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932A -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932A
KR20200005932A KR1020180079555A KR20180079555A KR20200005932A KR 20200005932 A KR20200005932 A KR 20200005932A KR 1020180079555 A KR1020180079555 A KR 1020180079555A KR 20180079555 A KR20180079555 A KR 20180079555A KR 20200005932 A KR20200005932 A KR 2020000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frame
projecto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규
김대식
박정용
임현규
민중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지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932A/ko
Publication of KR2020000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로봇 등의 이동장치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각도 변경 및 렌즈 교체가 가능한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은 프로젝터모듈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카메라모듈이 거치되는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팔보 프레임; 상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는 카메라모듈 고정판; 카메라모듈 고정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평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 상기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패턴 비디오신호에 따라 물체에 패턴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모듈; 및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프로젝터모듈이 투사하는 패턴을 포함한 물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3D image obtaining system based on structured light}
본 발명은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보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로봇 등의 이동장치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각도 변경 및 렌즈 교체가 가능한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형상을 복원하는 기술은 크게 능동형 기술과 수동형 기술로 나뉠 수 있다. 능동형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레이저 삼각법과 구조광 기반 기술이 있고, 수동형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스테레오 비전이 있다. 능동형 기술은 수동형 기술에 비해 정밀도가 높아 산업용 또는 연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구조광(Structured Light)을 사용하는 3차원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의 변형으로, 두 개의 동일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와 달리, 그 중 하나의 카메라 대신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와 같은 투사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광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물체에 투사 수단을 이용하여 패턴을 투사한 다음, 패턴이 투사된 물체를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3차원 정보를 얻게 된다.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은 수동적으로 영상으로부터의 특징점(feature)만을 이용하는 반면, 구조광 카메라 시스템은 능동적으로 투사 수단으로부터 투사된 패턴을 특징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높은 처리속도 및 공간 해상도를 가진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구조광 카메라 시스템은 물체의 모델링/인식, 3차원 계측, 산업검사,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모듈이 고정된 형태를 이루고, 카메라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요구되며, 카메라 모듈의 렌즈 교체 및 초점 조절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측정 가능한 환경이 특정되어 있고 유지보수 편의성이 제한되며, 로봇 등의 이동장치에 장착하는 것이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972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지보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로봇 등의 이동장치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각도 변경 및 렌즈 교체가 가능한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은 프로젝터모듈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카메라모듈이 거치되는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팔보 프레임; 상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는 카메라모듈 고정판; 카메라모듈 고정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평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 상기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패턴 비디오신호에 따라 물체에 패턴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모듈; 및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프로젝터모듈이 투사하는 패턴을 포함한 물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팔보 프레임은 외부 외팔보 프레임과 내부 외팔보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외부 외팔보 프레임 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부 외팔보 프레임이 구비되며, 내부 외팔보 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외팔보 프레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외팔보 프레임의 양단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각각 프로젝터 프레임과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에 연결되며, 고정부재의 착탈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은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프로젝터모듈 프레임 내에 프로젝터모듈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팔보 프레임 및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임에 따라, 유지보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카메라모듈이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를 매개로 고정된 형태임으로 인해 다양한 각도를 대상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렌즈 교체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물과 카메라간의 거리(stand-off distance), 카메라 시각영역 (field of view) 등을 작업 환경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의 후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은 프로젝터모듈(10) 및 카메라모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젝터모듈(10)은 패턴 비디오신호에 따라 물체에 패턴을 투사하는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모듈(20)은 프로젝터모듈(10)이 투사하는 패턴을 포함한 물체 이미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젝터모듈(10) 및 카메라모듈(20)은 패턴 비디오 신호 및 카메라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통신연결관계를 갖는다.
상기 프로젝터모듈(10) 및 카메라모듈(20)은 기구적 장치에 의해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프로젝터모듈(10)은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카메라모듈(20)은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에 장착된다.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110)은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프로젝터모듈(10) 프레임 내에 프로젝터모듈(10)이 구비된다.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은 평판 형태를 이루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의 일측에 카메라모듈(20)이 구비된다.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110)의 양측부에는 각각 외팔보 프레임(130)이 구비되며, 외팔보 프레임(130)의 일단에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이 연결된다. 상기 외팔보 프레임(130)은 피스톤 방식으로 구성하여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외부 외팔보 프레임(130) 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부 외팔보 프레임(130)이 구비되도록 하고, 내부 외팔보 프레임(130)의 전후 이동을 통해 외팔보 프레임(13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외팔보 프레임(130)의 양단은 고정부재(140)를 매개로 각각 프로젝터 프레임과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에 연결되며, 고정부재(140)의 착탈을 통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120)과 직각을 이루는 카메라모듈 고정판(151)이 구비되며, 카메라모듈 고정판(151)의 하부에는 평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152)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152)의 일측에는 카메라모듈(2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 하에,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152)의 회전을 통해 카메라모듈(20)을 특정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10 : 프로젝터모듈 20 : 카메라모듈
110 :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120 :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
130 : 외팔보 프레임 140 : 고정부재
151 : 카메라모듈 고정판 152 :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

Claims (4)

  1. 프로젝터모듈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카메라모듈이 거치되는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팔보 프레임;
    상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는 카메라모듈 고정판;
    카메라모듈 고정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평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
    상기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패턴 비디오신호에 따라 물체에 패턴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모듈; 및
    카메라모듈 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프로젝터모듈이 투사하는 패턴을 포함한 물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 프레임은 외부 외팔보 프레임과 내부 외팔보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외부 외팔보 프레임 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부 외팔보 프레임이 구비되며, 내부 외팔보 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통해 외팔보 프레임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팔보 프레임의 양단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각각 프로젝터 프레임과 카메라모듈 거치프레임에 연결되며, 고정부재의 착탈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모듈 거치프레임은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프로젝터모듈 프레임 내에 프로젝터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KR1020180079555A 2018-07-09 2018-07-09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KR20200005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55A KR20200005932A (ko) 2018-07-09 2018-07-09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55A KR20200005932A (ko) 2018-07-09 2018-07-09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32A true KR20200005932A (ko) 2020-01-17

Family

ID=6937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55A KR20200005932A (ko) 2018-07-09 2018-07-09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4405A (zh) * 2021-09-07 2021-11-19 河南徕拓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三维成像建模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00B1 (ko) 2015-06-12 2017-01-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임베디드 시스템, 고속화된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00B1 (ko) 2015-06-12 2017-01-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임베디드 시스템, 고속화된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4405A (zh) * 2021-09-07 2021-11-19 河南徕拓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三维成像建模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7652B (zh) 具有动态自适应聚焦的激光投影仪
US10578724B2 (en) LIDAR optics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CN110392817B (zh) 用于散斑减少激光线生成的系统和方法
CN108471487B (zh) 产生全景深度图像的图像装置
CA2834192C (en) Optical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ement system for determining 3d coordinates on a measurement object surface
JP2008165202A5 (ko)
CN110133853B (zh) 可调散斑图案的调节方法及其投射方法
US20210262789A1 (en) 3d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JP2017520755A (ja) 3d粗レーザスキャナ
JP6888281B2 (ja) ステージ装置、そのステージ装置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及び撮像装置
KR20200005932A (ko) 구조광 기반 3차원 카메라 시스템
US20110141345A1 (en) Projected Light Scale for Forensic Photography
CN112584053A (zh) 一种双目视觉激光发射系统及方法
JP2018119865A5 (ko)
US20120163788A1 (en) Stereoscopic Imaging Device
JP6786990B2 (ja) 三次元形状測定装置
JP2007047142A (ja) 画像処理及びレーザビームを利用した位置姿勢計測装置
JP2010286746A (ja) ステレオカメラの光軸調整装置及び光軸調整方法
CN214756613U (zh) 一种双目视觉激光发射系统
JPS6478104A (en) Three-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instrument
JP4993025B2 (ja)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JP2011090166A (ja) ステレオ撮像装置
US20230112460A1 (en) Pattern Projecting Apparatus for Use in a Three-Dimensional Imaging Arrangement
KR101078424B1 (ko) 레이저 비전 장치
CN215297917U (zh) 一种3d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