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468A - 복합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468A
KR20200005468A KR1020190080329A KR20190080329A KR20200005468A KR 20200005468 A KR20200005468 A KR 20200005468A KR 1020190080329 A KR1020190080329 A KR 1020190080329A KR 20190080329 A KR20190080329 A KR 20190080329A KR 20200005468 A KR20200005468 A KR 2020000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cfm
composit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611B1 (ko
Inventor
존 리
Original Assignee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0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secured to a flexible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thermal insulating, e.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8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4Caps,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oven Fabr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복합 직물은 제1 직물층 및 제1 직물층에 인접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상에 있어서, 복합 직물은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페이서의 각각은 직물 재료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E FABRICS AND METHODS OF MANUFACTURE}
본 개시내용은 복합 직물(composite fabric)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성을 가진 복합 직물을 제공하는 복수의 단열 구조체(insulating structure)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의류 물품은 단열체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체의 예는 다운(down)(예컨대, 거위 또는 오리 깃털)과 같은 천연 충전재 재료, 및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 충전재 재료를 포함한다. 단열체는 재료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체는 물품의 사용, 물품의 착용자의 이동 및/또는 중력의 결과로서 이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열체는 재료를 통해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례로서, 단열체는 재료 내에서 단열체의 이동 결과로서 재료를 통해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단열체는 재료의 제조 방법 및/또는 재료 내에 단열체를 배치하는 방법의 결과로서 재료를 통해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의류의 물품은 다양한 단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단점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의해 해소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제1 직물층 및 제1 직물층에 인접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cavity)를 획정하는 직물 셸(fabric shell)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추가로 복수의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스페이서의 각각은 직물 재료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반드시 일정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상이한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를 기술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를 갖는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의 상이한 경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각종 실시형태를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예로서 예시한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복합 직물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복합 직물의 일 측면의 사진이다.
도 1C는 도 1A의 복합 직물의 다른 측면의 사진이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복합 직물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복합 직물의 사진이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복합 직물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복합 직물의 사진이다.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이에 포함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각종 양상에 있어서, 본 개시내용은 제1 직물층 및 제1 직물층에 인접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상은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스페이서의 각각은 직물 재료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물품, 시스템, 디바이스 및/또는 방법이 개시되고 기술되기 전에, 이들은, 물론 다를 수 있는 바와 같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특정 합성 방법으로 또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특정 시약으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양상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 예컨대, 동일한 독립 청구항에 종속되는 종속 청구항들로부터의 요소들의 조합이 본 개시내용에 의해 포함된다.
게다가, 달리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임의의 방법은 그의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그 단계들이 후속되어야 하는 순서를 실제로 암시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것이 청구범위 또는 설명에 달리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어떤 점에서도 결코 순서가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단계 또는 작업 흐름의 배열에 관한 논리의 문제; 문법적 구성이나 구두법으로부터 파생된 평범한 의미; 및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의 수 또는 유형을 비롯하여 해석을 위한 임의의 가능한 비-특정 기초에도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은 그 간행물이 인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방법 및/또는 재료를 개시하고 기술하기 위하여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정의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양상만을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은 "로 이루어진" 및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당업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및 후속하는 청구범위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어야 하는 많은 용어가 언급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달리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열 재료"란 언급은 2가지 이상의 단열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조합"은 배합물,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등을 포함한다.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값(제1 값)으로부터 다른 값(제2 값)까지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경우, 그 범위는 몇몇 양상에 있어서 제1 값과 제2 값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값이 접두사 "약"을 사용해서 근사치로서 표현될 경우, 그 특정 값은 다른 양상을 형성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범위의 각 종말점은 다른 하나의 종말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종말점과는 독립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많은 값이 있고 그리고 각 값은 본 명세서에서 또한 값 그 자체에 부가해서 그 특정 값을 "약"으로서 개시하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값 "10"이 개시된다면, "약 10"이 또한 개시된다. 또한, 두 특정 단위 사이의 각 단위가 또한 개시되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과 15가 개시된다면, 11, 12, 13 및 14도 개시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약" 및 "에서 또는 약"은 당해 양 또는 값이 지정된 값, 대략 지적된 값 또는 지정된 값과 대략 동일한 것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표시 또는 암시하지 않는 한, ±10% 편차로 표시된 공칭값인 것이 이해된다. 용어는 유사한 값이 청구범위에 인용된 등가의 결과 또는 효과를 촉진시키는 것을 전달하도록 의도된다. 즉,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및 기타 양 및 특징은 정확하지 않고 정확할 필요는 없지만, 필요에 따라서, 허용 오차, 환산 인자, 반올림, 측정 오차 등,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인자를 반영하여 대략적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또는 기타 양 또는 특징은, 그와 같이 정화하게 기술되든 그렇지 않든지 간에 "약" 또는 "근사치"이다. "약"이 정량적인 값 앞에 사용될 경우, 그 파라미터는 또한 달리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구체적인 정량값 자체를 포함하는 것이 이해된다.
달리 본 명세서에서 반대로 기술되지 않는 한, 모든 시험 표준은 본 출원 시에 가장 유효한 최신 표준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재료의 각각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하거나 그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소정의 기능을 갖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구조적 요건이 개시되고, 개시된 구조와 관련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있고, 그리고 이들 구조는 전형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것임이 이해된다.
제1 직물층 및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제1 직물층(130, 230) 및 제1 직물층(130, 230)에 인접한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 240)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100, 200)에 관한 것이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 240)의 각각은 공동부(160, 260)를 획정하는 직물 셸(150, 250) 및 공동부(160, 260)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제1 직물층(130, 230)은 직물 및/또는 이로부터 형성된 의복의 어느 한쪽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복합 직물(100, 200)의 본체 쪽, 즉,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대면하는 직물 쪽에 위치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복합 직물(100, 200)의 정면 쪽, 즉,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직물 쪽 상에 위치된다. 소정의 양상에 있어서, 복합 직물(100, 200)은 직물의 사용자(예컨대, 복합 직물(100, 200)을 포함하는 의복의 착용자)가 사용자 쪽으로 대면하는 또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제1 직물층(130, 230)을 가진 복합 직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인접한"은 부근 상에 또는 부근에를 의미하고 추가의 직물층(들), 공기 또는 유체를 비롯한 개재 성분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몇몇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의 각각은 제1 직물층(130)에 부착된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의 각각은 제1 직물층(제1 직물층(130)에 직접 바느질된 것처럼 도시된 단열 구조체(140)의 바닥)에 바느질된다(170).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는, 접착제, 재봉, 편성, 용접 또는 바느질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1 직물층(130)에 부착될 수 있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는, 몇몇 양상에 있어서, 이들이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제1 직물층(130)에 헐렁하게 부착(또는 바느질(170))될 수 있다. 직물이 사용(예컨대, 착용)되는 경우, 복수의 단열 구조체는 (화살표(180)로 예시된) 제1 직물층(130)에 대해서 하향으로 놓여서, 복합 직물(100)에 따뜻한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추가의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240)의 각각은 복수의 직물 스트립(fabric strip)(270)에 의해 제1 직물층(230)에 대해서 유지된다. 복수의 직물 스트립(270)은, 몇몇 양상에 있어서, 직조 구조로 제1 직물층(230)에 대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240)를 유지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직조 패턴(weave pattern)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직조 패턴은 평직(1x1, 예시됨)이다. 소정의 양상에 있어서, 직조 패턴은 새틴직 또는 능직(예컨대, 1x2, 1x3, 2x2 등)이다. 복합 직물(200)의 성분은 임의의 바람직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240)는, 직물이 사용(예컨대, 착용)될 경우, 복수의 단열 구조체(240)가 (화살표(28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직물층(230)에 대해서 놓이고/놓이거나 실질적으로 이를 덮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서, 단열층을 가진 복합 직물(200)을 제공한다.
제1 직물층(130, 230)은 임의의 적합한 직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직포이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laminate fabric)이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를 태피터(taffeta)를 포함하지만, 면(cotton), 울(wool),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기타 적합한 직물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정의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고도로 통기성 또는 공기 투과성이다. 공기 투과도는 ASTM D737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고, 분당 세제곱피트(CFM)로 보고된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40 CFM 내지 약 8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제1 직물층(130, 230)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50 CFM 내지 약 6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제1 직물층(130, 230)의 높은 공기 투과도는 수분이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기성 층을 복합 직물(100, 200)에 제공한다.
직물 셸(150, 250)은 임의의 적합한 직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150, 250)은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이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150, 250)은 태피터를 포함하지만, 면, 울,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기타 적합한 직물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150, 250)은 실질적으로 공기에 대해서 불투과성이거나 또는 매우 낮은 투과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150, 250)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5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추가의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150, 250)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2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직물 셸(150, 250)에 대해서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 직물의 사용은 직물에 온기를 제공하고 공동부(160, 260)에 단열 재료를 캡슐화하여 복합 직물(100, 200) 내에서 단열 재료의 이동 또는 움직임을 방지 또는 최소화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열 구조체(140, 240)의 각각은 공동부(160, 260)를 획정하는 직물 셸(150, 250) 및 공동부(160, 260)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천연 단열 재료, 합성 단열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단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다운(예컨대, 거위 또는 오리 깃털)을 비롯한 적어도 1종의 천연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복합 직물(100, 200)에 사용될 수 있었던 기타 천연 단열 재료는 면 및 울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폴리에스터를 비롯한 적어도 1종의 합성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복합 직물(100, 200)에 사용될 수 있었던 기타 합성 단열 재료는, PrimaLoft®, Thinsulate®, Thermolite®, Quallofil®, ThermoBal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 재료는 공기 취입, 삽입, 주입(injection) 및 레이피어 삽입(rapier insertion)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통상의 공정에 의해서 공동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단열 재료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루즈 섬유(loose fiber)이고; 다른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예컨대, 관 형상으로) 정형화된다.
단열 구조체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추가로 복수의 스페이서(320)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310)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300)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스페이서(320)의 각각은 직물 재료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열 구조체(310)의 각각은 공동부(340)를 획정하는 직물 셸(330) 및 공동부(340)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복합 직물(300)은 직물의 사용자(예컨대, 복합 직물(300)을 포함하는 의복의 착용자)가 사용자를 향하여 대면하는 쪽 또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쪽을 가진 복합 직물(3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뒤집을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임의의 적합한 직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직포이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이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태피터를 포함하지만, 면, 울,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기타 적합한 직물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임의의 바람직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 예시된 바와 같이 -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직물의 스트립이다.
복수의 스페이서(320) 및 직물 셸(330)은 임의의 적합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약 1 인치(1")의 폭을 갖고, 직물 셸(330)은 약 5인치 내지 약 6인치의 폭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스페이서(320) 및/또는 직물 셸(330)은 동일한 복합 직물(300) 내에서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도 있었다.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직물이 사용(예컨대, 착용)되는 경우, 복수의 단열 구조체(310)가 (화살표(350)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320)에 대해서 놓이고/놓이거나 실질적으로 중첩 또는 피복되어, 단열층을 가진 복합 직물(300)을 제공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소정의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고도로 공기 투과성이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40 CFM 내지 약 8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320)는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약 50 CFM 내지 약 6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복수의 스페이서(320)의 높은 공기 투과도는 복합 직물(300)에 통기성 성분을 제공하여 수분이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직물 셸(330)은 임의의 적합한 직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330)은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이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330)은 태피터를 포함하지만, 면, 울,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기타 적합한 직물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330)은 실질적으로 공기에 대해서 불투과성이거나 매우 낮은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330)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5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추가의 양상에 있어서, 직물 셸(330)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2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직물 셸(330)에 대해서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 직물의 사용은, 직물에 온기를 제공하고 공동부(340) 내에 단열 재료를 캡슐화하여 복합 직물(300) 내에서 단열 재료의 이동 또는 움직임을 방지 또는 최소화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열 구조체(310)의 각각은 공동부(340)를 획정하는 직물 셸(330) 및 공동부(340)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천연 단열 재료, 합성 단열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단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다운(예컨대, 거위 또는 오리 깃털)을 비롯한, 적어도 1종의 천연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복합 직물(300)에 사용될 수 있었던 기타 천연 단열 재료는, 면 및 울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폴리에스터를 비롯한 적어도 1종의 합성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복합 직물(300)에 사용될 수 있었던 기타 합성 단열 재료는 PrimaLoft®, Thinsulate®, Thermolite®, Quallofil®, ThermoBal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 재료는 공기 취입, 삽입, 주입 및 레이피어 삽입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통상의 공정에 의해서 공동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단열 재료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루즈 섬유이고; 다른 양상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예컨대, 관 형상으로) 정형화된다.
복합 직물(100, 200, 300) 및 이의 구성요소는 통상의 공정(예컨대, 통상의 재봉 공정, 직조 공정 및 편성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합 직물(100, 200, 300)은 직물 내에 편입되어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물품은 재킷, 바지, 모자, 장갑, 점프슈트, 및 기타 겉옷과 같은 의류의 물품을 포함한다. 기타 예시적인 물품은 담요, 스포츠 장비(예컨대, 헬멧의 라이닝) 및 야외 장비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 예컨대, 동일한 독립 청구항에 종속되는 종속 청구항들로부터의 요소들의 조합이 본 개시내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
각종 양상에 있어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이하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고 이들을 포함한다.
양상 1. 복합 직물로서,
제1 직물층; 및
제1 직물층에 인접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되,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양상 2. 양상 1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제1 직물층에 부착된다.
양상 3. 양상 1 또는 2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제1 직물층에 바느질되어 있다.
양상 4. 양상 1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복수의 직물 스트립에 의해 제1 직물층에 대해서 유지된다.
양상 5. 양상 4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복수의 직물 스트립은 직조 구조로 제1 직물층에 대해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유지한다.
양상 6. 양상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제1 직물층은 직포 또는 편성포를 포함한다.
양상 7. 양상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제1 직물층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40 분당 세제곱피트(CFM) 내지 약 8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8. 양상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제1 직물층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50 CFM 내지 약 6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9. 양상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셸은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를 포함한다.
양상 10. 양상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5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11. 양상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2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12. 양상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천연 단열 재료, 합성 단열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양상 13. 양상 12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천연 단열 재료는 다운, 면, 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양상 14. 양상 12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합성 단열 재료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PrimaLoft®, Thinsulate®, Thermolite®, Quallofil®, ThermoBall®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양상 15. 복합 직물로서,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되, 복수의 스페이서의 각각은 직물 재료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양상 16. 양상 15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재료는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를 포함한다.
양상 17. 양상 15 또는 16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재료는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40 CFM 내지 약 8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18. 양상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재료는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50 CFM 내지 약 6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양상 19. 양상 15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셸은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를 포함한다.
양상 20. 양상 1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5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21. 양상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2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다.
양상 22. 양상 1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단열 재료는 천연 단열 재료, 합성 단열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양상 23. 양상 22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천연 단열 재료는 다운, 면, 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양상 24. 양상 23에 따른 복합 직물에 있어서, 합성 단열 재료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PrimaLoft®, Thinsulate®, Thermolite®, Quallofil®, ThermoBall®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 또는 컴퓨터-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는 상기 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끔 전자 기기를 구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명령어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구현예는 코드, 예컨대, 마이크로코드, 어셈블리 언어 코드, 고차 수준 언더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각종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례에서, 코드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 유형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수행 동안 또는 다른 시기에 유형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의 예는 하드 디스크, 탈착 가능한 자기 디스크, 탈착 가능한 광학 디스크(예컨대, 컴팩트 디스크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자기 카세트, 메모리 카드 또는 스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이 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위에서 기재된 예(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양상)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를 검토하여 예컨대 당업자에 의해 다른 실시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요약은, 독자에게 기술적 개시내용의 속성을 신속하게 확인하게 할 수 있도록 37 C.F.R. §1.72(b)를 따르도록 제공된다.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의미를 해석 또는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각종 특징은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이것은 미청구된 개시된 특징이 임의의 청구범위에 있어서 필수적이 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발명의 주제는 특히 개시된 실시형태의 모든 특징 이내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는 실시예 또는 실시형태로서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편입되고, 각 청구범위는 별도의 실시형태로서 그 자체로 독립적이며, 이러한 실시형태는 각종 조합 또는 치환에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라 명명되는 것과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4)

  1. 복합 직물(composite fabric)로서,
    제1 직물층; 및
    상기 제1 직물층에 인접한 복수의 단열 구조체(insulating structure)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cavity)를 획정하는 직물 셸(fabric shell) 및 상기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상기 제1 직물층에 부착되는, 복합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상기 제1 직물층에 바느질되어 있는, 복합 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복수의 직물 스트립(fabric strip)에 의해 상기 제1 직물층에 대해서 유지되는, 복합 직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물 스트립은 직조 구조로 상기 제1 직물층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유지하는, 복합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층은 직포 또는 편성포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층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40 분당 세제곱피트(CFM) 내지 약 8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층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50 CFM 내지 약 6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셸은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laminate fabric)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5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2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재료는 천연 단열 재료, 합성 단열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단열 재료는 다운(down), 면(cotton), 울(wool)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단열 재료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
  15. 복합 직물로서,
    복수의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단열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의 각각은 직물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열 구조체의 각각은 공동부를 획정하는 직물 셸 및 상기 공동부 내에 위치된 단열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재료는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재료는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40 CFM 내지 약 8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재료는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약 50 CFM 내지 약 60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셸은 직포, 편성포, 부직포 또는 적층포를 포함하는, 복합 직물.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5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셸은 ASTM D737에 따라서 시험된 경우 0 CFM 내지 약 2 CFM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복합 직물.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재료는 천연 단열 재료, 합성 단열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단열 재료는 다운, 면, 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단열 재료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
KR1020190080329A 2018-07-05 2019-07-03 복합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5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94189P 2018-07-05 2018-07-05
US62/694,189 2018-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468A true KR20200005468A (ko) 2020-01-15
KR102305611B1 KR102305611B1 (ko) 2021-09-27

Family

ID=6710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329A KR102305611B1 (ko) 2018-07-05 2019-07-03 복합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79109B2 (ko)
EP (1) EP3626096A1 (ko)
JP (1) JP6975210B2 (ko)
KR (1) KR102305611B1 (ko)
CN (1) CN110682610B (ko)
CA (1) CA3048049C (ko)
TW (1) TWI7715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9109B2 (en) 2018-07-05 2022-03-22 The North Face Apparel Corp. Breathable composite with moveable baff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3944S1 (en) * 2019-03-20 2021-07-06 The North Face Apparel Corp. Baffled material for apparel
JP2023541566A (ja) * 2020-09-04 2023-10-03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通気性バッフル
US11723424B2 (en) * 2021-04-27 2023-08-15 Acushnet Company Insulated paneling for active spor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55B1 (ko) * 2010-08-20 2011-08-01 강형신 보온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59937A (ko) * 2015-10-07 2018-06-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통기성 의복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618A (ja) 1984-12-28 1986-07-14 株式会社 竹村商店 布団とその製造方法
CN2363506Y (zh) * 1999-03-31 2000-02-16 上海泰昌针织实业有限公司 具空气夹层的织物
US6910235B2 (en) * 2002-08-29 2005-06-28 Core Enterprise Holdings, Inc. Adjustably insulative construct
US20070141940A1 (en) 2005-10-28 2007-06-21 Lightweight, breathable, waterproof, soft shell composite apparel and technical alpine apparel
EP2800491A4 (en) * 2012-01-06 2016-01-20 Amer Sports Canada Inc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AND PRODUCTS MANUFACTURED THEREFROM
US20130309929A1 (en) * 2012-05-16 2013-11-21 The North Face Apparel Corp. Multilayer Fabric Structures
US20150118438A1 (en) * 2013-10-25 2015-04-30 Mountain Hardwear, Inc. Insulating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JP2017518443A (ja) * 2015-04-30 2017-07-06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North Face Apparel Corp. 断熱充填材料のためのバッフル構築体
JP2017143984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シルクウェーブ産業 保温材充填用袋体を有する構造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寝具および被服
US10480105B2 (en) * 2016-06-30 2019-11-19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Zoned fabric systems and methods
US11725310B2 (en) * 2017-09-13 2023-08-15 Mmi-Ipco, Llc Insulating double-knit fabric
TWI771596B (zh) 2018-07-05 2022-07-21 美商北面服飾公司 複合織物
WO2020056231A1 (en) * 2018-09-14 2020-03-19 The North Face Apparel Corp.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55B1 (ko) * 2010-08-20 2011-08-01 강형신 보온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59937A (ko) * 2015-10-07 2018-06-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통기성 의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9109B2 (en) 2018-07-05 2022-03-22 The North Face Apparel Corp. Breathable composite with moveable baff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79109B2 (en) 2022-03-22
EP3626096A1 (en) 2020-03-25
TWI771596B (zh) 2022-07-21
CN110682610A (zh) 2020-01-14
TW202015894A (zh) 2020-05-01
KR102305611B1 (ko) 2021-09-27
CA3048049A1 (en) 2020-01-05
JP6975210B2 (ja) 2021-12-01
JP2020006687A (ja) 2020-01-16
US20200009828A1 (en) 2020-01-09
CN110682610B (zh) 2023-03-14
US20220152977A1 (en) 2022-05-19
CA3048049C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5468A (ko) 복합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49694B (zh) 寒冷天气通气的服装
JP6192941B2 (ja) 中綿および衣服
EP3155916A1 (en) Insulated composite fabric
US20110014406A1 (en) Sheet material exhibiting insulating and cushioning properties
AU2017345380B2 (en) Cooling fabric
US10092053B2 (en) Sublimation printed clothing articles
CN114652031B (zh) 服装制品
US20210112896A1 (en) Thermal Insulation Packages
EP2937004A1 (en) Garment with air ventilating system
JP5879139B2 (ja) 防寒衣服
JP5989990B2 (ja) 防寒衣料用中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防寒衣料
EP0251640B1 (en) Cold weather garments
US5673640A (en) Mohair quilted garment insert and method of fabrication
JP6243131B2 (ja) 中綿および衣服
US20210016536A1 (en) Method for improving dryness of insulation material and articles comprising improved insulation materials
US20220030993A1 (en) Double-walled insulation fabrics
JP3129441U (ja) 布地
TW202126202A (zh) 包括具有膜之複合材料的遮護物
TWM565976U (zh) 機能衣
PL229897B1 (pl) Ochronna kompozycja materiałowa o budowie warstwowe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