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25A - 물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25A
KR20200004525A KR1020180077456A KR20180077456A KR20200004525A KR 20200004525 A KR20200004525 A KR 20200004525A KR 1020180077456 A KR1020180077456 A KR 1020180077456A KR 20180077456 A KR20180077456 A KR 20180077456A KR 20200004525 A KR20200004525 A KR 2020000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vehicle
good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ogistic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너버스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너버스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너버스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8007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525A/ko
Publication of KR2020000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 효율성이 향상된 물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은,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수송차량, 상기 수송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기 수송차량에 적재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 등을 재설정하는 중앙서버 및 환승지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서버에서 설정된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 환승지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관리시스템{LOGISTIC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운송 효율성이 향상된 물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송이란, 사람이나 물건을 소정의 목적지까지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 및 교통이 발전하고 복잡하게 됨에 따라 물건들을 원하는 위치로 운송시키는 물류의 비중이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운송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물류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각 물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최적의 정보를 파악하고, 각 시간에 대한 교통정보 및 지도에 대한 맵 정보를 적용하여 최적의 경로 및 시간 등을 판단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것과 관련해서는 RFID 및 센서 등을 이용한 관리시스템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송차량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에 태그를 부착하고, 수송차량이 수송하고 있는 컨테이너 자체의 정보를 태그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송차량이나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제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수송차량 또는 컨테이너의 입구에 RFID 태그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는 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상품을 감지하고, 상품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물류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교통정보, 최적의 경로 및 시간 등을 판단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종래에도 경로의 신설, 소요시간의 예보 등의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으나, 여전히 물류의 흐름에 따라 운송차량의 배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는 보기 힘들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승지 및 환승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환승지에서 물류가 효율적으로 재분배되고 수송차량이 재배차되도록 관리되는 물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은,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수송차량, 상기 수송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기 수송차량에 적재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 등을 재설정하는 중앙서버 및 환승지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서버에서 설정된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 환승지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는, 교통상황, 수송차량의 운행환경을 고려하여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에서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상기 환승지서버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는, 상품의 운송 목적지 및 수송차량의 환승지 도착시간을 고려하여 상품의 배치 및 수송차량의 배차를 재설정한다.
또한, 상기 수송차량에 적재되는 상품에는 상품에 대한 운송정보가 입력된 RFID태그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송차량에는, 상기 RFID태그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송차량에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전달되는 단말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로 전달된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RFID태그가 장착된 상품들이 위치된 주변 환경에 대한 온도, 습도, 충격 여부를 실시간으로 더 감지한다.
또한, 환승지에서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의 재배차가 이루어지면, 상기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의 재배차에 대한 정보가 상기 환승지서버로부터 중앙서버로 전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환승지에서 물류가 재분배되어 수송차량이 재배차됨으로써 운송시간을 줄이고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의 환승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란에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아래의 서술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 없이 또는 하나 이상의 동등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과 장치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의 크기 또는 상대적인 크기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은, 수송차량(1), 중앙서버(2) 및 환승지에 구비되는 환승지서버(3)를 포함한다. 수송차량(1), 중앙서버(2) 및 환승지서버(3)는 무선통신망(4)을 통해 서로 운송되는 물류에 관한 정보, 수송차량(1)의 운행에 관한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상품(20)을 이동시킬 때, 중앙서버(2)는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품(20)의 이동 경로 또는 상품(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환승지서버(3)도 또한 중앙서버(2)가 전달받은 상품(20)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물류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이동 중인 상품(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20)의 외부 환경에 대한 온도, 습도, 충격 여부 등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배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
상품(20)에는, 해당 상품(2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RFID 태그(21)가 부착되고, 수송차량(1)의 적재공간 내에는 RFID 태그(21)를 감지하는 센서(30,31,32,33)가 위치될 수 있다.
수송차량(1) 내에는 센서(30,31,32,33)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단말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로 전달된 정보는 무선통신망(4)을 통해 중앙서버(2) 또는 환승지서버(3)에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수송차량(1)과 함께 이동하는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상품(20)에 관한 정보를 직접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2) 또는 환승지서버(3)는 무선통신망(4)을 이용하여 상품(20)에 관한 관리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태그(21)가 부탁된 상품(20)이 적재공간에 선적되면 센서(30,31,32,33)에 의해 RFID 태그(21)가 감지된다. 상품(20)이 적재공간으로부터 하적되면 RFID 태그(21)는 센서(30,31,32,33)에 의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다. 이때 마지막으로 RFID 태그(21)가 감지된 시점에서 상품(20)이 하적된 것으로 보고 물류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21)가 센서(30,31,32,33)에 의해 감지되고 있다면, 해당 RFID 태그(21)가 부착된 상품(20)은 적재공간 내에 위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이러한 상품(2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품(20)이 위치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가 중앙서버(2)에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중앙서버(2)에는 RIFD 태그(21)에 의해 감지되는 상품(20)의 위치 및 상품(20)의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가 모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환승지서버(3)에는 단말기로부터 상품(20)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환승지서버(3)는 상품(20)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1)의 배차에 관한 정보를 중앙서버(2)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환승지서버(3)에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후술할 환승지에서 수송차량(1)에 의해 운송되는 상품(20)이 재배치되고 이에 따라 수송차량(1)가 재배차될 수 있다. 상품(20)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1)의 운행관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의 환승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은, 수송차량(1)에 적재된 상품(20)이 환승지(A)에서 재배치되고 이에 따라 수송차량의 배차가 재설정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상품(20)이 환승지(A)까지 이동한 후, 각 상품(20)의 목적지에 따라 재배치되어 운송됨으로써 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연료비 절감 등에 따른 운송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수송차량으로 많은 상품들을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다.
복수의 수송차량(101,102,103)에는 목적지까지 운송될 상품(20)들이 적재될 수 있다. 복수의 수송차량(101,102,103)의 출발지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수송차량(101,102,103)에 적재된 상품(20)들의 목적지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세히, 복수의 수송차량(101,102,103) 중 어느 하나의 수송차량에 의해 운송되는 상품(20)은 목적지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목적지를 가진 상품(20)들이 하나의 수송차량에 적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목적지를 가진 상품(20)들이 복수의 수송차량(101,102,103)에 적재되어 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수송차량(101,102,103)에 적재된 상품(20)들은 환승지(A)에서 목적지에 따라 해당 수송차량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환승지(A)에서 상품(20)들의 재배치가 이루어진 후, 각 수송차량은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중앙서버(2)에서는, 수송차량(101,102,103)에 적재된 상품(20)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품(20)에 부착된 RFID 태그(21: 도 1)에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2)에는 상품(20)들이 선적되는 수송차량(101,102,103)의 위치, 이동경로, 이동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목적지까지 운송될 상품(20)에 관한 정보 및 수송차량(101,102,103)의 운행에 관한 정보들은 환승지서버(3)와 공유될 수 있다.
환승지(A)는, 목적지, 운행경로 및 운행시간의 효율 등을 고려하여 한군데 이상이 설정될 수 있다.
환승지(A)에서 상품의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물류관리시스템의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송차량(101), 제2수송차량(102) 및 제3수송차량(103)은 각각 다른 출발지에서 상품을 선적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각 수송차량에 적재되는 상품들의 목적지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각 수송차량에는 목적지가 B인 상품들과 C인 상품들이 서로 혼재되어 각 수송차량에 선적될 수 있다.
중앙서버(2)에는 제1수송차량(101), 제2수송차량(102) 및 제3수송차량(103)의 출발시간, 출발지, 목적지 및 적재된 상품(20)에 관한 정보가 전송된다. 중앙서버(2)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수송차량의 출발지로부터 환승지(A)까지의 도달시간을 계산한다.
한편, 중앙서버(2)에는 각 수송차량의 적재공간 내에 여유공간이 있는지 여부, 여유공간의 크기 등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 목적지로 운송될 상품의 수량 및 부피 등에 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환승지(A)까지의 도달시간이 유사하고, 적재된 상품들의 목적지가 동일한 경우, 중앙서버(2)는 각 수송차량의 적재공간의 여유분 및 목적지가 동일한 상품들의 수량, 부피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목적지 B, C로 운동될 상품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승지(A)에서, 제2수송차량(102), 제3수송차량(103)에 적재된 상품들 중 목적지 C가 목적지인 상품들은 제1수송차량(101)에 적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수송차량(101), 제2수송차량(102)에 적재된 상품들 중 목적지 B가 목적지인 상품들은 제3수송차량(103)에 적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목적지 B, C로 운송된 상품들이 제1수송차량(101) 및 제3수송차량(103)에 각각 모두 적재되면, 제2수송차량(102)은 더 이상 B 또는 C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수송차량(102)은 출발지 또는 대기장소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른 목적지를 가진 상품들이 환승지(A)에 도착한 경우, 제2수송차량(102)에는 B,C가 아닌 다른 목적지를 가진 상품들이 적재되어 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의 배차에 관한 정보는 중앙서버(2)에서 계산되어 환승지서버(3)로 전송될 수 있다. 환승지서버(3)의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이와 같은 정보를 확인하고, 환승지(A)에 도착한 수송차량들의 상품들을 각 목적지에 따라 신속하게 재배치 시킬 수 있다.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들의 재배차가 이루어진 후, 이러한 정보는 환승지서버(3)로부터 중앙서버(2)로 전송된다.
수송차량의 출발시, 환승지(A)에 도착할 예정시간이 계산되었다 하더라도, 운행하는 도로의 사정 등에 의해 도착 예정시간에 변경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의 운행정보 등은, 각 수송차량이 출발지에서 출발한 후에도 운행 중인 교통상황, 운행환경 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중앙서버(2)는 수송차량의 운행환경 등을 반영하여 환승지(A)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들의 재배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환승지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승지(A)에서 동일한 목적지를 가진 상품들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재배치되고, 같은 물량의 상품들을 최소한의 수송차량으로 운송시키며, 더 이상 상품을 적재하지 않은 수송차량은 또 다른 상품들을 운송할 수 있도록 출발지 또는 대기장소로 되돌아 가도록 하는 등 수송차량의 배차를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전체적인 물류관리가 효율적이고 신속하며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수송차량이 복수의 목적지를 모두 경유하는 경우에 비해, 운송 시간은 단축되고, 수송차량의 연료비 절감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한된 수송차량을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양의 물류를 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수송차량 2: 중앙서버
3: 환승지서버 4: 무선통신망
101: 제1수송차량 102: 제2수송차량
103: 제3수송차량
A: 환승지 B, C: 목적지

Claims (10)

  1.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수송차량;
    상기 수송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기 수송차량에 적재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 등을 재설정하는 중앙서버; 및
    환승지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서버에서 설정된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 환승지서버;를 포함하는 물류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교통상황, 수송차량의 운행환경을 고려하여 환승지에서의 수송차량의 배차 및 상품의 배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에서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상기 환승지서버로 전송되는 물류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품의 운송 목적지 및 수송차량의 환승지 도착시간을 고려하여 상품의 배치 및 수송차량의 배차를 재설정하는 물류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차량에 적재되는 상품에는 상품에 대한 운송정보가 입력된 RFID태그가 장착되는 물류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차량에는, 상기 RFID태그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물류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차량에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전달되는 단말기가 구비되는 물류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전달된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달되는 물류관리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RFID태그가 장착된 상품들이 위치된 주변 환경에 대한 온도, 습도, 충격 여부를 실시간으로 더 감지하는 물류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환승지에서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의 재배차가 이루어지면, 상기 상품의 재배치 및 수송차량의 재배차에 대한 정보가 상기 환승지서버로부터 중앙서버로 전달되는 물류관리시스템.
KR1020180077456A 2018-07-04 2018-07-04 물류관리시스템 KR20200004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56A KR20200004525A (ko) 2018-07-04 2018-07-04 물류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56A KR20200004525A (ko) 2018-07-04 2018-07-04 물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25A true KR20200004525A (ko) 2020-01-14

Family

ID=6915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56A KR20200004525A (ko) 2018-07-04 2018-07-04 물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5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51B1 (ko) * 2020-10-12 2021-08-03 정선종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KR20210131210A (ko) 2020-04-23 2021-11-02 윤지현 스마트 물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495346B1 (ko) 2021-11-15 2023-02-07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 봉투의 물류 관리시스템
KR102582897B1 (ko) * 2023-02-14 2023-09-26 오준환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US11934990B2 (en) 2020-04-23 2024-03-19 Willog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continuously changed QR code by reflecting a monitored logistics st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210A (ko) 2020-04-23 2021-11-02 윤지현 스마트 물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장치 및 시스템
US11934990B2 (en) 2020-04-23 2024-03-19 Willog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continuously changed QR code by reflecting a monitored logistics status
KR102284951B1 (ko) * 2020-10-12 2021-08-03 정선종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KR102495346B1 (ko) 2021-11-15 2023-02-07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 봉투의 물류 관리시스템
KR102582897B1 (ko) * 2023-02-14 2023-09-26 오준환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525A (ko) 물류관리시스템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JP7405886B2 (ja) アセット追跡のためのサイトマッチング
KR101754300B1 (ko) 화물운송 중개 관리시스템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JP6549813B1 (ja) 配車管理装置、配車管理システム、配車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US20200218281A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200082323A1 (en) Shipm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goods shipments
WO2015171825A1 (en) Switch network of containers and trailers for transport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hysical items
US10467580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nerating logistics zones
US20150324742A1 (en) Location tracking in a distribution network
US2022041458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portation dock management
CN104463536A (zh) 一种物流系统入库控制装置及控制入库的方法
TWI771192B (zh) 任務處理方法、控制終端、機器人、倉儲系統及儲存媒體
KR20190007090A (ko) 상품을 운송하는 운송 및 취급 시스템과 방법
JP2017019588A (ja) 通信装置、搬送補助具、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4573423B2 (ja) 物流管理システム
CN113998352B (zh) 拣选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仓储系统
JP7382981B2 (ja) 入庫管理システム
US2020028602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last mile delivery of goods
KR10257133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환적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4841646A (zh) 仓储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系统和存储介质
CN207586983U (zh) 一种物流智能盒子、运输装置及运输系统
KR20050109213A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배송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