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554A - 산업용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업용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554A
KR20200005554A KR1020197033217A KR20197033217A KR20200005554A KR 20200005554 A KR20200005554 A KR 20200005554A KR 1020197033217 A KR1020197033217 A KR 1020197033217A KR 20197033217 A KR20197033217 A KR 20197033217A KR 20200005554 A KR20200005554 A KR 2020000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water
oils
sodium hydrox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우셉피나 알바 레티치아 갈바니
Original Assignee
이데 불카니슈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 불카니슈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이데 불카니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0000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3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3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agnesium cements or similar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6Monolithic refractories or refractory mortars, including those whether or not containing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내화물, 시멘트질 제품, 빌딩용 제품, 응집체,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머, 비튜멘, 역청질의 역암, 살충제, 살생물제, 구충제, 구충제 등에 속하는 증발하고 빠르게 소멸하는 활성 물질과 같은 산업용 물질에 사용되는 액체 또는 크림 또는 분말 형태의 제제로서, 오일 및 지방의 동물성 혼합물 및 물에 용해된 적어도 하나의 염기로 제조된 것으로, 70중량%~99.9중량%의 오일 또는 오일의 혼합물, 0.1~10중량%의 염기 및 0중량%~20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산업적 용도의 새로운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제제는 종래에는 산업적 분야, 예를 들어 건축자재(콘크리트, 벽돌, 회반죽, 글루, 모르타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인트, 등), 내화재료[콘크리트, 벽돌, 기성 부품(prefabricated part), 스프레이 물질, 등], 첨가제, 바인더 또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페인트,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액상 폴리머, 비튜멘(bitumen), 활성 물질의 살생물제, 살충제, 구충제(pesticide), 살진균제, 식물 보호 제품, 등]에 적당한 물질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산업용 물질에 대한 다양한 제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확실히 모든 방법에서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중요 첨가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보강물질(reinforcing substance): 이들은 많은 플라스틱 제품의 기계적 저항성을 개선한다. 이들은 유리-유사 섬유의 형태로 사용된 다양한 필러들이다;
비활성 전하(inert charge); 이들은 제조 단가를 줄이는 필러로서 역할한다. 일부 경우에 이들은 물질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가소제: 단단한 수지에 첨가될 때, 이들은 수지를 유동성과 각각의 부드러움을 갖는 탄성 물질로 변형시킨다;
윤활제: 이들 기능은 폴리머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특히 열-성형 작업(압출, 몰드 등)에 관하여 작업성을 개선한다;
유동화 물질: 이들은 처리된 액체의 점도를 줄이는 기능을 갖는다;
안료 및 염료: 이들은 미적 기능을 갖는다;
안정화제: 이들은 폴리머 분자의 열화 작용 또는 실제 화학적 변형을 하는 인자들인, 광 조사, 열, 산화, 등에 대한 수지의 저항성을 개선한다;
유도자(inducer): 이들은 반응 속도를 증가시켜 제품의 강화 및 경화를 유도한다;
억제자: 이들은 중합화 반응을 느리게 한다.
이들 성질을 기초로 한 각 제제는 기초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특징을 개선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부 제제는 일련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즉, 열 절연(thermal insulation), 비열, UV 저항성, 기계적 강도, 탄성, 내마모성, 점도, 지지체에 대한 정박성(anchorage to the support), 활성 물질의 보다 큰 지속성(persistence), 열팽창의 감소, 물 흡수에 대한 불투과성, 염화물 또는 설페이트의 보다 작은 모세관 상승]을 동시에 개선하고, 안정한 방법으로 과도한 경제적 지출 필요없이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물질에 포함될 새로운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며, 처리될 물질의 물리적, 열적 및 내구 시간적 특성을 동시에 그리고 일정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제제는 일부 오일 또는 이 오일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며, 강염기를 갖고 물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일부 제제는 첨부된 독립 제품 청구항에 설정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라 제제의 일부 제조방법이 설명되며, 본 발명의 첨부된 방법 독립항에 설정된 특성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및/또는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첨부된 독립항에 설정된 특성들에 따라 설명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될 것이며, 실험적으로 중요한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도 1은 첨가제 없고,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갖는 전통적인 역청질의 역암(bituminous conglomerate)의 복수 샘플에 대한 브레이킹(breaking) 사이클의 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는 도 1과 동일한 그래프이며, 여기서 상기 전통적인 역청질의 역암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처리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갖고, 첨가제가 없는 드레이닝(draining)역청질의 역암의 복수 샘플들에 대한 브레이킹 사이클의 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도 3과 동일한 그래프이며, 여기서 상기 드레이닝 역청질의 역암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처리되며,
도 5는 석회질의 과립 및 처리되지 않은 비튜멘으로 제조된 샘플을 나타내며,
도 6은 석회질의 과립 및 처리된 비튜멘으로 제조된 샘플을 나타내며,
도 7은 현무암 과립 및 처리되지 않은 비튜멘으로 제조된 샘플을 나타내며,
도 8은 현무암 과립 및 처리된 비튜멘으로 제조된 샘플을 나타내며,
도 9는 포르피린성(porphyric) 과립 및 처리되지 않은 비튜멘을 나타내며,
도 10은 포르피린성 과립 및 처리된 비튜멘으로 제조된 샘플을 나타내며,
도 11은 살충제로 처리된 곳에서 처리 후 캐치(catches)의 평균 값과 시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없는, 그리고 제제를 갖는 내화물(refractories)의 압축 시험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새로운 제제는 오일 또는 오일의 혼합물 또는 동물성 지방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잔사 및 플레이크(flake) 또는 펄(pearl) 형태의 98~99% 순도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로 물-희석된 상태로제조된다.
새로운 제제의 제조 공정에서, 소듐 히드록시드의 대안으로서 다른 히드록시드, 즉 포타슘 히드록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및/또는 다른 염기성 히드록시드가 각각 또는 수성 희석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 그러한 히드록시드는 일반적으로 간단히 “염기”라 할 것이다. 성분의 중량%는 각각 70% 내지 99.9% 오일, 0% 내지 10% 염기 및 0% 내지 20% 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오일은 다음일 수 있다:
a) 미네랄 오일(제1 제조의 염기성 미네랄 오일, 유도체 및 가공 잔사)
b) 식물성 오일(제1 제조의 염기성 식물성 오일, 유도체 및 가공 잔사)
c) 동물성 지방(제1 제조의 동물성 지방, 유도체 및 가공 잔사)
d) 배출된 미네랄 및 식물성 오일 및/또는 동물성 지방으로부터 배출된 오일.
그러한 모든 오일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 상호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임의 퍼센트로 혼합된다.
유리하게 상기 염기는 98~99% 순도를 갖는 소듐 히드록시드 플레이크(또는 펄) 30%가 70% 물에 희석된 수용액으로만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퍼센트는 최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임의 경우에, 수용액 중 임의 중량%{(10 내지 50%)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사용하거나, 다른 타입의 히드록시드 용액과 혼합된 그러한 소듐 히드록시드 용액을 사용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다른 히드록시드(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포타슘 히드록시드 및/또는 다른 것들)가 항상 수용액으로 10 내지 70%의 사이의 임의 퍼센트로 각각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 히드록시드 모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기본 공정의 기대한 총 퍼센트를 넘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라, 언급된 오일에 관해서, 새로운 제제의 제조 공정 a) b) 및 c)는, 70℃~140℃의 온도에서 언급된 오일 또는 오일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동물성 지방의 가공 잔사를 가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72h 동안 그러한 온도에서 이들을 유지한다. 기계적 교반과 함께 유리하게 수반된 가열은 임의의 잔류 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산화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오일 또는 오일의 혼합물 또는 유도체들, 또는 동물성 지방의 가공 잔사를 염기와 혼합하여 바로 또는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진행하여 이들의 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분 이상(바람직하게는 1h 내지 4h 동안) 50℃~200℃의 온도에서 기계적 교반하여 성분들을 혼합한다.
대조적으로, d)에 언급된 오일(배출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으로부터 유래된 오일), 및/또는 캐슈넛 오일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가공 잔사와 관련하여, 이들을 산화시키기 위한 열 사이클에 넣기 전에 이들은 이미 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산화시킬 필요가 없으며, 70~120℃의 온도에서 2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하는 것으로 임의 잔류 물 또는 공정의 긍정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액체 물질을 제거하는데 충분하다.
그러므로, 바로 또는 냉각을 시키기에 필요한 시간 후 배출된 오일 및/또는 캐슈넛 오일을 염기(30% 소듐 히드록시드 수용액), 또는 다른 염기들의 혼합물, 또는 다른 타입의 염기를 적당하게 물에 희석시켜 혼합시켜 중합시킨다. 성분들을 50℃ 내지 200℃에서 1분 이상(바람직하게는 1h 내지 4h) 기계적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제1 실무적이나 비제한적 실시예는, 1kg의 제1 제조의 미네랄 오일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전에 산화된 가공 잔사(70℃~140℃에서 72h 동안 온도 사이클 처리), 및/또는 1kg의 배출 미네랄 오일(24h 동안 70℃~120℃의 온도 사이클로 처리)을 혼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A) 7~150g의 물에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의 형태의 98/99% 순도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6g, 바람직하게는 14g;
B)7~150g의 물에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 형태의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50g, 바람직하게는 9g, 바람직하게는 21g;
C) 7~150g의 물에 희석된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50g, 바람직하게는 12g, 바람직하게는 28g.
3 타입 모두에 대하여 50~200℃, 바람직하게 90℃~110℃의 온도에서 중합(또는 반응)이 일어나고, 2h 내지 50h 동안,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제2 제조 실시예는, 사전에 산화된(70℃~140℃의 온도에서 72h 동안 처리함) 1kg의 해바라기 식물성 오일 및/또는 제1 제조의 다른 타입의 식물성 오일 및/또는 유도체 또는 가공 잔사, 및/또는 캐슈넛 오일(캐슈 넛 껍질 오일, CNSL)을 다음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 7~150g의 물에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 형태의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6g, 바람직하게는 14g,
B) 7~150g의 물로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 형태의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9g, 바람직하게는 21g,
C) 7~150g의 물로 희석된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 바람직하게는 12g, 바람직하게는 28g.
공정은 50~20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90℃~110℃의 온도에서 일어나며, 2~50h 동안,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모든 다른 미네랄과 다르게 캐슈넛 오일(캐슈넛 껍질 액체 CNSL),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오일은, 새로운 제제의 제조 단계에서 사전 가열될 필요가 없고 산화 또는 정제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제3 실시예는 사전에 산화된(70℃~140℃에서 72h 동안 처리함) 1kg의 유채씨의 식물성 오일 잔사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동물성 지방의 가공 잔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다음과 함께 혼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A) 7~150g의 물로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의 형태의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6g, 바람직하게는 14g;
B) 7~150g의 물로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의 형태로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9g, 바람직하게는 21g;
C) 7~150g의 물로 희석된 98/99% 소듐 히드록시드 2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12g, 바람직하게는 28g.
공정은 50~20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90℃~110에서 일어나고 2~50h 동안,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제4 실시예는 사전에 산화된(70℃~140℃에서 72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함) 1kg의 식물성 에스테르 오일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이들의 가공 잔사, 및/또는 70℃~120℃에서 24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된 배출된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을 다음과 혼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A) 7~150g의 물로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의 형태로 2 내지 50g의 98/99% 소듐 히드록시드, 바람직하게는 6g, 바람직하게는 14g;
B) 7~150g의 물로 희석된 플레이크 또는 펄의 형태로 2 내지 50g의 98/99% 소듐 히드록시드, 바람직하게는 9g, 바람직하게는 21g;
C) 7-150g의 물로 희석된, 2 내지 50g의 소듐 희드록시드, 바람직하게는 12g, 바람직하게는 28g.
공정은 50℃~200℃, 바람직하게는 90℃~110℃의 온도에서 일어나고, 2~50h,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제제는 미네랄, 식물성 또는 동물 기원일 수 있고, 임의 함량의 염기 공정(소듐 히드록시드 수용액)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고, 이는 개별적으로 공정에 도입되거나, 또는 다른 타입의 염기 공정, 예를 들어 포타슘 히드록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및/또는 다른 것들의 수용액과 함께 혼합되거나, 또는 임의의 그러한 히드록시드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열적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 새로운 제제, A, B, C는 시판하여 상기 목록의 제품들과 함께 적접 사용되거나, 또는 이전 것들과 동일한 새로운 제조 사이클 내로 도입되어, 염기 사용(소듐 히드록시드, 등)을 제거하고, 새로운 제제 D를 제조할 수 있고, 이는 물론 제제 A, B, C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것이며, 염기(소듐 히드록시드 및/또는 다른 타입의 히드록시드 용액)를 사용할 때, 염기의 퍼센트가 거의 매번 4%를 초과하지 않는 반면에, 대안 공정으로서 새로운 제제 A, B, C를 사용할 때, 이들은 보다 높은 퍼센트(10%~30% 및/또는 그 이상)로 도입된다.
제제 D의 제1 실시예는, 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사전에 산화된(70℃~140℃에서 72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됨) 1kg의 제1 제조의 미네랄 오일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가공 잔사유, 및/또는 1kg의 배출된 미네랄 오일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70℃~120℃에서 24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한다.
- 50g 내지 500g(바람직하게는 300g)의 제제 A
- 50g 내지 500g(바람직하게는 200g)의 제제 B
- 50g 내지 500g(바람직하게는 100g)의 제제 C
3가지 타입 모두에 대하여 공정은 50℃~200℃, 바람직하게는 90℃~100℃에서 일어나며, 2h~50h 동안,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제제 D의 제2 실시예는, 사전에 산화된(70℃~140℃에서 72h 동안 온도 사이클 처리됨), 1kg의 해바라기 식물성 오일 및/또는 제1 제조의 다른 타입의 식물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가공 잔사, 및/또는 캐슈넛 오일(캐슈넛 껍질 액체 CNSL)을 다음과 함께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50g~500g (바람직하게는 300g)의 제제 A
- 50g~500g (바람직하게는 200g)의 제제 B
- 50g~500g (바람직하게는 100g)의 제제 C
상기 공정은 50℃~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90℃~110℃의 온도에서 일어나고, 2~50h 동안,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상기 제제의 구성 단계에서, 모든 다른 미네랄,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오일에 대해 제기된 것처럼 캐슈넛 오일(캐슈넛 껍질 액체 CNSL)은, 산화를 위해 미리가열되거나, 또는 정제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제제 D의 제3 실시예는 사전에 산화된(70℃~140℃에서 72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됨), 1kg의 잔사의 유채씨 식물성 오일 및/또는 유도체, 및/또는 동물성 지방의 가공 잔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다음과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50g~500g (바람직하게는 300g)의 제제 A
- 50g~500g (바람직하게는 200g)의 제제 B
- 50g~500g (바람직하게는 100g)의 제제 C
상기 공정은 50~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90℃~110℃의 온도에서 일어나고, 2~50h 동안, 바람직하게는 4h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제4 실시예는, 1kg의 식물성 에스테르 오일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이전에 산화된 가공 잔사(70℃~140℃에서 72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됨), 및/또는 1kg의 배출된 식물성 에스테르 오일(70℃~120℃에서 24h 동안 온도 사이클로 처리됨)을 다음과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 50g~500g (바람직하게는 300g)의 제제 A
- 50g~500g (바람직하게는 200g)의 제제 B
- 50g~500g (바람직하게는 100g)의 제제 C
공정은 50~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90℃~110℃의 온도에서 일어나고, 2~50h, 바람직하게는 4h의 시간 동안 기계적 교반을 포함한다.
자연적으로, 이들 4가지 예는 제제 D를 얻는 단지 몇가지 용액을 대표한다.
상기 제제 A, B, C, D는, 다른 매트릭스(미네랄, 식물성, 동물성)로부터 나오고, 다른 점성을 갖지만, 동일한 물리적 및 열적 특성 및 동일한 특징(peculiarity)을 갖는 처리된 제품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물리적 및 열적 특징 및 그 결과적 장점에 관하여, 제제 A, B, C, D을 언급하지 않고 이들을 독특한 이름인 "새로운 제제"로 동일시하는 것이 편리하다.
새로운 제제의 용도는 직접적으로 제품에 존재하는 액체 또는 크림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하 목록에 주어진 것처럼 간접적으로 다른 형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제제의 직접적 용도:
새로운 제제는 어떤 가공도 하지 않고 시판되며, 실온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제품의 경우 약 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1) 내화물(마그네사이트 및/또는, 수지산염 돌로마이트(resinated dolomite), 쿡드(cooked) 마그네사이트 및/또는 돌로마이트 등을 기반으로 하는 내화물). 추천된 퍼센트는 사용된 불활성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이들의 구성에 대해 사용된 바인더와 함께 1.2% 내지 2%, 또는 0.03%~0.05%로 변화한다;
2) 역청질의 역암 및 역청질의 시스(sheaths). 추천된 퍼센트는 약 1%이다;
3) 폴리머, 페인트, 고무, 플라스틱 물질 및 물 존재를 허용하지 않는 다른 생성물. 추천된 퍼센트는 약 1%이다;
4) 물 존재를 허용하지 않는 항은하식물(anti-cryptogamic plant) 보호 제품, 살충제, 살생물제. 최적 결과에 대해 이들 제품에 존재하는 동일한 함량의 활성 물질과 새로운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제제의 간접적 용도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시판되기 전에 추가 가공이 되는 새로운 제제의 간접적 용도에 대한 것으로, 다음 새로운 제제를 제공한다:
- 새로운 제제 1중량부, 3 중량부 이상의 물 및 Caflon 또는 Sabotal 타입의 에멀젼화제를 혼합하여 얻어진 수성 L/A 에멀젼. 그러한 새로운 제제 L/A는 다음 제품들에서 0.01%~2%의 양으로 사용된다: 살충제, 살생물제, 구충제, 항은하 식물 보호 제품, 수성 페인트(석회-기반, 실리케이트-기반 실록산 등), 유동화 및 슈퍼 유동화 물질(리그닌 설페이트,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실록산, 아크릴 제품 등)로 사용된 첨가제로서 역암 및 시멘트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사용되어 혼합수를 민감하게 줄이는 첨가제, 물을 두려워하지 않는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은 내화물.
- 100/120℃에서 사전 가열된 새로운 제제(3%)와, 또한 사전 가열된 다른 타입의 내화 분말, 50㎛~300㎛의 알갱이의 마그네사이트을, 새로운 제제가 함침되고 슬라이딩 분말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하여, 분말 제품 R을 얻는다. 그러한 흡수 공정 후, 최종 제품은 색(sack)으로 이동되고 포장되어 시판 준비를 한다. 그러한 분말 제품은 새로운 제제 R이라 하며, 완전히 물이 제거되고 염기성 내화물 내에서 1%~1.5%의 양으로 사용되고, 물과 혼화되지 않아 이들이 새로운 기본(original) 제제와 사용될 때와 동일한 제품 특성을 얻게 한다.
- 모르타르는, 새로운 제제(3%)와, 알루미나, 지르코늄 옥시드, 보크사이트, 안달루사이트, 실리카, 다양한 내화점토 등을 기반으로 한 다른 타입의 내화 분말로서 50㎛~300㎛(97%)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과 혼합하여 제조되고, 물(20~40%)과 혼합할 때, 페이스트 타입 슬라이딩 모르타르를 제조하고, 일단 뭉치면 오븐 내 놓여진 적당한 용기 내에 넣고, 여기서 분말의 완전한 건조가 소정의 건조 사이클에 따라 일어난다. 건조된 분말은 이후 체로 걸러지고 색에 포장되어 시판 준비된다. 동일한 것을 상기 언급된 내화물 내에 삽입 및 적당하게 혼합(1%~1.5%)하여, 새로운 제제의 기본 제품을 사용할 때 정상적으로 얻어진 것과 동일한 특성 및 특징을 이들에게 부여한다.
- 왁스는, 새로운 제제(3% 또는 그 이상의 함량)로서, 100/120℃까지 사전 가열된 것을, 액상으로 사전 가열된 지질을 기반으로 한 임의 유기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된다(왁스의 함량은 97% 이하). 일단 제품(왁스+p)의 균질성이 우수하게 되면, 전체를 실온까지 냉각한다. 왁스 효과로 인하여 제품이 고체화하고, 통상 실온에서 일어나게 되는 완전한 고체화 후, 쉐딩 공정(shredding process)을 하여 새로운 분말 제제 C를 얻게 된다. 이 왁스를 색으로 이동하여 포장하고 시판 준비를 한다. 미세 분말화 형태의 왁스를 처리할 제품에 대해 1%~1.5% 로 사용하여 새로운 기본 제제를 사용할 때 얻는 것과 동일한 열적-물리적 특성을 부여한다.
직접적 또는 간접적 용도의 임의 타입의 새로운 제제로 처리한 제품의 일부 주요 특징:
- 보다 큰 기계적 저항성
- 보다 나은 열적 절연(thermal insulation)
- 보다 큰 열 용량
- 보다 낮은 열 확산
- 보다 큰 불투과성
- 보다 큰 UV 저항성
- 보다 큰 내마모성
- 처리된 제품(살균제, 살생물제, 항은하식물성 물질)의 일부인 활성 물질의 낮고 느린 증발로, 그 결과 동일한 시간에서 보다 큰 효율과 지속성을 갖음.
- 제품 제조에 사용된 바인더 함량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10%~15%).
- 0℃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된 액상 제품의 고체화 포인트는 약 4/5℃로 낮아짐(FRAAS Test of the University of Ancona, 참조)
- 처리된 페인트의 보다 큰 접착력
- 느린 증발 결과 시간에 따라 페인트 또는 다른 가공된 제품 내에 도입된 가소제 및/또는 탄성화제의 적은 손실로, 동일한 것에 대해 보다 큰 내구성을 가짐.
- 처리된 제품에서 시간에 따른 색 강도(color intensity)의 보다 긴 수명.
- 건축 분야에서, 캐스트 콘크리트, 기성(prefabricated) 콘크리트, 회반죽, 모르타르, 및 모든 시멘트 제품에서 수명이 실질적으로 증가한다. 보다 긴 수명은 새로운 제제의 사용으로 미세구조체 내에서 처리된 제품의 구조체 변형에 의한 것이다. 실험실에서 발견될 수 있는 특성은, 처리되지 않은 것들에 비하여 처리된 제품의 클로라이드 및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물의 낮은 모세관 상승이다.
- 역청질의 역암 분야에서, 동일한 처리되지 않은 역암에 비하여, 처리된 역암은 보다 큰 열용량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처리된 역암은 보다 많이 느리게 냉각한다. 또 다른 특징과 함께 이 중요한 특성은 동일한 온도에서 처리된 비튜멘은 처리되지 않은 비튜멘보다 낮은 점도를 갖고, 처리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약 2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역암이 확산한다. 동일한 처리되지 않은 역암에 비하여, 보다 큰 내산화성을 가져 처리된 역청질의 역암은 보다 긴 수명을 갖는다. 그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피로 사이클 시험을 University of Ancona에서 수행하였고, 이의 수치는 처리되지 않은 역암의 사이클의 수에 비하여 약 50% 크다.
이들 특성은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제제의 특징들을 객관화시키기 위하여, 증명된 경험을 갖는 대학 및 연구 센터의 도움으로 수행된 인상적인 실험 캠페인으로 검증되고 나타났다.
첨부된 그래프 및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Marche University of Ancona에서 만들어진 역청질의 역암에 제제 첨가와 관련된 실험 증거가 보고된다. 도 1 및 도 2에 보여진 그래프에서, 브레이킹(breaking) 사이클 숫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가 첨가되지 않은 복수개의 전통적인 역청질의 역암 샘플들에 대하여 주어지고(도 1) 및 본 발명에 대한 제제로 처리된 샘플들에 대하여 주어진다(도 2). 그래프 모두 10개 샘플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마지막 막대기는 분석된 샘플에 대한 브레이킹 사이클의 숫자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결과값의 분석으로부터, 고려된 전통적인 역청질의 역암에 대하여, 상기 제제는 47%의 평균 브레이킹 사이클과 관련이 있다.
도 3 및 도 4의 그래프에서, 본 발명의 제제와 함께 첨가제가 없는 복수의 드레이닝 역청질의 역암 샘플에 대한 브레이킹 사이클의 수(도 3)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처리된 것의 수(도 4)가 보고되었다. 그래프 2개 모두 6개 샘플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마지막 막대기는 분석된 샘플에 대하여 브레이킹 사이클의 수치 값을 나타낸다.
결과 분석으로부터, 드레이닝 역청질의 역암의 경우에, 제제의 사용은 평균 브레이킹 사이클의 값을 70% 증가시킨다.
추가 수행된 시험은 소위 "Ancona stripping test"이다. 이 시험의 목적은 불활성 및 비튜멘 사이의 접착 파라미터를 평가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상기 시험 절차는 과립화된 비튜멘의 샘플로서 표준 방법으로 포장된 것을 증류된 물과 함께 비이커에 넣고, 이어서 소정의 시간 동안 끓는 물 욕조 내에 잠기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시험 말기에 비튜멘으로 덮여진 불활성 표면의 퍼센트 평가는 비튜멘-응집 시스템의 접착능력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게 한다.
2가지 타입의 바인더(70/100 처리 및 미-처리) 및 3개의 광물학적 상태의 응집체(석회질, 현무암 및 반암(porphyry))의 조합으로부터, 6개 다른 타입의 샘플을 포장하였다. 샘플 타입에 따라 얻어진 영상 분석(도 5~10)으로부터, 1.2%로 처리된 비튜멘의 불활성 부분의 스트라이핑은 처리되지 않은 비튜멘의 동일한 응집체의 것에 비하여 낮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는 처리된 비튜멘이 보다 우수한 불활성-비튜멘 접착력을 보장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타입의 시험은, 의문이 드는 제제의 살충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the Universita della Sapienza of Rome에서 수행되었다. 특히, 시험 캠페인의 목적은 성인 살충제 성질을 확증하고 제제의 첨가로 항-모기 활성을 개선하며, 이는 곤충이 표면에 접촉할 시간에 살충제의 보다 큰 이용가능성과 살충제의 용인성 증가를 보장하여야만 한다. 도 11은 처리된 사이트에서 처리 후 시간 및 평균 캐치 값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그래프는 각 처리된 사이트에 기록된 평균값에 비교된 캐치들의 트렌드를 나타낸다: A) 제제 및 살충제, B) 살충제, C) A 및 B에서 트렌드들의 겹침, D) 그래프 A) 및 B)의 캐치들의 평균값들의 차이. A), B), C)에서, 수평 점선은, 0을 중심으로 한 A) 및 B)에서, 근사값(estimated value)들의 C)에서 캐치들의 평균 통계적 분포를 확인한다. 제제를 갖는 사이트와 관련하여, 캐치들의 평균은 살충제를 갖는 사이트의 것보다 낮다. 제제를 갖는 사이트에서 캐치들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만 살충제를 갖는 사이트의 평균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그 결과는 2개 사이트에서, 평균에 비하여 감소가 기록된 첫번째 10일 동안 2가지 처리들(제제 부존재, 제제 존재) 사이의 실질적 가치(equity)를 중요시한다.
그후, 2주 동안 시간-캐치 관계, 또는 모기 존재의 시간의 증가는 제제 처리에 따라 느려진다. 결론적으로 사이트 살충의 큰 개선이 얻어질 수 있다.
내화재료의 화학적-물리적 행동에 대한 추가 시험이 the University of Salento에 의해 수행되었다. 특히, 내화성 알루미나 샘플은 본 발명의 제제가 있ㄴ는 것과 없는 것으로 비교되었다.
미세구조적 분석은 다음 특징들을 강조하였다.
성질 제제 없는 샘플 제제 있는 샘플
총 부피(cc / g): 0.075 ±0.005 0.078 ±0.005
관리 면적(m2/g) 0:21 ±0.01 0:23 ±0.01
평균 기공 반경(㎛) 0.83 ±0.02 0:53 ±0.02
총 기공도(%) 20.0 ±0.6 21.0 ±0.6
밀도(g/cm3) 2.70 ±0.05 2.69 ±0.05
겉보기 밀도(g/cm3) 3:35 ±0.05 3:40 ±0.05
결과의 비교로부터, 총 기공도의 실질적 확인을 위하여, 제제 첨가로 기공 크기가 분명하게 감소하고, 이는 표면적이 약간 증가한 것에 반영된다.
게다가, 기계적 특성의 분석은, 제제가 있고 제제가 없는 샘플들의 압축으로 하중 변형 선도(load-deformation diagnam)을 비교하는 것으로 수행되며, 아마도 원료물질 혼합 단계 동안 내화물을 보다 다지게 하여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 제제의 존재로 인하여, 제제가 존재하는 내화물이 얼마나 기계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가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도 12). 이들 모든 경우는 기공도 측정과 관련이 있고, 여기서 제제가 있는 샘플의 기공 크기가 크게 감소하는 것이 관찰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외에 추가로, 수 많은 변수가 더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지도 그 응용을 제한하지도 않으며 그의 가능한 구성을 제한하지도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지만, 첨부된 청구범위, 문헌적으로 해석되고 및/또는 이들의 법률적 등가물인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없이 설명된 성분들의 많은 변화들이 가능하다.

Claims (16)

  1. 다음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산업용 물질용 제제:
    - 오일 또는 유도체 또는 동물성 지방 잔사 또는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 혼합물,
    - 물에 용해된 적어도 하나의 염기를 포함하며,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 원소의 중량 퍼센트는 오일 또는 오일들의 혼합물 70~99.9%, 염기 0.1%~10% 및 물 0%~20%로 각각 포함되며;
    - 상기 오일은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미네랄 또는 식물성 배출 오일;
    - 염기는 소듐 희드록시드, 포타슘 히드록시드 또는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98/99% 순도의 소듐 히드록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드록시드가 10중량%~50중량%로 물에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4. 제2항에 있어서,
    1kg의 제1 제조의 미네랄 오일 및/또는 유도체 오일 및/또는 미네랄 오일 가공 중 생산된 잔사 및/또는 배출 미네랄 오일 및 7~150g의 물에 용해된 2~50g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2항에 있어서,
    1kg의 해바라기 식물성 오일 및/또는 제1 제조의 다른 타입의 식물성 오일 및/또는 유도체 및/또는 식물성 오일 가공 중 생산된 잔사 및/또는 캐슈넛 오일 및 7~150g의 물에 용해된, 2~50g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제2항에 있어서,
    1kg의 유채씨 오일 잔사 및/또는 유도체 및/또는 동물성 지방 가공의 잔사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7~150g의 물에 용해된 2~50g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7. 제4항에 있어서,
    1kg의 식물성 에스테르 오일 및/또는 유도체 및/또는 식물성 에스테르 오일 가공 동안 생산된 잔사 및/또는 배출 식물성 에스테르 오일 및 7~150g의 물에 용해된 2~50g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드록시드가 6g이고 14g의 물에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A).
  9. 제4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드록시드가 9g이고 21g의 물에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B).
  10.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드록시드가 12g이고 28g의 물에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C).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500g의 상기 제제(A), 50~500g의 상기 제제(B) 및 50~500g의 상기 제제(C)를 포함하는 제제(D).
  12. 제11항에 있어서,
    300g의 상기 제제(A), 200g의 상기 제제(B) 및 100 g의 제제(C)을 포함하는, 제제(D).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의 1 중량부, 3중량부의 물 및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L/A).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3중량% 및 50㎛~3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마그네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내화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제품(R).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3중량% 및 50㎛~3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내화 분말 및 물을 포함하는 모르타르(AR).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 3중량% 및 지방 기반 유기 화합물(organic compound fat-based)을 포함하는 왁스(CC).
KR1020197033217A 2017-04-11 2018-04-10 산업용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00005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40115A IT201700040115A1 (it) 2017-04-11 2017-04-11 Preparati per utilizzo in applicazioni industriali e loro procedimenti di produzione
IT102017000040115 2017-04-11
PCT/IB2018/052519 WO2018189685A1 (en) 2017-04-11 2018-04-10 Preparations for industrial use and their production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554A true KR20200005554A (ko) 2020-01-15

Family

ID=5985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17A KR20200005554A (ko) 2017-04-11 2018-04-10 산업용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87738B2 (ko)
EP (1) EP3609852A1 (ko)
KR (1) KR20200005554A (ko)
CN (1) CN110944958A (ko)
BR (1) BR112019021423A2 (ko)
IT (1) IT201700040115A1 (ko)
WO (1) WO20181896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7582A (en) * 1947-06-11 1948-12-28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Grease composition
US2468098A (en) * 1948-02-18 1949-04-26 Standard Oil Dev Co Grease composition
IT1133899B (it) * 1980-10-15 1986-07-24 Giovanni Crespi Rivestimento refrattario per siviere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CA2315955A1 (en) * 2000-08-08 2002-02-08 Q-X Enviro Products Ltd. Dust control composition
CN101333435A (zh) * 2007-06-27 2008-12-31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稠油降粘剂
KR100898960B1 (ko) * 2007-07-09 2009-05-25 남미선 도꼬마리 발효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비누 조성물
CN103649293A (zh) * 2011-07-10 2014-03-19 艾勒旺斯可再生科学公司 多用途的金属皂组合物
KR20130051078A (ko) * 2011-11-09 2013-05-20 유성태 육탄당과 글라이콜을 함유하는 천연 고체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3102702B (zh) * 2011-11-10 2015-07-2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沥青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804936B1 (en) * 2012-01-10 2016-03-23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Renewable fatty acid waxes and methods of making
CN102911608A (zh) * 2012-10-31 2013-02-06 韶关市超越研磨材料有限公司 染色抛光腊
CN103045419A (zh) * 2013-01-24 2013-04-17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手工皂组合物、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5087125A (zh) * 2015-08-11 2015-11-25 新乡市恒星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工程机械设备专用润滑脂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7738B2 (en) 2023-10-17
IT201700040115A1 (it) 2018-10-11
US20220298074A1 (en) 2022-09-22
BR112019021423A2 (pt) 2020-05-05
EP3609852A1 (en) 2020-02-19
RU2019135947A (ru) 2021-05-11
WO2018189685A1 (en) 2018-10-18
RU2019135947A3 (ko) 2021-08-04
CN110944958A (zh)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7487C (zh) 经化学处理而有改善的分散性的纤维形成的纤维强化水泥复合材料
DE102010016787A1 (de) Oberflächenbehandelte Zellulosefasern zur Anwendung in Asphaltzusammensetzungen
KR101529857B1 (ko) 건축 자재용 소금 모르타르 조성물
KR20200005554A (ko) 산업용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760399B1 (ko) 황토를 이용한 방수 레미콘 제조 방법
DE102014101519B4 (de) Trockenmischung zur Herstellung einer Spachtelmasse, eine Spachtelmass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usgehärteten Spachtelmasse
US11352295B2 (en) Composite blast furnace mineral powder and synthetic material made from same
EP2874969A2 (de) Getrocknetes, ungebranntes material aus wenigstens einem silikathaltigen basismaterial sowie einem hydrophobierungsmitt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D202040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eramische fasern enthaltenden, feuerbestaendigen oder feuerfesten massen
KR101583762B1 (ko) 불소수지층이 형성된 친환경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KR100943248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습식 몰탈의 제조방법
CN113943131B (zh) 一种箱涵及其制备方法
KR100943247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건식 몰탈의 제조방법
KR20060119851A (ko) 황토를 이용한 판재 제조방법
US3208863A (en) Portland cement concrete masonry unit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CH711468B1 (de) Bodenbelagssystem, insbesondere für mineralische Bodenplatten, zur Verhinderung von Feuchteflecken und Verfärbungen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Bodenbelagssystems.
AT208760B (de) Baustoffmischung zur Herstellung wasserabweisenden Mauerwerks
EP3669654B1 (de) Mikrokapseln enthaltend oit in kombination mit propiconazol und/oder ipbc
KR101682640B1 (ko) 흙침대용 황칠흙판의 제조방법
CN106587857A (zh) 一种新型超能聚合物仿木材建材及其生产工艺
USRE16855E (en) Plastic composition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articles of
DE1671164C3 (de) Verfahren zum Hydrophobieren wasserdurchlässiger Baumaterialien
KR100524268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건축재의 제조방법과 건축재
DE866025C (de) Selbsthaertender Werkstoff und Verfahren zu dessen Anwendung
KR20010069314A (ko) 황토 바이오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