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811A -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811A
KR20200002811A KR1020197029388A KR20197029388A KR20200002811A KR 20200002811 A KR20200002811 A KR 20200002811A KR 1020197029388 A KR1020197029388 A KR 1020197029388A KR 20197029388 A KR20197029388 A KR 20197029388A KR 20200002811 A KR20200002811 A KR 2020000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cylinder
target zone
determining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326B1 (ko
Inventor
길다 마항
쟝-루크 페항
카스타네다 마사 헤르난데즈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20000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for testing astigmat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측정 장치가 제공되는 측정 장치 제공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1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1 벡터 결정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벡터 성분은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결정된다.

Description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astigmatism)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적어도 원기둥(cylindrical)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사람을 위한 새로운 광학 용품(optical equipment)을 주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 용품을 갖길 원하는 사람은 안과 의사를 만나러 간다.
사람에게 제공되는 안구 렌즈의 굴절 광학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은 다수의 단점을 갖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람을 지치게 하므로,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 기간 동안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과 의사는 피검사자가 초조해하기 시작하거나/시작하고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수 있고 안구 피로를 받거나/받고 주의력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검사를 단축해야 할 수도 있다.
잭슨 교차 원기둥(Jackson Cross Cylinder) 검사법은 현재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안과 의사 및 피검사자 모두에게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다.
전형적으로, 피검사자는 테스트 렌즈의 2개의 위치를 비교해야 하며, 흔히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 쉽게 알지 못한다. 그 절차는 환자의 민감도에 잘 적응되지 않을 수 있다.
테스트 렌즈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안과 의사가 피검사자에 적합하지 않은 속도로, 예를 들어 너무 빨리 또는 충분히 빠르지 않게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피검사자는 때때로 안과 의사에 의해 주어진 지시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거나, 또는 피검사자는 이전에 제시된 이미지의 품질을 잊어버린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오답을 초래할 수 있으며, 처방은 피검사자의 정확한 비점수차를 구하기에 충분히 정확하고 정밀하지 않을 수 있다.
교차 원기둥을 사용하는 종래의 굴절 방법은 정확한 결과를 위해 안과 의사의 많은 경험과 역량을 요구한다. 따라서, 결과는 안과 의사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또한, 종래의 굴절 방법은 경험이 없는 사람에 의해 또는 처방이 필요한 사람 그 자신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특히 낮은 비점수차의 경우, 축을 미세 조정하는 것은 어렵다. 각도의 스텝은 피검사자의 비점수차의 굴절력 레벨(power level)에 따라 적응되어야 한다. 초기 비점수차가 널(null)이거나 거의 널인 경우, 특정 절차가 사용되어야 하며, 종래의 교차 원기둥 절차는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참조(referential)가 잘 정의되어 있지 않고, 굴절 시점에 및 테에 렌즈를 장착하는 시점에 그리고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착용될 때 대체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축의 정확도가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전술한 단점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그러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방법은,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측정 장치가 제공되는 측정 장치 제공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1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1 벡터 결정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벡터 성분은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유클리드(Euclidian) 거리가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결정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원기둥 크기 문제를 방지하면서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발명의 방법의 정확도는 사람의 비점수차 값과 무관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제1 및 제2 벡터는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됨으로써, 보다 동질의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측정 장치가 제공되는 측정 장치 제공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1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1 벡터 결정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벡터 성분은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결정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원기둥 크기 문제를 방지하면서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안구 렌즈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교정하도록 적응된다;
- 제2 벡터 성분은 벡터 성분이 J0/J45 좌표계에서 표현되는 경우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거리가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결정된다; 및/또는
- 방법은,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의 표적 구역이 결정되는 표적 구역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표적 구역은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테스트되어야 하는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의 일부에 해당하고,
구역 결정 단계 동안 결정된 표적 구역의 크기는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다; 및/또는
- 방법은 구면 및 원기둥 교정을 3차원 벡터 표현의 벡터로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및/또는
- 표적 구역의 크기는 블러(blur)에 대한 사람의 민감도에 적응된다; 및/또는
-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블러에 대한 사람의 민감도에 적응된다; 및/또는
-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표적 구역 크기에 기초한다; 및/또는
- 표적 구역의 크기는 절차 동안에 변경된다; 및/또는
-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절차 동안에 변경된다; 및/또는
- 원기둥의 벡터 분해는 2개의 직교 방향에 따라 수행된다; 및/또는
- 2개의 직교 방향 중 하나는 사람의 안구의 초기 비점수차 방향에 해당한다; 및/또는
- 2개의 직교 방향은 사람의 안구의 초기 비점수차 방향으로부터 +22.5° 및 -22.5°로 선택된다; 및/또는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제2 벡터의 성분은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만을 테스트하여 고유한 변동 방향을 먼저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및/또는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제2 벡터의 성분은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만을 테스트하여 3차원의 고유한 변동 방향을 추가로 선택함으로써 결정되고, 선택은, 2차원 원기둥 평면(plan)으로 나타낸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고유한 변동 방향을 제1 선택하는 단계, 원기둥 평면에 수직이고 제1 선택된 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낸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최종적인 고유한 변동 방향을 제2 선택하는 단계의 2개의 단계로 분리된다; 및/또는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제2 벡터의 성분은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해 정반대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결정된다; 및/또는
- 표적 구역은 원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의 양안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양안의 비점수차는 양안에 대한 잭슨 교차 원기둥 동안 원기둥 성분의 동일한 변동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 제2 안구에 대한 표적 구역은 제1 안구 모두에 대해 결정된 값에 기초할 수 있다; 및/또는
- 사람의 우세안(dominant eye)은 두 번째로 테스트될 수 있다; 및/또는
- 제2 안구에 대한 표적 구역은 제1 안구에 대해 결정된 값에 기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적어도 원기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는,
- 시각적 표적;
- 사람이 시각적 표적을 볼 수 있게 하는 조정 가능한 원기둥 렌즈; 및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원기둥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을 위한 새로운 광학 용품을 주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비점수차를 결정하는 단계;
- 새로운 광학 용품에 대한 주문 요청이 원거리의 기업체로 전송되는 주문 단계를 포함하며, 주문 요청은 적어도 사람의 비점수차의 표시 및 새로운 광학 용품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을 위한 새로운 광학 용품을 주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는 단계;
- 새로운 광학 용품에 대한 주문 요청이 원거리의 기업체로 전송되는 주문 단계를 포함하며, 주문 요청은 적어도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의 표시 및 새로운 광학 용품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을 위한 광학 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법은,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주문 요청이 생성되는 주문 수신 단계;
- 광학 용품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파라미터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 결정 단계;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 또는 비점수차에 기초하여 새로운 광학 용품이 사람에게 제공되는 광학 용품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액세스 가능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제1 및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된 명령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방법의 적어도 제1 및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실행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명령 시퀀스를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제1 및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수행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이제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단지 실시예로서 설명될 것이며, 도면으로서:
-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 또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 2는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 또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의 원기둥 성분을 결정하기 위한 종래의 접근법을 도시한다;
- 도 3은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 또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의 원기둥 성분을 결정하기 위한 상이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자극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요소는 간명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며,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일부 요소의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돕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또는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 안구 렌즈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교정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또는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표준 극 형식 굴절력 또는 크기 및 축 또는 방위 분해 대신에, 원기둥의 벡터 분해를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 측정 장치 제공 단계(S1);
- 제1 벡터 결정 단계(S2); 및
- 제2 벡터 결정 단계(S4)를 포함한다.
측정 장치 제공 단계(S1) 동안,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벡터 결정 단계(S2) 동안,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1 벡터의 성분이 결정된다. 제2 벡터 결정 단계(S4) 동안,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2 벡터 성분은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2 벡터 결정 단계(S4) 동안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의 벡터 분해는 2개의 직교 방향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직교 방향의 방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J0/J45 분해일 수 있다. J0/J45 분해는 극 형식의 비점수차(C, 축)의 비점수차 분해로서, 굴절력(S)의 구면 렌즈 및 2개의 잭슨 교차 원기둥 렌즈로서 정의된 3-투플(tuple)의 직교 값(S, J0, J45)으로 종래의 구면-원기둥 표기법을 대체하는 것에 해당하며, 2개의 잭슨 교차 원기둥 렌즈 중 하나는 J0 = (-C/2)*cos(2*축)의 굴절력으로 0° 축에 있고, 다른 하나는 J45 = (-C/2)*sin(2*축)의 굴절력으로 45° 축에 있다.
표준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에 더 가깝게 하기 위해, 2개의 직교 방향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비점수차 방향 및 이의 수직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직교 방향은 2개의 방향을 따라 인지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초기 비점수차 방향으로부터 +22.5° 및 -22.5°의 분해일 수 있다. 초기 비점수차가 널인 경우, 관례상 초기 방향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테스트되는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게 동일한 정확도를 제공한다.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정의된 임의의 변경 또는 스텝은 직교 방향 중 하나를 따라 디옵터로 정의된다. 그 다음, 적용할 새로운 값은 필요한 경우 (Cyl, 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J0/J45 좌표계에서, 표준 극 형식의 비점수차(Cyl, 축)로 복귀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01
및 축 =
Figure pct00002
, 여기서 Jdir은 제1 방향과 초기 비점수차 방향 사이의 편차이다.
유리하게는, 측정 장치 제공 단계 동안 제공된 측정 장치는 연속 값들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교정 시스템 또는 포롭터(phoropter)를 포함한다. 테스트된 값은, 예를 들어 1° 스텝 축마다 0.25D 스텝의 렌즈를 사용하는 표준 포롭터 또는 검사용 안경테와 같이, 이산값만을 허용하는 교정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방법 동안 언제라도 반올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동일한 방식으로 두 방향들을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동질의 측정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초기 원기둥 교정 방향에 더 가까운 방향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시작하도록 권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구현할 때 종래와 같은 축 대신에, 원기둥 굴절력으로 시작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선호된 교정으로 거리를 각각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경우 유사한 양태로 블러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킴으로써 인지 양태가 변경되므로, 피검사자가 다루기가 더 용이한 굴절력 방향이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축을 변경하면 더 복잡한 인지 변화가 유발되어, 피검사자의 선택을 더 어렵게 하므로, 전체적인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최상의 교정을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을 시작하는 경우, 제1 방향에 대해서는, 피검사자는 제2 방향의 교정의 나머지 잔류 오차를 다뤄야 하는 반면에, 제2 방향 축에 대해서는, 제1 방향의 잔류 오차가 이미 최소화되었다. 따라서, 다른 방향에 대해 잔류 오차가 최소화되는 경우, 더 복잡한 교정, 즉 축 방향을 다루기가 더 용이하다.
더욱이, 시작점은 대체로 비점수차의 굴절력보다는 축에 대해 더 정확하므로, 또 다시, 다른 축에 대해 최소 잔류 오차를 유지하면서 굴절력을 먼저 다루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또한, 가장 큰 잔류 오차를 최소화하기 시작하는 것이 더 좋다.
각각의 성분은 단순한 계단식 절차로 개별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법은 J0/J45 평면에서 예를 들어, 마우스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직접적 2D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되거나 무작위화된 2D 포인트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반복된 결과들로부터 계산된 최상의 타원형 표준 편차의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최상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측정이 반복될 수 있다.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는 방향은 다음과 같이 피검사자의 응답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렌즈 1이 선호되는 경우, 테스트된 성분을 증가시킨다.
렌즈 2가 선호되는 경우, 테스트된 성분을 감소시킨다.
"잘 모름"의 응답인 경우, 이전과 같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고정된 양의 반복, 고정된 양의 반전, 또는 몇 번의 "잘 모름" 응답 이후에 중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피검사자의 응답은 렌즈 1, 렌즈 2, "잘 모름 또는 동일"의 3가지 유형의 응답을 허용하는 키패드 또는 기타를 통해 직접적으로 등록될 수 있다.
렌즈 1로부터 렌즈 2로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색법(additive process)이 필요하다. 이전의 키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잘 모름" 키가 테스트되었고, 쉽고 포괄적인 솔루션인 것으로 보인다.
대안적인 솔루션은 피검사자가 렌즈 1 내지 렌즈 2로 교대로 진행하게 하여 선호하는 렌즈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즉, "잘 모름"을 응답하거나 선택할 수 있음).
"잘 모름" 응답은 임의의 처리 전에 이전의 응답과 동일한 응답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첫 번째 응답이 "잘 모름"인 경우, 초기 값의 변경이 요청될 수 있다.
응답이 고려되었다는 피드백으로서 피검사자에게 음향이 재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각적 피드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응답된 측에 기호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 피드백은 현재 렌즈 1 또는 렌즈 2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피검사자에게 표시해야 하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경우 응답한 측에 해당하는 좌측 또는 우측에 기호/막대를 디스플레이해야 한다.
디스플레이된 자극은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위해 종래에 사용된 몰타(Maltese) 포인트일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시력 검사표 글자 또는 자극이 사용될 수 있다.
역 대비, 즉 검정색 배경 상의 흰색 시력 검사표 글자가 더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표준 대비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굴절을 따라 잭슨 교차 원기둥 값을 적응시키도록 피검사자의 시력을 측정하기 위해, 시력 검사표(ETDRS...)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어 제2 벡터 결정 단계 이전에, 표적 구역 결정 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적 구역 결정 단계(S3) 동안,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의 표적 구역이 결정된다. 표적 구역은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테스트되어야 하는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의 일부에 해당한다.
구역 결정 단계 동안 결정된 표적 구역의 크기는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다.
표적 구역의 크기 및/또는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블러에 대한 피검사자의 민감도에 적응될 수 있다. 블러에 대한 피검사자의 민감도는 본 발명의 방법 이전에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때 평가될 수 있다.
표적 구역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표적 구역 결정 단계(S3) 동안 결정된 표적 구역 크기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표적 구역의 크기 및/또는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표적 구역을 결정하면,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만을 테스트하여 고유한 변동 방향을 먼저 선택함으로써 결정된 제2 벡터의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만을 테스트하여 3차원의 고유한 변동 방향을 추가로 선택함으로써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된다.
선택은, 2차원 원기둥 평면으로 나타낸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고유한 변동 방향을 제1 선택하는 단계, 원기둥 평면에 수직이고 제1 선택된 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낸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최종적인 고유한 변동 방향을 제2 선택하는 단계의 2개의 단계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해 정반대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표적 구역에 포함된 새로운 원기둥 교정 값을 "테스트하는 것"은, 가능한 최종 교정에 해당할 필요가 없고 표적 구역에 포함될 필요가 없는 비교될 2개의 교정을 피검사자에게 제시하는 것과 동등하다. 실제로, 비교될 2개의 교정은 대체로, 잭슨 교차 원기둥이라 불리는, 널 구면 성분을 갖는 거의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의 테스트되는 새로운 원기둥 교정 값에 해당한다.
결정된 교정을 피검사자에게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사람이 착용한 것과 구해진 교정이 동일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참조 좌표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테에서 원기둥 교정의 적절한 방위를 보장하기 위해 장착 및 굴절 시점에 축 원점에 대한 공통의 참조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피검사자의 2개의 동공을 통과하는 참조 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때, 포롭터 또는 교정 시스템은 항상 수평으로 설정되는 대신에, 피검사자의 2개의 동공 축에 대해 정렬된다. 이러한 축은 원기둥 축 방위에 대한 널 참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안경사는 일반적으로 렌즈의 광학 중심을 정렬시키기 위한 테에서의 동공 높이를 구하기 때문에, 테에 렌즈를 장착할 때 동일한 참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참조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비점수차 교정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사람에게 부여된 임의의 다른 참조가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 위치 또는 안구의 맞교차부(commissure)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에 대한 제한 없이 실시형태의 도움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많은 추가적인 변형 및 변경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할 때 자체적으로 당업자에게 제시될 것이며,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실시예로서 주어지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단독으로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 관사 "a" 또는 "an"은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지 상호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상이한 특징들이 상술된다는 점만으로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임의의 참조 부호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5)

  1.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측정 장치가 제공되는 측정 장치 제공 단계;
    -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상기 원기둥의 제1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1 벡터 결정 단계; 및
    - 상기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으로 상기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제2 벡터 결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벡터 성분은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상기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결정되는,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벡터 성분은 상기 벡터 성분이 J0/J45 좌표계에서 표현되는 경우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원기둥의 값과 무관하도록 결정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의 표적 구역이 결정되는 표적 구역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적 구역은 상기 원기둥의 제2 벡터의 성분이 테스트되어야 하는 상기 2차원 벡터 원기둥 표현의 일부에 해당하고,
    상기 구역 결정 단계 동안 결정된 상기 표적 구역의 크기는 상기 원기둥의 값과 무관한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및 원기둥 교정을 3차원 벡터 표현의 벡터로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구역의 크기 및/또는 상기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블러에 대한 사람의 민감도에 적응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상기 표적 구역 크기에 기초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구역의 크기 및/또는 상기 잭슨 교차 원기둥의 값은 상기 절차 동안 변경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의 벡터 분해는 2개의 직교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렌즈는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교정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2개의 직교 방향 중 하나는 상기 사람의 안구의 초기 비점수차 방향에 해당하는, 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상기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만을 테스트하여 고유한 변동 방향을 먼저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는, 방법.
  11. 제4항에 따른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잭슨 교차 원기둥 절차 동안, 상기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만을 테스트하여 3차원의 고유한 변동 방향을 추가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 벡터의 성분이 결정되며,
    상기 선택은, 상기 2차원 원기둥 평면으로 나타낸 상기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고유한 변동 방향을 제1 선택하는 단계, 상기 원기둥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제1 선택된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낸 상기 표적 구역의 주변부에 대한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최종적인 고유한 변동 방향을 제2 선택하는 단계의 2개의 단계로 분리되는, 방법.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구역은 원형 형상을 갖는, 방법.
  13.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적어도 원기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 시각적 표적;
    - 사람이 상기 시각적 표적을 볼 수 있게 하는 조정 가능한 원기둥 렌즈; 및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원기둥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적어도 원기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14. 사람을 위한 새로운 광학 용품을 주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새로운 광학 용품에 대한 주문 요청이 원거리의 기업체로 전송되는 주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문 요청은 적어도 상기 안구 렌즈의 상기 원기둥의 표시 및 새로운 광학 용품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람을 위한 새로운 광학 용품을 주문하기 위한 방법.
  15. 사람을 위한 광학 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4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주문 요청이 수신되는 주문 수신 단계;
    - 상기 광학 용품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파라미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 결정 단계; 및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 안경테 상에 장착될 안구 렌즈의 원기둥에 기초하여 새로운 광학 용품이 상기 사람에게 제공되는 광학 용품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사람을 위한 광학 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29388A 2017-05-02 2018-05-02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642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5485.9 2017-05-02
EP17305485.9A EP3398501A1 (en) 2017-05-02 2017-05-02 Method for determining astigmatism of an eye of a person
PCT/EP2018/061207 WO2018202713A1 (en) 2017-05-02 2018-05-02 Method for determining astigmatism of an eye of a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11A true KR20200002811A (ko) 2020-01-08
KR102642326B1 KR102642326B1 (ko) 2024-03-04

Family

ID=5870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388A KR102642326B1 (ko) 2017-05-02 2018-05-02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09131B2 (ko)
EP (1) EP3398501A1 (ko)
JP (1) JP2020518858A (ko)
KR (1) KR102642326B1 (ko)
CN (1) CN110602977B (ko)
BR (1) BR112019020352A2 (ko)
CA (1) CA3060367A1 (ko)
WO (1) WO2018202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373A1 (ja) * 2022-08-12 2024-02-1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決定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決定支援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118A (ko) * 1999-02-12 2001-11-15 야마나까 마모루, 스즈키 히로시 안경 렌즈 및 그 제조방법
US20030030774A1 (en) * 2001-08-01 2003-02-13 The Ohio State University Clinical refractive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5303A (en) * 1977-01-05 1978-08-08 Guyton D L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fractive correction for an eye
US4130361A (en) * 1977-06-06 1978-12-19 Humphrey Instruments, Inc. Lens meter without relatively moving optical parts
US4185896A (en) * 1978-02-27 1980-01-29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Refractor cross-cylinder apparatus
DE2901459C2 (de) * 1979-01-16 1984-07-12 J.D. Möller Optische Werke GmbH, 2000 Wedel Phoropter
AU7755581A (en) * 1981-07-22 1983-01-27 Bausch & Lomb Incorporated Motorized refractor
SU1602446A1 (ru) * 1987-07-28 1990-10-30 Моск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лазных болезней им.Гельмгольца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 хрусталикового астигматизма
US5740815A (en) * 1995-06-07 1998-04-21 Alpins; Noel A. Method for surgically achieving minimum astigmatism measured refractively and topographically
US6467906B1 (en) * 1992-08-10 2002-10-22 Noel Ami Alpins System for evaluating and correcting irregular astigmatism in the eye of a patient
NZ249444A (en) * 1992-08-10 1996-07-26 Noel Ami Alpins Astigmatism analysis for determining surgical correction
JP2740936B2 (ja) * 1993-12-01 1998-04-15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的屈折力検査装置
CN1145455C (zh) * 1999-07-30 2004-04-14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自适应光学视网膜成像系统(2)
TW594218B (en) * 2000-07-03 2004-06-21 Alps Electric Co Ltd Reflector an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81748B2 (ja) * 2004-07-05 2010-06-16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JP4535867B2 (ja) * 2004-12-28 2010-09-01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JP4777810B2 (ja) * 2006-03-30 2011-09-21 株式会社トプコン 自覚式検眼装置
EP1862110A1 (en) * 2006-05-29 2007-12-05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optimizing eyeglass lenses
US8007103B2 (en) * 2008-08-15 2011-08-30 Carl Zeiss Vision Gmbh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ption of visual aids
EP3269296A1 (en) * 2008-12-01 2018-01-17 Perfect Vision Technology (HK) Ltd. Methods and devices for refractive correction of eyes
EP2392961B1 (en) * 2009-01-30 2019-06-26 HOYA Corporation Method for evaluating eyeglass lens, method for designing eyeglass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ES2737857T3 (es) * 2010-07-16 2020-01-16 Zeiss Carl Vision Inc Lente progresiva con optimización de frente de onda
JP2013012277A (ja) * 2011-06-29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5974325B2 (ja) * 2012-09-11 2016-08-23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レンズのクラス判別方法
BR112015008843B1 (pt) * 2012-10-18 2022-05-03 Essilor International Método implementado por meio de computador para fornecer pelo menos parte de um equipamento de óculos adaptado para um usuário, dispositivo de rede de processamento de dados,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US9784992B2 (en) * 2013-02-11 2017-10-1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eyeglass prescription
PL2954368T3 (pl) * 2013-02-11 2019-03-29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osób i system dobierania recept okularów korekcyjnych
JP6560664B2 (ja) * 2013-04-29 2019-08-14 エシロール エンテルナショナル ブロッキング計算モジュール
CN203290874U (zh) * 2013-06-04 2013-11-20 蒋晓捷 全自动电脑验光仪
US20160327808A1 (en) * 2013-12-26 2016-11-10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for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and lens supply system
FR3016705B1 (fr) * 2014-01-20 2017-06-16 Essilor Int Systeme de compensation visuelle et dispositif binoculaire d'optometrie
US9572487B2 (en) * 2014-02-03 2017-02-21 Parrot Drones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active adjustment of a parameter of a continuously variable optical lens
CN106030382B (zh) * 2014-02-18 2021-01-19 依视路国际公司 用于优化佩戴者的光学镜片设备的方法
CN103969849A (zh) * 2014-05-11 2014-08-06 万美林 一种可以降低眼睛屈光度的方法及眼镜
EP3143456B1 (en) * 2014-05-12 2022-02-16 Essilor Intern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 resolution corrective ophthalmic lenses
JP7044724B2 (ja) * 2016-06-14 2022-03-30 プレンオプティカ インク 調整可能レンズベースの屈折検査
EP3272274A1 (en) * 2016-07-22 2018-01-24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dioptric parameter of an ophthalmic lens to be provided to a pers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118A (ko) * 1999-02-12 2001-11-15 야마나까 마모루, 스즈키 히로시 안경 렌즈 및 그 제조방법
US20030030774A1 (en) * 2001-08-01 2003-02-13 The Ohio State University Clinical refractive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8501A1 (en) 2018-11-07
US20200064656A1 (en) 2020-02-27
KR102642326B1 (ko) 2024-03-04
BR112019020352A2 (pt) 2020-04-28
JP2020518858A (ja) 2020-06-25
CN110602977B (zh) 2022-06-07
CA3060367A1 (en) 2018-11-08
CN110602977A (zh) 2019-12-20
WO2018202713A1 (en) 2018-11-08
US11409131B2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3276C (en) System for integrally measuring clinical parameters of visual function
US10898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fractive error of an eye based on subjective distance metering
KR102489910B1 (ko) 사람에게 제공될 안구 렌즈의 시력 교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US9492075B2 (en) Prism prescription value acquisition system, acquisition method, acquisition apparatus and program for correcting fixation disparity
JP7295938B2 (ja) 乱視度数検査に関する画像を表示する画面を有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使用して前記乱視度数検査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対応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KR102642326B1 (ko) 사람의 안구의 비점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N116634920A (zh) 主观屈光检查系统
US20240148245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 sensitivity of at least one eye of a test subject
KR20100104330A (ko)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CN109349999B (zh) 一种主观验光方法
US112025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mediate assessment of an eye
US202302661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ounded value of an optical feature of an ophthalmic lens adapted to provide a dioptric correction for improving the vision of a subject
US116538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utomated subjective refraction
Goyal et al. Estimation of spherical refractive errors using virtual reality headset
JP2023149724A (ja) 屈折度数決定方法
Viirre Dynamic assessment of binocular eye movement coordination: norms and functional implications
JP2024515460A (ja) 近方視及び/又は中間視条件における被検者の眼の屈折特性の正確な値を決定する方法
Worfold Hyperpho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