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880A - 위상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위상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880A
KR20200006880A KR1020180080786A KR20180080786A KR20200006880A KR 20200006880 A KR20200006880 A KR 20200006880A KR 1020180080786 A KR1020180080786 A KR 1020180080786A KR 20180080786 A KR20180080786 A KR 20180080786A KR 20200006880 A KR20200006880 A KR 20200006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bstrate
circuit board
mobi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222B1 (ko
Inventor
강성만
한용희
소성환
박대명
노해리
조교진
서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8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2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CN201980046624.8A priority patent/CN112425000A/zh
Priority to JP2021500706A priority patent/JP7159436B2/ja
Priority to PCT/KR2019/008459 priority patent/WO2020013588A1/ko
Priority to EP19834450.9A priority patent/EP3823095A4/en
Publication of KR2020000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880A/ko
Priority to US17/145,382 priority patent/US11652263B2/en
Priority to JP2022163725A priority patent/JP7483822B2/ja
Priority to US18/130,920 priority patent/US20230246319A1/en
Priority to KR1020230096732A priority patent/KR2023011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01P1/184Strip lin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위상변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세장형 고정기판부, 상기 고정기판부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기판부에 고정되는 가이딩브라켓 및 상기 가이딩브라켓과 상기 고정기판부의 적어도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딩브라켓에 의해 가이딩되며, 상기 고정회로기판 상의 회로패턴과 커플링되는 도전성 스트립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기판부를 포함하는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상변환장치{PHASE SHIFTER}
본 개시는 위상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는 수평빔이 커버리지 면에서 가장 효율적이나, 간섭이나 손실 때문에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설계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안테나의 경사를 기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은 작업자의 현장 방문과 작업 중 전원의 차단 필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번거롭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위와 같은 기계적 빔틸트 방식이 아닌 전기적 빔틸트 방식이 사용된다.
전기적 빔틸트 방식은 다중 이상기(MLPS)에 기반한 방식이다. 전기적 빔틸트 방식은 수직으로 배열된 각 안테나 방사 소자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전기적 빔틸트 방식에 관련된 기술로는 미국 특허 번호 제6,864,837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전기적 빔틸팅을 위해서는 위상변환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상변환장치는 RF 아날로그 신호처리단에서 위상 변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위상 배열 안테나의 빔 제어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위상변환장치의 원리는 입력신호를 적절히 지연시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간의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송 선로의 물리적인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과 전송 선로 내의 신호전달 속도를 변화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변환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예시적으로 미국특허공개 제2005/94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1 개의 입력포트와 5쌍의 출력포트를 구비한 고정기판부와 가변스트립을 구비한 이동회로기판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위와 같은 배경기술은 위상변환장치의 한쪽 면에만 고정기판부와 이동회로기판을 설치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다. 또한, 볼록부의 반복되는 마찰로 이동기구의 내구성이 약해지고, 슬롯의 길이 제한으로 인해 이동범위 변경에 대응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나 중계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는 다양한 대역의 서비스를 하기 위한 멀티 밴드 주파수 안테나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멀티 밴드 안테나는 여러 대역 주파수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위상변환장치의 수량이 많아져야 하고, 그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 내부 공간 중 위상변환장치의 공간을 더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테나 요소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내부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이 높은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리 및 재조립이 용이한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세장형 고정기판부, 상기 고정기판부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기판부에 고정되는 가이딩브라켓 및 상기 가이딩브라켓과 상기 고정기판부의 적어도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딩브라켓에 의해 가이딩되며, 상기 고정회로기판 상의 회로패턴과 커플링되는 도전성 스트립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기판부를 포함하는 위상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기판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기판부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고정기판부의 평면도 및 이동기판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가이딩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가이딩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의 x축 방향을 '가로 방향', y축 방향을 '세로 방향', z축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기판부(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해'폭 방향'은 '가로 방향'과, '길이 방향'은 세로 방향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는 고정기판부(100), 이동기판부(200), 및 가이딩브라켓(300)을 포함한다.
또한, 외부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홀더(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기판부(100)는 안테나 신호의 신호이동경로인 회로패턴(111)을 포함한다. 고정기판부(100)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포함하며, 포트를 통해 안테나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기판부(100)에 형성된 회로패턴(111)은 안테나 케이블로부터 안테나 신호를 전달받으며, 안테나 신호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기판부(200)는 고정기판부(100)의 일면 또는 타면 상에 형성된다. 이동기판부(200)는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동기판부(200)는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가이드되며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동기판부(200)가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고정기판부(100) 상에서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렇듯 이동기판부(200)의 고정기판부(100)에 대한 상대적인 배치가 변경됨으로써 추후 설명할 내용과 같이 안테나 신호의 이동 경로의 형태 또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안테나 신호의 이동 경로 변화에 따라 안테나 신호의 위상이 변화된다.
이동기판부(200)가 고정기판부(100)에 접촉되는 방식은 이동기판부(200)의일면이 고정기판부(100)에 형성된 회로패턴(111)에 면대 면으로 접촉되는 면 접촉 방식일 수 있다. 이렇게 면 접촉 방식을 취함으로써 볼 타입 등의 구성이 회로패턴(111)에 접촉되는 등의 점 접촉 방식에 비해 고정기판부(100) 및 이동기판부(200)가 상대적으로 덜 손상될 수 있다.
한편, 이동기판부(200)는 고정기판부(100)의 양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딩브라켓(300)이 고정기판부(100)의 양면 방향에 위치하여 이동기판부(200) 외측에서 이동기판부(20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해줌으로써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이동기판부(200)가 고정기판부(10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고정기판부(100)의 양면에서 안테나 신호의 위상변환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는 고정기판부(100)의 양면에서 위상변환이 가능하므로, 회로기판의 일면에서만 위상변환이 가능한 구성에 비해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적고,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다.
가이딩브라켓(300)은 고정기판부(100) 주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고정기판부(100)에 고정된다. 이동기판부(200)는 가이딩브라켓(300)과 고정기판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딩브라켓(300)의 존재로 인해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가이딩브라켓(300)은 이동기판부(200)를 가이드하며, 이동기판부(200)는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정해진 영역에서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특히 가이딩브라켓(300)은 추후 설명할 바와 같이 레일 구조를 가지고 이동기판부(200)를 부드럽게 가이딩함으로써 고정기판부(100) 및 이동기판부(200) 표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가이딩브라켓(300)은 하나 이상의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절편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딩브라켓(300)을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이동기판부(200) 및 고정기판부(100)를 쉽게 분리, 분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는 분리 또는 분해가 쉬운 구성을 취함으로써 수리 및 재조립이 용이하다.
홀더(4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를 외부 구성에 결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홀더(400)는 일측이 고정기판부(100)에 고정되고,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안테나 외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400)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외부 장치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가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볼트 등의 결합 요소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홀더(400)는 이동기판부(200)와 인접하고 이동기판부(200)에 걸리는 걸림턱을 가짐으로써, 이로 인해 이동기판부(20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이딩브라켓(300) 및 홀더(400)에 의해 이동기판부(200)의 위치가 이중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이동기판부(20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세부적인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기판부는(100)는 안테나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세장형 판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기판부는(100)는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회로패턴(11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기판부(100)의 고정회로기판(110)에는 회로패턴(111)이 형성된다.
회로패턴(111)은 이동기판부(200)의 이동회로기판(220)에 형성된 스트립(221)과 접촉 및 커플링되는 부분 및 접촉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회로패턴(111)의 단부에는 별도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포트가 형성되어 안테나 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기판부(100)는 베이스기판(120) 및 그 양면에 형성된 고정회로기판(1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회로패턴(111)은 두 개의 고정회로기판(110)의 일면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기판(120)은 고 유전율을 가지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기판(12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회로기판(110)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장이 베이스기판(12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회로기판(110)에 흐르는 전류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회로기판(110)의 회로패턴(111)에는 전류 신호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전류신호의 흐름으로 인해 유도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는 고정기판부(100)의 일면 뿐 아니라 타면에도 전류 신호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상에서, 고정기판부(100)의 일면에 형성된 회로패턴(111)에 흐르는 전류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 전기장으로 인해 고정기판부(100)의 타면에 형성된 회로패턴(111)에 흐르는 전류 신호가 교란될 염려가 있다.
본 실시예는 고 유전율을 가지는 베이스기판(120)을 양측 고정회로기판(11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베이스기판(120)의 일측에 배치된 고정회로기판(110)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장이 타측에 배치된 고정회로기판(110) 상의 신호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기판(120)은 테프론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테프론의 유전율은 측정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 이상의 유전율을 가짐으로써, 베이스기판(120) 일측에 배치된 고정회로기판(11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이 베이스기판(120) 타측에 배치된 고정회로기판(110)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기판(120)이 테프론 소재로 제조되는 경우, 넓은 온도 범위에서 물리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뛰어난 내열성을 가짐으로써 고정회로기판(110)이 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고정기판부(100)의 가장자리에는 측면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판부(100)의 측면홈(130)에는 가이딩브라켓(300)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딩브라켓(300)을 구성하는 제1절편(310) 또는 제2절편(320)의 각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측면홈(130)의 너비는 가이딩브라켓(300)의 제1절편(310) 또는 제2절편(320)의 각 단부의 너비와 같거나, 각 단부보다 미세하게 클 수 있다. 고정회로기판(110)의 측면홈(130)에 의해 가이딩브라켓(300)의 고정회로기판(110)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동기판부(200)는 가이딩브라켓(300) 및 고정기판부(100)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동기판부(200)는 이동하우징(210) 및 이동하우징(210) 내에 배치되는 이동회로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기판부(200)는 이동하우징(210)과 이동회로기판(220)이 분리된 구성을 하나의 예시로서 설명하지만, 이와 달리 이동기판부(200)는 이동하우징(210)과 이동회로기판(220)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동하우징(210)은 고정기판부(100)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회로기판(220)은 이동하우징(210)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회로기판(220)의 일면은 고정회로기판(110)에 형성된 회로패턴(111)과 접촉 및 커플링될 수 있다.
이동하우징(210)의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이동회로기판(220)이 고정기판부(100) 상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이동회로기판(220)과 고정회로기판(110) 간 접촉 상태가 변화한다. 위 접촉 상태의 변화에 따라 안테나 신호의 이동 경로의 길이 및 형태가 변화한다.
이동기판부(200) 외측에는 가이딩브라켓(300)이 배치된다.
가이딩브라켓(300)은 예시적으로 제1절편(310)과 제2절편(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브라켓(300)은 제1절편(310) 및 제2절편(320)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330)와 회전축(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편은 고정기판부(100)의 일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절편(310)은 제2절편(320)과 그 단부가 결합 고정되며, 제1절편(310)의 일단 또는 양단은 고정기판부(100)에 형성된 측면홈(130)에 배치 고정됨으로써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제1절편(310)의 단부의 너비는 측면홈(130)에 끼워짐으로써 가이딩브라켓(3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정도일 수 있다.
제1절편(310)은 제2절편(320)과 결합되어 높이 방향 위치 이탈이 방지되고, 고정기판부(100)의 측면홈(130)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길이 방향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1절편(310)에 결합된 회전축(340) 및 회전축(340)에 결합된 롤러(330)도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1절편(31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 인해 제1절편(310)과 고정기판부(100) 사이에 배치된 이동기판부(200)도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제2절편(320)은 고정기판부(100)의 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절편(320)은 제1절편(310)과 그 단부가 결합 고정되며, 제2절편(320)의 일단 또는 양단은 고정기판부(100)에 형성된 측면홈(130)에 배치 고정됨으로써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제2절편(320)의 단부의 너비는 측면홈(130)에 끼워짐으로써 가이딩브라켓(300)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제2절편(320)은 제1절편(310)과 결합되어 높이 방향 위치 이탈이 방지되고, 고정기판부(100)의 측면홈(130)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길이 방향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2절편(320)에 결합된 회전축(340) 및 회전축(340)에 결합된 롤러(330)도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2절편(32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 인해 제2절편(320)과 고정기판부(100) 사이에 배치된 이동기판부(200)도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롤러(330)는 제1절편(310) 및 제2절편(320)의 내측면에 결합된 회전축(340)에 연결될 수 있다.
롤러(330)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3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330) 간에 이격된 거리는 이동하우징(210)의 가이딩리브(211)의 가로폭과 같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롤러(33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가이딩리브(211)가 배치되어 가이딩리브(211)의 가로 방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롤러(330)가 이동기판부(2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롤러(330)의 일면은 이동기판부(200) 일면 중 가이딩리브(211)가 형성되지 않은 면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330)의 일면은 이동하우징(210) 중 가이딩리브(211)에 인접한 면에 접촉될 수 있다. 롤러(330)는 이동기판부(200)가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이동하우징(210)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330)는 이동기판부(200)의 슬라이딩 시 이동기판부(200)의 이동하우징(2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동기판부(200)의 높이 방향 진동을 방지하여 이동기판부(200)의 슬라이딩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회로기판(220)의 높이 방향 진동도 방지되므로 이동회로기판(220)에 형성된 스트립(221)과 고정회로기판(110)에 형성된 회로패턴(111)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회전축(340)은 가이딩브라켓(300)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예시적으로, 회전축(340)은 가이딩브라켓(30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회전축(340)이 가이딩브라켓(30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롤러(330)는 회전축(34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340)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330)도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340)은 가이딩브라켓(300)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롤러(330)는 회전축(34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축(34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기판부(200) 이동시 회전축(340)은 회전하지 않고 롤러(330)만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기판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기판부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이동기판부(200)의 각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기판부(200)는 이동하우징(210) 및 이동회로기판(220)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하우징(210)과 이동회로기판(220) 사이에 판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하우징(210)은 가이딩리브(211) 및 이동기판 배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리브(211)는 이동하우징(210)의 외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딩리브(211)는 이동하우징(210)의 일면 상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동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가이딩리브(211)는 이동하우징(210)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딩리브(211)가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위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이동하우징(210)의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딩브라켓(300)의 롤러(330)에 의해 가이딩리브(211) 및 이동하우징(210)의 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동하우징(210)의 슬라이딩 시 가이딩리브(211)는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로 인해, 이동하우징(210)은 가이딩브라켓(3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가이딩리브(211)의 존재로 인해 이동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회로기판(220)의 고정기판부(100) 가로 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이동회로기판(220)과 고정회로기판(110) 간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다.
한편 이동기판부(200) 상면 중 가이딩리브(2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탄면은 롤러(33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기판부(200)의 슬라이딩 시 이동하우징(210) 및 이동회로기판(220)의 높이 방향 진동을 방지함으로써 스트립(221)과 회로패턴(111)의 안정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기판 배치부(212)는 이동회로기판(22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동기판 배치부(212)는 이동하우징(210) 및 고정기판부(100) 사이에 이동회로기판(22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동기판 배치부(212)의 가로 및 세로 폭은 이동회로기판(220)의 가로 및 세로 폭과 비슷하거나 미세하게 더 클 수 있다.
이동기판 배치부(212)에 이동회로기판(220)이 배치됨으로써, 이동하우징(210)의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이동회로기판(220)도 고정기판부(100)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그 위치가 변화한다.
이동기판 배치부(212)의 일면과 이동회로기판(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탄성을 가지는 판스프링(230)이 배치될 수 있다. 판스프링(230)은 이동회로기판(220)을 고정기판부(100)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눌러주고, 이로 인해 이동회로기판(220)과 고정기판부(100)는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기판 배치부(212)에는 이동회로기판(220)의 측면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기판 배치부(212)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회로기판(220)에는 이동기판 배치부(212)의 돌출핀(213)이 삽입되기 위한 결합홀(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홀(222)에 돌출핀(213)이 삽입되어 이동회로기판(220)을 고정함으로써 이동회로기판(220)의 측면 방향 흔들림 및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판스프링(230)은 돌출핀(213)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회로기판(220)에는 돌출핀(213)이 삽입되기 위해 결합홀(222)이 아닌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회로기판(220)은 이동하우징(210)의 이동기판 배치부(2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회로기판(220)은 고정회로기판(110)과 접촉하는 면 상에 배치되는 스트립(221)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회로기판(220)에는 결합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회로기판(220) 상에 형성된 스트립(221)은 고정회로기판(110)에 형성된 회로패턴(111)과 접촉 및 커플링될 수 있다.
이동하우징(210)의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이동회로기판(220)이 고정기판부(100) 일측면 상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스트립(221)과 회로패턴(111)의 접촉 양태가 변화한다. 이동회로기판(220)의 이동 및 배치 상태에 따라 스트립(221)과 회로패턴(111)의 접촉 상태가 변화하고, 위 접촉 상태의 변화에 따라 안테나 신호의 이동 경로의 길이 및 형태가 변화한다.
이동회로기판(220)에 형성된 결합홀(222)은 이동하우징(210) 상에 형성된 돌출핀(213)에 결합되어 이동회로기판(220)을 이동하우징(210)에 고정시킴으로써 이동회로기판(220)의 흔들림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고정기판부(100)의 평면도 및 이동기판부(200)의 저면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고정회로기판(110) 상의 회로패턴(111)에 이동회로기판(220)의 스트립(221)이 커플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는 이동회로기판(220)에 형성되는 스트립(221)이 U자 형태를 가지며, 이동기판부(200) 상에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각 스트립(221)이 대칭 형태를 가지는 구성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스트립(221)의 형태 및 배치는 회로패턴(111)의 변경 및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고정회로기판(110) 상의 회로패턴(111) 중 일부는 이동회로기판(220)의 하면에 형성된 스트립(221)과 접촉 및 커플링된다. 이동회로기판(220)은 이동하우징(210) 내의 이동기판 배치부(212)에 위치하여 이동하우징(210)이 이동함에 따라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동회로기판(220)은 고정회로기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로패턴(111)과 스트립(221)의 접촉 상태가 변화되고, 이러한 접촉 상태의 변화에 따라 신호경로 길이 및 형태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동회로기판(220)의 이동에 따른 신호 경로 길이 및 형태 변화에 따라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환이 이루어진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가이딩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가이딩브라켓(30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변환장치의 가이딩브라켓(300)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가이딩브라켓(300)은 제1절편(310) 및 제2절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편(310)의 일단에는 제1결합부(311)가 형성되며, 제1절편(310)의 타단에는 제2결합부(312)가 형성된다. 제2절편(320)의 일단에는 제3결합부(321)가 형성되며, 제2절편(320)의 타단에는 제4결합부(322)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311)는 제3결합부(321)와 체결되며, 제2결합부(312)는 제4결합부(322)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절편(310)의 제1결합부(311)는 제1절편(3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결합부(311)의 일단은 제1절편(3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3결합부(321)가 체결되는 걸림턱을 가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311)의 일면은 제3결합부(321)가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제2절편(320)의 제3결합부(321)는 제2절편(32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3결합부(321)의 일단은 제2절편(3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결합부(311)가 체결되는 걸림턱을 가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3결합부(321)의 일면은 제1결합부(311)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제1결합부(311)의 걸림턱 및 제3결합부(321)의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체결됨으로써 제1절편(310)과 제2절편(320)의 결속을 유지시킨다. 제1결합부(311)와 제3결합부(321)는 체결이 용이하도록 탄성을 가진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절편(310)의 제2결합부(312)는 제1절편(310)의 타측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이 제1절편(3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제2절편(320)의 제4결합부(322)는 제2절편(320)의 타측면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절편(310)의 제2결합부(312)의 일단이 체결될 수 있는 걸림홈 또는 걸림홀을 가지는 구성일 수 있다. 제2결합부(312)의 단부는 제4결합부(322)의 걸림홈 또는 걸림홀에 체결될 수 있는 걸림턱을 가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12)의 단부는 그 일면이 제4결합부(322)에 대한 체결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제4결합부(322)의 걸림홈 또는 걸림홀의 너비는 제2결합부(312)의 폭과 비슷한 정도로 형성됨으로써 제2결합부(312)가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렇듯 제4결합부(322)는 걸림홈 또는 걸림홀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결합부(312)가 고정기판부(100)의 높이 방향 움직임 뿐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도 방지함으로써 가이딩브라켓(300)의 안정적인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312) 및 제4결합부(322)를 먼저 체결함으로써 제1절편(310) 및 제2절편(320)이 고정기판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 후 제1결합부(311) 및 제3결합부(321)를 체결함으로써 제1절편(310) 및 제2절편(320)의 안정적이고 편리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고정기판부 300 : 가이딩브라켓
110 : 고정회로기판 310 : 제1절편
111 : 회로패턴 311 : 제1결합부
120 : 베이스기판 312 : 제2결합부
130 : 측면홈 320 : 제2절편
200 : 이동기판부 321 : 제3결합부
210 : 이동하우징 322 : 제4결합부
211 : 가이딩리브 330 : 롤러
212 : 이동기판 배치부 340 : 회전축
213 : 돌출핀 400 : 홀더
220 : 이동회로기판
221 : 스트립
222 : 결합홀
230 : 판스프링

Claims (12)

  1. 일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세장형 고정기판부;
    상기 고정기판부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기판부에 고정되는 가이딩브라켓 및
    상기 가이딩브라켓과 상기 고정기판부의 적어도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딩브라켓에 의해 가이딩되며, 상기 고정회로기판 상의 회로패턴과 커플링되는 도전성 스트립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기판부를 포함하는 위상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브라켓은 상기 고정기판부의 일면상에 배치되는 제1 절편 및 상기 고정기판부의 타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절편에 분리체결가능한 제2 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판부는
    상기 이동기판부의 일면에 상기 기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가이딩브라켓에 의해 가이딩되는 가이딩리브가 포함된 이동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브라켓은 상기 이동기판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리브는 상기 복수의 롤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편은 상기 제1 절편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 절편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편은 상기 제2 절편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3결합부 및 상기 제2 절편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4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상기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에 분리체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판부는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면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딩브라켓은 상기 측면홈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기판부의 길이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판부는 베이스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기판의 양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기판부는 상기 고정기판부의 일면과 상기 제1 절편 사이의 공간 및 상기 고정기판부의 타면과 상기 제2 절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은 2.0 이상의 유전율을 가지는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판부의 내측면에는 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은 상기 이동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인입되어 상기 이동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판부의 내측면과 상기 이동회로기판 사이에는 판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변환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위상변환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KR1020180080786A 2018-07-11 2018-07-11 위상변환장치 KR10256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86A KR102561222B1 (ko) 2018-07-11 2018-07-11 위상변환장치
JP2021500706A JP7159436B2 (ja) 2018-07-11 2019-07-10 位相変換装置
PCT/KR2019/008459 WO2020013588A1 (ko) 2018-07-11 2019-07-10 위상변환장치
EP19834450.9A EP3823095A4 (en) 2018-07-11 2019-07-10 PHASE SHIFT DEVICE
CN201980046624.8A CN112425000A (zh) 2018-07-11 2019-07-10 相位变换装置
US17/145,382 US11652263B2 (en) 2018-07-11 2021-01-10 Phase shifter including a fixed board unit and at least one moving board unit, where a guide bracket guides the at least one moving board unit relative to the fixed board unit
JP2022163725A JP7483822B2 (ja) 2018-07-11 2022-10-12 位相変換装置
US18/130,920 US20230246319A1 (en) 2018-07-11 2023-04-05 Phase shifting device
KR1020230096732A KR20230117305A (ko) 2018-07-11 2023-07-25 위상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86A KR102561222B1 (ko) 2018-07-11 2018-07-11 위상변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732A Division KR20230117305A (ko) 2018-07-11 2023-07-25 위상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80A true KR20200006880A (ko) 2020-01-21
KR102561222B1 KR102561222B1 (ko) 2023-07-28

Family

ID=691417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86A KR102561222B1 (ko) 2018-07-11 2018-07-11 위상변환장치
KR1020230096732A KR20230117305A (ko) 2018-07-11 2023-07-25 위상변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732A KR20230117305A (ko) 2018-07-11 2023-07-25 위상변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52263B2 (ko)
EP (1) EP3823095A4 (ko)
JP (2) JP7159436B2 (ko)
KR (2) KR102561222B1 (ko)
CN (1) CN112425000A (ko)
WO (1) WO202001358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61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WO2023282665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WO2023282478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KR20230001016U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뒤틀림 방지를 위한 밀리미터 웨이브용 페이즈 쉬프터 구동 장치
US11990660B2 (en) 2021-07-08 2024-05-21 Gigalane Co., Ltd. Phase shif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hase transformation units comprised of overlapping circuit patterns which are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a driving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27B1 (ko) * 2011-07-14 2011-11-16 주식회사 감마누 빔 틸트를 위한 위상가변기
KR20170092373A (ko) * 2016-02-03 2017-08-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94A (en) 1878-02-19 Improvement in stone-sawing machines
DE19812582A1 (de) * 1998-03-21 1999-09-23 Bosch Gmbh Robert Integriertes Wellenleiterbauelement
JP2002135012A (ja) * 2000-10-27 2002-05-10 Murata Mfg Co Ltd 結合器、アンテナ装置、移相器、アンテナ電力測定治具およびレーダ装置
GB0125345D0 (en) * 2001-10-22 2001-12-12 Qinetiq Ltd Antenna System
GB0215087D0 (en) 2002-06-29 2002-08-07 Alan Dick & Company Ltd A phase shifting device
US6864837B2 (en) 2003-07-18 2005-03-08 Ems Technologies, Inc. Vertical electrical downtilt antenna
JP4849570B2 (ja) 2006-12-15 2012-01-11 エルメック株式会社 可変遅延線
JP4341699B2 (ja) * 2007-05-31 2009-10-07 日立電線株式会社 移相器
US9136576B2 (en) * 2009-04-28 201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necting structure for a waveguide converter having a first waveguide substrate and a second converter substrate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KR101567882B1 (ko) * 2009-05-11 2015-1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수직 빔틸트 제어 안테나를 위한 다중 이상기
CN103050764A (zh) * 2012-12-17 2013-04-17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等相差分波束形成装置
KR101472422B1 (ko) * 2013-05-29 2014-12-15 주식회사 굿텔 윌킨슨 분배기를 이용한 위상 가변기
JP2016524863A (ja) * 2013-05-29 2016-08-18 グッテ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Goodtell. Co.,Ltd.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システム
CN104037475B (zh) 2014-01-28 2017-03-08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腔体式微波器件
SE540163C2 (sv) * 2014-04-04 2018-04-17 Filtronic Wireless Ab Justerbar fasskiftare med konstant impedans
JP6331168B2 (ja) 2014-07-14 2018-05-30 日立金属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WO2016205995A1 (zh) * 2015-06-23 2016-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相器和天线
CN105140600B (zh) * 2015-06-30 2018-01-26 安徽四创电子股份有限公司 小型化介质移相器组及天线阵馈电网络
CN105514538B (zh) * 2015-12-24 2018-05-18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相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27B1 (ko) * 2011-07-14 2011-11-16 주식회사 감마누 빔 틸트를 위한 위상가변기
KR20170092373A (ko) * 2016-02-03 2017-08-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61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WO2023282665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위상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WO2023282478A1 (ko) * 2021-07-08 2023-01-12 주식회사 기가레인 위상 천이기 및 위상 변환 유닛 및 위상 변환 방법
US11990660B2 (en) 2021-07-08 2024-05-21 Gigalane Co., Ltd. Phase shifter including a plurality of phase transformation units comprised of overlapping circuit patterns which are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a driving unit
KR20230001016U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뒤틀림 방지를 위한 밀리미터 웨이브용 페이즈 쉬프터 구동 장치
WO2023085845A3 (ko) * 2021-11-11 2023-08-0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뒤틀림 방지를 위한 밀리미터 웨이브용 페이즈 쉬프터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0174A (ja) 2021-11-04
KR20230117305A (ko) 2023-08-08
JP7483822B2 (ja) 2024-05-15
US20210135328A1 (en) 2021-05-06
EP3823095A4 (en) 2022-03-30
EP3823095A1 (en) 2021-05-19
WO2020013588A1 (ko) 2020-01-16
US11652263B2 (en) 2023-05-16
US20230246319A1 (en) 2023-08-03
CN112425000A (zh) 2021-02-26
JP2022179674A (ja) 2022-12-02
JP7159436B2 (ja) 2022-10-24
KR102561222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880A (ko) 위상변환장치
EP3413395B1 (en) Phase shifting device
US10062940B2 (en) Dielectric phase shifter comprised of a cavity having an elongated receiving space where a phase shifting circuit and a slideable dielectric element are disposed
EP2731191B1 (en) Phase shift equipment and antenna system thereof
KR100562534B1 (ko) 전력 분배 기능을 구비한 위상 가변기
US8917149B2 (en) Rotary joint for switchably rotating between a jointed and non-jointed state to provide for polarization rotation
US11616296B2 (en) Phase shifter assembly having rack-driven wiper supports therein
US7466267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559418B2 (en) Phase shifter having dielectric members inserted into a movable support frame
US10615488B2 (en) Linkage mechanism for base station antenna
CN109314292B (zh) 形成移相器的装置及天线
KR101223747B1 (ko) 안테나 위상 변위기
CN110504511B (zh) 用于移相器组件的联动机构
KR101786960B1 (ko) 페이즈 쉬프터
WO2018231325A1 (en)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serial phase shifters
WO2020169072A1 (zh) 移相器及电调天线
CN103296339B (zh) 一种移相器及基站天线
KR20040005104A (ko) 빔틸트 가변 안테나
EP3217476A1 (en) Antenna device
GB2439761A (en) Phase shifting unit using mutually movable sections to vary path length
CN116724462A (zh) 相位变换装置
US20200185829A1 (en) Guided-wave broadband mechanical phase-shifting device
CN116349088A (zh) 移相器及电调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