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74A -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74A
KR20200004574A KR1020180077595A KR20180077595A KR20200004574A KR 20200004574 A KR20200004574 A KR 20200004574A KR 1020180077595 A KR1020180077595 A KR 1020180077595A KR 20180077595 A KR20180077595 A KR 20180077595A KR 20200004574 A KR20200004574 A KR 20200004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ephalitis
extract
composition
wate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690B1 (ko
Inventor
김일석
김삼웅
하연조
전승호
정인실
강정미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우수한 항뇌염 활성을 갖는 맥문동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Anti-encephalitis composition comprising Liriope platphylla extracts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우수한 항뇌염 활성을 갖는 맥문동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병원균의 세포막 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이하 LPS라 함), IL-1,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 활성산소종(ROS), 방사선 등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반응에서 유도되는 숙주의 필수적인 방어 메커니즘이다.
산화질소(NO)는 인체의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etase, 이하 NOS라 함)에 의해 L-아르기닌 (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된다. 인체의 NOS 중 iNOS는 병원균의 세포막 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이하 LPS라 함), IL-1β,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 (cytokine), 방사선 등의 면역 자극제에 의해 세포가 활성화될 때에만 여러 세포에서 많은 양이 발현된다. LPS, 염증 유발인자, 방사선조사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iNOS의 발현이 유도되면 많은 양의 NO가 4~6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생성되고, 이는 인체에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인체의 다양한 염증질환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괴근을 생약명으로 맥문동이라고 한다. 맥문동은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50cm이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 꽃가지에 마디가 있다. 씨방 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果皮)가 벗겨지므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紫黑色)이다. 개맥문동(Lspicata)은 본종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분된다. 덩이뿌리를 소염·강장·진해·거담제 및 강심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맥문동은 윤폐양음, 익우생진, 청심제번, 이뇨, 심장염, 해열, 진정, 감기, 강장, 토혈, 객혈, 소갈, 인건구조, 변비 등에 약으로 쓰인다. 사포닌(steroidal saponin)으로서 ruscogenin 배당체인 ophiopogonin A, B, C 및 D가 함유되어 있다 잎은 lactone, phenol류, triterpenoid, 아미노산(amino acid),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예로부터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및 광제비급 등의 기성 한약서나 관련문헌에서 상기한 맥문동을 단방 생약으로서의 처방하고 있으나, 이러한 처방은 맥문동의 외형상의 형태 감별 방법 및 한방의학적 약효와 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간단한 언급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맥문동 추출물에 대한 항뇌염 효능에 대하여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6284호에는 백삼복합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맥문동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뇌염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뇌염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맥문동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맥문동(Liriope plat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클로로포름, 및 이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클로로포름, 및 이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획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항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뇌질환은 뇌졸증 또는 치매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항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맥문동에 물을 가하고 열수 추출하는 맥문동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 및 상기 맥문동 열수 추출물에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에서 맥문동 및 물의 비율이 1:9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는 온도 80-100℃의 범위에서 80-100분 동안 3회 이상의 맥문동의 유효성분을 추출 또는 가용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에서 맥문동을 열수로 추출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메탄올, 부탄올, 헥산,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부탄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맥문동 추출물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뇌염 활성이 우수한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을 제공하여 뇌염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뇌염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맥문동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a는 한약재의 각 조추출물의 항뇌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미세아교세포(microglia cell)를 이용한 MTS 어세이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한약재의 각 조추출물의 항뇌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NO) 분비 저해 측정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맥문동의 생리활성물질의 추출 및 정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열수 및 균질화된 맥문동 추출물에 메탄올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에 대해 항뇌염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70% 메탄올 분획(fraction)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유기용매층을 분리한 후, 항뇌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NO) 분비 저해 측정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70% 메탄올 분획(fraction)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유기용매층을 분리한 후, 세포 생존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부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하여, 분리한 부탄올 분배 유기용매층을 용출 용매로 용출한 후, 항뇌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NO) 분비 저해 측정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부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하여, 분리한 부탄올 분배 유기용매층을 용출 용매로 용출한 후, 세포 생존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부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하여, 분리한 부탄올 분배 물층을 용출 용매로 용출한 후, 항뇌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NO) 분비 저해 측정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b는 부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하여, 분리한 부탄올 분배 물층을 용출 용매로 용출한 후, 세포 생존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한약재 및 맥문동 추출
한약재 및 맥문동은 일반 시중에서 구입되었다. 구입된 한약재들은 1:9의 비율로 혼합한 후, 열수, 냉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각 조건에 맞추어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은 100℃에서 3시간 3회 추출하여 각 추출액을 합하여 4배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냉수 추출은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농축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탄올 및 메탄올은 각 처리농도로 4℃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농축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맥문동 농축액 제조
구입된 맥문동은 증류수와 1:9의 비율로 혼합한 후, 맥문동 샘플을 현탁하여 13,500 rpm에서 균질화하여 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거한 후 4배 농축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동일 혼합비로 맥문동 샘플을 현탁한 후 13,500 rpm에서 균질화한 후, 100℃에서 90분간 추출을 3회 실시한 후 각 추출액을 합하여 4배 농축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각 농축된 맥문동 추출액은 각종 실험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유기용매 침전
농축된 맥문동 추출액은 30, 50, 70% 메탄올으로 유기 용매 침전을 수행하였다. 각 농도의 메탄올로 조정한 후 4℃에서 1시간 반응을 하고 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각각 분리하였다. 침전물은 상등액과 동량의 증류수로 재현탁한 후 원량에 대해 10배 농축하였다.
유기 용매 분획
70% 메탄올 침전물은 동량의 부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등에 의해 혼합되었다. 혼합된 샘플들은 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층은 수거되었고, 농축을 실시한 후, 원량과 동일 양의 증류수로 재현탁하였다.
Sep-Pak catridge 정제
분자량에 따라 분획된 샘플은 부탄올 분배 용액으로 Sep-Pak  plus C18 catridge (Waters)에 로딩하였다. 부탄올층과 물층을 카트리지(catridge)에 로딩하여, 자연 용출한 후, 헥산,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8:2, 6:4, 5:5, 4:6, 및 2:8), 에틸 아세테이트(물:포화된 메탄올) 등의 20 ml 용액으로 각각 용출한 후 농축하여 10배 농축되게 물에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2. 미세아교세포에서의 항뇌염 분석
미세아교세포(BV-2) 배양
BV-2 세포주 배양을 위한 배지는 DMEM-low glucose medium(Sigma-Aldrich Korea, Seoul, South Korea), glucose 4 g/l, sodium bicarbonate 3.7 g/l,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항생제(100 units/ml penicillin 및 100 μg/ml streptomycin)를 섞은 다음 최종 pH가 7.2-7.4가 되도록 한 후, 공극 크기(pore size)가 0.22 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멸균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제공받은 BV-2 세포는 독성을 가진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척 작업을 거쳐 DMSO를 제거한 후, 상기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조건하에 37℃에서 배양하였다.
샘플 전처리 및 미세아교세포(BV-2)의 염증 반응 유도
본 출원에서는 분석 대상 샘플의 예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염증 반응 유도 전에 미리 샘플을 BV-2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 샘플을 녹이기 위해 사용한 DMSO 농도는 최종 0.5%로 처리되었고 이는 음성(-) 대조군(negative (-)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분석 샘플을 전처리한 후, BV-2 세포주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 Sigma-Aldrich Korea, Seoul, South Korea)를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BV-2 세포 배양 배지에 LPS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19시간 또는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염증 반응이 유도된 미세아교세포(BV-2)에서 항뇌염 분석
1) MTS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분석
우선 BV-2 세포를 96-well plate의 각 well에 0.5×105 cells을 시딩(seeding) 하고, 세포가 각 well의 바닥에 정착된 이후에(대략 overnight), 분석 대상 샘플을 5시간 전처리 및 LPS 처리 후 19시간 또는 24시간이 경과한 때에 MTS assay kit(Promega, Madison, WI, USA)를 사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2) 질소산화물(Nitric Oxide) 측정
MTS assay에서와 같이, BV-2 세포를 96-well plate의 각 well에 cells을 시딩(seeding) 하고, 분석 대상 샘플을 5시간 전처리 및 LPS 처리 후 19시간 또는 24시간이 경과한 때에 배지 상등액을 질소산화물 측정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염증반응이 유도된 BV-2 세포가 분비하는 질소산화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확보한 배지 샘플을 Griess reagent(Enzo Life Sciences, Inc., Farmingdale, NY, USA)와 1:1로 혼합하여, Microplate reader(Synergy HT)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SAS program (Statistics analytical system, 1999)의 GLM (General linear model)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처리 평균 간의 평균값 비교를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1) 조추출액에 의한 항뇌염 분석 결과
다양한 한약재 조추출물 57종을 활용하여 항뇌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부 추출물은 추출물 자체가 세포의 생존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물질은 승마 100% MeOH 추출물(100% MeOH extract of C. racemosa), 복분자 100% MeOH 추출물(100% MeOH extract of R. coreanus), 삼칠근 100% MeOH 추출물 (100% MeOH extract of P. notoginseng), 소목 100% MeOH 추출물(100% MeOH extract of C. sappan), 소목냉수 추출물(water extract of C. sappan), 육계 70% EtOH 추출물(70% EtOH extract of C. cassia) 등이 해당된다.
세포의 생존 저해가 없는 물질 중에서 항뇌염 효과를 나타낸 것은 맥문동 열수 추출물(hot water extract of C. muscari), 맥문동 70% EtOH 추출물(70% EtOH extract of C. muscari), 및 삼칠근 열수 추출물(hot water extract of P. notoginseng) 였고, 맥문동 열수 추출물이 항뇌염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b 참조).
2. 맥문동 추출물의 수율
상술한 바와 같이 균질화 추출 및 균질화 후 열수 추출을 수행하여 맥문동의 기능성 활성물질 추출 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을 참고하면, 열수 추출액에서는 총 고형분 함량이 74.7 g/100 g dry sample 이였고, 수율은 74.7% 였다. 그러나 균질화된 맥문동의 추출은 총고형분 함량이 48.8 g/100 g dry sample 이였고, 수율은 48.8% 였다.
따라서 미세하게 균질화하여 단일 추출보다 원형태를 유지하면서 반복 추출이 비록 시간적 소요는 많이 되지만, 추출 수율이 상승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Figure pat00001
3) 맥문동 열수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의 항뇌염 분석 결과
균질화 및 열수 추출된 맥문동 추출물의 기능성 물질을 분석하기 위해, 메탄올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에 대해 항뇌염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50 (homogenized extract and then 50% methanol supernatant), HS70 (homogenized extract and then 70% methanol supernatant), HP50 (homogenized extract and then 50% methanol precipitated pellet), HP70 (homogenized extract and then 70% methanol precipitated pellet), WS50 (hot water extract and then 50% methanol supernatant), WS70 (hot water extract and then 70% methanol supernatant), WP30 (hot water extract and then 30% methanol precipitated pellet), WP50 (hot water extract and then 50% methanol precipitated pellet), WP70 (hot water extract and then 70% methanol precipitated pellet) 등에서 항뇌염 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WP70의 NO의 상대 OD값(%)이 가장 낮아, 항뇌염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열수 추출한 후, 메탄올으로 유기 용매 침전을 수행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한 실험군인 WS30, WS70, WP30, WP50, 및 WP70은 균질화하여 동일 농도의 메탄올로 유기 용매 침전을 수행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한 실험군인 HS30, HS50, HS70, HP30, HP50, 및 HP7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NO의 상대 OD값(%)을 나타내었다. 균질화 및 열수 추출 처리군 모두 메탄올으로 유기 용매 침전을 수행한 결과, 상층액보다는 침전물에서 항염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참조).
4) 유기용매 분배 물질의 항뇌염 분석 결과
70% 메탄올 침전물에서 가장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 분획(fraction)을 활용하여 유기용매 분배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유기용매는 부탄올(butanol),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을 사용하였고, 각 층을 분리하여 항뇌염 활성 분석 및 세포 생존도(%)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기용매 층은 부탄올(butanol)을 제외하고 항뇌염 활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층은 부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에서 모두 항뇌염 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참조). 또한, 세포 생존도(%) 측정 결과, 유기용매층 및 물층 모두 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b 참조). 그러나, 유기용매층과 물층 모두 항뇌염 활성이 나타나는 부탄올 분획(butanol partition)이 특이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 용매를 활용하여 다음 분석을 실시하였다.
5) Sep-pak 카트리지(Sep-Pak catridge) 정제물의 항뇌염 활성 분석 결과
부탄올 물층과 부탄올층을 각 용출 용매로 용출(elution)한 후, 항뇌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NO) 분비 저해 및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부탄올 분배 유기용매층은 부탄올 분배 물층과 비교하여, 대체로 항뇌염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탄올 분배 유기용매층 중에 헥산(hexane):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5:5)의 항뇌염 활성이 가장 높았고, 헥산:에틸 아세테이트(2:8) 및 헥산 등에서 항뇌염 활성이 감지되었으며(도 5a 참조), 세포의 생존을 저해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5b 참조). 한편, 헥산(hexane):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4:6)은 세포의 생존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b 참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부탄올 분배 물층은 통과액(flow through),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높은 항뇌염 활성이 감지되었으며(도 6a 참조), 유의적으로 세포 생존력이 감소하지 않았다(도 6b 참조). 따라서, 부탄올 분배 물층은 부탄올 분배 유기용매층에 비하여, 비교적 친수성(hydrophilic)인 물질이 항뇌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맥문동(Liriope plat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클로로포름, 및 이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항뇌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항뇌염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클로로포름, 및 이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획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인, 항뇌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항뇌염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뇌질환은 뇌졸증 또는 치매인,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맥문동에 물을 가하고 열수 추출하는 맥문동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 및
    상기 맥문동 열수 추출물에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에서 맥문동 및 물의 비율이 1:9인,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 제조단계는 온도 80-100℃의 범위에서 80-100분 동안 3회 이상의 맥문동의 유효성분을 추출 또는 가용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메탄올, 부탄올, 헥산,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인,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은 부탄올인,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77595A 2018-07-04 2018-07-04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KR10211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95A KR102114690B1 (ko) 2018-07-04 2018-07-04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95A KR102114690B1 (ko) 2018-07-04 2018-07-04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74A true KR20200004574A (ko) 2020-01-14
KR102114690B1 KR102114690B1 (ko) 2020-05-26

Family

ID=6915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95A KR102114690B1 (ko) 2018-07-04 2018-07-04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774A (ko) * 2020-10-30 2022-05-10 오철현 레몬머틀, 맥문동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871A (ko) * 2004-07-22 2006-01-26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스피카토사이드 a 화합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68568A (ko) * 2010-12-17 2012-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68522A (ko) * 2010-12-17 2012-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871A (ko) * 2004-07-22 2006-01-26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스피카토사이드 a 화합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68568A (ko) * 2010-12-17 2012-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68522A (ko) * 2010-12-17 2012-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 Park 외. Effects of Liriope platyphylla on LPS-stimulated expression of Cox-2 and iNOS in mouse BV2 microglial cells. 대한침구학회지. 제22권 제2호, 2005년 4월. pp. 147-15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774A (ko) * 2020-10-30 2022-05-10 오철현 레몬머틀, 맥문동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90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e et al. Anoectochilus roxburghii: A review of it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Kumar et al. Phytochemical investication and heptoprotective evalution acacia rubica extract isonized and paracetamol indused animal toxicity
KR101185699B1 (ko) 의약품과 건강식품 제작에 개머루속 식물 및 그 추출물의응용
Peng et al. Shepherd’s Purse Polyphenols Exert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Associated with Suppressing MAPK and NF‐κB Pathways and Heme Oxygenase‐1 Activation
Pitchaipillai et al. In vitro antidiabetic activity of ethanolic leaf extract of bruguiera Cylindrica L.–glucose uptake by yeast cells method
Junejo et al. In-vivo Toxicity Evaluation and Phytochemical, Physicochemical Analysis of Diplazium esculentum (Retz.) Sw. leaves a Traditionally used North-Eastern Indian Vegetable.
Ebong et al. Hypoglycemic, hepatoprotective and nephro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Heinsia crinita (Rubiaceae) in alloxan-induced diabetic albino Wistar rats
Subramoniam Anti-diabetes mellitus plants: active principles, mechanisms of ac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Oh et al. Inhibitory effects of Dianthi Herba ethanolic extract on inflammatory and nociceptive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s and mouse models of abdominal writhing and ear edema
Allah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aves and bark extracts from Khaya senegalensis
Ukwubile et al. Pharmacognostic profiles, evaluation of analgesic, anti-inflammatory and anticonvulsant activities of Newbouldia laevis (P. Beauv.) Seem. ex Bureau leaf and root extracts in Wistar rats
TWI820342B (zh) 台灣藜萃取物用於製備抵抗自然衰老、促進脂肪分解及減少脂肪堆積的組合物之用途以及減脂組合物
KR102114690B1 (ko)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뇌염 조성물
Gryszczynska et al. Bioactive compounds determination in the callus and hydroalcoholic extracts from Salvia miltiorrhiza and Salvia przewalskii–Preliminary study on their anti-alcoholic activity effects
Garba et al.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Cassia occidentalis L. root bark on body weight and selected biochemical parameter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rats
Wagay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Iris Kashmiriana and Iris ensata extracts against selected microorganisms
Altwair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for plants Dracaena cinnabari, Verbena officinal, Polygala tenuifolia and Linux usitatissimum
Chinedu et al. Acute administration of aqueous extract of Garcinia kola on daily blood glucose level and selected biochemical indices in longevity wistar albino rats
CN116096389A (zh) Raldh2表达增强剂
Lakshmi et al. EVALUATION OF IN VITRO ANTI INFLAMMATORYACTIVITY OF ELAEOCARPUS GANITRUS OF BARK EXTRACT BY HRBC MEMBRANE STABILIZATION.
Kim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ultra-fine ground Saururus chinensis leav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Parasuraman et al. Wound healing agents from natural sources
Aghajanyan et al. ANTIHYPERGLYCEMIC PROPERTIES OF THE HERBAL MIXTURE COMPOSED OF EXTRACTS FROM $ SALVIA~ OFFICINALIS $ L., $ CALENDULA~ OFFICINALIS $ LINN., $ GLYCYRRHIZAE~ RADIX $ L. AND $ ECHINACEA~ PURPUREA $ L. ON HYPERGLYCEMIA INDUCED BY IMMOBILIZATION STRESS IN RABBITS
Jibril et al. Analgesic Properties of Crude Aqueous Extract of Senna occidentalis Leaves in Wistar Albino Rats by Tail Flick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