고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2 내지 도8를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고자 한다. 도2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기술 방안의 블록도(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작동하고 작동 기간에 발생된 인터페이스 이미지(21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스크린캡쳐하는 방식을 통해 인터페이스 이미지(210)를 획득할 수도 있고, 또한 스크린 내용에 변화가 발생함이 발견될 시 인터페이스 이미지(210)를 획득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인터페이스 이미지(210)에는 복수의 위젯(220)이 포함되는바, 이때 이미지 인식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210)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230)을 획득할 수 있다. 도2에 대화 상자 위젯(222)(여기에 버튼(224) 및 버튼(226)이 포함됨)이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바, 당해 위젯(222)의 속성은 예를 들어 위젯의 문자, 유형,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추출된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서버에 의해 발표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240)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업데이트(240)가 존재한다면 업데이트(240)와 관련되는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인식에 기반하여 위젯의 복수의 속성(예를 들어, 문자 내용에 ’업데이트‘ 포함, 컬러는 ’선명’ 등)을 추출하고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라면, 한 측면으로는 애플리케이션 작동 기간에 인터페이스 이미지(210)로부터 '핫 업데이트'를 검출하여 업데이트를 실행할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으로는, 수동 조작이 불필요한 상황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검출 및 업데이트를 실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에 관한 더욱 많은 디테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방법(3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31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210)를 획득하는바,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작동되고,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은 통신 가능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서버(130)에 커플링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12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원격으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액세스할 수 있다. 작동 기간에,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버(130)에 모바일 기기(120)로부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서버(130)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는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모바일 기기(120)에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의 방식으로 사용자한테 인터페이스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는,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220)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230)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이미지(210) 중의 각각의 위젯에 대해 관련되는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위젯(220)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관련되는 내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2 에 도시한 위젯(222)에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가 존재하는데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할가요?'라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속성(230)은 예를 들어 위젯 중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또한 위젯의 문자, 위젯의 유형, 위젯의 위치, 위젯의 양식 및 위젯의 트리거링 가능 여부 중의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는, 추출된 복수의 속성(230)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210)가 서버(130)에 의해 발표되는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위젯(222)과 관련되는 상술한 문자에서 ‘업데이트‘라는 글씨를 검출한 것에 기반하여 업데이트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업데이트를 알리는 대화 상자는 또한 예를 들어 '결정', '버전', '신 버전', ‘다운로드’, '설치 패키지' 등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젯과 관련되는 속성(230)에 상술한 문자가 존재함이 검출될 시, 업데이트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단지 속성(230)에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어떻게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판단할지에 대해 설명하는 것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또한 지식 모델에 기반하고 속성의 더 많은 측면을 통하여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는, 인터페이스 이미지(210)가 업데이트의 존재(즉 판단 결과가 ‘그러하다’임)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방법이 단계350에로 전입한다. 단계350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젯(222) 중의 버튼(224)을 클릭하여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그리고나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업데이트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속성(23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위젯의 문자 이외에도, 속성(230)은 또한 위젯의 유형, 위젯의 위치, 위젯의 양식 및 위젯의 트리거링 가능 여부 중의 어느 한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젯의 유형은 대화 상자, 선택 상자, 버튼 등일 수 있다. 위젯의 중심( 또는 왼쪽 위 모서리)이 스크린에서의 상대 위치를 적용하여 위젯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뚜렷함을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위젯은 통상적으로 스크린 중심에 위치한다. 때문에, 만약 위젯에 문자 ’업데이트‘가 포함되고 당해 위젯이 스크린 중심 위치에 위치함이 발견된다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속성(230)은 또한 위젯(220)의 양식(예를 들어, 컬러, 글씨체, 아이콘 포함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뚜렷함을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위젯(220)은 통상적으로 뚜렷한 컬러, 큰 글씨체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느낌표 등 아이콘을 포함하게 된다. 때문에 만약 위젯(220)이 상술한 내용에 관련됨이 발견된다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는 단지 예시 방식으로 속성이 관련될 수 있는 복수의 측면의 내용을 설명한 것일 뿐이고, 구체적인 응용 환경에서, 속성(230)은 또한 더 많거나 더 적은 측면의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속성이 대량 존재하는 상황에서, 만약 각각의 속성의 구체 수치에 기반하여 각각의 속성이 업데이트가 존재하는 상응하는 역치를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해 일일이 판단한다면, 대량의 판단 문구를 사용하게 되고 판단 흐름이 보다 복잡하게 됨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추출된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위젯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라면, 복수의 속성을 단일한 특징에 매핑함으로써 위젯의 다측면의 요소와 업데이트 존재 여부 사이의 연관 관계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선형 회귀 방법을 이용하고 복수의 속성에 근거하여 위젯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은 공식1을 적용하여 어느 한 위젯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공식1
당해 공식1에서, y는 위젯의 특징을 표시하고, n는 속성의 수량을 표시하고, Xi는 복수의 속성 중의 제i 번째 속성의 득점을 표시하고, ai 및 bi는 선형 회귀 방법에서 제i 번째 속성에 대한 가중치 및 편향을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라면, 더욱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복수의 속성을 특징에 매핑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0, 100] 범위 내의 수치로써 각각의 속성의 득점을 표시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만약 위젯의 텍스트에 '<업데이트>', ‘다운로드’ 등 문자가 존재한다면, 속성 '텍스트'의 득점을 보다 높은 수치(예를 들어, 80)로 설정할 수 있다. 텍스트가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극히 중요하므로 당해 속성에 대해 보다 높은 가중치(예를 들어, 1.5) 및 긍정 편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만약 위젯의 위치가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한다면 속성 '위치'의 득점을 보다 높은 수치(예를 들어, 60)로 설정할 수 있다. 위젯의 위치가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보다 중요하므로 당해 속성에 대해 보다 높은 가중치(예를 들어, 1.2) 및 긍정 편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구현을 이용하면, 각각의 속성의 득점에 기반하여 위젯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위젯 지식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젯 지식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위젯의 특징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위젯의 특징 및 한 그룹의 샘플 위젯과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나서, 만약 위젯의 특징이 매핑 관계에 매칭된 것이 결정되면,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을 결정한다. 상술한 예시적 구현을 이용하면, 기계 학습 방법에 기반하고 또한 기존 지식 트레이닝에 기반하여 획득한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존재 여부에 대해 부수적 판단을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4a를 참조하여 어떻게 위젯의 특징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4a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위젯 지식 모델(420A)을 획득하기 위한 블록도(400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위젯 특징(410A)을 획득할 수 있는바, 여기서 샘플 위젯 특징(410A)은 이전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한 것에 기반하여 획득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업데이트(412A)는 이전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할 시 위젯이 업데이트를 초래하였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것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샘플 위젯 특징(410A) 및 업데이트(412A)에 기반하여 위젯 지식 모델(420A)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그룹의 샘플 위젯의 특징(당해 그룹의 샘플 위젯은 업데이트를 초래함)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다른 한 그룹의 샘플 위젯의 특징(당해 그룹의 샘플 위젯은 업데이트를 초래하지 않음)을 획득할 수도 있다. 기계 학습 기술을 통하여 위젯 지식 모델(420A)을 트레이닝 및 획득할 수 있는바, 당해 위젯 지식 모델(420A) 및 현재 획득된 위젯 특징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가령 한 그룹의 샘플 위젯 특징이 모두 문자 ’업데이트'에 관한 것이고 당해 위젯이 업데이트를 초래하였다면, 문자 ’업데이트‘에 관련되는 위젯 특징을 수신할 시, 상술한 샘플 트레이닝에 기반하여 획득한 위젯 지식 모델(420A)을 적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가 존재함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구현을 이용하면 충분히 위젯 특징 및 업데이트 존재 여부에 관한 역사 경험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의 작동 기간에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미 어떻게 위젯 특징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판단할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는 기타 복잡한 내용이 관련될 수가 있으므로, 단순히 위젯 특징에 의존하면 오판의 상황이 출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또한 인터페이스 이미지(210)의 전반 내용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존재 여부에 대해 부수적 판단을 할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을 획득할 수 있는바, 여기서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 및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매핑 관계 및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하여 업데이트의 신뢰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만약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한 판단 결과와 위젯 특징에 기반한 최초 판단 결과가 일치된다면 최초 판단 결과가 보다 높은 신뢰도를 구비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아니라면, 최초 판단 결과의 신뢰도를 낮출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4b를 참조하여 어떻게 인터페이스 이미지(210)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4b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을 획득하기 위한 블록도(400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410B)를 획득할 수 있는바, 여기서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410B)는 이전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한 것에 기반하여 획득된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업데이트(412B)는 이전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할 시 인터페이스 이미지(210)가 업데이트를 초래하였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것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410B) 및 업데이트(412B)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당해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를 초래함)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다른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당해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는 업데이트를 초래하지 않음)를 획득할 수도 있다. 기계 학습 기술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을 트레이닝 및 획득할 수 있는바, 당해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 및 현재 획득된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을 트레이닝 및 사용하는 상세한 단계는 도4a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위젯 지식 모델(420A)의 트레이닝 및 사용과 유사하므로 아래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위젯을 트리거링하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업데이트한다. 도2에 도시한 예시로 돌아가면,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적용하면 위젯(222)이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가 존재함을 지시한 것을 결정할 수 있는바, 이때 위젯(222)의 버튼(224)을 클릭하여 서버에서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조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구현을 이용하면,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업데이트에 관한 설치 패키지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작동하는 후속의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초래되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나아가 상기에서 설명된 지식 모델(예를 들어, 위젯 지식 모델(420A) 및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이 정확한지 여부)을 검증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오직 위젯 지식 모델(420A)만을 예시로 설명을 진행하고자 한다. 도5는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위젯 지식 모델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5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단계510에서, 위젯을 트리거링한 후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한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시점은 예를 들어 위젯이 트리거링된 후 2분간(또는 기타 시간 길이)일 수가 있고, 통상적으로, 만약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가 존재한다면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위젯(222)을 트리거링한 후 다른 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설치 패키지의 보존 알림 대화 상자 또는 설치 패키지 다운로드 진행바 등)가 출현하게 되며, 이때, 이전의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에 대한 판단을 통해 업데이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단계520에서,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바, 만약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다면 단계530에로 전입시키고, 만약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다면 후속으로 업데이트 조작이 실행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전의 지식 모델이 오판을 초래하였다고 여길 수 있고, 때문에 후속의 단계530에서 후속의 위젯의 특징에 기반하여 매핑 관계를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 후의 매핑 관계가 특징과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사이에는 매핑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복수 가지 방식에 기반하여 두 개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셀 비교에 기반하여 차이를 결정할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문자 또는 이미지 내용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수치의 방식으로 차이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수치 범위 [0, 100]를 차이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때, 미리 결정된 역치를 60 또는 기타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가령 위젯의 트리거링 이후 다운로드 진행바가 디스플레이된다면 다운로드 진행바는 이전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업데이트 알림 대화 상자와 완전 부동함을 결정할 수 있고, 이때 현재의 지식 모델에 기반하여 정확한 판단 결과를 획득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는바, 이때는 지식 모델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다른 한 예시에서, 가령 위젯의 트리거링 이후 인터페이스가 여전히 현재의 게임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면 두 개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음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위젯의 특징에 기반하여 위젯 지식 모델(420A)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또한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구현을 이용하면, 한 측면으로, 실제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실례(112)가 업데이트를 초래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위젯 지식 모델(420A) 및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420B) 중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다른 한 측면으로, 지식 모델을 트레이닝하는 초기 단계에 오직 보다 적은 샘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또한 두 개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높은 상황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를 초래하는 샘플을 획득하고, 두 개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은 상황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를 초래하지 않은 샘플을 획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라면, 자율 학습의 방식을 통해 트레이닝에 사용하는 샘플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300)은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는 모바일 기기(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120)에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작동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는 모바일 기기(120)와 서버(130) 사이의 매개체로서 양자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수신한다. 상술한 예시적 구현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20)에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하지 않은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가지 기능을 체험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자신의 수요를 만족한다고 확인한 후,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20)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를 만족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설치 및 제거하게 되는 상황을 피면할 수가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 ..., 124)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또한 일부 실례에만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타 실례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도6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애플리케이션의 기타 실례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블록도(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령 이미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였고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가 존재함을 결정하였다면,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4)에 대한 업데이트를 작동할 수 있다. 실례(112) 및 (114)는 동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례이므로 업데이트가 이미 존재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실례(114)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 조작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을 건너뛰어 인터페이스 이미지에서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위젯을 직접 트리거링함으로써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작동 부하가 보다 가벼운 시간 구간(예를 들어, 야간)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업데이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의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정기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제공자가 새로운 설치 패키지를 발표하였는지 여부에 대해 점검할 수가 있다.
비록 상기에서는 단지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의 업데이트를 예시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어떻게 업데이트할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제 조작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례가 작동될 수 있는바, 이때, 각각의 실례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매개 애플리케이션의 매개 실례가 모두 최신 버전에로 업데이트되도록 확보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상기에서 이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110)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112)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500)의 구체 단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7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7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해 장치(700)는 획득 모듈(710), 추출 모듈(720), 결정 모듈(730) 및 업데이트 모듈(7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당해 획득 모듈(710)은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바,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고,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통신 가능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된다. 당해 추출 모듈(720)은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결정 모듈(730)은 추출된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서버에 의해 발표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업데이트 모듈(740)은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결정 모듈(730)은, 특징 추출 모듈, 모델 획득 모듈 및 업데이트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당해 특징 추출 모듈은 추출된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위젯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모델 획득 모듈은 위젯 지식 모델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바, 위젯 지식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위젯의 특징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위젯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위젯의 특징 및 한 그룹의 샘플 위젯과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이다. 당해 업데이트 결정 모듈은 위젯의 특징이 매핑 관계에 매칭된 것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추출 모듈(720)은 속성 추출 모듈을 포함한다. 당해 속성 추출 모듈은 위젯의 문자, 위젯의 유형, 위젯의 위치, 위젯의 양식 및 위젯의 트리거링 가능 여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특징 추출 모듈은, 회귀 모듈을 포함한다. 당해 회귀 모듈은 선형 회귀 방법을 이용하고 복수의 속성에 근거하여 위젯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장치(700)는, 모델 획득 모듈 및 검증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당해 모델 획득 모듈은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바,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 및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이다. 당해 검증 모듈은 매핑 관계 및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하여 업데이트의 신뢰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업데이트 모듈(740)트리거링 모듈 및 작동 모듈을 포함한다. 당해 트리거링 모듈은 위젯을 트리거링하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작동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당해 장치(700)는, 이미지 획득 모듈 및 매핑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당해 이미지 획득 모듈은 위젯을 트리거링한 후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매핑 업데이트 모듈은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은 것에 응답하여, 위젯의 특징에 기반하여 매핑 관계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바, 이는 업데이트 후의 매핑 관계가 특징과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사이에는 매핑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장치(700)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모바일 기기에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를 작동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구현에 따르면, 장치(700)는 실례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당해 실례 업데이트 모듈은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한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도8은 본 개시 내용의 복수의 구현 방식을 구현 가능한 컴퓨팅 기기(800)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기기(800)는 도1의 응용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800)는 중앙 처리 유닛(CPU)(801)을 포함하는바, 이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8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저장 유닛(80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803)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적당한 동작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RAM(803)에는 또한 기기(800) 조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CPU(801), ROM(802) 및 RAM(803)은 버스(8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05)도 버스(804)에 연결된다.
기기(800) 중의 복수의 부품은 I/O 인터페이스(805)에 연결되는바, 입력 유닛(806),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 출력 유닛(807),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저장 유닛(808),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 및 통신 유닛(809),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모뎀, 무선 통신 송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809)은 기기(800)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또는 여러 가지 전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타 기기와 정보/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허용한다.
처리 유닛(801)은 상기에서 설명된 각각의 방법 및 처리를 실행하는바, 예를 들어 방법(300)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 방식에서, 방법(300)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예를 들어 저장 유닛(808)에 유형적으로 포함된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가 ROM(802) 및/또는 통신 유닛(809)을 통하여 기기(800)에 로딩 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803)에 로딩되어 CPU(801)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300)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타 구현 방식에서, CPU(801) 는 기타 임의의 적당한 방식을 통해(예를 들어, 펌웨어의 도움으로) 방법(3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구현 방식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고안에서,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논리 부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한 시범 유형의 하드웨어 논리 부품은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주문형 반도체(ASIC), 특정 용도 표준 제품(ASSP), 시스템 온 칩(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PLD) 등을 포함한다 .
본 개시 내용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을 적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규정한 기능/조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기계에서 전부 실행되거나, 기계에서 일부 실행되거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일부는 기계에서 실행되고 일부는 원격 기계에서 실행되거나, 혹은 원격 기계 또는 서버에서 전부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전반 서술에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의 매체일 수 있는바, 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의, 자성의, 광학의, 전자기의, 적외선의 또는 반도체의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에 기반하는 전기 연결, 휴대형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기기, 자기 저장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게 된다.
이 외에, 비록 각 조작을 묘사함에 있어서 특정 순서를 적용하였지만, 이러한 조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한 조작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로써 기대하는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정한 환경에서는, 다중 태스크 및 병렬 처리가 유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록 위의 서술에는 약간의 구체 구현 디테일이 포함되지만, 이러한 것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독의 구현 방식의 전반 서술에서 설명되는 어떤 특징 또한, 조합 가능하게 하나의 구현에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하나의 구현의 전반 서술에서 설명되는 여러 가지 특징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브조합의 방식으로 복수의 구현에 구현될 수 있다.
비록 이미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에 특정된 언어를 적용하여 본 주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한정하는 주제는 위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또는 동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위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및 동작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의 예시 형식을 구현하는 것일 뿐이다.

Claims (22)

  1.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 -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통신 가능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됨 - 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서버에 의해 발표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서버에 의해 발표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추출된 상기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위젯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위젯 지식 모델을 획득 - 상기 위젯 지식 모델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위젯의 특징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젯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위젯의 특징 및 상기 한 그룹의 샘플 위젯과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임 - 하는 단계; 및
    상기 위젯의 상기 특징이 상기 매핑 관계에 매칭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젯의 문자, 상기 위젯의 유형, 상기 위젯의 위치, 상기 위젯의 양식 및 상기 위젯의 트리거링 가능 여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추출된 상기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위젯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선형 회귀 방법을 이용하고 상기 복수의 속성에 근거하여 상기 위젯의 상기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을 획득 - 상기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 및 상기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임 - 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관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업데이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위젯을 트리거링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을 트리거링한 후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의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위젯의 상기 특징에 기반하여 상기 매핑 관계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데이트 후의 상기 매핑 관계가 상기 특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사이에 매핑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작동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한 실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11.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례의 작동 기간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 -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는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은 통신 가능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커플링됨 - 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 중의 위젯과 관련되는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모듈;
    추출된 상기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서버에 의해 발표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추출된 상기 복수의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위젯의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특징 추출 모듈;
    위젯 지식 모델을 획득 - 상기 위젯 지식 모델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위젯의 특징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젯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위젯의 특징 및 상기 한 그룹의 샘플 위젯과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임 - 하도록 구성되는 모델 획득 모듈; 및
    상기 위젯의 상기 특징이 상기 매핑 관계에 매칭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결정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모듈은, 상기 위젯의 문자, 상기 위젯의 유형, 상기 위젯의 위치, 상기 위젯의 양식 및 상기 위젯의 트리거링 가능 여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속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속성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 모듈은, 선형 회귀 방법을 이용하고 상기 복수의 속성에 근거하여 상기 위젯의 상기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회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을 획득 - 상기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와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지식 모델은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 및 상기 한 그룹의 샘플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관련되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반하여 트레이닝되는 것임 - 하도록 구성되는 모델 획득 모듈; 및
    상기 매핑 관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업데이트의 신뢰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위젯을 트리거링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링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을 트리거링한 후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의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획득 모듈; 및
    상기 다른 한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역치보다 낮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위젯의 상기 특징에 기반하여 상기 매핑 관계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데이트 후의 상기 매핑 관계가 상기 특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사이에 매핑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매핑 업데이트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례를 작동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이미지가 상기 업데이트의 존재를 지시함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용 플랫폼에서 작동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한 실례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실례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21. 기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2.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90080783A 2018-07-16 2019-07-04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204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78200.8A CN109032634B (zh) 2018-07-16 2018-07-16 用于更新应用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1810778200.8 2018-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503A true KR20200008503A (ko) 2020-01-28
KR102204527B1 KR102204527B1 (ko) 2021-01-18

Family

ID=6464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83A KR102204527B1 (ko) 2018-07-16 2019-07-04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07856B2 (ko)
JP (1) JP6783907B2 (ko)
KR (1) KR102204527B1 (ko)
CN (1) CN109032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7958B (zh) * 2019-06-25 2023-12-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智能调整文字识别率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54957B (zh) * 2019-07-31 2021-02-05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测试用户界面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408031B (zh) * 2022-09-29 2023-09-05 北京亚控科技发展有限公司 应用的更新方法及相关设备
CN117135268A (zh) * 2023-02-23 2023-11-28 荣耀终端有限公司 拍摄的方法和电子设备
CN117806688B (zh) * 2024-03-01 2024-05-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热更新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667A (ko) * 2012-06-29 2015-01-14 인텔 코포레이션 보안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플랫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KR20150110766A (ko) * 2013-08-13 2015-10-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970A (ja) * 2000-06-19 2002-01-11 Takasaki Kyodo Keisan Center:Kk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試用システム
JP6218236B2 (ja) * 2014-05-30 2017-10-2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50378714A1 (en) * 2014-06-30 2015-12-31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oviding Context-Specific Software Updates to Client Applications
CN104301383A (zh) * 2014-09-05 2015-01-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升级方法、装置及设备
US9619244B2 (en) * 2014-09-05 2017-04-11 Xiaomi Inc. Method and system for upgrading an electronic device
EP3093803A1 (en) * 2015-04-30 2016-11-16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recommendation of learning content
US9904536B1 (en) * 2015-09-18 2018-02-27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web widgets
CN105549973A (zh) * 2015-12-11 2016-05-04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列表控件中视图列表的数据更新方法及系统
KR101707552B1 (ko) * 2016-07-27 2017-02-16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체험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07463400B (zh) * 2017-07-31 2019-12-13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移动应用的热更新方法及终端设备
US11645575B2 (en) * 2019-01-03 2023-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nking actions to machine learning prediction explanations
US11481627B2 (en) * 2019-10-30 2022-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ributed learning of composite machine learning models
WO2021226925A1 (en) * 2020-05-14 2021-11-18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nvironment for ride-hailing platfor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667A (ko) * 2012-06-29 2015-01-14 인텔 코포레이션 보안 인증을 이용한 모바일 플랫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KR20150110766A (ko) * 2013-08-13 2015-10-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32634B (zh) 2021-11-26
US11507856B2 (en) 2022-11-22
JP6783907B2 (ja) 2020-11-11
JP2020013571A (ja) 2020-01-23
US20200019868A1 (en) 2020-01-16
CN109032634A (zh) 2018-12-18
KR102204527B1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8503A (ko)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9940581B2 (en) Ontology-aided business rule extraction using machine learning
US9032423B2 (en) Dependency based configuration package activation
CN105446874B (zh) 一种资源配置文件的检测方法和装置
US20150222731A1 (en) Computer,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831021B1 (ko) 번들링된 소프트웨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82914A1 (en) Apps store with integrated test support
EP3022691B1 (en) Mobile application optimization platform
JP2016058027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81006A1 (en) Extract-transform-load processor controller
US20220197606A1 (en) Software library differential identification and automated uplift
EP4092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electronic map,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573127A (zh) 评估数据差异性的方法和系统
CN115658478A (zh) 测试用例的筛选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328736A (zh) 一种探针部署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309706A (zh) 多语言配置文件的更新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CN109597638B (zh) 基于实时计算引擎解决数据处理、设备联动的方法及装置
CN114461499A (zh) 异常信息检测模型的构建方法和灰度环境异常检测方法
CN114547252A (zh) 文本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3220511A (zh) 测试bios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543391B (zh) 应用平台升级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309375B (zh) 应用程序编程接口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EP41521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2560434B (zh) 确定文本中要素属性冲突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4416678A (zh) 一种资源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