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330A -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330A
KR20100104330A KR1020090022676A KR20090022676A KR20100104330A KR 20100104330 A KR20100104330 A KR 20100104330A KR 1020090022676 A KR1020090022676 A KR 1020090022676A KR 20090022676 A KR20090022676 A KR 20090022676A KR 20100104330 A KR20100104330 A KR 20100104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p
fatigue
stimulus
visual fatigue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철
김용석
서준호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330A/ko
Publication of KR2010010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3차원 디스플레이에 제시되는 입체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하는 시각적 피로도를 EEG(뇌파) 생체신호에 기반 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시각적 피로감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a)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ERP 피로도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후보 ERP 요인(사상유발전위 요인)을 획득하는 단계; (b)획득된 ERP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c) N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ERP 시각피로감 측정 요인을 도출하는 단계; (d) N명 피험자의 ERP 피로도 점수로부터 모집단 피로도 분포를 구성하는 단계; (e) 특정 피험자의 ERP 요인 기반 피로도 점수가 전체 모집단 피로도 분포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절차를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3차원 디스플레이와 입체영상에 의해 유발되는 시각 피로도 측정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객관적 시각 피로감을 측정하는 ERP 요인을 적절하게 추출하고 추출된 ERP 요인인 3D 시각 피로도를 제대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측정하는지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EEG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타당하고 신뢰로운 객관적인 시각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피로도, 측정, EEG, ERP, 생체신호

Description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A system and method measuring objective 3D display-induced visual fatigue using 3D oddball paradigm}
본 발명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시되는 컨텐츠(또는 입체영상)를 볼 때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피로감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기반 피로감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특히 본 발명은 EEG를 통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피로감과 상관이 높은 ERP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된 ERP 요인의 점수에 근거하여 전체분포에서의 피로감 점수를 결정하는 기술 분야에 속한다.
사람이 3차원 입체감을 지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정보는 두 눈에 맺히는 상의차이, 즉 양안시차인데, 3차원 입체영상은 바로 이 양안시차 정보를 시청자에게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입체영상의 구현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의 입체영상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시각피로의 문제이다.
시각피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시각피로의 원인이 규명되어야 하고 시각피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시각피로의 원인이 될 것으로 예 상되는 변인을 체계적으로 조작하면서 시각피로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시각피로의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시각피로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로운 측정도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상기의 문제점 때문에 시각피로 연구 역시 부족하다. [문헌 1]은 융합성 안구운동(convergence eye movement)과 렌즈의 조절, 그리고 이 둘의 불일치가 시각피로감에 영향을 미침을 검증한 연구로써, HDTV와 3D-HDTV가 유발하는 시각피로감을 단일문항 피로감 측정도구와 vergence-accommodation 측정을 통하여 비교한 것이고, [문헌 2]는 HDTV에 3D 디스플레이가 제시될 때 주시점 변인 그리고 움직임 변인이 시각적 피로감 유발에 중요한 변인임을 검증한 것으로서, 시각적 피로감을 단일 문항으로 측정한 연구이고, [문헌 3]은 좌우영상 불일치가 시각적 불편감을 유발하는 변인임을 단일문항 피로감 측정을 통하여 검증한 것이며, [문헌 4]는 NTT에서 개발한 3D 융합 디스플레이(depth-fused 3-D: DFD)가 전형적인 2D 디스플레이와 비교할 때 차이가 없는 시각피로감을 유발함을 단일 문항 피로감 측정을 통하여 검증한 것이다.
[문헌 1] Yano, S., Ide, S., Mitsuhashi, T. & Thwaites, H., "A study of visual fatigue and visual comfort for 3D HDTV/HDTV images," Displays, 23, 191-201(2002).
[문헌 2] Yano, S., Emoto, M. & Mitsuhashi, T., "Two factors in visual fatigue caused by stereoscopic HDTV images," Displays, 25, 141-150 (2004).
[문헌 3] Kooi, F. L. & Toet, A., "Visual comfort of binocular and 3D displays," Displays, 25, 99-108 (2004).
[문헌 4] Suyama, H. Ishigure, I., Takada, H., Nakazawa, K., Hosohata, J., Takao, Y. & Fujikado, T., "Evaluation of visual fatigue in viewing a depth-fused 3-D display in comparison with a 2-D display," NTT Technical review, 3, 82-89(2005).
[문헌 5] Emoto, M., Nojiri, Y. & Okano, F., "Changes in fusional vergence limit and its hysteresis after viewing stereoscopic TV," Displays, 25, 67-76 (2004).
많지는 않지만 생체신호에 기반 하여 시각피로감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특허가 존재한다. 객관적인 생체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피로감을 측정하는 기술로서, 이마와 코의 피부 온도차와 눈의 깜박임 정도(일본공개특허 1997-023451호), 시각 유발 전위(VEP: Visual Evoked Potential)(일본공개특허 1998-052402호), 안구의 이동(일본공개특허 1996-019520호), 동공의 변화(한국공개특허 1999-016853호)를 관찰하여 피로감을 측정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이 방법들이 과연 시각적 피로감을 측정하는지 그리고 신뢰도 높게 시각피로감을 측정하는지에 대해 그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지 않았다.
시각피로감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시각피로감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체신호 측정 역시 시각피로감의 직접적인 지표는 되지 못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생체신호 기반 시각피로감 측정도구는 시각피로를 유발할 것으로 알려진 변인을 조작할 때에 그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생체신호일 뿐 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제안된 시각피로감 측정 생체신호가 과연 시각피로감을 제대로 측정하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출원) 10-2008-0005049호는 정성적인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안하면서 동시에 측정 문항을 제안하였다. 이 특허의 특징은 기존의 정성적 측정도구가 시각피로도를 하나의 요인으로 가정하였던데 비하여 시각피로도를 독립적인 5개의 하위 요인(눈 통증 요인, 시청중단 욕구 요인, 속 울렁거림 요인, 신체통증 요인, 상흐림 요인)으로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내용과 같이 기존 방법들이 고려하지 못한 3D oddball paradigm에 근거한 객관적인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각피로도 측정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를 시청한 시청자를 대상으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ERP 피로도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후보 ERP 요인을 획득하는 단계, (b)획득된 ERP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c) N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결정된 ERP 시각피로감 측정 요인을 도출하는 단계, (d) N명 피험자의 ERP 피로도 점수로부터 모집단 피로도 분포를 구성하는 단계, (e) 특정 피험자의 ERP 요인 기반 피로도 점수가 전체 모집단 피로도 분포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상이한 깊이에 있는 2개의 무선점 평면 입체자극(표준자극과 목표자극)을 구성하는 단계, (a2) EEG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 (a3) 80:20의 비율로 표준자극과 목표자극을 일정한 시행 수 동안 제시하는 단계, (a4) EEG 측정을 종료하고 사상유발전위(ERP)를 분석하는 단계, (a5) 사상유발전위 요인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5)단계는, (a51) 표준자극으로부터 획득된 ERP파형과 목표자극으로부터 획득된 ERP파형의 차이파형을 획득하는 단계, (a52) 차이파형에서 최대 차이파형이 나타나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a53) ERP Epoch시점과 최대 차이파형이 나타나는 시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최대차이 시점 지연시간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ERP검출에 참여한 N명의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정성적 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 (b2) N명 피험자의 ERP 요인 피로도 점수와 정성적 피로도 측정치 간의 상관을 분석하는 단계, (b3) 상관계수에 대해 유의도를 검증하는 단계, (b4) 상관계수와 유의도에 근거하여 ERP 요인 피로도 측정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4)단계는 상관계수 > 0.75 이고 유의도 <.05 일 경우에 ERP요인 피로도 측정치가 타당하고 신뢰로은 측정치임을 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ERP요인에 근거한 피로도 측정 방법을 개발함에 있어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한 측정장치가 피험자의 반응을 입력받는 반응입력부, oddball paradigm을 구현함에 있어서 3D 시각자극을 제시하는 자극제시부, 3D 자극 을 제시하는 동안 피험자의 뇌파에서 ERP를 계산하기 위한 EEG 분석부, 그리고 ERP에서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측정치로 이용될 ERP 요인을 도출하는 ERP 요인 도출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에 기반을 둔 객관적인 3차원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피로감 측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는 객관적 피로감 측정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피로감 측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객관적 피로도를 측정하는 ERP 요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신뢰도 높고 타당한 객관적인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생체신호에 기반 하여 객관적으로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한 객관적인 생체신호 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 측정을 위해서 도 1과 같이 전체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객관적인 시각피로감 측정장치는 EEG 측정장치(40)와 데이터베이스(50)를 구비한다. 상기 피험자(11)들은 3D 디스플레이(20)을 시청하면 서 3D oddball paradigm을 수행하면서 EEG 측정장치로 뇌파를 측정받게 되고 여기서 측정된 뇌파는 객관적인 3D 시각피로장치내의 ERP요인 분석과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대적인 분포위치 결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3D 시각피로도 점수로 계산된다. 피험자 집단(10)은 피험자(11)들의 집단으로 전체 분포의 특성(모양과 대푯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3D 디스플레이는 입체영상등 3차원 콘텐츠를 보여 주는 장치로서 상기 객관적인 3D 시각피로 측정장치에 의해 3D oddball paradigm에서 사용하는 표준자극과 목표자극을 제시하는데 이용되며 구체적인 표준자극/목표자극의 특성은 시각피로 측정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의 객관적인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의 객관적인 시각적 피로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객관적인 3D 시각피로감을 측정하는 방법은, (a)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시각피로도 측정 ERP 요인을 결정하는 단계(S110); (b) ERP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S120); (c) N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결정된 ERP 요인의 시각피로도 점수를 구하는 단계(S130); (d) 상기 N개의 피로도 점수를 이용하여 모집단 피로도 분포를 구하는 단계(S140); (e) 측정대상인 3D 디스플레이를 시청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객관적인 시각피로도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S150); (f) 측정된 피로도 점수를 모집단 분포에 근거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S160)로 나뉜다.
상기 (a)단계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ERP 요인 피로도 측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단계는 (a1) 3D oddball paradigm에서 사용될 무선점으로 구성된 평면 입체자극으로 80% 비율로 나타나는 관찰자에게서 멀리 떨어진 표준자극과 20% 비율로 나타나는 관찰자에게 가까이 있는 목표자극을 구성하는 단계(S111); (a2) 피험자가 자극에 반응하는 동안 피험자의 뇌파를 EEG로 측정할 수 있도록 EEG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S112); (a3) 80:20의 비율로 표준자극 또는 목표자극을 무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S113); (a4) 무선적으로 선택된 자극이 표준자극인지 목표자극인지를 판단하여 자극을 제시하는 단계(S114); (a5) 시행이 완료되면 EEG 측정을 종료하고 사상유발전위(ERP)를 분석하는 단계(S115); (a6) 사상유발전위 요인을 검출하는 단계로 나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관적인 시각피로감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인데, 객관적인 시각피로감 측정장치는 피험자의 반응을 받는 반응입력부(31), 3D oddball paradigm에서 피험자에게 제시되어야할 자극을 제시하는 자극제시부(32), 피험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는 EEG 분석부(33), EEG 분석으로부터 ERP 요인을 추출하는 요인추출부를 포함하고, 이렇게 추출된 피험자들의 ERP 요인은 ERP 요인측정 DB(51)을 구성한다. 또한 측정된 개개인의 3D oddball 피로감 점수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표준화부(36) 와 표준화에 근거하여 구성한 3D oddball 피로감 분포 DB(52) 그리고 이 분포로부터 개별 피험자의 상대적인 피로감 점수를 판별하는 분포판별부(37)가 있다.
상기 (b)단계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RP요인의 시각피로감 측정치로서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b)단계는 (b1) ERP 요인 검출에 참여한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정성적 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S121); (b2) 피험자들의 ERP 요인 점수와 정성적 피로도 측정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S122); (b3) 상관계수에 대하여 유의도를 검증하는 단계(S123); (b4) 상관계수 및 유의확률에 근거하여 ERP요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b4)단계에서, 상관계수>0.75 이고 p<0.05 조건을 만족시키면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를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고(S125),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S124).
상기 (a6)단계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상유발전위(ERP) 검출에 대한 블록도인데, 표준자극 ERP와 목표자극 ERP의 차이파형을 구하는 단계(S1161), 차이파형에서 최대 ERP 차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S1162), ERP Epoch 시점과 최대차이 시점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S1163) 그리고 S1163으로부터 최대차이 시점 지연시간을 도출하는 단계(S11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위한 실질적인 탐색연구에서 최대차이시점 지연시간이 2D 영상 시청조건보다는 3D 영상 시청조건에서 더 길었고 동시에 3D 영상을 오래 시청할수록 최대차이 시점 지연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단계 중에서 (c) ~ (f)단계는 국내특허(10-2008-0005049호)에서 사용한 방법으로 여기에서 그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 시청 시 발생하는 시각피로감을 측정하는데 이용이 가능하고, 특히, 객관적인 생체신호 측정에 근거하여 3D 디스플레이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시각피로 요인을 규명하는 데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관적인 생체신호 기반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 및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관적인 생체신호(ERP) 기반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ERP 요인 피로도 측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관적인 시각피로감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RP요인의 시각피로감 측정치로서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ERP 요인 추출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험자 집단 11 : 피험자
20 : 3D 디스플레이 30 : 객관적인 3D 시각피로 측정장치
40 : EEG 측정장치 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한 객관적인 생체신호 신호 기반 3D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시각피로도 측정 ERP 요인을 결정하는 단계;
    (b) ERP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
    (c) N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결정된 ERP 요인의 시각피로도 점수를 구하는 단계;
    (d) 상기 N개의 피로도 점수를 이용하여 모집단 피로도 분포를 구하는 단계;
    (e) 측정대상인 3D 디스플레이를 시청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객관적인 시각피로도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측정대상인 3D 디스플레이 피로도 점수가 위하는 상기 모집단 피로도 분포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G 생체신호 기반의 객관적인 3D 디스플레이 시각적 피로도 측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3D oddball paradigm에서 사용될 무선점으로 구성된 평면 입체자극으로 80% 비율로 나타나는 관찰자에게서 멀리 떨어진 표준자극과 20% 비율로 나타나는 관찰자에게 가까이 있는 목표자극을 구성하는 단계;
    (a2) 피험자가 자극에 반응하는 동안 피험자의 뇌파를 EEG로 측정할 수 있도록 EEG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
    (a3) 80:20의 비율로 표준자극 또는 목표자극을 무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a4) 무선적으로 선택된 자극이 표준자극인지 목표자극인지를 판단하여 자극을 제시하는 단계;
    (a5) 시행이 완료되면 EEG 측정을 종료하고 사상유발전위(ERP)를 분석하는 단계;
    (a6) 사상유발전위 요인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oddball paradigm을 이용한 ERP 요인 3D 디스플레이 시각피로도 측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ERP 요인 검출에 참여한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정성적 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
    (b2) 피험자들의 ERP 요인 점수와 정성적 피로도 측정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b3) 상관계수에 대하여 유의도를 검증하는 단계;
    (b4) 상관계수 및 유의확률에 근거하여 ERP요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RP 시각피로도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4) 단계는,
    상관계수>0.75 이고 p<0.05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면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를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RP 시각피로도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6) 단계는,
    (a61) 표준자극 ERP와 목표자극 ERP의 차이파형을 구하는 단계;
    (a62) 차이파형에서 최대 ERP 차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a63) ERP Epoch 시점과 최대차이 시점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a64) (a63)단계로부터 최대차이 시점 지연시간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유발전위(ERP) 3D 시각피로도 요인 검출방법.
  6.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시청한 피험자들에게 3D oddball paradigm을 실시하면서 EEG 신호를 측정하고, 반응을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생체신호 기반 객관적 3D 디스플레이 시각 피로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반응을 받는 반응입력부;
    3D oddball paradigm에서 피험자에게 제시되어야할 자극을 제시하는 자극제시부;
    피험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는 EEG 분석부;
    EEG 분석으로부터 ERP 요인을 추출하는 요인추출부를 포함하고, 이렇게 추출된 피험자들의 ERP요인은 ERP 요인 측정 DB;
    측정된 개개인의 3D oddball 피로감 점수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표준화부;
    표준화에 근거하여 구성한 3D oddball 피로감 분포 DB;
    분포로부터 개별 피험자의 상대적인 피로감 점수를 판별하는 분포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관적인 생체신호 기반 3D 디스플레이 시각적 피로 측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입력부는,
    3D oddball paradigm 형식을 따라 피험자로 하여금 제시되는 자극이 표준자극인지 목표자극인지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시각피로와 관련된 변인이 특정 뇌파를 발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도록 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 시각 피로도를 측정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제시부는,
    표준화자극으로서 전체시행의 80%는 피험자에게 먼 3차원 공간에 나타나게 하고, 목표자극으로서 전체시행의 20%는 피험자에게 가까운 3차원 공간에 나타나게 함으로써 목표자극에 대한 피험자의 주의를 유발하고, 시각피로도로 인한 주의작용의 저하를 뇌파를 통하여 측정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 시각피로도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090022676A 2009-03-17 2009-03-17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4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76A KR20100104330A (ko) 2009-03-17 2009-03-17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76A KR20100104330A (ko) 2009-03-17 2009-03-17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30A true KR20100104330A (ko) 2010-09-29

Family

ID=4300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676A KR20100104330A (ko) 2009-03-17 2009-03-17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3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526A (zh) * 2012-04-23 2012-09-12 中国医学科学院生物医学工程研究所 观看3d影像致不适感的脑电信号功率谱与r值评价方法
KR101357800B1 (ko) * 2012-12-21 2014-02-04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지 피로 평가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KR101432044B1 (ko) * 2013-01-28 2014-08-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뇌파 기반의 시각 피로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06725281A (zh) * 2016-11-15 2017-05-31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心电信号分析的三维显示视疲劳评测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526A (zh) * 2012-04-23 2012-09-12 中国医学科学院生物医学工程研究所 观看3d影像致不适感的脑电信号功率谱与r值评价方法
KR101357800B1 (ko) * 2012-12-21 2014-02-04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지 피로 평가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KR101432044B1 (ko) * 2013-01-28 2014-08-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뇌파 기반의 시각 피로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06725281A (zh) * 2016-11-15 2017-05-31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心电信号分析的三维显示视疲劳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59293B2 (en) System for integrally measuring clinical parameters of visual function
JP6340503B2 (ja) 目追跡システム及び利き目を検出する方法
JP5437992B2 (ja) 視覚能力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5503081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3次元用メガネ
EP2946719B1 (en) Prism prescription value acquisition system, acquisition method, acquisition device, and program for correcting fixation disparity
JP2018520820A (ja) 視覚の様相を検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41318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ease and accuracy of gaze tracking
US95724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human vision
US202201105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ntrast sensitivity threshold
WO2010061547A1 (ja) 眼に関する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106175657A (zh) 一种视力自动检测系统
KR20100104330A (ko)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0995972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있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감 측정방법 및 장치
US2017033294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plopia assessment
CN105100791B (zh) 一种用于测量立体视觉舒适度的系统及方法
DK3287074T3 (en) Method of recording the cerebral cognition time and device for recording the cerebral cognition time
CN116781884B (zh) 一种单眼立体视的数据采集方法及装置
JP7548637B2 (ja) 眼優位性を定量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363637A1 (en) Remote subjective refraction techniques
WO2004112598A1 (en) Method of testing and corresponding vision aid
TW202327509A (zh) 附帶瞳孔徑測量功能的眼戴裝置
Du et al. Study of objective parameters of 3D visual fatigue based on analysis of salient area
JP2023136726A (ja) 視線分析装置、視線分析方法、視線分析プログラム及びトレーニング方法
JP2006167276A (ja) 固視微動量推定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