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344A -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344A
KR20200007344A KR1020180081349A KR20180081349A KR20200007344A KR 20200007344 A KR20200007344 A KR 20200007344A KR 1020180081349 A KR1020180081349 A KR 1020180081349A KR 20180081349 A KR20180081349 A KR 20180081349A KR 20200007344 A KR20200007344 A KR 2020000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ositioning
positioning block
plate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웅
Original Assignee
박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웅 filed Critical 박귀웅
Priority to KR102018008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7344A/ko
Publication of KR2020000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Abstract

성형장치에 금형을 교체 장착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금형의 종류에 따라 외곽 형상이 다를 경우, 해당 형상의 금형을 성형장치에 장착할 때 이전 설치되었던 금형의 설치 기준과 다른 기준면을 설정해야하는데,
기존에는 다른 형상의 금형으로 교체 장착할 때 기준면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숙련자의 노하루에 의존하여 새로운 기준면을 설정하고, 설정 후 미세하게 여러차례에 걸쳐 위치수정을 한 후 최종 장착위치를 결정하다보니 금형 교체과정이 너무 오래걸리고 숙련자 외에는 작업이 어려웠으며 전체적으로 작업효율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금형이 장착될 지점 부근에 별도의 위치결정블록을 구비하여 위치결정블록의 일측면을 활용하여 장착할 해당 금형의 최초 위치를 설정하는 기준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위치결정블록이 단순히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면서 해당 금형의 외곽 모양에 따라 적합한 기준면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금형, 예를들면 세로방향으로의 긴 형상 금형이나 가로방향으로 긴 형상 금형 등을 교체 설치할 때 단순히 위치결정블록을 회전시켜 해당 금형의 최초 설치 기준면을 쉽게 셋팅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출 등의 작업 과정에서 사출성형기에 금형을 교체설치하는 과정이 간소해져 교체에 따른 시간절약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금형 교체작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Set position of mold}
금형을 위치 결정(positioning)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사이즈의 금형 으로서도 용이하게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어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종래, 사출성형기 등(injection molding machine)의 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열 실린더내에 있어서 가열되어 용융당한 수지를 고압으로 사출해 금형의 캐비티 공간에 충진하고, 상기 캐비티 공간내에 있어서 수지를 냉각하고, 고체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성형품을 성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은 고정금형 및 가동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형체장치에 의해서 상기 가동 금형을 진퇴시켜, 상기 고정 금형에 대해서 접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형폐, 형체 및 형개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성형기에 있어서 성형하는 성형품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성형품의 형상이 변경되므로, 상기 금형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금형은 중량물이므로, 새롭게 사용하는 금형을 형체장치에 설치하는 경우, 크레인(crane)에 의해서 상부로부터 금형을 내려 형체장치의 고정 플래턴과 가동 플래턴(platen)과의 사이 반입하거나 차체를 지탱하는 부분, 컨베이어 등에 실어 운반해 온 금형을 형체장치의 측면으로부터 고정플래턴과 가동 플래턴(platen)과의 사이 반입하거나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을 고정 플래턴 및 가동 플래턴(platen)에 설치하기 위한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고정 플래턴 및 가동 플래턴(platen)에 금형의 위치 결정(positioning)용 부재를 배설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용 부재는 금형을 형체장치의 상부로부터 반입하는 경우에도, 측면으로부터 반입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위치 결정(positioning)용 부재는 다른 사
이즈의 금형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이즈의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 플래턴 및 가동 플래턴(platen)으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부재를 떼어낼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금형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이 번잡이 되고, 또, 작업시간이 길어지므로, 성형기의 스루풋(cleaner throughput)이 저하되어 버린다.
일반적으로, 한 개의 성형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금형의 외형 치수(dimension), 즉, 사이즈의 종류는 어느 정도 한정되고는 있지만, 복수 존재 한다. 그리고, 세로의 치수와 비교해 가로의 치수가 큰 가로길이로 긴 형상의 금형인 경우, 형체장치의 측면으로부터 금형을 반입하고, 가로의 치수와 비교해 세로의 치수가 큰세로로 긴 형상의 금형인 경우, 형체장치의 상부로부터 금형을 반입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상기 종래 위치 결정(positioning)용 부재에 있어서는 금형을 형체장치의 상부로부터 반입하는 경우에도, 측면으로부터 반입하는 경우에도, 위치 결정(positioning)되는 금형의 저면의 위치가 거의 같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 위치 결정(positioning)용 부재는 거의 같은 사이즈의 금형의 경우에는 금형을 형체장치의 상부로부터 반입할 경우에도, 측면으로부터 반입할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지만, 다른 사이즈의 금형에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금형을 위치 결정(positioning)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사이즈의 금형 으로서도 용이하게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어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에 있어서는 금형에 당접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을 구비하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과 상기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이 편심 한 위치에 있어서 금형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에 장착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을 회전해 자세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위치 결정 기준면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로 인해,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는 금형에 당접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을 구비하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과 상기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이 편심 한 위치에 있어서 금형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에 장착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을 회전해 자세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위치 결정 기준면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 경우,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의 자세를 변경하는것으로써 금형을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이즈의 금형 으로서도 용이하게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어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의 치수가 상위하는 2종류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해 가이드 롤러 32상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다. 또, 세로의 치수가 상위하는 2종류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상부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매달아 반입하고,
금형 11의 저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를 상기 위치 결정 돌기 33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다.
그리고 발명에서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는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뿐만이 아니라, 시트 성형기, 트랜스퍼 성형(transfer molding) 장치, 다이케팅(diescasting) 머신, IJ밀봉 프레스, 성형품을 수지 시트로부터 구멍 뚫는 트리밍 장치(trimming equipment)와 같은 타발장치,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기, 프레스성형기(press molding), 판재 절곡기, 형타기, 구멍 빼기기 등 각종 성형기나 장치의 금형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실시하기 위해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전체 구성도면
도2는 제1실시예에 따른 개략도
도3은 제1실시예의 구성 단면도
도4는 제1실시예의 회전축 도면
도5는 제1실시예의 위치결정블록 도면
도6은 세로형 금형 설치도면
도7은 제2실시예의 위치결정블록 도면
도8은 제3실시예의 위치결정블록 도면
도9는 제4실시예의 위치결정블록 도면
본 발명에서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는 시트 성형기, 트랜스퍼 성형(transfer molding) 장치, 다이케팅(dies casting) 머신, 밀봉 프레스 등의 각종의 성형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의 형편상,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사출 성형기(injectionmolding machine)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이다.
그리고, 17은 프레임(frame), 12는 상기 프레임(frame) 17에 고정된 금형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로서의 고정 플래턴, 15는 그 고정 플래턴(platen) 12와의 사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상기 프레임(frame) 17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된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토글 서포트이다.
상기 토글 서포트 15는 토글 식형 체장치의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로서 기능한다.
또, 16은 상기 고정플래턴(platen) 12로 토글 서포트 15와의 사이 가설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타이 바(tie bar)이다.
그리고, 13은 상기 고정 플래턴(platen) 12로 대향해 배설되어 상기 타이 바(tie bar) 16에 따라서 진퇴(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된 금형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로서의 가동 플래턴(platen)이다. 또, 11은 금형이고, 고정금형 11 a 및 가동 금형 11 b로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래턴(platen) 12에서 가동 플래턴(platen) 13으로 대향하는 금형 설치면에는 고정 금형 11 a가 장착되어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에서 상기 고정플래턴(platen) 12로 대향하는 금형 설치면에는 가동 금형 11 b가 장착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금형 11의 외형 치수(dimension), 즉,사이즈의 종류가 두 개이고, 세로의 치수와 비교해 가로의 치수가 큰 가로길이 긺 형상의 것과 가로의 치수와 비교해 세로의 치수가 큰 세로로 긴 형상의 것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금형 11은 가로길이로 긴형상의 것이다.
또, 금형 11의 측면에는 결합 부재 14가 장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부재 14는 형태 닫힌 상태에 있는 고정 금형 11 a와 가동 금형 11 b를 결합해 일체화하는 부재이고, 상기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에 설치하거나 형체장치 10으로부터 떼어내거나 할 경우에 상기 금형 11의 측면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 14는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의 운전때에는 해제된다.
덧붙여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후단 (도면에서 좌단)에는 도시되지 않는 이젝터 핀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driving arrangement)를 설치하도록 해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으로 토글 서포트 15와의 사이에는 토글 식형 체장치로서의 토글 기구 20이 장착되어 상기 토글 서포트 15의 후단에는 상기 토글 기구 20을 작동시키는 형체용 구동원으로서의 형체모터 26이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형체모터 26은 회전운동(rotary motion)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볼 나사(ball screw) 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되지 않는 운동 방향 변환 장치(converter)를 구비해 구동축 25를 진퇴(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것에 의해서, 토글 기구 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형체모터 26은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로서의 형태인 개폐 위치 센서 27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토글 기구 20은 상기 구동축 25에 장착된 크로스헤드(cross head) 24, 상기 크로스 헤드(cross head) 24에 요동 가능에 장착된 제 2토글 레버 23, 상기 토글 서포트 15에 요동 가능에 장착된 제 1토글 레버 21 및 ,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요동 가능에 장착된 토글 암(arm) 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토글 레버 21으로 제 2토글 레버 23과의 사이 및 , 제 1토글 레버 21으로 토글 암(arm) 22와의 사이가, 각각, 링크 결합(link connection) 된다. 덧붙여 상기 토글 기구 20은 이른바 , 내권소녀 무악점더블 토글 기구이고, 상하가 대칭의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형체모터 26이 구동하고, 피구동 부재(driving member)로서의 크로스 헤드(cross head) 24를 진퇴 시키는 것에 의해서, 토글 기구 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크로스 헤드(cross head) 24를 전진(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에 이동)시키면,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이 전진당해 형폐를 한다.
그리고, 상기 형체모터 26에 의한 추진력에 토글 배율을 곱한 형체력이 발생당해 상기 형체력에 의해서 형체를 한다.
덧붙여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는 CPU, MPU 등의 연산 수단,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 키보드(keyboard), 조이스틱(joy stick), 터치패널 등(touch panel)의 입력 수단, CRT,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 입출력 인터페이스(interface) 등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용 제어장치(terminal control unit)를 가진다. 상기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용 제어장치(terminal control unit)는 일종의 컴퓨터이고,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의 C보조투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보조 투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 회전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B보조 투영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31은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의 위치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이고,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서 하부부에 장착되고 있다. 덧붙여 도 1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의 수는 두 개이지만, 하나 로서나 좋고, 셋 이상 으로서도 이상적이다. 또, 상기 위치 결정블록(block) 31은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각각, 장착되고 있어도 무관하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후판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복수, 예를 들면, 세 개의 롤러로서의 가이드 롤러 32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 32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도 1에서 상단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주의 일부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도 1에서 상단면에서도 상부에 돌출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 상단면상에 재치된 고정 금형 11 a는 상기 가이드 롤러 32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매끄럽게 도 1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각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의 하단면에는 감합 부재로서의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은 둘이상 으로서도 이상적이다.
또,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의 외측(도 1에서 우측)에는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으로 같은 높이의 위치에, 가이드 블록(block) 37이 장착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block)37은 복수, 예를 들면, 세 개의 가이드 롤러 37 a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러 37 a는 상기 가이드 롤러 32와 같게, 가이드 블록(block) 37의 도 1에서 상단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주의 일부가 가이드 블록(block) 37의 도 1에서 상단면에서도 상부에 돌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롤러 37 a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금형 11 a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으로부터 가이드 블록(block) 37에, 또, 가이드 블록(block) 37으로부터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에 매끄럽게 갈아탈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가이드 블록(block) 37은 생략할 수도 있다.
게다가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의 상기 가이드 블록(block) 37으로 반대측(도 1에서 좌측)에는 스토퍼 부재 38이 장착되고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 38은 금형 설치면의 중앙에 향한 측면(도 1에서 우측의 측면)의 위치가 고정 금형 11 a의 측면으로 당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스토퍼 부재 38은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회전축 34, 위치 결정(positioning) 부재로서의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부재로서의 보조 고정 볼트 36에 의해서,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장착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가 두 개이고, 보조 고정 볼트 36이 세 개이지만, 상기 위치 결정 핀 35 및 보조 고정 볼트 36의 수는 하나 로서나 좋고, 몇 으로서도 이상적이다.
덧붙여 보조 고정 볼트 36은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31이 편심 한 위치에 있어서 금형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로서의 고정 플래턴 12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즉, 위치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에는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축 삽통구멍(이렇게) 34 a가 형성되어 볼트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34가 상기 회전축 삽통구멍 34 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34의 선단(도 4에서 좌단) 부근에 형성된 수나사가,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는 회전축 수용구멍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 하고 있다.
또,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에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보조 볼트 삽통구멍 36 a가 형성되어 보조 고정 볼트 36이 상기 보조 볼트 삽통구멍 36 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고정 볼트 36의 선단(도 3에서 좌단) 부근에 형성된 수나사가,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는 보조 볼트 수용구멍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합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에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삽통구멍 41이 형성되어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가 상기 위치 결정 핀 삽통구멍 41에 삽입된다.
여기서,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삽통구멍 41의 선단(도 3에서 좌단)에는 소경부 35 a 및 플랜지상(flange)의 대경부 35 b가 형성되어 상기 대경부 35 b가 상기 위치 결정 핀 삽통구멍 41의 대경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대경부 35 b의 측벽과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삽통구멍 41의 단부의 측벽과의 사이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부세 부재 42가 배설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소경부 35 a는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는 핀수용공에 진입하고 있다.
또,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의 수중단(도 3에서 우단)에는 작업자(operator)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재 43이 장착되고 있다. 상기 파지부재 43은 예를 들면, 선재, 봉재 등을 만곡시킨 것이고, 도 3에서 상하 방향에는 얇게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 핀 삽통구멍 41의 수중단에는 파지부재 보유통 44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 파지부재 보유통 44의 수중단에는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의 축방향(도 3에서 횡방향)에 연재하는 도시되지 않는 슬릿상(slit)의 노치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재 43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에 장착된 부분은 상기 부분 내측에 삽입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operator)가 상기 파지부재 43을 수중단 방향으로 꺼내고, 90 도 회전 시킨다고 상기 파지부재 43은 도 3에 있어서 43'으로 나타나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 파지부재 43을 수중단 방향으로 꺼내면,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 전체가 수중단 방향으로 나타나 부세 부재 42가 압축되므로, 상기 부세 부재 42의 부세력이 작용하고,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는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삽통구멍 41의 선단 방향에 편향(付勢)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파지부재 43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에 장착된 부분이, 파지부재 보유통 44의 단면의 노치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걸리므로,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없다. 또, 소경부 35 a의 선단면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에서 고정 플래턴 12옆의 면과 동일한지 또는 조금인붐빈 위치가 된다.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이 도 1에 나타나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상기 회전축 34 및 보조 고정 볼트 36은 단단히 조일 수 있으며 또한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의 소경부 35 a는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형성된 핀수용공에 진입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강고하게 장착된다. 또, 상기 회전축 34를 느슨하게 해 보조 고정 볼트 36을 떼어내고,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를 수중단 방향으로 꺼내고, 파지부재 43을 도 3에 있어서 43'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상기 회전축 3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180 도 회전 시키면, 도 1에 있어서 31'으로 나타나는 상하역방향의 자세가 된다. 상기 상하역방향의 자세에 있어서, 파지부재 43을 90 도 회전 시켜 파지부재 보유통 44의 부분 내측에 삽입하면,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의 소경부 35 a는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에 형성된 핀수용공에 다시 진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도 1에 있어서 31'으로 나타나는 상하역방향의 자세로 안정한다.
이 경우,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의 형성된 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에 대한 회전축 34의 편심량은 고정 플래턴 12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되는 금형 11 a 및 후술되는 금형 11a'의 높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요컨데, 고정 플래턴 12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되는 금형 11 a와 금형 11a'와의 하단의 높이의 차이가, 편심량이 된다. 편심량이라는 것은 회전축 34로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와의 거리와 회전축 34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형성된 면의 기준면과의 거리와의 차이의 양이다. 따라서, 고정 플래턴 12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되는 금형의 높이에 의해서, 고정플래턴 12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되는 회전축 34의 위치 및 상기 편심량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에 설치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전술된 것처럼 도 2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금형 11은 가로길이 긺 형상의 것이므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operator)는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용 제어장치(terminal control unit)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고, 형체장치 10을 작동시켜,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과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과의 간격이 금형 11의 두께의 치수보다도 조금 커지는 위치에, 가동 플래턴(platen) 13을 이동 하게 한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한다. 이 경우, 고정 금형 11 a와 가동 금형 11 b와는 결합 부재 1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있다.
또, 상기 금형 11은 도시되지 않는 차체를 지탱하는 부분, 컨베이어 등에 싣고, 형체장치 10의 측면에까지 운반되어 대기 위치에 있다. 덧붙여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금형 11은 저면의 높이가 상기 가이드 블록(block) 37의 가이드 롤러 37a의 상단부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의 높이로 동일하도록 조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금형 11은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되었을 때에, 매끄럽게 상기 가이드 블록(block) 37의 가이드 롤러 37 a의 상단부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에 갈아탈 수 있다.
덧붙여 금형 11은 가로길이 긺 형상의 것 으로서, 세로의 치수가,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상하의 타이 바(tie bar) 16간의 치수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block) 37의 가이드 롤러 37 a의 상단부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의 높이가, 아래쪽의 타이 바(tiebar) 16의 상단부의 높이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금형 11은 상하의 타이 바(tie bar) 16에 접촉하는 일 없이,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블록(block) 37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고정 플래턴 12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각각, 장착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과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과의 간격이 금형 11의 두께의 치수보다도 조금 커지는 정도이므로, 고정 금형 11 a의 저면 및 가동 금형 11 b의 저면은 각각, 고정 플래턴 12에 장착된 가이드 블록(block) 37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된 가이드 블록(block) 37의 가이드 롤러 37 a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가이드 롤러 32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지지된다.
그리고, 작업자(operator)는 고정 금형 11 a의 측면 및 가동 금형 11 b의 측면을, 고정 플래턴 12에 장착된 스토퍼 부재 38의 측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된 스토퍼 부재 38의 측면으로 당접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정 금형 11 a 및 가동 금형 11 b는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대해서 각각 위치 결정(positioning)된다.
즉, 고정 금형 11 a 및 가동 금형 11 b는 저면에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의 가이드 롤러 32의 상단부가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고정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가 규정된다.
또, 고정 금형 11 a 및 가동 금형 11 b는 측면이 스토퍼 부재 38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대한 좌우 방향의 위치가 규정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금형 11 자세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 금형 11 a 및 가동 금형 11b의,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대한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상기 고정 금형 11 a를 고정 플래턴 12에 설치한다, 즉, 상기 고정 금형 11a와 고정 플래턴 12와의 쟁탈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용 제어장치(terminal control unit)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고, 형체장치 10을 작동시키고, 가동 플래턴(platen) 13을 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이 가동 금형 11 b의 배면에 접촉한 위치에서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을 정지시킨다. 상기 위치는 교체 후금형 11에서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형태 폐 위치이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상기 가동 금형 11 b와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쟁탈을 실시한다. 그리고,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결합 부재 14를 금형 11으로부터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금형 11의 형체장치 10으로의 설치해 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세로로 긴 형상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에 설치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금형 11'의 세로의 치수가 상하의 타이 바(tie bar) 16간의 치수보다도 커지고 있으므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할 수 없다.
그래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상부로부터 반입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세로로 긴 형상의 금형을 위치 결정(positioning)하는 경우의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세로로 긴 형상의 금형을 형체장치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작업자(operator)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34를 느슨하게 해 보조 고정 볼트 36을 모두 떼어낸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파지부재 43을 파지하고,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를 수중단 방향으로 꺼낸 후, 파지부재 43을 90 도 회전 시켜 파지부재 보유통 44의 단면의 노치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건다(plating jig). 이것에 의해,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의 소경부 35 a의 선단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에서 고정 플래턴 12옆의 면과 동일한지 또는 조금인붐빈 위치가 되고,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상기 회전축 3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을 180 도 회전 시키면,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상단면으로 위치하는 상하역방향의 자세가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34는 도 1에 나타나는 자세의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에 있어서 중심에서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즉,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아래쪽에 편심 한 위치에 장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회전축 34를 중심으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을 180 도 회전 시키면, 상기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상단면의 위치가 회전 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해, 세로의 치수가 상기 금형 11보다도 긴 금형 11'에 대응할 수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사출 성형기(injectionmolding machine)용 제어장치(terminal control unit)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고, 형체장치 10을 작동시켜,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과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과의 간격이 금형 11'의 두께의 치수보다도 조금 커지는 위치에, 가동 플래턴(platen) 13을 이동 하게 한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고정 금형 11a'또는 가동 금형 11b'에, 도 6에 나타나는 크레인(crane) 설치금구 47을 설치해 상기 크레인(crane) 설치금구 47에 천정 주행크레인(travelling crane) 등의 도시되지 않는 크레인(crane)의 와이어 로프, 쇠사슬 등의 선상체 48의 선단부를 계합시켜, 상기 금형 11'의 중량을 상기 크레인에 의해서 지지시킨다.
덧붙여 상기 고정 금형 11a'또는 가동 금형 11b'에 선상체 48의 선단부를 계합시키는 부재가 미리 배설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크레인 설치금구 47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상기 크레인을 작동시켜, 크레인(crane) 설치금구 47에 선상체 48의 선단부를 계합시킨 금형 11'을, 도 6에서 화살표 K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설치되고,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한다. 덧붙여 금형 11'은 세로로 긴 형상의 것 으로서, 가로의 치수가,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좌우의 타이 바(tie bar) 16간의 치수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금형 11'은 위쪽의 소정의 타이 바(tie bar) 16에 접촉하는 일 없이,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된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상기 크레인을 작동시켜, 크레인(crane) 설치금구 47에 선상체 48의 선단부를 계합시킨 금형 11'을, 도 6에서 화살표 K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매달고,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한다. 덧붙여 금형 11'은 세로로 긴 형상의 것 으로서, 가로의 치수가,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좌우의 타이 바(tie bar) 16간의 치수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금형 11'은 위쪽의 타이 바(tie bar) 16에 접촉하는 일 없이,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 31은 고정 플래턴 12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각각, 장착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과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과의 간격이 금형 11'의 두께의 치수보다도 조금 커지는 정도이므로, 고정 금형 11a'의 저면 및 가동 금형 11b'의 저면은 각각, 고정 플래턴 12에 장착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에 장착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에 당접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operator)는 상기 크레인을 작동시켜, 금형 11
'을 하강시키고, 고정 금형 11a'의 저면 및 가동 금형 11b'
의 저면을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상단면에
당접시킨다. 이 경우,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전술된 것처럼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상단면으로 위치하는 상하역방향의 자세가 되고 있다. 그리고, 고정 금형 11a'의 저면 및 가동 금형 11b'의 저면에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 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있다. 그래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고정 금형 11a'의 저면 및 가동 금형 11b'의 저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에 일치 시키도록, 금형 11'의 횡방향의 위치 및 자세를 수정하면서, 크레인(crane)을 작동시켜 금형 11'을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정 금형 11a'및 가동 금형 11b'는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 위치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 위치에 대해서 각각 위치 결정(positioning)된다. 즉, 고정금형 11a'및 가동 금형 11b'는 저면에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의 상단면이 당접하고, 또한, 저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 위치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 위치에 대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위치가 규정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금형 11 자세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 금형 11 a 및 가동 금형 11 b의, 고정 플래턴 12의 금형 설치면 및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대한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회전축 34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아래쪽에 편심 한 위치에 장착되고 있으므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상하역방향의 자세가 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상단면은 도 1에 나타나는 통상의 자세에서 상단면의 위치보다도 낮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세로의 치수가 긴 금형 11'의 위치 결정(positioning)도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상기 고정 금형 11a'를 고정 플래턴 12에 설치한다, 즉, 상기 고정 금형 11a'와 고정 플래턴 12와의 쟁탈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용 제어장치(terminal control unit)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고, 형체장치 10을 작동시키고, 가동 플래턴(platen) 13을 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이 가동 금형 11b'의 배면에 접촉한 위치에서 상기 가동 플래턴(platen) 13을 정지시킨다. 상기 위치는 교체 후금형 11'에서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형태 폐 위치이다. 계속해서,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상기 가동 금형 11b'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쟁탈을 실시한다.
그리고, 작업자(operator)는 수작업에 의해서, 선상체 48의 선단부를 크레인(crane) 설치금구 47으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크레인(crane) 설치금구 47을 고정 금형 11a'또는 가동 금형 11b'로부터 떼어내고, 결합 부재 14'를 금형 11'으로부터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금형 11'의 형체장치 10으로의 설치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회전축 3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아래쪽에 편심 한 위치에 장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통상의 자세인 경우에는 높은 위치가 되고,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상하역방향의 자세인 경우에는 낮은 위치가 된다. 즉,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회전축 34를 중심으로 회전해 자세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을 회전축 34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자세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서, 다른 사이즈의 금형 11 및 금형 11'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통상의 자세인 경우에는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이 가이드 롤러 32를 구비한다, 즉, 가이드 롤러 32가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하므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해 가이드 롤러 32상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금형 11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상하역방향의 자세인 경우에는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을 구비한다,
즉,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형성된 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하므로,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상부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매달아 반입하고, 금형 11'의 저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를 상기 위치 결정 돌기 33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금형 11'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덧붙여 감합부재로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 33에 대신해 위치 결정(positioning)용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형 11'의 저면에는 위치 결정(positioning)용의 오목부에 감합하는 돌기를 형성한다.
또,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을 설치하는 위치는 고정 플래턴 12또는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금형 설치면에 형성되는 회전축 삽통구멍 34a, 보조 볼트 삽통구멍 36 a 및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삽통구멍 4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금형 11의 사이즈에 따르고, 적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플래턴 12또는 가동 플래턴(platen) 13의 좌방부 또는 우측부나 상부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게다가 가이드 블록(block) 37 및 스토퍼 부재 38을 설치하는 위치도, 금형 11의 사이즈에 따르고, 적의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31의 위쪽에 편심 한 위치에 장착되고 있어도 무관하다. 즉,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편심 한 위치에 있으면 이상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와 같은 동작 및 같은 효과에 대해서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상단 부근 및 하단 부근에 복수, 예를 들면, 세개씩의 가이드 롤러 32를 구비한다. 즉,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통상의 자세인 경우에도, 또, 상하역방향의 자세인 경우에도 가이드 롤러 32가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의 치수가 상위하는 2종류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 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에 반입해 가이드 롤러 32상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조 고정 볼트 36이 생략되고 있지만,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 과 동일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상기 제 1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은 동작 및 같은 효과에 대해서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상단면 및 하단면에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즉, 위치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통상의 자세인 경우에도, 또, 상하역방향의 자세인 경우에도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의 형성된 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의 치수가 상위하는 2종류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상부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매달아 반입하고, 금형 11의 저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를 상기 위치 결정 돌기 33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결정(positioning)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조 고정 볼트 36이 생략되고 있지만,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 과 동일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블록(block)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은 상단 부근 및 하단 부근에 복수, 예를 들면, 세개씩의 가이드 롤러 32를 구비한다. 즉,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통상의 자세인 경우에도, 또, 상하역방향의 자세인 경우에도 가이드 롤러 32가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또, 우측면 및 좌측 단면에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즉,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좌방향에 90 도 회전당한 자세인 경우에도, 또, 오른쪽 방향에 90 도 회전당한 자세인 경우에도 위치 결정(positioning) 돌기 33의 형성된 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아래쪽 또한 좌측으로 편심 한 위치에 장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이,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통상의 자세인 경우에는 높은 위치가 되고,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상하역방향의 자세인 경우에는 낮은 위치가 되고, 게다가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좌 방향에 90 도 회전당한 자세인 경우에는 높은 위치가 되고,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이 오른쪽 방향에 90 도 회전당한 자세인 경우에는 낮은 위치가 된다.
또, 위치 결정(positioning) 핀 35가 회전축 34의 주위의 4개소에 장착되고 있지만, 상기 위치 결정 핀 35의 수는 적의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의 치수가 상위하는 2종류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측면으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반입해 가이드 롤러 32상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다. 또, 세로의 치수가 상위하는 2종류의 금형 11을 형체장치 10의 상부로부터 고정 플래턴 12로 가동 플래턴(platen) 13과의 사이 매달아 반입하고,
금형 11의 저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를 상기 위치 결정 돌기 33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positioning)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조 고정 볼트 36이 생략되고 있지만,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 과 동일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쪽 또는 우측으로 편심 한 위치에 장착되고 있어도 무관하다.
즉, 상기 회전축 34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 31의 위쪽 또는 아래쪽 및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 한 위치에 있으면 이상적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금형 위치 결정(positioning) 장치는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뿐만이 아니라, 시트 성형기, 트랜스퍼 성형(transfer molding) 장치, 다이케팅(diescasting) 머신, IJ밀봉 프레스, 성형품을 수지 시트로부터 구멍 뚫는 트리밍 장치(trimming equipment)와 같은 타발장치,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기, 프레스성형기(press molding), 판재 절곡기, 형타기, 구멍 빼기기 등 각종 성형기나 장치의 금형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실시하기 위해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금형에 당접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positioning) 기준면을 구비하는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과 상기 위치 결정(positioning) 블록(block)이 편심 한 위치에 있어서 금형 지지 장치(means for supporting)에 장착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위치 결정 블록(block)을 회전해 자세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위치 결정 기준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KR1020180081349A 2018-07-13 2018-07-13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KR20200007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49A KR20200007344A (ko) 2018-07-13 2018-07-13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49A KR20200007344A (ko) 2018-07-13 2018-07-13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344A true KR20200007344A (ko) 2020-01-22

Family

ID=6936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49A KR20200007344A (ko) 2018-07-13 2018-07-13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73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27A (ko)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태영금속 금형모듈 교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27A (ko)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태영금속 금형모듈 교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73340B (zh) 一种全自动模具开合模装置
KR101867129B1 (ko)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
KR20200007344A (ko) 금형의 위치설정 장치
CN101637952A (zh) 金属模安装模具、金属模保持构件以及合模装置
CN111633081A (zh) 一种大型钢材折弯设备及折弯工艺
KR100801113B1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결합바의 펀칭 및 벤딩 동시성형기
CN107282808B (zh) 一种通用型冲压复合模自动取料装置
CN210498267U (zh) 带有导向顶出机构的工业机器人手臂重力铸造模具
CN105492139B (zh) 用于生产砂模的机器
CN212397867U (zh) 一种插座内芯件加工模具
CN208730211U (zh) 一种便于脱模的注塑模具
CN208592303U (zh) 一种五金加工用多孔冲压模具
JP3158923U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3620724B2 (ja) 電動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5553227B2 (ja) 横型ダイカストマシン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KR100707672B1 (ko) 형체기구의 성형품 분리장치
JP2009255592A (ja) 型厚調整方法
JP2005066863A (ja) 金型位置決め装置
JP201001262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CN217964739U (zh) 便于生产发动机水泵壳体的铸件模具
CN212288565U (zh) 一种电脑外壳成型用的模具装置
CN219213890U (zh) 注塑机用模具辅助治具
CN217432979U (zh) 一种铸件造型机成型机构
CN220497518U (zh) 一种零部件模具快速定位装置
CN217573767U (zh) 一种泡沫盒生产用成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