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038A -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038A
KR20200004038A KR1020180076973A KR20180076973A KR20200004038A KR 20200004038 A KR20200004038 A KR 20200004038A KR 1020180076973 A KR1020180076973 A KR 1020180076973A KR 20180076973 A KR20180076973 A KR 20180076973A KR 20200004038 A KR20200004038 A KR 2020000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ating composition
meth
acrylat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80B1 (ko
Inventor
오중걸
채현수
최수남
Original Assignee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페인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은 기존 열 경화형 선도장강판 코팅제 사용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광경화에 의한 작업성 개선 및 에너지 절감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경화 시스템(LED + 수은)을 도입함에 따라 기존 UV 도료에 색상 적용시 발생하는 경화장애를 해결하여 미 경화에 의한 부착 문제를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무기충진제를 포함하여 표면의 경도, 내스크래치성 등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for pre-coated metal and preparation method for pre-coated met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PCM 강판에 적용되는 열경화성 도료는 고선영성 등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없었다. 최근의 UV경화형 도료는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목재 등에 친환경이면서 빠른 경화 속도를 장점으로 대량 생산을 요구하는 투명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색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많아지면서 UV(Ultraviolet)경화형 도료에 색상을 부여하여 유색 UV경화형 도료에 대해 요청이 늘고 있다. UV경화형 도료는 200~400nm의 자외선 빛에 의해 경화되는 도료로서 수은 조명 단독으로는 유색안료의 함량이 많아지면 경화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유색 UV경화형 도료를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PCM(Pre-Coated Metal) 강판은 철도, 차량, 선박, 도로시설 등의 각종 산업분야는 물론이고, 전기ㆍ전자 제품,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등의 전기ㆍ전자 제품, 주방, 거실용품 및 건축내장재, 바닥재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제품 환경상 내스크래치성과 관련 있는 표면 경도 향상 등 다양한 물성의 향상이 필수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5027호에서는 (a)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디올 100 중량부; 폴리올 600~800 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600~800 중량부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I를 제조하는 단계; (b) 수득한 상기 프리폴리머 I 100 중량부; 및 다관능성 모노머 0.3~1.5 중량부를 반응시켜 가교 구조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II를 제조하는 단계; (c) 수득한 상기 프리폴리머 II 100 중량부에, 아민 1~5중량부를 첨가하여 프리폴리머 II를 중화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I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수득한 수분산 수지 I 100 중량부; 및 쇄연장제 1~5 중량부를 반응시켜 쇄연장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II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100 중량부에 물 20~150 중량부; 무기 바인더 10~20 중량부; 금속 킬레이트제 2~10 중량부; 부착증진제 1~5 중량부; 방청내식제 1~10 중량부 및 소포제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PCM용 도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PCM용 자외선 경화형 투명 도료는 무용제 타입으로 컬러 구현을 위한 안료의 선택에 한계가 있다. 예를들어, 컬러 안료를 적용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형 도료의 자외선 경화시 경화 장애가 있고, 적용시 도막이 높아져(5~20 ㎛) 가공성 및 경도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강화제를 배합하여 물성을 향상시키고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시 일어날 수 있는 경화장애를 극복하도록 사전 경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무기충진제; 및유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충진제는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주석, 아연, 안티몬, 인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충진제는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색 안료는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은
(a) 강판 기재 상에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가압 수단을 이용해 가압하면서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LED 조명으로 단일파장의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1차 경화하는 단계;
(c) 사전 경화된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은 기존 열 경화형 선도장강판 코팅제 사용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광경화에 의한 작업성 개선 및 에너지 절감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경화 시스템(LED + 수은)을 도입함에 따라 기존 UV 도료에 색상 적용시 발생하는 경화장애를 해결하여 미 경화에 의한 부착 문제를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무기충진제를 포함하여 표면의 경도, 내스크래치성 등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인의 일 양상인 선도장강판(PCM)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무기충진제 및 유색 안료를 포함한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URETHANE (METH)ACRYLATE COMPOUND Prepolymer)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2000이고, 분자당 평균 우레탄 결합이 6 내지 22개 존재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부착성 저하와, 2000을 초과하면 점도 상승으로 인해 레벨링 저하되어 미려한 외관 구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킨 것으로, 이와 같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로 치환된 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의 양 말단에 이중결합을 도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디이소시아네이트 1몰에 대해 2몰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에 2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것으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2,4-toluene diisocyanate) 및 그 이성질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1,6-hexamethylene diisocyanate),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Lysine diisocyanate),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2,2-비스-4′-프로판이소시아네이트(2,2-Bis-4'-propane isocyanate), 6-이소프로필-1,3-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6-isopropyl-1,3-phenyl diisocyanate,),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퓨마레이트(Bis (2-isocyanatoethyl) -fumarate), 1,6-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1,6-hexane diisocyanate), 4,4′-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4,4'-biphenylene diisocyanate), 3,3′-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3,3'-dimethylphenylene diisocyanate),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3,3'-dimethyl-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p-phenylenediisocyanate),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m-phenylene diisocyanate),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1,4-xylene diisocyanate),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1,3-xylene diisocyanate), 4,4′-디싸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4,4′-디싸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이성질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 합성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수지를 선도장강판 도료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 및 레벨링과 같은 외관이 향상되고, 광경화가 가능하여 작업 시간 단축과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에 희석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하나 갖는 단관능성 모노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2 또는 그 이상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단관능성 모노머로는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t-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t-octyl (meth) acrylate), N,N-디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N, N-dimethyl (meth) acrylate), N- 비닐카프로락탐(N-vinylcaprolactam), N-비닐피롤리돈(N-vinylpyrrolidone), 이소부톡시(메타)아크릴아마이드(Isobutoxy (meth) acrylamide),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마이드(Diacetone (meth) acrylamide),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Isobornyl (meth) acrylate), 트리사이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Tricyclodecanyl (meth) acrylate),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Dicyclopentanyl (meth) acryl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Dicyclopentadiene (meth) acrylate),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Dicyclopentadiene (meth) acrylate),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Meth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ETHOXYETHOXY ETHYL ACRYLATE) Methacrylate),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Meth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ono (meth) acrylate),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meth) acrylate), 사이크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 acrylate),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Benzyl (meth) acrylate), 에폭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Epoxy di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Butoxyethyl (meth) 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 acrylate), 스티어릴(메타)아크릴레이트(Styryl (meth) acrylate),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Styryl (meth) acrylate),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Octadecyl (meth) acrylate),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Dodecyl (meth) acrylate),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Isodecyl (meth) acrylate),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Nonyl (meth) acrylate),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 acrylate,),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Isoamyl (meth) acrylate),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Isoamyl (meth) acrylate),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9Isobutyl (meth) acrylate),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Butyl (meth) acrylate),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Isopropyl (meth) acrylate),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Propyl (meth) acrylate),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Ethyl (meth) acrylate),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 acrylate)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페인 EO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thylene dimethacrylate),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D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methacrylate),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oxyethyl (meth) acrylate), 트리사이크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octahydro-4,7-methano-1H-indenediyl)bis(methylene) bismethacrylate)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는 희석모노머로서 경화성 향상과 도막의 경도를 증진하기 위해 1 분자 중에 3 또는 그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EO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페인 EO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서는 위의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대해 설명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의 이들의 함량비율 및 광개시제, 무기충진제 및 유색 안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가 3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올리고머의 함량이 적어 경화성 및 부착성 떨어지며, 7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도료의 점도가 높고 이 너무 유연해져 내스크래치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고 도막의 경도가 떨어지며, 4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부착성이 떨어지고, 취성을 가져 가공성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자외선으로 경화시킴으로써 경화속도를 빠르게 한 것으로, 자외선 경화를 위해서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개시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3-메틸아세토페논(3-methylacetophenone), 4-클로로벤조페논(4-Chlorobenzophenone), 4,4′-디메톡시벤조페논(4,4'-Dimethoxybenzophenone), 벤조인프로필에테르(Benzoin propyl ether), 벤조인에틸에테르(Benzoin ethyl ether), 1-(4-이소프로필-페놀)-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 (4-isopropyl-phenol) -2-hydroxy-2-methylpropan-1-on ), 티오잔톤(Thioxanthen-9-one), 벤조페논(Benzophenon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업용으로 공급되는 광개시제 제품인 Irgacure184, Irgacure651, Irgacure500, Irgacure819, Irgacure907, Irgacure1800(시바가이기사) 등과 Darocure1116, Darocure1173(머크사), Lucirine LR8728(바스프사), Micure HP-8, TPO, CP-4,BK-6,BP(미원상사) 등이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광개시제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7.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광개시제가 2.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자외선에 의한 경화성이 떨어지고, 7.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광경화가 너무 많이 일어나서 부착성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기입자의 충진제인 무기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충진제 사용함으로써 코팅층 표면의 도막 경도를 증가시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무기입자는 평균 입경 10 내지 60나노미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충진제는 실리카(Silicon dioxide), 티타니아(Titanium dioxide),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주석(Tin ), 아연(zinc), 안티몬(antimony), 인듐(indium)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무기입자는 입자 표면의 광경화가 가능한 작용기, 즉 아크릴레이트기로 변성 처리하여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무기충진제가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이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경화성이 저하되어 코팅층의 도막 강도가 약해지고 비상용(immiscibility)에 의해 도막에 탁도(haze)가 발생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무기충진제는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는 색상 구현을 위해 유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구현을 위해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를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부 미만일 때는 은폐가 약해 색상 구현이 어렵고, 1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경화성이 저하되어 부착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의 제조예 및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합성예 ]
교반기가 달린 5리터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1몰), 카보네이트 폴리올과 반응성 모노머((Hydroxypropyl Acrylate:HPA, 2-Hydroxyethyl Acrylate: HEA 등)를 반응 몰비로 넣은 후 80℃로 승온하여 반응을 진행한다. 50ppm의 디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dibutyltindilaurylate)를 투입하고, 반응온도를 70~80℃로 유지한 후 반응물의 잔류 이소시아네이트 농도(NCO 농도)가 이론 NCO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시킨 후 반응온도를 60℃로 떨어뜨리고 중합반응 억제제로 0.25g의 하이드로퀴논과 0.25g의 페노시아닌을 투입한다. 투입이 끝난 후 8~9시간 동안 70~80℃로 반응온도를 유지하면서 적외선 분광기(FT-IR)로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확인하여 반응을 완결하고, 고형분이 80%정도가 되도록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충분하게 혼합하여 희석한다. 25℃에서 15,300cps의 점도를 갖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815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 제조예1 ]
합성예에 의해 수득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50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광개시제 5중량부, 무기충진제 5중량부, 황색 안료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1에 의해 얻어진 액체 조성물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기재에 코팅하여 수은조명 단독 및 LED 조명으로 단일파장 광선 조사 후 수은조명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제조예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LED 조명은 단일파장 광선이 조사가능한 어떤 조명 형태로든 가능한 점과 수은조명은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어떤 조명 형태로든 가능한 점을 고려해야한다.
[ 제조예2 ]
실시예 1의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표면 물성을 증대하기 위해 무기충진제의 종류에 따른 물성을 평가하였다. 합성예에 의해 수득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50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광개시제 5중량부, 무기충진제 5중량부, 황색 안료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경화방식은 결과예 1에서 가장 좋았던 1차로 LED조명 경화 후 2차로 수은조명으로 경화하여 물성을 비교하였다. 실험 방법은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경화방식은 결과예 1에서 가장 좋았던 방식인 1차 LED조명, 2차로 수은 조명으로 경화시켜 시편을 제작하였다.
[ 제조예3 ]
제조예 2의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무기충진제로 알루미나를 적용하고 알루미나의 함량을 달리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합성예에 의해 수득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50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광개시제 5중량부, 무기충진제를 각각 0, 3, 5,10 중량부, 유색 안료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경화방식은 결과예 1에서 가장 좋았던 1차로 LED조명 경화 후 2차로 수은조명으로 경화하여 물성을 비교하였다. 실험 방법은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경화방식은 결과예 1에서 가장 좋았던 방식인 1차 LED조명, 2차로 수은 조명으로 경화시켜 시편을 제작하였다.
[ 제조예4 ]
제조예3의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무기충진제의 적정함량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3에서 도출한 결과에서 유색 안료의 함량을 달리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유색 안료의 함량에 따라 경화성 및 이에 따른 표면물성이 변화될 수가 있다. 합성예에 의해 수득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50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광개시제 5중량부, 무기충진제 5중량부, 유색 안료를 각 0, 5, 10, 15중량부를 혼합하여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 방법은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경화방식은 결과예 1에서 가장 좋았던 방식인 1차 LED조명, 2차 수은 조명으로 경화시켜 시편을 제작하였다.
[테스트 방법]
① 시편 제작
제조된 조성물을 프라이머가 코팅된 강판에 바코터 #16으로(도포량 15~20미크론) 바코팅 도장하고, 수은조명 및 LED(405nm: 단일파장 광선)의 조사 강도를 90mW/
Figure pat00001
으로 조사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② 경화성
면포에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MEK)를 적셔 도막 표면을 왕복 50cycle 문지른 후 도막 표면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③ 부착성
제작된 시편을 가로, 세로의 크기가 1mm가 되도록 총 100개를 만들고 쓰리엠 스카치테이프를 붙인 다음 떼어내어 남아있는 조각의 숫자로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④ 경도 측정
진자 경도계(Pendulum Hardness)로 측정하였으며, 샘플 표면의 경도를 진자의 왕복진동폭 감소횟수를 통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치가 높을수록 경도가 높다.
⑤ CCET(Cross Cut Erichsen Test)
에릭슨 시험기에 Cross-cut된 시험편을 고정시키고 매초 0.5mm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도막에 균열이 보이면 시험을 멈추고 진행된 눈금을 읽는다. 진행된 깊이가 6.0mm 이내에서 도막의 균열, 박리, 부풀음이 없어야 한다.
[ 결과예1 ]
제조예1에 의해 제조된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 부착성, Pendulum Hardness, CCET를 위의 실험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수은조명단독 LED단독 UV->LED LED->UV
경화성 10회 40회 50회↑ 50회↑
부착성 10/100 100/100 90/100 100/100
Pendulum Hardness 56 105 118 128
CCET 4mm 6mm 6mm 7mm
표 1의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LED조명의 적용 유,무에 따라 부착성 및 경화성에 현저한 차이가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Pendulum Hardness 측정에서는 LED(405nm)조명을 먼저 조사한 경우에는 광선이 도막 내부까지 침투되어 충분한 경화반응이 진행되어 전체적인 도막의 경도가 상승됨을 알 수 있다. 반면 UV조명 단일 광원을 사용한 경우에는 표면 경화는 우수하지만 도막 내부까지는 광 침투가 어려워 도막 내부에 미반응 물질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막의 경도는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LED조명은 열변형이 없으며, 워밍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초고강도의 단일 파장의 자외선이 방사되기 때문에 오존 발생이 없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수은 조명 단독 사용시 발생하는 경화장애를 개선하고 부착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한 도막을 구현하기 위해 1차로 초고강도 단일파장이 방사되는 LED 조명을 이용하여 유색안료가 있는 도막 내부를 경화시킨 후 2차로 수은 조명을 이용하여 도막 표면을 경화 시킴으로써 경화 장애를 극복하고 우수한 부착성 및 표면 경도 등 물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1차 LED조명으로 경화 후 2차 수은조명으로 경화시키는 방식이 물성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 결과예2 ]
제조예2에 의해 제조된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 부착성, Pendulum Hardness, CCET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표면물성 증가를 위해 무기충진제 적용한 결과 경화성, 부착성, CCET 등의 물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표면 경도의 정도를 알 수 있는 Pendulum Hardness 테스트에서는 알루미나가 실리카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높은 경도가 있는 알루미나의 자체 경도가 높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으며, 표면경도 향상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것이 물성 향상이 됨을 알 수 있다.
[ 결과예3 ]
제조예3에 의해 제조된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 부착성, Pendulum Hardness, CCET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알루미나(X) 알루미나
(3중량부)
알루미나
(5중량부)
알루미나
(10 중량부)
경화성 50회↑ 50회↑ 50회↑ 45회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Pendulum Hardness 121 124 132 115
CCET 7mm 7mm 7mm 6mm
알루미나 함량이 적을 경우 경화성, 부착성, CCET등의 물성은 양호하나, 경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많을 경우에는 오히려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과량의 무기충진제가 적용됨으로 인해 경화 장애가 발생하여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알루미나 함량을 약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결과예4 ]
제조예4에 의해 제조된 광경화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선도장강판(PCM)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경화성, 부착성, Pendulum Hardness, CCET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
유색 안료
(X)
유색 안료
(5 중량부)
유색 안료
(10 중량부)
유색 안료
(15 중량부)
경화성 50회↑ 50회↑ 50회↑ 30회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70/100
Pendulum
Hardness
127 127 133 95
CCET 7mm 7mm 7mm 5mm
상기의 결과에서 보듯이 유색 안료의 함량이 많을 경우(15 중량부) 경화 장애로 인해 부착성을 비롯한 전체물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대부분의 물성이 양호하게 나타나지만, 5 중량부 이하에서는 은폐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색 안료의 경우 함량을 5 내지 10중량부 내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a) 강판 기재 상에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가압 수단을 이용해 가압하면서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LED 조명으로 단일파장의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1차 경화하는 단계;
(c) 사전 경화된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전술한 것과 같다. 도포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자외선 또는 가시광 등의 단일파장 광선으로 사전에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과 동시에 또는 이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일파장은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선 영역(약 100nm 내지 700nm 이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물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해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물성 향상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색 선도장강판은 이중 경화 공정을 거치므로 기존 열 경화형 선도장강판 코팅제 사용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광경화에 의한 작업성 개선 및 에너지 절감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UV 도료에 색상 적용시 발생하는 경화장애를 해결하여 미 경화에 의한 부착 문제를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제조방법은 1차 경화에 해당하는 (b)단계에서 LED 조명으로 단일파장 광선을 조사하고, 2차 경화에 해당하는 (c)단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나, 구현하고자 하는 물성 등에 따라 (b)단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c)단계에서 LED 조명으로 단일파장 광선을 조사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무기충진제; 및
    유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는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주석, 아연, 안티몬, 인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는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안료는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5. (a) 강판 기재 상에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가압 수단을 이용해 가압하면서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LED 조명으로 단일파장의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1차 경화하는 단계;
    (c) 사전 경화된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2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80076973A 2018-07-03 2018-07-03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KR10217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73A KR102179180B1 (ko) 2018-07-03 2018-07-03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73A KR102179180B1 (ko) 2018-07-03 2018-07-03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38A true KR20200004038A (ko) 2020-01-13
KR102179180B1 KR102179180B1 (ko) 2020-11-17

Family

ID=6915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973A KR102179180B1 (ko) 2018-07-03 2018-07-03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82B1 (ko) * 2007-09-11 2009-09-02 삼화페인트 공업주식회사 피씨엠용 주름형 Color Texture 도료 조성물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칼라 강판의 제조방법
KR101213394B1 (ko) * 2010-07-13 2012-12-20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 수지 적용 칼라강판
KR101382432B1 (ko) * 2012-08-30 2014-04-08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고선영성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57042B1 (ko) * 2017-01-23 2018-05-14 동국제강주식회사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82B1 (ko) * 2007-09-11 2009-09-02 삼화페인트 공업주식회사 피씨엠용 주름형 Color Texture 도료 조성물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칼라 강판의 제조방법
KR101213394B1 (ko) * 2010-07-13 2012-12-20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 수지 적용 칼라강판
KR101382432B1 (ko) * 2012-08-30 2014-04-08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고선영성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57042B1 (ko) * 2017-01-23 2018-05-14 동국제강주식회사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80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481B2 (ja) 補修塗装方法
KR101052223B1 (ko)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이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JP5476994B2 (ja) 無溶剤型のハードコート用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膜
JPWO2009119436A1 (ja) プラスチック基材用塗料組成物、それより形成された塗膜、および形成体
KR101118570B1 (ko) Uv 경화형 코팅 조성물
KR101403769B1 (ko) 자외선 경화 칼라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KR101144534B1 (ko) 바닥재 코팅용 아이소레이터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코팅방법
KR101403986B1 (ko)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JP5456460B2 (ja) 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
KR20100039652A (ko) 무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백색잉크 조성물
JP607544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
KR100872526B1 (ko) 서페이서용 경화형 수지 및 그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서페이서 조성물
KR101213394B1 (ko)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 수지 적용 칼라강판
KR102179180B1 (ko) 선도장강판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선도장강판의 제조방법
KR20090073588A (ko) 자동차 보수용 자외선 경화 퍼티도료 및 퍼티막 형성방법
KR101163922B1 (ko) 광경화형 불소변성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내지문수지 조성물 및 내지문도료 조성물도료 조성물
KR101543894B1 (ko) 코일-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상도 수지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된 코일-코팅 강판
KR101622301B1 (ko) 고기능성 라미나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704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525B1 (ko) 퍼티용 경화형 수지 및 그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퍼티조성물
KR20100071514A (ko)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20150075943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보호용 무기입자 함유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JP3926635B2 (ja) 転写シート
JPH11140352A (ja) パテ組成物
KR101661107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pvc 장판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