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812A - 상처 치료용 복합 폼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용 복합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812A
KR20200004812A KR1020197033222A KR20197033222A KR20200004812A KR 20200004812 A KR20200004812 A KR 20200004812A KR 1020197033222 A KR1020197033222 A KR 1020197033222A KR 20197033222 A KR20197033222 A KR 20197033222A KR 20200004812 A KR20200004812 A KR 20200004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layer
foam
layer
composite material
aqueou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670B1 (ko
Inventor
에릭 에스. 가디너
마그누스 팔레즈키
제이슨 레이먼드 존슨
Original Assignee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filed Critical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00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3/0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61F13/00017
    • A61F13/00034
    • A61F13/00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having more than one layer with different fluid reten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zed by parametric properties of the fluid retention layer, e.g. absorbency, wicking capacity, liquid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21Plasters form or structure cast
    • A61F2013/00634Plasters form or structure cast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재료, 특히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복합 재료, 및 상기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재료는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및 이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을 포함하고, 제2 친수성 폼 재료는 제1 친수성 폼 재료와 상이하다.

Description

상처 치료용 복합 폼
본 발명은 복합 폼 재료(composite foam material), 특히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복합 재료, 및 상기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처 드레싱은 상처를 치유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처 드레싱이 상처로부터 삼출물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능력은 치료 과정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드레싱의 액체 처리 능력은 상처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최소화하여야 하는 드레싱 교체 횟수에 영향을 준다. 다양한 적용에서, 상처 분비물(fluid)을 흡수 및 보유하기 위해, 친수성 재료, 보다 구체적으로, 친수성의 오픈-셀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친수성 폼이 상처 드레싱에 사용된다.
이러한 액체 처리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처 드레싱 내 상처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층이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재료, 특히 상이한 폼 재료로 구성된, 상이한 능력과 기능성을 가진, 다층형 디자인(multiple-layer design)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층형 디자인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에 따르면,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기계적 적층(lamination)에 의해 층들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에는 몇가지 문제들이 존재한다. 특히, 흡수제 재료, 예를 들어, 친수성 폼은, 사용시 팽윤되어,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될 수 있는데, 이는 층들 간의 결합을 압박하거나 및/또는 두께를 증가시켜, 층의 변형, 예를 들어, 말리는 변형(curling) 또는 함몰 변형(cupping) 및 층의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미국 특허 7,759,537은 특히 상처 접촉 층 및 흡수제 코어 층을 포함하며, 흡수제 코어 층을 상처 접촉 층과 결합시키기 위해 핫 멜트 접착제인 폴리아미드 웹(polyamide web)의 "핵심 층"이 흡수제 코어 층 상에 구비된, 다층형 상처 드레싱을 개시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유럽 특허 2 659 865는 2개의 폼 층 사이에 부직포 층이 포함되며, 모든 층들이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본딩 웹을 이용해 함께 결합된, 다층형 상처 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폴리우레탄 폼을 조합하여, 예를 들어 2색(bicolored) 폼으로부터 복합 재료를 초래하거나, 또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상이한 압축 강도)을 갖는 부분을 이용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WO 2013/000910은 제1 폼 및 제2 폼을 포함하는 복합 폼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들 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WO 2013/000910의 복합 폼은 미리-제조된(pre-made) 제1 폼 상에 수성 에멀젼(제2 폼을 수득하기 위해)을 캐스팅함으로써 제조되고, 그 장소에서 경화된다. 그러나, 제1 폼을 캐스팅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제2 폼의 최종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전형적으로 어렵다. WO 2013/000910에 교시된 바와 같이, 40 중량% 초과의 물을 함유하는 에멀젼을 폼 기판 상으로 캐스팅하는 것은, 에멀젼으로부터 물의 신속한 흡수, 또는 폼 층 기판의 표면 셀(cell) 내로의 전체 에멀젼의 흡수(특히 중력으로 인해)를 초래한다. 경화되는 경우, 두 현상 모두는 광범위한(500 μm 초과) 계면 영역을 초래하고, 이러한 영역은 폼들 사이에서 분비물 이동을 지연시킬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적층물은 폼 층 기판 내로의 물 흡수로부터 발생하는 퍼커링(puckering)으로 인해 심각한 변형을 나타낸다.
이에,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 시, 특히 상이한 기능의 2가지 폼 층 사이의 계면을 가로질러 불량한 분비물 이동의 측면에서 특히 전술한 한 가지 이상의 문제점이 방지 또는 최소화되는 의료용 드레싱으로서, 사용 시 그 기능성을 유지하는, 상이한 기능성 영역, 특히 기능성 층을 가진 폼 복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
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통해 달성되며,
상기 제2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은 상기 제1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보다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크고, 상기 분비물 보유력은 40 mmHg의 압력에 2분 동안 노출된 경우, EN 13726-1:2002에 따라 처음에 최대량의 용액 A를 흡수한 용액 A를 보유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부분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고, 이들 둘 모두가 층으로서 실현되고 상이한 분비물 흡수력 및/또는 보유력을 갖는 복합 재료가 전체 분비물 관리의 측면에서 증가된 가요성(flexibility)을 허용한다는 인식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친수성"은, 극성 용매, 특히 물 또는 다른 극성 기와 상호작용하는 분자체 또는 치환기의 능력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IUPAC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재료과 관련하여, 용어 "친수성"은 일반적으로, 재료의 물-투과성 또는 재료의 물-동원성(attracting property)을 지칭한다. 공극을 갖는 재료(예컨대 오픈-셀 폼) 또는 중공(through-hole)을 갖는 재료의 맥락에서, 이러한 재료은 상기 재료이 물을 흡수한다면, 전형적으로, "친수성"으로 여겨진다.
청구항에서, 용어 "포함하는" 및 "포함하다(포함한다)"는 다른 인자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부정 관사("a" 또는 "an")는 복수의 인자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폼 층을 형성하고 제1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은 부가적인 중합체(들), 특히 또 다른 폴리우레탄 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 중합체가 아닌 다른 (부가적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예시적인 2개 초과의 층이 복합 재료, 특히 2개 이상의 폼 층에 존재할 수 있다.
소정의 조치(measure)가 상이한 종속항들에 언급된다는 단순 사실이 이들의 조합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복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1가지 유형 이상의 상 도메인(phase domain)이 연속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양쪽 상 도메인이 연속상인, 복수의 상이한 (비-기체성) 상 도메인을 포함하는 다성분 재료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바와 같이, "층"은 하나의 평면에서 연속적으로 확장 (x 및 y 방향)되며, 상기 평면에 대해 직각 (z 방향)인 두께를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비물 보유력"은 40 mmHg의 압력에 2분 동안 노출된 경우, EN 13726-1:2002에 따라 처음에 최대량의 용액 A를 흡수한 용액 A를 보유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분비물 보유력은 본원에서, 폼 재료 1 체적(m3) 당 보유된 용액 A의 질량 단위(kg)로서 표현된다.
EN 13726-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액 A는 142 mmol의 소듐 이온 및 2,5 mmol의 칼슘 이온을 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함유하는 소듐 클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 용액은 인간 혈청 또는 상처 삼출물과 비슷한 이온 조성을 가진다. 상기 용액은 8,298 g의 소듐 클로라이드 및 0,368 g의 칼슘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를 탈이온수에, 체적 플라스크에서 "1 L" 표시까지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의 두께는 제2 폼 층의 두께보다 얇고, 바람직하게는 제1 층의 두께는 복합 재료의 총 두께의 40% 미만이다. 이로써, 제1 폼 층을 통한 제2 폼 층으로의 신속한 수송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재료는 의료용 드레싱(예를 들어 상처 드레싱)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폼 층은 상처 접촉 층 및/또는 상처 분비물 획득 층으로서 작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폼 층은 상처 분비물 보유 층으로서 작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싱 구성에서, 분비물은 제1 폼 층 내로 신속하게 흡수되고, 후속적으로 제2 폼 층 내로 수송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 폼 층의 두께가 제2 폼 층의 두께보다 얇도록 상기 제1 폼 층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제1 폼 층을 통한 제2 폼 층으로의 상처 분비물의 수송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은 0.5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예컨대 1.5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은 1.5 내지 7.0 mm,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5.0 mm, 예컨대 3.5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과 제2 폼 층의 조합된 두께는 3 내지 8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mm, 예컨대 5 mm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은 EN 13726-1:2002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500 내지 1200 kg/m3,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 kg/m3의, 최대 흡수력에 상응하는 자유 팽윤 흡수력(free swell absorptive capacity)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은 EN 13726-1:2002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800 내지 2500 kg/m3의, 최대 흡수력에 상응하는 자유 팽윤 흡수력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은 적어도 800 kg/m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0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 kg/m3의 분비물 보유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은 이의 자유 팽윤 흡수력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에 상응하는 분비물 보유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은 제1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보다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크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은 제1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보다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더 크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은 이의 자유 팽윤 흡수력의 80% 미만에 상응하는 분비물 보유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은 적어도 10 μL/sec,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0 μL/sec의 흡수 속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폼 층은 10 내지 40 μL/sec의 흡수 속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은 적어도 1 μL/sec,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μL/sec, 또는 적어도 5 μL/sec의 흡수 속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폼 층은 1 내지 20 μL/sec, 예컨대 2 내지 15 μL/sec의 흡수 속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흡수 속도"는 EN 13726-1:2002에 따라 시험 용액으로서 30 μL의 용액 A를 사용하여 TAPPI 표준 T558 OM-97에 따라 측정될 때 주어진 체적의 분비물을 흡수하는 속도(체적/시간)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은 제2 폼 층의 흡수 속도보다 적어도 1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더 높은 흡수 속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흡수 속도는 제2 폼 층의 흡수 속도보다 적어도 4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또는 600% 더 높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폼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을 초래하는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이 40% 미만의 물,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물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되거나 또는 수득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10 내지 30% w/w, 예컨대 10 내지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는 표준 방법 ISO 845:2006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60 내지 180 kg/m3의 밀도를 갖는 오픈-셀 다공성 친수성 폼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오픈-셀"은 폼의 공극 구조를 지칭하며, 여기서, 공극 구조 내의 공극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분비물이 폼 재료를 통해 유동하는 통로를 갖는 상호연결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는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다공성을 가지며, 여기서, 공극은 본질적으로 오픈-셀 공극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물은 상처 부위로부터 분비물(예를 들어 상처 삼출물)을 흡수하고 보유하기 위해 상처 치료에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처 부위와 접촉하도록 배열된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은 유리하게는, 복합 재료 내로의 상처 삼출물의 비교적 신속한 흡수 또는 위킹(wicking)을 지지하는 흡수 특성을 갖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그리고 전형적으로 상처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열되는) 제2 폼 층은 유리하게는, 상처 삼출물이 그 안에 보유되도록 비교적 높은 분비물(예를 들어 상처 삼출물) 보유력을 갖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상처 부위" 또는 "상처"는 예를 들어 특히(그러나 비제한적으로) 만성 상처, 급성 상처, 및 수술-후 상처, 예컨대 폐쇄형 절개(closed incision) 및 흉터 치료를 포함하여, 임의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상처로서 이해된다.
이에, 일 구현예에서, 복합 재료가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 제1 폼 층은 유리하게는, 상처 부위로부터의 상처 삼출물의 이러한 흡수 및/또는 제2 폼 층으로의 상기 삼출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처 부위와 접촉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복합 재료는: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으로서, 상기 제1 폼 층이 사용 시 도포 영역과 대면하도록 조정된, 바람직하게는 상처 영역과 대면하도록 조정된 제1 면을 갖는, 제1 폼 층;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
을 포함하며,
복수의 채널은 상기 제1 폼 층의 제1 면으로부터 전체 제1 폼 층을 통해 상기 제2 폼 층의 적어도 일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채널은 0.1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5 mm의 평균 직경을 가진다.
제1 폼 층에 제공되고 제2 폼 층의 적어도 일부 내로 연장되고 있는 복수의 채널은, 폼 층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폼 층 내로의 분비물의 전체 수송이 개선되도록, 분비물, 예컨대 상처 삼출물의 초기 흡수, 뿐만 아니라 제1 폼 층을 통하고 상기 제1 폼 층과 상기 제2 폼 층 사이의 계면을 가로질러 분비물의 수송 둘 모두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의 제1 면은 접착제, 예컨대 실리콘계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며, 여기서, 복수의 채널은 전체 제1 폼 층을 통해 연장되고, 나아가 제2 폼 층의 적어도 일부 내로 연장된다. 제1 폼 층의 제1 면을 상처 부위에 접착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는 접착제 코팅은 제1 폼 층의 제1 면에 존재하는 개방형 폼 공극 중 적어도 일부를 막을 수 있으며, 이는 제1 폼 층 내에서 분비물의 흡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폼 층에 복수의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흡수력은 심지어 접착제 코팅의 존재 하에 보유되거나 또는 심지어 개선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은, 제1 면이 접착제로 코팅되기 전에 또는 후에, 바람직하게는 제1 면이 접착제로 코팅되기 전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은 농후한 상처 삼출물의 흡수를 개선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용어 "채널"은 일반적으로 개방형 구조, 즉, 분비물(액체 또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의도된 사용 동안 분비물로 충전되지 않는 한 층을 이루는 재료, 특히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에 의해 막히지 않는 구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구현예에서, 이들 채널은 상기 기재된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이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방형"이다.
특히, 이들 채널이 의도된 사용 동안 분비물로 충전될 수 있는 한편, 이들 채널은, 상기 채널이, 사용 동안 예를 들어 팽윤으로 인해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재료의 존재 하에서의 사용 동안을 포함하여 이러한 사용 동안 액체 유동에 대해 영구적으로 폐쇄되어 있지 않다는 측면에서 개방형 구조를 보유한다.
이들 채널의 (평균) 직경은 사용 동안 증가하거나 또는 (보다 전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 모든 채널이 본질적으로 모든 분비물 유동에 대해 폐쇄되는 정도까지는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채널은 형상비(aspect ratio), 즉, (평균) 개방 길이 : (평균) 개방 직경의 비를 적어도 1: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1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채널은 제1 폼 층 및 제2 폼 층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이들 2개 층 사이의 계면에 대해서도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의 제1 면의 전체 면적 중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에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의 제1 면의 전체 면적은 제1 중심 부분(central portion), 및 이러한 제1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제2 부분(portion)을 포함하고, 여기서, 채널은 제1 중심 부분에만 존재하고, 제2 부분의 면적은 제1 폼 층의 제1 면의 전체 면적의 적어도 20%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채널은 패턴대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채널은 제1 폼 층의 제1 면의 영역 상에서 정사각형(들)의 연속 패턴, 또는 제1 폼 층의 제1 면의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성장하는 원형(들)의 연속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채널은 장식적 또는 정보적 패턴, 예컨대 웨이브 또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텍스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일부는 이의 길이를 따라 달라지는 직경을 가지며, 및/또는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집단은 상기 채널의 또 다른 하위집단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의 제1 면의 전체 면적 당 채널의 면적 밀도는 1 제곱 센티미터 당 0.5개 채널 내지 1 제곱 센티미터 당 200개 채널, 바람직하게는 1 제곱 센티미터 당 1개 채널 내지 1 제곱 센티미터 당 100개 채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제곱 센티미터 당 1개 채널 내지 1 제곱 센티미터 당 50개 채널이다.
채널의 상기 기재된 구현예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분비물 배향 특성(directing property)을 특이적인 상황, 예를 들어 특이적인 분비물 점도, 특이적인 유속, 특이적인 의도된 용도에 가깝도록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수의 채널은 예를 들어 펀칭(예를 들어 회전형 다이 커트(rotating die cut) 또는 바늘을 사용하여), 가열 핀, 및/또는 레이저 빔 적용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상기) 및 제3(하기) 양태에 따른 복합 재료와 연관지어 기재된 구현예, 특징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상기 기재된 복합 재료에 약간 수정되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찰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복합 재료를 통해 달성되며, 상기 복합 재료는
·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
을 포함하고,
계면 결합 체적은 상기 제1 폼 층과 상기 제2 폼 층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계면 결합 체적은 상기 제1 폼 층과 상기 제2 폼 층을 이루는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 결합 체적은 20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이들 구현예에 따르면, 제2 폼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고(예를 들어 물리적 "접착제" 상호작용에 의해), 따라서 상기 제2 폼 층과 바로 접촉해 있는 제1 폼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가 제공된다.
이들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층과 제2 층을 예를 들어 상기 폼 층 사이에 접착층을 제공함으로써 함께 붙들기 위해 "외래(extraneous)" 결합 수단을 제공하는 필요성이 피해진다. (별도의) 접착층의 제공(dispensing)은, 부가적인 결합 수단, 예를 들어 접착층의 존재가 결합된 층들 사이에서 분비물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폼 층 사이에서의 분비물 수송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계면 결합 체적에 포함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특성은 제1 폼 층 및 제2 폼 층을 각각 이루는 재료에 대하여 상이하다. 예를 들어, 계면 결합 체적 내의 재료는 제1 폼 층 및 제2 폼 층 각각에 대하여 더 높은 밀도 또는 상이한 폼 구조, 예를 들어 상이한 공극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두께", 즉, 제1 및 제2 폼 층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xy-평면에 수직인 계면 결합 체적, 제 폼 층과 제2 폼 층 사이의 계면 결합 체적의 연장은 25 내지 200 μ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 μm의 범위이다.
계면 결합 체적의 최소화는, 재료의 흡수력 및/또는 보유력이 계면 결합 체적에서 감소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따라서, 계면 결합 체적(즉, 이의 두께)을 최소화함으로써, 층들 사이에서 분비물의 이동은 용이해지고 개선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계면 결합 체적"은 제1 폼 층과 제2 폼 층 사이의 계면 영역에서의 체적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체적은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와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 둘 모두(예를 들어 이들의 혼합물)를 포함하고, 이러한 재료는 상기 계면 체적에서 함께 결합된다. 계면 체적의 두께는 폼 층의 두께 방향에서의 두께(또는 계면 침투 깊이)를 지칭한다.
계면 결합 체적은 "순수한" 제1 폼 층 및 제2 폼 층 각각으로부터 예를 들어 광학 현미경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전체 복합 재료 내의 별개의 상(distinct phase)이다. 상이한 상들(계면 결합 체적, "순수한" 제1 폼 층 및 제2 폼 층)은 또한,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기초로, 예를 들어 밀도차 및/또는 공극 크기와 분포의 차이를 기초로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은 상기 제1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보다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크고, 상기 분비물 보유력은 40 mmHg의 압력에 2분 동안 노출된 경우, EN 13726-1:2002에 따라 처음에 최대량의 용액 A를 흡수한 용액 A를 보유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2 폼 층은 적어도 800 kg/m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0 kg/m3의 분비물 보유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에 따른 복합 재료와 연관지어 상기에서 기재된 구현예, 특징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상기 기재된 복합 재료에 약간 수정되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찰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달성되고, 상기 방법은
(i)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상기 수성 혼합물의 총 중량에 비해, 4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w/w 미만인 단계;
(ii) 단계 (i)로부터의 상기 수성 혼합물을 캐리어(carrier) 재료 상으로 도포하는 단계;
(iii) 상기 수성 혼합물을 본질적으로 완전히 경화시키기 전에, 상기 수성 혼합물의 상부 상의 이미 경화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을 단계 (iii)에서 상기 캐리어 재료 상으로 캐스트(cast)로서 도포하는 단계;
(iv) 상기 수성 혼합물을 본질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이로써,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방법은 유리하게는, 단계 (v) 복합 재료를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경화시키다"는 수성 혼합물 내 예비중합체의 중합체들 사이에서 (가교) 결합의 형성을 의미하며, 특히 (가교) 결합은 제1 중합체 상의 하이드록실기와 제2 중합체 상의 이소시아네이트(NCO) 기 사이의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우레탄 결합, 또는 제1 중합체 상의 아민기와 제2 중합체 상의 이소시아네이트(NCO) 기 사이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우레아 결합이거나 또는 이들 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의 경화도(degree of curing)는 단계 (iii)에서 이미 경화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의 상기 층을 도포하는 단계에서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다. 수성 혼합물의 경화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폼 층과 제2 폼 층 사이에 충분한 결합이, 계면 결합 체적(즉, 이의 두께)을 동시에 그리고 유리하게 최소화하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폼 층과 제2 폼 층 사이의 박리 강도는, 상기 박리 강도가 최약(weakest) 폼 층의 (인장) 강도를 초과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박리 강도 시험은 계면 결합 체적 내에서가 아니라 층들 중 하나에서 실패를 유발할 것이다.
단계 (i) 내지 (iii)은 유리하게는, 이미 경화된 폼 층이 적용될 때 수성 혼합물에서 바람직한 경화도를 보장하여, 이로써 폼 층 사이에서(이렇게 해서 형성된 계면 결합 체적에서) 충분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연이은 단계로서 수행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경화도"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반응한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퍼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100%의 경화도는 본질적으로 모든 이소시아네이트(NCO) 기가 반응하였음을 의미하는 반면, 0%의 경화도는 본질적으로 어떠한 이소시아네이트(NCO) 기가 반응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NCO 기의 양, 따라서 상응하는 경화도는 FTIR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0% 경화도에 상응하는 NCO 기의 수는 예비중합체 조성물이 물과 혼합되기 전에, 즉, 단계 (i) 전에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완전히 경화된" 및 "완전히 경화시키다"는 90% 내지 100%의 경화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친수성 폼 재료를 포함하는 (이미 경화된) 폼 층이 유리하게는, 다른 폼 층의 경화성 수성 예비중합체 혼합물의 상부 상에 (이미 경화된) 폼 층을 적용함으로써, 친수성 폼 재료를 포함하는 또 다른 폼 층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예비중합체 혼합물 내 비교적 낮은 수분 함량은 다른 (이미 경화된) 폼 내로의 수성 예비중합체 혼합물의 신속한 흡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며, 이러한 흡수는 다르게는 층들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큰 계면 결합 체적(즉, 이의 두터운 두께)를 형성하며 및/또는 2개의 폼 재료가 완전히 통합된 복합 재료를 초래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i)은 상기 예비중합체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30% w/w(상기 수성 혼합물의 총 중량에 비해)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w/w 미만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5 내지 4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5 내지 3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5 내지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5 내지 2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10 내지 4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10 내지 30%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10 내지 25% w/w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15 내지 20% w/w이다.
수성 혼합물 내 수분 함량은 유리하게는, 폼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물이 최소량으로 사용되도록 조정된다. 수성 혼합물에서 물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은 특히 상기 방법의 건조 단계 (v)에서 유리한데, 복합 재료 내 낮은 수분 함량이 건조 단계 동안 복합물에서 층의 낮은 수축율, 따라서 이는 층들 사이의 결합 상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수성 혼합물 내 수분 함량의 최소화는 더 높은 점도를 갖는 수성 혼합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높은 점도는 이미 경화된 폼의 폼 층 내로의 수성 혼합물의 침투를 최소화하는 데 유리하다.
구현예에서, 단계 (ii)에서 도포된 수성 혼합물의 두께는 0.5 mm 내지 5 mm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수성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포(캐스팅) 단계 (ii)는 바람직하게는, "코트 행거 다이(coat hanger die)" 방법에 의해 수행되어, 수성 혼합물의 상부 표면을 제2 폼 층의 결합을 위해 자유롭게 놔둔다.
이미(완전히) 경화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은 도포 단계 (iii)에서 수성 혼합물의 상부 상에 결합된다. "도포" 단계 (iii)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캐리어 사이에서 두께까지 캐스팅하거나 두껍게 캐스트하고 치수까지 스카이브(skive)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이미 경화된 친수성 폼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폼 층이며, 여기서, 제2 폼 층은 상기 수성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이에, 더 작은 보유력을 갖는 폼 층, 즉,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제1 폼 층은 (단계 (iii)에서) 제2 폼 층의 경화성 수성 혼합물에 도포된다. 이러한 특이적인 순서의 실시는, 높은 보유력을 갖는 미리-제조된 제2 폼 층을 더 작은 보유력을 갖는 제1 폼 층의 경화성 수성 혼합물의 상부 상에 도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제1 폼 층 내로의 수성 혼합물의 흡수 및 이와 연관되어 계면 체적의 두께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방법은 제1 폼 층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폼 층과 제2 폼 층 사이의 계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2 폼 층의 적어도 일부 내로 연장하고 있는 복수의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은 예를 들어 펀칭(예를 들어 회전형 다이 커트 또는 바늘을 사용하여), 가열 핀, 및/또는 레이저 빔 적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4 양태의 특징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양태와 연관지어 상기에서 기재된 것들과 대체로 유사하다. 제1, 제2 및 제3 양태의 측면에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제4 양태에 약간 수정되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특히 상처 드레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의료용 드레싱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바람직하게는 기재(backing)층 및/또는 접착층 또는 코팅, 바람직하게는 이들 추가의 층 중 2개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원에 기재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고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은 바람직한 특성을 더 최적화하며 및/또는 부가적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복합 재료와 소통하는 분비물에 부가적인 구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모든 구현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제1 예비중합체로부터 수득되며, 및/또는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모든 구현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제2 예비중합체로부터 수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예비중합체 및 제2 예비중합체는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예비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반응성 기를 통해 추가의 중합에 도입되어, 최종 중합체의 1가지 유형 이상의 사슬에 2개 이상의 구조 단위(structural unit)로서 작용할 수 있는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분자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97), ISBN 0-9678550-9-8에 의해 발표된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특히 디올 중축합물,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올 중축합물 및 테트라올 중축합물,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카르복실산 및 테트라카르복실산 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디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및 이성질체,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하이드록시피발레이트이다. 아울러, 폴리올,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벤젠 또는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폴리올과, 지방족인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이거나,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상기 폴리올과, 방향족인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 또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예비중합체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친수성 폼 재료는 제1 폴리올과 제1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제1 예비중합체로부터 수득되며, 제2 친수성 폼 재료는 제2 폴리올과 제2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제2 예비중합체로부터 수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동일하며, 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상이하며, 예를 들어 제1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일 수 있으며, 제2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폴리올은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폴리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폴리올은 상이하다. 제1 예비중합체 및 제2 예비중합체가 상이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예비중합체는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으며, 제2 예비중합체는 헥사메틸렌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폼 층은 항미생물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는 실버(silv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는 금속 실버(metallic silver)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는 실버 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 염은 실버 설페이트, 실버 클로라이드, 실버 나이트레이트, 실버 설파디아진, 실버 카르보네이트, 실버 포스페이트, 실버 락테이트, 실버 브로마이드, 실버 아세테이트, 실버 사이트레이트, 실버 CMC, 실버 옥사이드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실버 염은 실버 설페이트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는 모노구아니드(monoguanide) 또는 비구아니드(biguanid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모노구아니드 또는 비구아니드는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클로르헥시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PHMB) 또는 이의 염, 또는 폴리헥사메틸렌모노구아니드(PHMG) 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비구아니드는 PHMB 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4급 암모늄 화합물은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DADMAC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항미생물제로는 트리클로산, 소듐 하이포클로라이트, 구리, 과산화수소, 자일리톨 또는 꿀(honey)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과 기타 측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의 단면도이며;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의 일 구현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복합 재료의 일 구현예의 도식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이,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1)의 일 구현예를 예시한 것이다. 복합 재료(1)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7)의 제1 친수성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2); 및 제2 폼 층(3)은 제2 친수성 폼 재료(8)를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계면 결합 체적(4)는 제1 폼 층(2)과 제2 폼 층(3) 사이에 존재하며, 여기서 - 본원에 개시된 모든 구현예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바와 같이 - 계면 결합 체적(4)은 제1 폼 층(2)과 제2 폼 층(3)을 각각 이루는 재료 이외의 재료는 포함하지 않는다.
제1 폼 층(2) 및 제2 폼 층(3)은 계면 결합 체적(4)에서 예를 들어 물리적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이로써, 폼 층(2, 3) 사이에 부가적인 접착층과 같은 부가적인 결합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이는, 이러한 부가적인 접착층이 복합 재료(1)를 통과하는 투습도(MVTR;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를 감소시키고, 사실상 분비물(예를 들어 복합 재료가 의료용 드레싱으로서 또는 의료용 드레싱에 사용된다면, 상처 삼출물)을 폼 층 중 하나에 가둘 수 있어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복합 재료(1)가, 제1 폼 층(2)이 상처와 접촉하며 및/또는 상처와 대면하도록 조정된 의료용 드레싱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의료용 드레싱에 사용된다면, 제1 폼 층(2)에 의해 흡수된 임의의 삼출물은 부가적인 접착층을 통과할 필요 없이 제2 폼 층(3)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계면 결합 체적(4)의 두께 d는 20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μ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μm 미만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계면 결합 체적(4)의 두께 d는 10 내지 200 μm, 예컨대 50 내지 200 μm, 또는 50 내지 150 μm, 또는 50 내지 100 μ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계면 결합 체적(4)의 두께 d는 10 내지 100 μm, 예컨대 10 내지 60 μm의 범위이다. 계면 결합 체적(4)의 최소 두께 d는, 재료의 흡수력 및/또는 보유력이 계면 결합 체적(4)에서 악화될 수 있고, 계면 결합 체적(4)의 작은 두께 d는 폼 층(2, 3) 사이에서 분비물 이동을 용이하게 하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폼 재료(1)는 2개의 친수성 폼 층을 함께 (보다)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2개의 층을 이루는 재료(들)와 상이할 접착제 또는 다른 재료가 2개 층 사이의 계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의 분비물 이동은 최적화된다. 2개 층에서 상이한 기능성을 조정하는 가능성과 더불어, 이는 특히, 하나의 전체 폼 재료에서 흡수력 및 보유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층, 특히 2층 폼 복합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은 단지 1개 층에만 항미생물제와 같은 활성 성분을 갖고 있어서, 비용을 절감시킨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처 접촉층(예를 들어 제1 폼 층(2))이 신속한 흡수를 위해 최적화될 수 있고, 후속 층(예를 들어 제2 폼 층(3))이 높은 분비물 보유력을 갖도록 최적화될 수 있는 복합 폼(1)이 제공된다. 유사하게는, 본 발명은, 양호한 흡수력 및 양호한 전체 폼 보유력을 갖는 폼을 여전히 보유하면서도, 활성 성분(예컨대 항미생물 화합물)을 상처 접촉층에 혼입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층의 순서 형태에서 실현되는 바와 같은, 복합 재료(1)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40, 50, 60, 80, 9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 2a 내지 2e에 제시된 의료용 드레싱(40, 50, 60, 80, 90)은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7)를 포함하는 제1 폼 층(2)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8)를 포함하는 제2 폼 층(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a 내지 2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드레싱(40, 50, 60, 80, 90)은 제2 폼 층(3)의 정상부 면(31)을 덮고 있는 기재층(21, 32)을 더 포함하며, 정상부 면(31)은 제1 폼 층(2)과 결합하는 면의 반대쪽 면이다. 따라서, 제1 폼 층(2)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처 접촉 층으로서 기능하여, 상처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하거나 및/또는 상처에서 제2 폼 층(3)으로의 상처 삼출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처와 접하는 면(35)을 가진다. 제1 폼 층(2)이 상처와 마주보는 이러한 구조에서, 제1 폼 층(2)은 유리하게는 상처 삼출물을 빨리 흡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2)은 적어도 10 μL/sec,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μL/sec의 흡수 속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a 내지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21)은 기재층의 보더 영역(보더 부분)(10)을 규정하기 위해, 복합 재료(1)의 층들의 가장자리 영역(peripheral portion) 밖으로 연장되어 복합 재료의 층들의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싸게 되며, 따라서, 소위 아일랜드 드레싱(island dressing)을 제공한다.
적합한 기재층(21, 23)은 예를 들어, 필름, 호일, 폼 또는 막이다. 더욱이, 기재층이 영역에서 ≥ 5 μm 내지 ≤ 80 μm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 5 μm 내지 ≤ 60 μm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μm 내지 ≤ 30 μm까지의 두께를 가지며, 및/또는 기재층이 450% 초과의 파단 연신율(elongation at break)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기재층(21, 23)은 DIN 53333 또는 DIN 54101에 따라 수증기에 투과성인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층(21, 23)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예를 들어 코팅으로서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처음에, 이러한 중합체가 각각의 가공 또는 적용 조건에 전형적인 온도 내에서 반복적으로 가열 및 냉각되는 경우 열가소성인 채로 남아 있는 중합체로서 이해된다. 열가소성이라는 말은, 중합체 재료가 각각의 재료에 전형적인 온도 범위 내에서 열을 가할 때 반복적으로 연화되고 냉각될 때 반복적으로 경화되는 특성인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서, 상기 재료는 연화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고, 유동에 의해 예를 들어 형상화된 물품으로서 반복적으로 압출되거나 또는 다르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말레에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탄성중합체성이다. 캐리어 호일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지방족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특히 적합하다. 이들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기재층을 통기성 탄성 막 필름으로서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 높은 가요성 및 탄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높은 투습성을 가지면서도 (액체) 물에 대해 유리한 밀봉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재료는 추가로, 낮은 노이즈, 유리한 텍스타일 촉감, 세척 및 세정에 대한 저항성, 매우 양호한 화학적 및 기계적 저항성, 및 이들 재료에 가소제가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균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이면서도 이와 동시에 상처로부터 배출되는 삼출물에 대해 높은 밀봉력을 갖는 기재층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재층은 예를 들어 반투과성 막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기재층(21, 23)은 바람직하게는 투습성이다. 기재층(21, 32)은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기재층(21, 23)은 10 내지 100 ㎛, 예를 들어, 10 내지 80 ㎛, 예로 1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 범위의 두께를 가진 폴리우레탄 필름이다.
도 2a 내지 2e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드레싱(40, 50, 60, 80, 90)은 상처 및/또는 주변 피부 표면에 의료용 드레싱을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층 또는 코팅(41, 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이러한 상처와 마주보는 접착층 또는 코팅(41, 42, 43)은 실리콘 기재의 접착제 또는 아크릴 기재의 접착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또는 코팅은 실리콘 기재의 접착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코팅"은 표면 상의 본질적으로 하나의 연속 층으로서 또는 표면 상의 불연속 커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의료용 드레싱(40, 50, 60, 80, 90)은 접착층 또는 코팅(41, 42, 43)과 방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용 전에 제거될 수 있는 방출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방출층은 이와 접촉된다면 접착층의 접착제에 제한된 접착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출층의 예는 비-접착성 실리콘 또는 폴리올레핀 층을 포함하는 방출 페이퍼이다.
도 2b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드레싱(50, 9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제조된 천공된 층(perforated layer)(44)을 포함하며, 이때 접착제 코팅(42)은 천공된 층(44)의 비-천공 영역(non-perforated portion) 상에 제공된다. 천공된 층(44)은 임의의 바람직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진 복수의 개구부 (45)(또는 중공)를 포함한다. 개구부(45)의 형태 및 크기는 상처에서 복합 재료(1)의 상부 층으로 바람직한 액체 삼출물의 이동을 달성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42)이 구비된 천공된 층(44)이 제1 폼 층(2)의 상처 대면 표면(35)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천공된 층(44)은 복합 재료(1)의 폼 층(2, 3)의 가장자리 영역 밖으로 연장되어, 기재층(21)의 보더 영역(10)에 부착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공된 층(44)의 풋프린트는 복합 재료(1)의 풋프린트에 상응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43)은 제1 폼 층(2)의 상처 대면 표면(35) 위에 직접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41)은 연속적인 플라스틱 필름(46) 상에, 예를 들어, 전술한 폴리우레탄 필름 상에 제공되며, 연속적인 플라스틱 필름(46)은 복합 재료(1)의 층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때 연속적인 필름(46)은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기재층(21)의 보더 영역(10)에 부착된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도시되지 않음), 접착제 코팅은 기재층(21)의 보더 영역(10)의 상처 대면 표면 위에 바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도 2e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의료용 드레싱(60)은 복합 재료(1) 아래의 중심 부분(12)을 포함하는 천공된 층(46) 및 복합 재료(1)의 주변부 밖으로 연장하고 있는 보더 부분(11)을 포함하고, 천공부(45)는 중심 부분(12)에만 존재하여, 분비물은 상기 천공부(45)를 통해서 복합 재료(1)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천공된 층(46)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접착제 코팅(41)으로 코팅된다. 천공된 층(46)의 (비-천공된) 보더 부분(11) 상의 접착제 코팅은 도 2b에 제시된 의료용 드레싱(50)(여기서, 천공부는 보더 부분 내에도 존재함)과 비교하여 (더 넓은 접착제 접촉 면적으로 인해) 더 높은 접착력을 갖는 의료용 드레싱(60)을 제공한다.
도 3은 특히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복합 재료(70)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투시도이며, 여기서, 복합 재료(70)는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7)를 포함하는 제1 폼 층(2)을 포함한다. 제1 폼 층(2)은 사용 시 도포 영역과 대면하도록 조정된, 바람직하게는 상처 영역과 대면하도록 조정된 제1 면(35)을 가진다. 복합 재료는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8)를 포함하는 제2 폼 층(3)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폼 층(3)은 제1 폼 층(2)의 제2 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면은 제1 면(35)의 반대편에 있고, 계면 결합 체적(4)이 제1 폼 층(2)과 제2 폼 층(3) 사이에 존재한다. 복수의 채널(71)이 제1 폼 층(2)의 제1 면(35)으로부터 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제2 폼 층(3)의 적어도 일부 내로 연장된다.
채널(71)은 전형적으로, 0.1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5 mm의 평균 직경(D)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식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71)은 제1 폼 층(2)의 면(35)으로부터 제1 폼 층(2)의 두께를 통해 제1 폼 층(2)과 제2 폼 층(3) 사이의 계면 체적(4)을 가로질러 제2 폼 층(3)의 코어 내로 분비물의 수송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71)은 수직 방향(즉, z-방향, 또는 층(2)의 평면에 수직인 두께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자는, 제1 폼 층(2) 내로, 그리고 추가로 제1 폼 층(2)을 통하여, 그리고 후속적으로 제2 폼 층(3) 내로의 분비물 수송이, 제1 폼 층(2)을 통해 계면 체적(4)을 가로질러 인접한 제2 폼 층(3) 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이로써, 복합 재료의 총 흡수력이 더 최적화될 수 있다.
특히, 제1 폼 층(2)과 제2 폼 층(3) 사이에서 계면, 예를 들어 계면 체적(4)을 가로지르는 분비물 수송은, 제2 폼 층(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고, 따라서 폼 층(2, 3) 사이의 계면을 통해 또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71)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복수의 채널(71)은 제2 폼 층(3) 내로 적어도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이러한 거리는 제2 폼 층의 총 두께의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에 상응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예시된다.
실시예
제1 폼 층을 제조하는 방법
제1 폼 층(복합 재료의 제조에서 후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임)을 하기 단계 (1 내지 3)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화학물질 및 농도에 대해서는 표 1 참조); 2) 상기 수성 혼합물을 선택된 예비중합체(표 1 참조)와 명시된 중량비(표 1 참조)로 혼합하여, 에멀젼 혼합물을 제공하였고; 3) 상기 에멀젼 혼합물을 캐스팅 페이퍼(20x30 cm) 상으로 붓고 그 위에서 펴바르고, 표준 조건에서(실온에서) 경화시켜, 약 3 mm의 폼 두께를 제공하였다(폼 두께는 단계 3에서 에멀젼 혼합물의 펴바른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됨). 사용된 화학물질은 하기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Baymedix® FP-505, Covestro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HDI계 예비중합체 조성물; Trepol® B1, Rynel Inc.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TDI계 예비중합체; Polycat 77, Air Products 및 Chemicals Inc.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Pluronic® L62, 소듐 비카르보네이트 및 시트르산은 모두 Sigma-Aldrich, Fisher Scientific, 및/또는 BASF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단일 폼 층 수성 혼합물 예비중합체 비:
수성 혼합물 / 예비중합체 (w/w)
폼 A (HDI) 소듐 비카르보네이트 1.5% w/w, Pluronic® L62 0.01% w/w, 및
시트르산 0.002% w/w
Baymedix® FP-505 0.2/1
폼 B (TDI) Pluronic® L62 0.05% w/w Trepol® B-1 1.6/1
폼 C (MDI) Pluronic® L62 0.4% w/w,
Polycat 77 0.1% w/w
MDI 예비중합체 1.1/1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복합 재료를, 표준적인 실험 조건(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실온)에서 하기 순차적인 단계(1 내지 6)에 의해 제조하였다: 1)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표 2 참조); 2) 상기 수성 혼합물을 선택된 예비중합체(표 2 참조)와 명시된 중량비(표 2 참조)로 혼합하여, 에멀젼 혼합물을 제공하였고; 3) 상기 에멀젼 혼합물을 캐스팅 페이퍼(20x30 cm) 상으로 붓고 그 위에서 펴발랐으며; 4) 단일 폼 층(폼 A, 폼 B 또는 폼 C 중 하나)(20x30cm)을 에멀젼의 상부 상에 도포하였으며; 5) 상기 에멀젼 혼합물을 표준 조건에서(실온에서) 경화시켜, 약 3 mm의 폼 두께를 제공하였고(폼 두께는 단계 3에서 에멀젼 혼합물의 펴바른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됨); 6) 생성된 복합 생성물을 40℃에서 오븐에서 1개 슬라이드 당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단계 1 내지 4를 즉각적인 순차적 단계에서 수행하였으며, 상기 단계 1 내지 4는 바람직하게는 4분 미만 이내에 완료되어, 이로써 단계 4가 개시될 때 에멀젼 혼합물에서 바람직한 경화도(전형적으로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를 보장해야 한다. 건조된 복합 생성물을 대략 10x10 cm의 크기로 다이-커팅함으로써 시험 조각을 준비하였다.
복합물 예비중합체 수성 혼합물 수성 혼합물 / 예비중합체 비 (w/w) 단일 폼 층
복합물 A
(TDI-HDI)
Trepol® B1 Pluronic® L62 0.15%w/w 0.3/1 폼 A
복합물 B
(HDI-TDI)
Baymedix® FP 505 소듐 비카르보네이트 1.5% w/w, Pluronic® L62 0.01% w/w, 및 시트르산 0.002% w/w 0.2/1 폼 B
복합물 C
(TDI-MDI)
Trepol® B1 Pluronic® L62 0.15% w/w 0.3/1 폼 C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퍼센트에 관한 모든 지표는 중량 퍼센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경화도를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에 의해 측정하였다. 점도를 23℃에서 DIN 53019에 따라 결정하였다.
계면 결합 체적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결과
계면 결합 체적의 두께 또는 침투 깊이를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의 입체 현미경(stereoscopic microscop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즉, 2개의 폼 층 사이의 계면 결합 체적을 현미경을 사용하여 식별하고, 층/복합 재료의 두께 방향에서 계면 결합 체적의 깊이에 상응하는 두께를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된 복합물 A, B 및 C에서 계면 결합 체적의 두께는 모두 20 내지 50 μm 범위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에멀젼 내 비교적 낮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폴리우레탄 폼이 경화함에 따라, 본질적으로 모든 또는 대부분의 물은 셀 벽 내에 용매/가소제로서 함유되고, 따라서, 2개의 폼 층을 함께 결합시킬 때 미리-제조된 폼 층 내로 자유롭게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폼 사이의 계면 결합 체적의 두께는 비교적 작다(특히 200 μm 미만).
자유 팽윤 흡수력(분비물 흡수력)의 결정
자유 팽윤 흡착력(또는 최대 흡수력)을 하기의 약간의 변형을 주면서 EN 13726-1:2002에 따라 결정하였다: 크기 10 x 10 cm(두께 약 3 mm)의 시험 조각을 사용하였고, 시험 조각 체적 단위 당 자유 팽윤 흡수력, 즉, 체적(m3) 당 보유된 용액 A의 질량(kg)을 계산하였다. 체적 당 중량은, 상이한 밀도를 갖는 친수성 폼을 비교할 때 (예를 들어 EN 13726-1:200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중량에 의한 중량과 비교하여) 더 적당한 측정값을 제공한다. 체적 당 중량 값은, 시료의 체적 당 중량 값을 각각의 밀도 값으로 나누어서, 중량 당 중량으로 쉽게 전환될 수 있다. 폼 층(A, B 및 C)의 자유 팽윤 흡수력 값은 하기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분비물 보유력의 결정
본 발명에서 "분비물 보유력"은 우선, EN 13726-1:2002에 따라 자유 팽윤 흡수력(또는 최대 흡수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그런 후, 40 mmHg에 상응하는 중량을 가진 시료(10 x 10 cm)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단단한 주형에 시료를 도포한다(이하 EN 13726-1:2002에 따라 용액 A에 침지함). 2분 후, 단단한 주형을 취하여, 시료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고, 잔류 수분량(보유된 용액 A)을 계산한다. 분비물 보유력은 보유된 용액 A의 양(kg)을 시료의 부피(m3)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폼 층(A, B 및 C)의 보유력 값은 하기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Abs kg/m 3 Ret kg/m 3 % Ret
폼 A 2185 1855 84.9
폼 B 1002 705 70.5
폼 C 1033 968 93.7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폼 A와 폼 C 둘 모두는 폼 B보다 높은 분비물 보유력을 가지며, 여기서, 예를 들어 폼 A는 폼 B와 비교하여 263% 더 큰 보유력을 갖고, 따라서, 복합 재료 내에서 분비물 보유층으로서 적합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폼 B는 특히 상기 폼 B가 폼 A 및 폼 C보다 큰 흡수 속도를 갖기 때문에 상처 분비물 획득층으로서 적합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1 폼 층은 폼 층 B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2 폼 층은 폼 층 A 또는 폼 층 C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흡수 속도의 결정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 속도를 TAPPI 표준 T558 OM-97(이러한 방법은 특히 표본 표면의 상부 상의 잔여 액체 체적을 시간의 함수로서 측정하기 때문에, 표면의 흡수성을 평가함)에 따라 결정하며, 여기서, 본원에 사용된 시험 용액은 EN 13726-1로부터의 용액 A이고, 액적 체적은 30 μl이다. 복합 재료 A, B 및 C에서 폼 B의 흡수 속도(즉, 시험 용액을 복합물 A, B 및 C 각각의 폼 B에 첨가하였음)는 약 30 μl/sec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폼 A 및 폼 C의 흡수 속도는 각각 약 3 μl/sec 및 약 10 μl/sec이었다.

Claims (17)

  1. 복합 재료로서,
    상기 복합 재료는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fluid retention capacity)은 상기 제1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보다 적어도 20% 더 크고,
    상기 분비물 보유력은 40 mmHg의 압력에 2분 동안 노출된 경우, EN 13726-1:2002에 따라 처음에 최대량의 용액 A를 흡수한 용액 A를 보유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되는, 복합 재료.
  2. 복합 재료로서,
    상기 복합 재료는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
    을 포함하고,
    계면 결합 체적(interfacial bonding volume)은 상기 제1 폼 층과 상기 제2 폼 층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계면 결합 체적은 상기 제1 폼 층 및 상기 제2 폼 층을 이루는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 결합 체적은 20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복합 재료.
  3. 복합 재료로서,
    상기 복합 재료는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으로서, 상기 제1 폼 층은 사용 시 도포 영역과 대면하도록 조정된, 바람직하게는 상처 영역과 대면하도록 조정된 제1 면을 갖는, 제1 폼 층,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
    을 포함하며,
    복수의 채널이 상기 제1 폼 층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전체 제1 폼 층을 통해 상기 제2 폼 층의 적어도 일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채널은 0.1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5 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복합 재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폼 층의 상기 분비물 보유력이 상기 제1 폼 층의 분비물 보유력보다 적어도 20% 더 크고,
    상기 분비물 보유력이 40 mmHg의 압력에 2분 동안 노출된 경우, EN 13726-1:2002에 따라 처음에 최대량의 용액 A를 흡수한 용액 A를 보유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되는, 복합 재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결합 체적에 포함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특성이 상기 제1 폼 층 및 상기 제2 폼 층을 각각 이루는 재료에 대하여 상이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특성이 밀도인, 복합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가 상기 제2 층의 두께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층의 두께가 상기 복합 재료의 총 두께의 40% 미만인, 복합 재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폼 층이 적어도 800 kg/m3의 분비물 보유력을 갖는, 복합 재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폼 층이, EN 13726-1:2002에 따라 시험 용액으로서 30 μL의 용액 A를 사용하여 TAPPI 표준 T558 OM-97에 따라 측정될 때, 적어도 10 μL/sec의 흡수 속도를 갖는, 복합 재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폼 층 및/또는 상기 제2 폼 층 중 적어도 하나가 공정에 의해 수득되거나 또는 수득되었던 것이며, 상기 공정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을 초래하는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이 40% 미만의 물,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물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가,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제1 예비중합체로부터 수득되거나 또는 수득되었던 것이며, 및/또는
    상기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가,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폴리우레탄이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제2 예비중합체로부터 수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예비중합체 및 상기 제2 예비중합체가 상이한 것인, 복합 재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특히 디올 중축합물,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올 중축합물 및 테트라올 중축합물,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선택적으로 트리카르복실산 및 테트라카르복실산 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락톤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재료.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중합체 및/또는 상기 제2 예비중합체가 폴리올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복합 재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드레싱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바람직하게는 기재층(backing layer) 및/또는 접착층 또는 코팅, 바람직하게는 이들 추가의 층 중 2개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15.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i)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상기 수성 혼합물의 총 중량에 비해, 4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w/w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w/w 미만인 단계;
    (ii) 상기 단계 (i)로부터의 상기 수성 혼합물을 캐리어(carrier) 재료 상으로 도포하는 단계;
    (iii) 상기 수성 혼합물을 본질적으로 완전히 경화시키기 전에, 상기 수성 혼합물의 상부 상의 이미 경화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을 단계 (iii)에서 상기 캐리어 재료 상으로 캐스트(cast)로서 도포하는 단계;
    (iv) 상기 수성 혼합물을 본질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제1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1 폼 층 및 제2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재료를 포함하는 제2 폼 층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경화도(degree of curing)가, 상기 단계 (iii)에서 이미 경화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층의 상기 층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50% 내지 90%인,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또는 수득 가능한 복합 재료.
KR1020197033222A 2017-05-10 2018-05-08 상처 치료용 복합 폼 KR102555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0446.3 2017-05-10
EP17170446 2017-05-10
PCT/EP2018/061872 WO2018206578A1 (en) 2017-05-10 2018-05-08 Composite foam in wound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12A true KR20200004812A (ko) 2020-01-14
KR102555670B1 KR102555670B1 (ko) 2023-07-13

Family

ID=5870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22A KR102555670B1 (ko) 2017-05-10 2018-05-08 상처 치료용 복합 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28092B2 (ko)
EP (1) EP3621569B1 (ko)
JP (1) JP7069219B2 (ko)
KR (1) KR102555670B1 (ko)
CN (2) CN110612078B (ko)
AU (1) AU2018266750B2 (ko)
CA (1) CA3062733A1 (ko)
DK (1) DK3621569T3 (ko)
ES (1) ES2896175T3 (ko)
WO (1) WO2018206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8376D0 (en) 2008-05-08 2008-06-18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GB0817796D0 (en) 2008-09-29 2008-11-05 Convatec Inc wound dressing
GB201020236D0 (en) 2010-11-30 2011-0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films on viable tissues
ES2748519T3 (es) 2010-12-08 2020-03-17 Convatec Technologies Inc Accesorio de sistema de exudado de heridas
WO2012078781A1 (en) 2010-12-08 2012-06-14 Convatec Technologies Inc. Integrated system for assessing wound exudates
GB201115182D0 (en) 2011-09-02 2011-10-19 Trio Healthcare Ltd Skin contact material
GB2497406A (en) 2011-11-29 2013-06-12 Webtec Converting Llc Dressing with a perforated binder layer
EP2935688A2 (en) 2012-12-20 2015-10-28 ConvaTec Technologies Inc. Processing of chemically modified cellulosic fibres
KR20190008199A (ko) 2016-03-30 2019-01-23 시노보 게엠베하 상처에서 미생물 감염의 검출 방법
SG11201808488XA (en) 2016-03-30 2018-10-30 Convatec Technologies Inc Detecting microbial infections in wounds
US11596554B2 (en) 2016-07-08 2023-03-07 Convatec Technologies Inc. Flexible negative pressure system
CA3030153C (en) 2016-07-08 2023-10-24 Convatec Technologies Inc. Fluid flow sensing
BR112019000284A2 (pt) 2016-07-08 2019-04-16 Convatec Technologies Inc. aparelho de coleta de fluido
WO2020198649A1 (en) * 2019-03-28 2020-10-01 Biodaptive Advanced Materials, Llc Flexible absorbent bandage
JP2022531699A (ja) * 2019-05-07 2022-07-08 アロア・バイオサージェリー・リミテッド 陰圧創傷被覆材
EP3756850A1 (en) * 2019-06-24 2020-12-30 Mölnlycke Health Care AB High throughput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layers
US11331221B2 (en) 2019-12-27 2022-05-17 Convatec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US11771819B2 (en) 2019-12-27 2023-10-03 Convatec Limited Low profile filter devices suitable for us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US11718464B2 (en) 2020-05-05 2023-08-08 Pratt Retail Specialties, Llc Hinged wrap insulated container
US20220251783A1 (en) * 2021-02-11 2022-08-1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Starch-cellulose composite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3040A1 (en) * 2003-02-05 2004-08-05 Lucie Martineau Multi-layer synthetic dressing with cooling characteristics
US20120078154A1 (en) * 2009-02-04 2012-03-29 Systagenix Wound Management(Us), Inc.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DE102014106518A1 (de) * 2014-05-09 2015-11-12 Paul Hartmann Ag Schaumwundauflage für die Unterdrucktherapie
WO2017019868A1 (en) * 2015-07-28 2017-02-02 Curali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hydrophilic foa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55574A (en) * 1974-09-20 1975-01-09 Johnson & Johnson Composite materials
US20030149406A1 (en) * 2002-02-07 2003-08-07 Lucie Martineau Multi-layer dressing as medical drug delivery system
US7759537B2 (en) 2004-02-13 2010-07-20 Convatec Technologies Inc. Multi layered wound dressing
ATE526138T1 (de) * 2008-02-26 2011-10-15 Eveready Battery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tegrierten urethanschichtprodukts
DE102008031183A1 (de) * 2008-07-03 2010-01-07 Paul Hartmann Ag Wundauflage
US8454990B2 (en) * 2008-08-01 2013-06-04 Milliken & Company Composite article suitable for use as a wound dressing
EP2323710B2 (en) * 2008-09-18 2022-05-18 KCI Licensing, Inc. Dressings and system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at a tissue site
SE533841C2 (sv) * 2009-06-15 2011-02-01 Moelnlycke Health Care Ab Sårförband med hög vätskehanteringskapacitet
CN103228256B (zh) * 2010-12-09 2016-05-04 高露洁-棕榄公司 清洁组合物
WO2013000910A1 (de) * 2011-06-29 2013-01-03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Verbundschaum für wundauflagen
GB201207852D0 (en) * 2012-05-04 2012-06-20 Adv Med Solutions Ltd Wound dressing
CA2952284C (en) * 2014-06-18 2023-03-28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EP2995287A1 (en) * 2014-09-11 2016-03-16 Mölnlycke Health Care AB Medical dressing
EP3023083A1 (en) * 2014-11-20 2016-05-25 Mölnlycke Health Care AB Wound dressings
JP2018512959A (ja) * 2015-04-23 2018-05-24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治癒向上のための二層デバイス
CN108136067A (zh) * 2015-10-05 2018-06-08 3M创新有限公司 包含柔性聚合物泡沫以及中间体的吸收制品
EP3384882A1 (en) * 2017-04-05 2018-10-10 Mölnlycke Health Care AB Composite material for fluid flow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3040A1 (en) * 2003-02-05 2004-08-05 Lucie Martineau Multi-layer synthetic dressing with cooling characteristics
US20120078154A1 (en) * 2009-02-04 2012-03-29 Systagenix Wound Management(Us), Inc.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DE102014106518A1 (de) * 2014-05-09 2015-11-12 Paul Hartmann Ag Schaumwundauflage für die Unterdrucktherapie
WO2017019868A1 (en) * 2015-07-28 2017-02-02 Curali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hydrophilic fo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12078A (zh) 2019-12-24
CN114795657B (zh) 2023-07-14
US11628092B2 (en) 2023-04-18
JP7069219B2 (ja) 2022-05-17
DK3621569T3 (da) 2021-11-01
CA3062733A1 (en) 2018-11-15
BR112019023465A2 (pt) 2020-06-30
AU2018266750A1 (en) 2019-11-14
ES2896175T3 (es) 2022-02-24
CN114795657A (zh) 2022-07-29
EP3621569B1 (en) 2021-07-28
CN110612078B (zh) 2022-04-19
KR102555670B1 (ko) 2023-07-13
JP2020519337A (ja) 2020-07-02
AU2018266750B2 (en) 2023-05-25
EP3621569A1 (en) 2020-03-18
WO2018206578A1 (en) 2018-11-15
US20200129338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670B1 (ko) 상처 치료용 복합 폼
KR102545523B1 (ko) 의료용 드레싱
US11980693B2 (en) Composite materials in wound treatment
BR112019023465B1 (pt) Material compósito, curativo médico e método para produzir um material compósi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