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694A -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694A
KR20200005694A KR1020180078454A KR20180078454A KR20200005694A KR 20200005694 A KR20200005694 A KR 20200005694A KR 1020180078454 A KR1020180078454 A KR 1020180078454A KR 20180078454 A KR20180078454 A KR 20180078454A KR 20200005694 A KR20200005694 A KR 2020000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main body
fine
collection device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수
배종문
Original Assignee
황토코리아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토코리아협동조합 filed Critical 황토코리아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8007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694A/ko
Publication of KR2020000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매트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수거장치를 사용하여, 버려지는 황토를 수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는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된 본체(310); 일단이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 연결된 배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310)에 연결되며, 상기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상기 본체(31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연결관(320); 상기 연결관(3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320)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33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본체(3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체(340); 및 상기 망체(340) 중앙에 축 체결되고, 외부에 설치된 모터(M)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망체(340) 내측면에 달라붙은 미세황토를 털어내도록 브러쉬(352)가 구비된 상기 본체(3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과 연결된 상기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황토가 유입되도록 입구(31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3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황토가 외부에 구비된 용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 미세먼지 수거장치에서 물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미세황토를 종이필터(341)에 강하게 바람을 불어주도록 모터에 연결한 팬을 작동시키도록 하여, 미세먼지에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게 하는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LOESS MAT MACH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매트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황토 수거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황토를 수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을 취하기 위한 용도에서 더욱 나아가 수면시 피로를 풀어주고 수면 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침대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돌침대, 황토침대 및 나무침대 등이 그 좋은 예이다.
상기 나무침대나 돌침대는 나무를 가공하거나 딱딱한 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황토침대에 비하여 수면시 건강에 해롭다. 반면, 황토침대는 천연 흙, 예컨대 황토와 같은 흙을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매우 건강에 유익하다.
황토는 습도조절 및 온도유지 기능 및 탈취의 기능이 있으며 소정의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신진대사촉진 등의 효능이 있다.
그리고 황토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집안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을 억제 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각종 병균의 전염을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만들어주는 장점과, 40∼5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원적외선의 방사열과 침투력에 의해 인체의 말초모세혈관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혈액순환을 순조롭게 촉진시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황토가 인체에 대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에 따라 황토의 이용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 초기에는 건축물에서부터 일반생활용품, 화장품, 찜질방,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침대의 경우에는 하루 일과를 마치고 편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며 인체와 장시간 직접 접하는 것이라 근래 들어서 황토침대에 대한 개발과 실용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침대에 사용되는 황토매트는 황토 반죽을 고압의 프레스 또는 가압 롤러 등의 성형틀로 압착하여 성형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토매트를 제조하기 위해 황토로 이루어진 반죽만을 압착 성형하는 경우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강도가 약하며, 제품의 성형 후에 크랙(Crack)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건조과정에서 수축 및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538831호(2015년 07월 16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458065호(2014년 10월 29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285240호(2013년 07월 01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특허 제10-1118250호(2012년 02월 13일 등록)
본 발명은 황토매트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황토 수거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황토를 수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수거장치는 망체 내부에 브러쉬를 설치하여 물과 섞여 반죽된 미세황토가 망체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모터와 팬을 구비하여 미세먼지에 섞인 공기가 종이필터를 통과하게 하공기와 화토를 분히여 수거하게 하려는 기술적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는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황토 수거장치(3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된 본체(310); 일단이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 연결된 배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310)에 연결되며, 상기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상기 본체(31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연결관(320); 상기 연결관(3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320)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33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본체(3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체(340); 및 상기 망체(340) 중앙에 축 체결되고, 외부에 설치된 모터(M)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망체(340) 내측면에 달라붙은 미세황토를 털어내도록 브러쉬(352)가 구비된 회전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과 연결된 상기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황토가 유입되도록 입구(31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3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황토가 외부에 구비된 용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수거장치에서 물울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상기 연결관(320)을 통하여 들어온 미세황토를 종이필터(341)에 강하게 바람을 불어주도록 모터에 연결한 팬을 작동시켜, 미세먼지에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는 해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는 황토매트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수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황토를 수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는 망체 내부에 브러쉬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과 섞여 반죽된 미세황토가 망체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표면 가공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재단 가공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미세먼지 수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6과 다른 미세먼지 수거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거장치를 나열하여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황삭부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중삭부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연마부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제1 재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재단 가공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수거유닛가 구비된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표면 가공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재단 가공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미세먼지 수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수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수거장치를 나열하여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황삭부는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중삭부는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연마부는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제1 재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 내지 16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서 재단 가공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는 표면 가공유닛(100), 재단 가공유닛(200) 및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가공유닛(100)은 사각 판 형태로 제조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평평하게 작업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황토매트 제조장치에서 제조되어 건조된 매트는 건조하는 과정에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특히, 울퉁불퉁하면서 높낮이의 편차가 심한데, 이러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일정량 절삭하고 연마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만들 수 있다.
표면 가공유닛(100)은 제1 프레임(110), 컨베이어(120), 가압부(130), 황삭부(140), 중삭부(150) 및 연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지면에 설치 고정되고, 표면 가공유닛(100)의 구성들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컨베이어(12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1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황토매트(400)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120)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압부(130)는 제1 프레임(110) 상에 설치 고정되고,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황토매트(400)의 상부면을 가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황토매트(400)는 황삭부(140)로 이송되어 황삭부(140)에서 표면이 절삭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을 방지하고, 황토매트(400)가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가압부(130)는 제1 프레임(110)에 고정된 지주대(131)와, 지주대(131) 사이에 설치된 연결봉(132)과, 연결봉(132)에 삽입되고 황토매트(40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133)로 구성될 수 있다.
황삭부(140)는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되는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황삭부(140)는 제1 하우징(141), 제1 절삭날(142), 제1 회전축(143), 제1 구동부(145) 및 제1 배출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1)은 제1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제1 절삭날(142)에 의해 절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송하는 황토매트(400)를 제1 절삭날(142)에 의해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가 주변으로 날리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황토를 재활용하기 위해 공기 중에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하우징(141)은 황토매트(400)가 들어오는 입구 및 나가는 출구에 각각 제1 칸막이(141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칸막이(141a)는 탄성을 갖는 얇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제1 하우징(141)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41) 내부로 황토매트(400)가 들어갈 수 있도록 컨베이어(120)와 제1 하우징(141) 사이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이격된 사이로 미세황토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절삭날(142)은 제1 하우징(141)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하우징(141)의 중앙으로 삽입된 제1 회전축(143)에 설치 고정되며,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절삭날(142)은 제1 회전축(143)의 하부에 형성된 원판(143a) 저면에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절삭날(142)은 단단하게 돌로 굳어버린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절삭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축(143)은 제1 하우징(141)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1 구동부(145)와 벨트로 연결되며, 제1 구동부(145)에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1 절삭날(142)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45)는 제1 회전축(143)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며, 제1 회전축(143)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145)는 전기모터(M)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축(143)과 제1 구동부(145)의 상부에 벨트풀리가 설치되어 벨트풀리에 의해 제1 구동부(145)에서 발생하는 회전동력을 제1 회전축(14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배출부(146)는 제1 하우징(141)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1 하우징(141)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배출부(146)과 미세먼지 수거장치(300) 사이에 배관이 연결되고, 미세먼지 수거장치(300)에 구비된 에어 흡입기(미도시)에 의해 미세황토가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로 이송되도록 한다.
중삭부(150)는 황삭부(140)에서 절삭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정밀하게 절삭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황삭부(140)에서의 작업은 많은 양의 황토매트(400)의 표면이 잘려나가기 때문에 정밀하게 절삭할 수 없어 황삭부(140)에서 가공된 황토매트(400)를 다시 정밀하고 정확한 치수에 맞게 절삭한다. 중삭부(150)는 제2 하우징(151), 제2 절삭날(152), 제2 회전축(153), 제2 구동부(154) 및 제2 배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51)은 제1 하우징(141)과 이격되게 제1 프레임(110) 상부 설치 고정되고, 제2 절삭날(152)에 의해 절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황삭부(140)에서 1차 절삭 가공이 끝난 황토매트(400)를 제2 절삭날(152)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2차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가 주변으로 날리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황토를 재활용하기 위해 공기 중에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 하우징(151)은 황토매트(400)가 들어오는 입구 및 나가는 출구에 각각 제2 칸막이(151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칸막이(151a)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칸막이(141a)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절삭날(152)은 제2 하우징(151)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2 하우징(151) 내부에 구비된 제2 회전축(153)에 삽입되며, 제2 회전축(15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절삭날(152)은 제1 절삭날(142)에 의해 절삭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정확한 치수로 절삭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삭날(152)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날이 형성되며, 이러한 날은 곧은 날 또는 비틀린 날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절삭날(152)의 길이는 황토매트(4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 절삭날(152)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황토매트(400)가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멈추는 동작 없이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이송과 동시에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절삭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53)은 제2 하우징(151)의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축 체결되고, 삽입된 제2 절삭날(152)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54)는 제2 하우징(151)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 고정되며, 제2 회전축(153)과 연결되어 제2 회전축(153)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154)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기모터로 구성되고, 제2 회전축(153)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배출부(155)는 제2 하우징(151)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 하우징(151)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배출부(155)과 미세먼지 수거장치(300) 사이에 배관이 연결되고, 미세먼지 수거장치(300)에 구비된 에어 흡입기(미도시)에 의해 미세황토가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로 이송되도록 한다.
연마부(160)는 중삭부(150)와 이격되게 제1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중삭부(150)에서 정밀하게 절삭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연마부(160)는 지지부(161), 제1 이동부(162), 제3 회전축(163), 제3 구동부(164) 및 숫돌(16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1)는 제1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연마부(160)의 구성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61)는 상부에 제1 가이드 레일(161a)이 형성되어 제1 이동부(162)가 제1 가이드 레일(161a)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62)는 지지부(161)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제3 회전축(163)이 삽입되며, 제3 회전축(163)을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부(162)는 제1 가이드 레일(161a)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제1 가이드 레일(161a)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W)와, 바퀴(W)에 설치 고정되는 지지편(162a)과, 지지편(162a)에 설치된 회전벨트(162b)와, 회전벨트(162b)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2c)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62c)가 작동되면 구동모터(162c)에 의해 회전벨트(162b)가 회전되는데, 이때, 회전벨트(162b)에 고정된 지지편(162a)이 제1 가이드 레일(161a)을 따라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3 회전축(163)은 제1 이동부(162)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고, 하부에는 숫돌(165)이 고정되며, 숫돌(165)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3 회전축(163)은 제3 구동부(164)와 연결되어 제3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숫돌(165)을 회전할 수 있다. 즉, 제3 회전축(163)이 제1 이동부(162)에 삽입되어 제1 이동부(162)에 의해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황토매트(400)의 표면이 연마될 수 있도록 제3 회전축(163) 하부에 설치된 숫돌(165)로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제3 구동부(164)는 제3 회전축(163)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3 회전축(163)과 연결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제3 회전축(163)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구동부(164)는 제1 이동부(162)의 상부에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숫돌(165)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3 회전축(163)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며, 중삭부(150)에서 가공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숫돌(165)은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1000방 내지 3000방 사이의 고운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 들어, 1000방 미만의 숫돌을 사용하게 되면 황토매트(400)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3000방 이상의 숫돌을 사용하게 되면 연마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재단 가공유닛(200)은 표면 가공유닛(100)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표면 가공유닛(100)에서 가공된 황토매트(400)의 측면을 절단하여 규격에 맞는 사이즈로 재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재단 가공유닛(200)은 제2 프레임(210), 이송부(220), 제1 재단부(230) 및 제2 재단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0)은 지면에 설치되고, 제1 프레임(110)과 근접하게 위치하며, 재단 가공유닛(200)의 구성들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제2 프레임(210) 상부에 위치하고, 표면 가공유닛(100)에서 표면 가공된 황토매트(400)를 전달받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플레이트(221), 제1 실린더(222) 및 가이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21)는 황토매트(400)의 크기보다 큰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실린더(222)는 제2 프레임(210)의 중간에 설치 고정되고, 플레이트(221)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제2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 실린더(222)의 몸체는 제2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제1 실린더(222)의 로드는 플레이트(221)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압축공기의 배기 또는 공급에 의해 행정거리가 변함으로써 구동력을 제공하여 플레이트(2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실린더(222)는 에어 실린더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또한, 제1 실린더(222)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부(223)는 제2 프레임(210)과 플레이트(221) 사이에 설치되고, 플레이트(221)가 제2 프레임(210) 상에 이동될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23)는 제2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제1 고정대(223a)와, 플레이트(221)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된 제2 고정대(223b)와, 제1 고정대(223a) 사이에 고정되고 제2 고정대(223b)를 관통해 형성되며 제2 고정대(223b)가 이동되면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봉(22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봉(223c)이 고정된 제1 고정대(223a) 및 제 2고정대(241)는 제1 실린더(222)를 기준으로 플레이트(221)의 폭 방향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재단부(230)는 제2 프레임(210)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플레이트(221)로 이송된 황토매트(400)가 일정 길이 갖도록 위해 황토매트(400)의 양측면을 재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재단부(230)는 지지대(231), 제2 이동부(232), 제1 재단날(233), 제4 구동부(234) 및 제2 실린더(2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31)는 제1 프레임(110)과 근접한 제2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부에는 제2 가이드 레일(231a)이 "ㅅ"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재단부(230)의 구성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31)는 제1 재단날(233)을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제2 이동부(232)는 제2 가이드 레일(231a)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면에 바퀴(W)가 구비되어 제2 가이드 레일(231a)에 안착되며, 제2 실린더(235)가 작동되면 제2 실린더(235)에 의해 바퀴(W)가 제2 가이드 레일(231a)을 따라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재단날(233)은 황토매트(4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이동부(232)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4 구동부(234)에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황토매트(400)의 양측을 절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재단날(233)과 제4 구동부(234)는 벨트풀리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4 구동부(234)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제1 재단날(233)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재단날(233)은 초경합금 또는 다이아몬드 재질로 이루어진 엔드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구동부(234)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생하는 회전동력을 제1 재단날(233)로 전달하여 제1 재단날(233)을 회전시키고, 제2 이동부(232)의 상부 중간에 위치하며, 제2 이동부(232)와 브래킷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4 구동부(234)는 전기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제4 구동부(234)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재단날(233)에 벨트풀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하나의 모터로 제2 이동부(232) 양측에 구비된 2개의 제1 재단날(233)로 동시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린더(235)는 제1 실린더(222)와 동일한 실린더로 사용되고, 몸체는 지면 또는 제2 프레임(210)에 고정된 기둥에 고정되고, 몸체에서 인출되는 로드의 끝단은 제2 이동부(23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실린더(235)가 작동되어 로드가 인출되면 제2 이동부(232)를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로드의 이동속도는 제1 재단날(233)이 황토매트(400)의 양측면을 절삭할 수 있도록 천천히 이동될 수 있다.
제2 재단부(240)는 제1 재단부(230)와 이격되게 제2 프레임(210)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이송부(220)에 의해 이송되는 황토매트(400)가 일정 폭을 갖도록 하기 위해 황토매트(400)의 양측면과 직교되는 길이면을 재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재단부(240)는 고정대(241), 제2 재단날(242) 및 제5 구동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241)는 제2 프레임(210)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부에 제2 재단날(242)이 설치되며, 제2 재단날(242)을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재단날(242)은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대(241)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5 구동부(243)와 벨트풀리 방식으로 연결되며, 제1 재단부(230)에서 가공된 황토매트(400)의 길이면을 절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재단날(242)은 제5 구동부(243)에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황토매트(400)의 길이면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재단날(242)은 초경합금 또는 다이아몬드 재질로 이루어진 엔드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구동부(243)는 고정대(241)의 상부 중간에 위치하고, 고정대(241)에 설치된 브래킷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생하는 회전동력을 제2 재단날(242)로 전달하여 제2 재단날(242)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5 구동부(243)는 전기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제5 구동부(243)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재단날(242)에 벨트풀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하나의 모터로 고정대(241)의 양측에 구비된 2개의 제2 재단날(242)로 동시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는 표면 가공유닛(100) 또는 재단 가공유닛(200)과 근접하게 설치 고정되고,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는 본체(310), 연결관(320), 물 분사부(330), 망체(340), 회전부(350) 및 철망(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과 연결된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황토가 유입되도록 입구(311)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본체(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31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황토가 외부에 구비된 용기(미도시)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용기에 저장된 물과 섞인 미세황토는 물을 제거한 후 황토만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연결관(320)의 일단은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에 연결된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310)에 형성된 입구(311)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배관을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관(320) 중간에는 에어 흡입기(미도시)가 설치 고정되어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흡입하여 본체(310) 내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물 분사부(330)는 연결관(320)의 일측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연결관(320) 내부로 분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황토에 물을 분사하여 미세황토와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본체(3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황토가 본체(310) 내부로 유입되기 전 물과 혼합하게 되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미세황토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물과 반죽된 미세황토는 별도로 보관하여 용이하게 재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물 분사부(330)는 물이 저장된 용기와, 연결관(320)의 내부로 연결된 호스와, 용기 내부에 저장된 물을 호스로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분무기로 구성될 수 있다.
망체(340)는 원통의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310) 내부에 설치 고정되며,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망체(340)는 바닥면 및 외측면에 일정 크기로 타공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을 통해 물과 반죽된 미세황토가 배출될 수 있다. 망체(340)는 본체(310)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망체(340)는 연결관(320)을 통해 반죽되어 유입된 미세황토가 뭉쳐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결관(320)을 통해 반죽된 미세황토가 본체(310) 내부로 바로 떨어지게 되면 본체(310) 내부에서 점점 쌓이게 되고, 이렇게 반죽된 미세황토가 쌓이게 되면 제일 먼저 떨어진 반죽된 미세황토가 점점 굳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망체(340)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을 통해 반죽된 미세황토가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부(350)는 망체(340) 중앙에 위치하고, 망체(340)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미세황토를 제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50)는 회전축(351), 브러쉬(352) 및 스프로킷(353) 및 모터(M)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51)은 본체(310)의 중앙 바닥에 축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모터(M)에 연결된 스프로킷(353)에 의해 회전되며, 브러쉬(352)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브러쉬(352)는 회전축(351)에 고정되고, 본체(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회전축(35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브러쉬(352)가 회전축(351)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축(351)이 회전하게 되면, 브러쉬(35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310) 내측면에 달라붙은 미세황토들을 쓸어 제거하게 된다.
또한, 브러쉬(352)는 본체(310)의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브러쉬(352a) 및 하부 브러쉬(352b)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브러쉬(352a)와 하부 브러쉬(352b)는 회전축(3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상부 브러쉬(352a)는 회전축(351)의 상부에 고정되어 본체(31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본체(310)의 상부 부분에 붙어있는 미세황토를 제거하고, 하부 브러쉬(352b)는 회전축(351)의 하부에 고정되어 본체(31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본체(310)의 하부 부분에 붙어있는 미세황토를 제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부 브러쉬(352a)와 하부 브러쉬(352b)를 서로 수평되게 배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회전축(351)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브러쉬(352)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352)의 길이를 본체(310)의 높이만큼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본체(31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브러쉬(352)의 끝단이 본체(310)의 내측면에서 떨어지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브러쉬(352)를 상부 브러쉬(352a) 및 하부 브러쉬(352b)로 나눠 사용한다.
스프로킷(353)은 모터(M)와 회전축(351)을 연결하여 모터(M)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회전축(35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로킷(353)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M)는 회전축(351)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모터(M)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310)의 외부에 설치 고정되며, 회전축(351)과 스프로킷(35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철망(360)은 본체(31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312)와 망체(340)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공기 배출구(312)로 배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황토를 걸러 내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관(3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미세황토 및 물이 서로 섞여 본체(310) 내부로 유입되면, 물과 반죽된 미세황토는 망체(340)로 떨어지도록 하고,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황토는 철망(360)에 의해 공기 배출구(312)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것은 도 6과 다른 실시예로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아닌 모터에 연결한 팬(미도시)의 바람을 이용한 미세먼지 수거장치로, 망체(340) 내측면에 통상의 "Z" 형상의 종이필터(341)를 종이필터 삽입구(342)에 위에서 아래로 원통 모양으로 설치하였으며, 상기 연결관(320)을 통하여 들어온 미세황토먼지에 섞여있는 공기는 종이필터(3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공기가 빠져나가고 난 미세황토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져, 황토배출구(313)를 거친 다음, 상기 황토배출구(313) 하부에 부착한 자루(500)에 수집되며, 자루(500)에 미세황토가 꽉 차면 다시 다른 자루(500)를 부착하여 미세황토먼지를 수집한다.
상기의 모터에 연결한 팬(미도시), 망체(340), 종이필터(341), 황토 배출구(313) 및 자루(500)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수거장치는 좌우로 나열하여 1개 이상 여러 개를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수거장치를 둘러싼 형태로 본체(310)를 설치하고, 본체(310) 내부에 철망(360)을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한번 더 거를 수가 있게도 할 수 있다.
한편, 미세먼지가 종이필터(341)에서 막힐 경우는 상기 연결관(320)을 막아 미세먼지의 공급을 중단시킨 다음, 모터에 연결한 팬(미도시)을 강하게 작동시켜, 종이필터(341)에 부착한 미세먼지를 털어내는 장치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미세먼지 수집장치가 부착한 황토매트용 가공장치의 작동방법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각의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황토매트(400)를 컨베이어(120) 상에 올려놓고 컨베이어(120)를 작동시킨다. 이때, 컨베이어(120)가 작동되면 황토매트(400)는 컨베이어(120)에 의해 황삭부(140)로 이동된다. 그리고 황삭부(140)로 이동된 황토매트(400)는 황삭부(140)의 제1 하우징(141) 내부로 삽입되고, 제1 하우징(141) 내부로 삽입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제1 절삭날(142)을 이용하여 절삭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황토매트(400)는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1 절삭날(142)에 의해 절삭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제1 절삭날(142)에 의해 절삭된 미세황토 또는 알갱이 황토들은 제1 하우징(141)에 구비된 제1 배출부(146)로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황삭 작업이 수행되면서 이송되는 황토매트(400)는 컨베이어(120)에 의해 다시 중삭부(150)로 이송된다. 한편, 황삭부(140)와 중삭부(150) 사이의 거리가 좁으면 황삭 작업과 중삭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황삭부(140)에서 이송되는 황토매트(400)는 다시 중삭부(150)로 이동되어 황토매트(400)의 표면에 제2 절삭날(152)을 이용하여 중삭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황토매트(400)는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2 절삭날(152)에 의해 절삭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제2 절삭날(152)에 의해 절삭된 미세황토들은 제2 하우징(151)에 구비된 제2 배출부(155)로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다음, 중삭부(150)에서 중삭 작업이 끝난 황토매트(400)는 다시 컨베이어(120)에 의해 연마부(160)로 이동되어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연마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의 작업은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순차적으로 절삭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연마부(160)에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연마할 때에는 연마부(160)에 구비된 제1 이동부(162)에 의해 숫돌(165)이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진퇴 반복하면서 황토매트(400)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다.
이어서, 연마부(160)에서 연마 작업이 끝난 황토매트(400)는 재단 가공유닛(200)으로 이동되는 이때, 제2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이송부(220)에 안착될 수 있다.
이송부(220)에 안착된 황토매트(400)는 제1 재단부(230)에 구비된 제1 재단날(233)을 이용하여 황토매트(400)의 양측면을 재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이송부(220)는 제1 실린더(222)의 작동에 의해 황토매트(4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재단부(230)에서 가공된 황토매트(400)는 이송부(220)를 이동시켜 제2 재단부(240)로 이송되도록 한다.
다음, 제2 재단부(240)로 이송된 황토매트(400)는 다시 제2 재단날(242)을 이용하여 황토매트(400)의 길이면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위와 같이 제1 재단부(230) 및 제2 재단부(240)를 이용하여 황토매트(400)를 규격에 맞는 사이즈로 재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에를 설명하였으며, 여기에서 기재되지 않았어도 본 발명의 구성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100; 표면 가공유닛 110; 제1 프레임
120; 컨베이어 130; 가압부
131; 지주대 132; 연결봉
133; 롤러 140; 황삭부
141; 제1 하우징 141a; 제1 칸막이
142; 제1 절삭날 143; 제1 회전축
143a; 원판 145; 제1 구동부
146; 제1 배출부 150; 중삭부
151; 제2 하우징 151a; 제2 칸막이
152; 제2 절삭날 153; 제2 회전축
154; 제2 구동부 155; 제2 배출부
160; 연마부 161; 지지부
161a; 제1 가이드 레일 162; 제1 이동부
162a; 지지편 162b; 회전벨트
162c; 구동모터 163; 제3 회전축
164; 제3 구동부 165; 숫돌
200; 재단 가공유닛 210; 제2 프레임
220; 이송부 221; 플레이트
222; 제1 실린더 223; 가이드부
223a; 제1 고정대 223b; 제2 고정대
223c; 가이드봉 230; 제1 재단부
231; 지지대 231a; 제2 가이드 레일
232; 제2 이동부 233; 제1 재단날
234; 제4 구동부 235; 제2 실린더
240; 제2 재단부 241; 고정대
242; 제2 재단날 243; 제5 구동부
300; 황토 수거유닛 310; 본체
311; 입구 312; 공기 배출구
313; 물 배출구(또는 황토배출구) 320; 연결관
330; 물 분사부 340; 망체
341; 종이필터 342; 종이필터삽입구
350; 회전부 351; 회전축
352; 브러쉬 352a; 상부브러쉬
352b; 하부브러쉬 353; 스프로킷
360; 철망 370; 미세먼지저장고
380; 흡입기 390; 배분구
400; 황토매트 500; 자루

Claims (3)

  1. 미세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수거장치(3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된 본체(310);
    일단이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 연결된 배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310)에 연결되며, 상기 황삭부(140) 및 중삭부(150)에서 발생하는 미세황토를 상기 본체(31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연결관(320);
    상기 연결관(3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320)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33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본체(3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체(340); 및
    상기 망체(340) 중앙에 축 체결되고, 외부에 설치된 모터(M)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망체(340) 내측면에 달라붙은 미세황토를 털어내도록 브러쉬(352)가 구비된 회전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황토매트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51)과 연결된 상기 연결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황토가 유입되도록 입구(31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3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 물과 미세황토가 외부에 구비된 용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3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미세먼지 수거장치는 상기 연결관(320)을 통하여 들어온 미세황토를 공기를 분리하도록 하는 "Z" 형상의 종이필터(341), 상기 종이필터(341)를 강하게 바람을 불어주는 모터에 연결한 팬, 공기가 빠진 황토를 모으는 황토 배출구(313), 상기 황토배출구(313) 하부에 부착한 자루(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KR1020180078454A 2018-07-05 2018-07-05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KR2020000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54A KR20200005694A (ko) 2018-07-05 2018-07-05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54A KR20200005694A (ko) 2018-07-05 2018-07-05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694A true KR20200005694A (ko) 2020-01-16

Family

ID=6936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54A KR20200005694A (ko) 2018-07-05 2018-07-05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69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50B1 (ko) 2010-12-10 2012-03-20 배정수 흙침대 제조방법
KR101285240B1 (ko) 2011-12-05 2013-07-10 배정수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KR101458065B1 (ko) 2014-05-08 2014-11-07 배정수 친환경 천연흙판의 제조방법
KR101538831B1 (ko) 2012-09-03 2015-07-24 장기운 통풍구조가 구비된 황토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50B1 (ko) 2010-12-10 2012-03-20 배정수 흙침대 제조방법
KR101285240B1 (ko) 2011-12-05 2013-07-10 배정수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KR101538831B1 (ko) 2012-09-03 2015-07-24 장기운 통풍구조가 구비된 황토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8065B1 (ko) 2014-05-08 2014-11-07 배정수 친환경 천연흙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50018U (zh) 一种升降式中草药分段研磨装置
CN208213387U (zh) 一种研磨均匀的化妆品加工磨粉装置
CN106826486B (zh) 一种手持式家具板材边端毛刺处理装置
CN112473997A (zh) 一种中药药材研磨装置
CN105215834B (zh) 一种沙浴式胶囊抛光除尘一体机
KR20200005694A (ko) 미세먼지 수거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황토매트 가공장치
CN201058406Y (zh) 宝石打磨机
KR20140007574A (ko) 베개용 편백나무 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00514A (ko) 황토매트용 가공장치
CN201832100U (zh) 电动刮痧机
US11173578B2 (en) Device, sanding frame, sanding element, method and kit for sanding floor areas
KR20200000516A (ko) 황토매트의 표면절삭장치
CN108096973B (zh) 一种便于清理陶瓷打磨的粉尘机
JP3696535B2 (ja) 竹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乾留竹粉と乾留成分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8296945A (zh) 一种白蜡杆用打磨设备
CN210787666U (zh) 一种中药干燥研磨装置
CN213137232U (zh) 一种日用陶瓷加工用成型设备
CN111112173B (zh) 一种中药清洗研磨装置
CN108500845A (zh) 一种零件打磨装置
CN207058332U (zh) 一种用于石材表面打磨的磨头
CN214307914U (zh) 一种石膏板生产用干燥装置
CN211801267U (zh) 一种研磨程度可调的药学实验用研磨装置
CN212020881U (zh) 一种艾灸用艾叶处理装置
CN215357677U (zh) 一种水泥制品脱模用边角打磨装置
CN214974704U (zh) 一种生物医药用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