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70U -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670U
KR20200002670U KR2020190002225U KR20190002225U KR20200002670U KR 20200002670 U KR20200002670 U KR 20200002670U KR 2020190002225 U KR2020190002225 U KR 2020190002225U KR 20190002225 U KR20190002225 U KR 20190002225U KR 20200002670 U KR20200002670 U KR 202000026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edium
mushroom
movable
bin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610Y1 (ko
Inventor
황재석
Original Assignee
황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석 filed Critical 황재석
Priority to KR2020190002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1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01G18/22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e.g. bott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6Cultivation ba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는 버섯배지재료의 비닐봉투에 대한 입봉작업과 비닐봉투의 개방부 밀봉을 위한 결속작업의 자동화하여, 노동력 절감과 아울러 신속처리로 작업효율 향상으로 생산성을 높인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Automated Packaging And Binding Apparatus of Mushroom Media}
본 고안은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버섯배지재료를 비닐봉투 내에 넣는 입봉(入封)작업과 그리고 버섯배지 재료가 입봉된 비닐 봉투의 개방부 밀봉을 위한 결속작업을 자동화에 의한 신속 처리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느타리, 표고와 같은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톱밥으로 이루어진 버섯 배지재료를 일정 규격의 비닐봉투 내부로 개방부를 통하여 넣은 후, 비닐봉투로부터 버섯 배지재료가 이탈 됨이 없도록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닐 봉투의 개방부를 결속함은 익히 주지된 사실인데, 비닐봉투에 버섯배지 재료를 넣는 작업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일환으로 개발된 입봉기에 대한 것들은 하기 특허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톱밥을 주원료로 만들어진 버섯재배용 배지 재료를 일정한 규격의 비닐봉지에 입봉(봉지 내에 투입후 입구를 묶어 밀봉처리)시 보다 신속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기계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는 모터와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교반날개유닛이 장치되어 있는 톱밥재료 통; 상기 톱밥재료 통의 하부 전측에 일정한 길이 돌출상태로 구성되는 톱밥배출용 안내관; 상기 톱밥배출용 안내관을 포함한 톱밥재료 통 밑바닥에 설치되고 톱밥재료를 앞으로 밀어서 배출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톱밥이송용 스크류; 상기 톱밥배출용 안내관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전방에는 설치되고, 상기 톱밥배출용 안내관을 통해 빠져나오는 톱밥이 그 배출구에 미리 씌워 놓은 비닐봉지 내부로 담겨질 때 일정한 밀도와 압력으로 설정이 되도록 자동조절이 가능한 톱밥 투입밀도 자동조절장치; 상기 톱밥 투입밀도 자동조절장치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고, 톱밥 투입밀도 자동조절장치로 부터 이탈된 비닐봉지형 톱밥배치를 다음 공정(비닐봉지의 입구를 단단하게 묶는 작업)으로 전달하기 위한 컨베어장치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2는 '원료를 투입하도록 내부가 개방되며, 하부 중간에는 공압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작동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본체 내부를 관통하는 교반부재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체인부재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측에 모터부가 연결된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수단을 수용하며 수평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타측 하부에는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전달받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통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대응하도록 직선거리 이격, 형성되어 공압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을 감싸서 원료가 채워진 비닐을 적출하며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에서 낙하하는 입봉물을 소정의 포집부에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에어 실린더의 일측으로 고정 브라켓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가이드와 상기 가압부재와 소정 형상의 제2 에어실린더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수단과 상기 본체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상기 입봉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비닐류를 이송부재의 표면에 장착만 하면,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입봉작업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인력투입의 최소화와 작업시간의 단축 및 생산비 절감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3은 '상부에 설치면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면의 일측에는 제 1 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설치프레임이 구비되는 테이블과, 상측에는 입구가 하측에는 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톱밥과 종균이 포함된 배지재료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와 상기 제1설치프레임 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지재료가 혼합되게 하는 교반수단과, 상기 호퍼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호퍼 내에서 교반된 상기 배지재료가 상기 출구를 통해 정량 배출되게 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제2설치프레임측에 수직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짐수단과, 상기 설치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일 간격마다 비닐포트가 위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비닐포트가 상기 배출수단 및 다짐수단 하측에 연속적으로 위치되게 하여 상기 비닐포트 내에 상기 배지재료가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충전되게 하고 상기 비닐포트에 충전된 상기 배지재료가 상기 다짐수단에 의해 다져지게 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설치면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과 연결되며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가 포함되는 것에 의하여, 버섯 재배에 사용되는 배지재료가 비닐포트 내에 자동으로 연속 충전됨과 동시에 다져짐으로써 노동력이 절감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 작업효율이 뛰어난 버섯재배용 배지 입봉장치이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에 의하여 공표된 기술은, 버섯 배지재료를 비닐봉투에 넣는 입봉 작업의 기계화에 따른 노동력 절감 및 작업 시간의 단축에 따른 입봉작업의 생산성 향상은 달성할 수 있으나, 버섯 배지재료가 입봉된 비닐봉투의 개방부의 밀봉을 위한 결속작업은 버섯배지재료의 입봉 작업후,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따르게 되고, 그 결과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버섯배지재료를 비닐봉투 내에 넣는 입봉(入封)작업과 그리고 버섯배지재료가 입봉된 비닐봉투의 개방부 밀봉을 위한 결속 작업의 신속 처리를 위한 자동화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
KR 특허등록 제10-1485702호 KR 특허등록 제10-1497874호 KR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129960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섯배지재료의 비닐봉투에 대한 입봉작업과 비닐봉투의 개방부 밀봉을 위한 결속작업의 자동화에 따라 노동력 절감과 아울러 신속처리로 작업효율 향상으로 생산성을 높인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는, 버섯배지를 만들기 위해 한겹 혹은 두겹으로 장착되는 소정 크기의 비닐봉투의 내부로 버섯배지재료를 밀어 넣는 버섯배지재료 입봉부;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와 인접위치에서 상기 버섯배지재료 입봉부로부터 왕복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재료 입봉부로부터 버섯배지재료의 입봉이 완료된 상기 버섯배지를 수용지지 하여,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의 용이한 결속을 위해 상기 버섯배지를 경사진 상태로 전달하는 버섯배지 전송부;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버섯배지를 직립 상태로 입설되게 지지하고, 입설된 상기 버섯배지의 버섯배지 재료를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확개한 상태를 유지하여 버섯배지 재료 만을 가압하며, 가압된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연성의 결속핀으로 폐합후 직립 상태로 배출시킬수 있게 하는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는,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와 일체로 설치된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 측으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로부터 배출되는 버섯배지를 수용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로에 경사지게 배출하는 일단은 개방되는 반면 타단은 폐쇄단부를 이루게 하여 상기 기체에 고정 한 반원형 고정통체와 양단이 개방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와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부를 이루게 함과 아울러 배출시에는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로부터 경사지게 개방되게 한 반원형 가동통체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반송통과 상기 가이드 바의 하부에서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이 상기 버섯배지 이송과 배출을 할 수 있는 이동로 및 경사로를 제공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이동되게 결합된 안내륜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의 이동로를 따라 길게 설치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반송 통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을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는, 상기 기체의 기판체(基板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상기 기판체에 회전되게 지지하되, 스텝핑 모터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과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설치한 회전판체; 상기 회전판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반원형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 내에 각각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회전판체와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하되, 개방된 쪽을 상기 회전판체의 외방을 향해 위치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버섯배지를 용이하게 수용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수납부를 제공하는 개방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반원형 수납체;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의 후측에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각각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가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수용시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를 개방하도록 확개된 상태를 이루고, 수용 완료 후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를 감싸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를 폐쇄하게 한 핑거들과 이 핑거들을 작동 하는 원판형 작동 캠으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잠금 및 해지수단; 상기 반원형 수납체의 상부에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원형 수납체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측으로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확개되게 지지하는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과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과 인접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에 의하여 확개된 입구부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 재료를 치밀하게 가압하는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 상단을 어느 일측으로 쳐짐이 없도록 잡아주는 파지수단과 상기 파지수단과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ㄷ자형 결속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결속핀을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에 의하여 파지된 버섯배지 입구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하게 가압하면서 상기 버섯배지 입구부를 기밀적으로 폐쇄하는 버섯배지 결속수단으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대응 위치에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의 후측에서 개방공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기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결속이 완료된 상태로 수용지지된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버섯배지 잠금 및 해지수단에 의한 해지 상태에서 상기 개구공을 통하여 밀어서 배출시키는 배출 실린더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배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핑거부들은 상기 회전판체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내홈을 제공하는 단면에서 보아 ㅁ자형 구조를 갖는 고정구들과 상기 고정구들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 고정바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전후로 이동하게 결합된 가동구와 상기 반원형 수납체를 감싸는 상태로 2개가 한조를 이루게 상하로 위치하여 링크부재들을 개재하여 상기 가동구에 절곡(折曲)작동 하게 결합시킨 위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을 이루며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위치되는 자유단부에는 지지바들이 설치된 핑거들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게 수직으로 헐겁게 결합하되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작동캠과 접하게 하는 반면 하단은 상기 가동구에 결합된 이동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판형 작동캠은,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 헐겁게 결합하여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 하되, 상기 원판형 작동캠에 형성한 굴곡진 캠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캠 경로가 상기 이동핀의 상단과 접하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체와 같이 상기 핑거부들의 회전시 상기 이동핀이 상기 캠 경로에 의하여 상기 안내홈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핀에 결합한 상기 가동구 또한 전,후진 이동 시킴에 의해, 상기 가동구측에 절곡(折曲)작동 하게 결합시킨 상기 링크부재들이 상기 가동구측을 지지점으로 회동 작동하게 하여 상기 핑거들을 확개 혹은 폐쇄 상태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의 수납부의 개방부를 개방 혹은 폐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은,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된 고정판체의 복수개소로부터 상하 이동하게 입설된 가동바들과 상기 고정판체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바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소정넓이의 개방공을 갖는 가동판체와 상기 고정판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판체에 결합된 가동판체 상,하 이동실린더 와 상기 가동판체의 개방공에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2개의 원형링크부재 및 복수개의 반원형 링크부재들과 직선형 링크부재들을 위치후 상호 연동하게 결합하여 확장 혹은 축소 작용을 하게 한 링크 연동체와 상기 링크 연동체의 상기 직선형 링크부재들의 자유단 각각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확장되게 지지할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지지바들과 상기 가동판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연동체의 직경이 큰 상기 원형링크부재의 어느 일단에 결합한 링크 연동체 작동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판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가동판체의 개방공 중앙을 경유하여 상기 가동판체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통하여 내부 위치까지 도달할수 있게 한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버섯배지 재료를 가압하는데 제공되게 한 원형상의 가압판으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은,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된 안내바로부터 현가되는 상태로 상기 안내바에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의 일측에서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된 작동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게 결합된 판 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로부터 하방으로 현가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가동체에 결합된 설치판을 구비하여 상기 설치판에 상호 치합되게 설치한 한쌍의 피니언 기어와 어느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회동하게 결합하는 반면 타단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협지하는 상태로 잡을 수 있게 한 한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가동체로부터 상기 피니언 기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선단에 일체로 결합된 랙기어를 어느 하나의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게한 파지부재 작동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버섯배지 결속수단은,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기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ㄷ자형 결속핀을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장전할 수 있는 장전실을 제공하는 결속핀 장전대와 상기 결속핀 장전대의 하단에서 상기 장전실의 결속핀 출구를 향하여 직각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결속핀 출구로부터 자중으로 배출되는 결속핀을 상기 버섯배지 측으로 탈리되게 미는 밀대와 상기 밀대에 결합된 밀대 작동 실린더와 상기 밀대와 대향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와 상호 접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결속핀을 상기 버섯배지를 결속할 수 있게 받쳐주는 받침롤러가 설치된 받침대를 갖는 받침대 이동 실린더와 상기 밀대를 보호하는 케이싱에 상호 대향 설치한 한쌍의 파지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케이싱에 회동하게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받침대 이동 실린더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위 하방부분을 상기 결속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좁혀지게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구를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버섯배지재료의 입봉작업과 개봉부 결속작업의 자동화에 따른 신속처리로 생산성을 높인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의 전체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부분인 버섯배지의 재료 입봉부분 만을 분리하여 내부를 보이게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1의 B부분 만을 분리하여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을 일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C"부분인 버섯배지의 결속 장치부분 만을 분리하여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요부만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일부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7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D"부분을 분리하여 일부를 생략하고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11a,11b는 도 10의 "E"부분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들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0의 작동 상태를 일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들이고,
도 15는 도 6의 "F"부분을 일측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도면이고,
도 16a,도 16b는 도 6의 "F"부분을 상부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평면도로서 작동 상태를 각각 표시한 것이고,
도 17은 도 15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결속이 완료된 버섯 배지의 배출 상태를 일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원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의 전체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버섯원료 입봉부(100), 버섯배지 전송부(200), 및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부 즉, 버섯원료 입봉부(100), 버섯 배지 전송부(200), 및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에 대한 상세 구성은 이하에서 각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1의 "A"부분인 버섯배지의 재료 투입부분 만을 분리하여 내부를 보이게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1의 B부분 만을 분리하여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을 일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도면1과 같이 참조하면서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100)와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버섯재료 입봉부(100)>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100)는 비닐봉투(11)(도5참조)에 버섯배지 재료(12)를 입봉한 버섯배지(10)(도5참조)를 만들기 위해, 한겹 혹은 두겹으로 장착되는 소정 크기의 비닐봉투(11)의 내부로 버섯 원료를 밀어 넣는 작용을 한다.
잘 알려진바와 같이,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100)는 미 도시한 톱밥 등을 혼합하여 만든 버섯배지 재료 공급수단에 의해 일정량의 버섯배지 재료가 투입되고, 내부에는 기체(101)에 지지된 구동모터(102)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다수개의 교반날개(103-1)를 갖는 교반기(103)가 설치된 버섯배지재료 공급호퍼(104)와,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호퍼(104)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호퍼(104)의 하부 앞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버섯배지재료 공급관(105)과,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관(105) 내부 및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호퍼(104)의 바닥 내부로 설치되어 버섯배지재료를 앞으로 밀어서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관(105)의 배출구(106)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107)와, 그리고 상기 기체(101)에 장착된 상기 모터(102)와 전동기어(112a,112b,112c) 전동체인 (111a,111b,111c)을 통하여 상기 교반기(103) 및 상기 이송 스크류(107)와 연계된 전동수단(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섯배지 전송부(200)>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는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100)가 고정 설치된 상기 기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 바(201a,201b)와, 상기 가이드 바(201a,201b)를 따라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100) 측으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버섯 배지(10)를 수용 지지함과 아울러 경사 이송로(202)(도 5참조)에 경사진 상태로 배출하는 일단은 개방(212a)된 반면 타단은 폐쇄단부(212b)를 이루게 하여 상기 기체(101)에 고정 상태를 이루게 한 반원형 고정통체(212)와 상기 고정통체(212)와는 달리 양단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212)와 결합시 내부로는 상기 버섯배지(1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 공간부(215)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원형 공간부(215)에 수용하게 되는 상기 버섯배지(10)를 배출시에는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212)로부터 경사지게 개방되게 하는 반원형 가동통체(214)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반송통(210)과 상기 가이드 바(201a,201b)의 하부에서 상기 기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이 상기 버섯배지 이송과 배출을 할 수 있는 수평로(221) 및 경사로(222)를 제공하는 안내레일(220)과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220)에 이동되게 결합된 이동각(225) 및 이에 설치된 안내륜(224)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101)의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가이드 바(201a,201b)를 따라 길게 설치된 랙기어(232)와 이 랙기어(232)에 결합된 피니언기어(231)와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231)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정역 구동모터(233)로 이루어져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을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230)을 구성하고 있다.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는 회전축(310)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축(310)은 도6 내지 도9의 표시와 같이, 상기 기체(101)(도 1참조)의 기판체(基板體)(31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입설하여 상기 기판체(311)에 회전되게 축(軸) 지지하였고, 또한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에서 기체(101)에 고정 지지한 스텝핑 모터(312)와 전동체인(314)으로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도면(도 6내지 도9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회전축(310)의 하부 측에는 상기 회전축(310)에서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310)과 일체로 결합하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310)과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설치한 원형상의 회전판체(320)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도 6내지 도9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회전판체(320)는 상기 회전판체(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반원형상의 고정홈부(3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홈부(322)의 각각에는 상기 고정홈부(322)내에 각각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회전판체(320)와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하되, 개방부(332)쪽을 상기 회전판체(320)의 외방을 향해 위치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의 경사진 이송로(202)(도 6참조)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버섯배지(10)(도 5 참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개방공(335)이 형성된 수납부(334)를 제공하는 다수개의 반원형 수납체(3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수개의 반원형 수납체(330)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도면(도6 내지 도9 참조) 표시와 같이,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330)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330)의 후측에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330)과 각각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10)(도 5참조)가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330)에 수납(혹은 배출)시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개방부(332)를 개방 상태로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버섯배지(10)가 수납된 후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330)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수납부(334)의 개방부(332)를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핑거부들(342)과 이 핑거부들(342)을 작동하게 하는 원판형 작동캠(344)으로 이루어진 잠금 및 해지수단(3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핑거부들(342)은, 도8 및 도9의 표시와 같이, 상기 회전판체(320)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내홈(342-1)을 제공하는 단면에서 보아 ㅁ자형 구조를 갖는 고정구들(342-2)과 상기 고정구들(342-2)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 고정바(342-3)에 스프링(342-4)을 개재하여 전후로 이동하게 결합된 가동구(342-5)와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를 감싸는 상태로 2개가 한조를 이루게 상하로 위치하여 링크부재들(342-6)을 개재하여 상기 가동구(342-5)에 절곡(折曲)작동 하게 결합시킨 위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을 이루며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위치되는 자유단부에는 지지바들(342-9)이 설치된 휭거들(342-8)과 상기 안내홈(342-1)을 따라 이동하게 수직으로 헐겁게 결합하되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작동캠(344)과 접하게 하는 반면 하단은 상기 가동구(342-5)에 결합된 이동핀(342-7)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도 8 및 도9) 표시와 같이, 상기 원판형 작동캠(344)은 상기 회전축(310) 주위로 헐겁게 결합하여 상기 기체(101)(도1 및 도6참조)에 고정지지 하되 상기 원판형 작동캠(344)에 굴곡진 캠 경로(344-1)를 형성 한 것으로, 이 캠 경로(344-1)가 상기 이동핀(342-7)의 상단과 접하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체(320)와 같이 상기 핑거부들(342)의 회전시 상기 이동핀(342-7)이 상기 원판형 작동캠(344)의 굴곡진 상기 캠 경로(344-1)에 의하여 상기 안내홈(342-1)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핀(342-7)에 결합한 상기 가동구(342-5)역시 전,후진 이동 시킴에 의해, 상기 가동구(342-5)측에 절곡(折曲)작동하게 결합시킨 상기 링크부재들(342-6)가 상기 가동구(342-5)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작동하게 하여 상기 핑거들(342-8)을 확개 혹은 폐쇄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핑거들(342-8)로 하여금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수납부(334)의 개방부(332)를 도 9의 표시와 같이 개방 혹은 폐쇄한다.
도면(도 6 및 도 10 내지 도 14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상부에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를 확개되게 지지하는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과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과 인접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에 의하여 확개된 입구부(13)(도 13참조)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10)의 재료(12)(도13참조)를 치밀하게 가압하는 버섯배지재료 가압수단(354)으로 된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도10, 12 내지 도14)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은, 상기 기체(101)(도 1 참조)에 고정지지된 고정판체(351)의 복수개소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입설된 가동바들(353)과 상기 고정판체(351)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바들(353)의 하단에 결합되는 소정넓이의 개방공(357)을 갖는 가동판체(355)와 상기 고정판체(351)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판체(355)에 결합된 가동판체 상하이동실린더(356)와 상기 가동판체(355)의 개방공(357)에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2개의 원형링크부재(352-3,352-4) 및 상기 원형링크부재(352-3,352-4)를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반원형 링크부재들(352-5) 및 일단은 상기 원형링크부재(352-4)와 반원형 링크부재들(352-5)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링크부재(352-4)의 중앙으로 자유롭게 위치하게 한 대략 삼각형의 직선형 링크부재(352-6)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확장 혹은 축소 작용을 하게 한 링크 연동체(352a)와 상기 직선형 링크부재(352-6)의 자유단 각각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를 확장되게 지지할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지지바들(352-7)과, 상기 가동판(352-1)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 연동체(352a)의 큰 직경의 상기 원형링크부재(352-3)의 어느 일단에 결합한 링크 연동체 작동 실린더(352-8)로 구성하였다.
도면(도10, 12 내지 도 14)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354)은 상기 고정판체(351)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가동판체(355)의 개방공(357)중앙을 경유하여 상기 가동판체(355)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를 통하여 내부 위치까지 도달할수 있게 한 가압 실린더(354-1)와 상기 가압실린더(354-1)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버섯재료(13)를 가압하는데 제공되게 한 원형상의 가압판(354-3)으로 구성하였다.
도면(도 6 및 도 15내지 도17)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을 지난 위치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와 대응 위치에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은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상단을 어느 일측으로 쳐짐이 없도록 잡아주는 버섯배지 파지수단(362)과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과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ㄷ자형 결속핀(30)의 결속핀 공급부(366)로부터 공급되는 결속핀(30)을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에 의하여 파지된 버섯배지 입구부(13)의 둘레 부위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하게 가압하면서 입구부(13)를 기밀적으로 폐합하는 버섯배지 결속수단(364)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도 6 및 도 15내지 도17)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은,상기 기체(101)에 고정지지된 안내바(362-1)와 이 안내바(362-1)로부터 현가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내바(362-1)를 따라서 이동하게 결합된 판형상의 가동체(362-2)와 상기 안내바(362-1)의 일측에서 상기 기체(101)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가동체(362-2)에 결합되어 가동체(362-2)를 상기 안내바(362-1)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부여하는 작동실린더(363)와 상기 가동체(362-2)로부터 하방으로 현가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가동체(362-2)에 결합된 설치판(362-3)을 구비하여 상기 설치판(362-3)에 상호 치합되게 설치한 한쌍의 피니언기어(362-4)와 어느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362-4)와 같이 일체로 회동되게 결합하는 반면 타단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버섯배지(100의 입구부(13)를 집게 형태로 협지할 수 있게 한 한쌍의 파지부재(362-5)와 상기 가동체(362-2)로부터 상기 피니언 기어(362-4)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피니언 기어(362-4)와 맞물리게 설치한 랙기어(362-6)와 이 랙기어(362-6)를 작동하게 결합된 파지부재 작동 실린더(362-7)로 구성하고 있다.
도면(도 6 및 도 15내지 도17)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결속수단(364)은,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기체(101)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ㄷ자형 결속핀(30)을 수직 하방향으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게 장전할 수 있는 장전실(366-1)을 제공하는 결속핀 장전대(366-2)와 상기 결속핀 장전대(366-2)의 하단에서 상기 장전실(366-1)의 결속핀 출구(366-3)를 향하여 직각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결속핀 출구(366-3)로부터 자중으로 배출되는 결속핀(30)을 탈리되게 밀어서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에 수용된 버섯배지(10)측으로 결합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밀대(366-4)와 이 밀대(366-4)에 결합된 밀대 작동 실린더(366-5)로 이루어진 상기 결속핀 공급부(366)와, 상기 밀대(366-4)와 대향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366-4)와 상호 접하게 이동하여 상기 결속핀(30)을 상기 버섯배지(10)를 결속할 수 있게 받쳐주는 받침 작용을 하는 받침롤러(366-8)가 설치된 받침대(366-6)를 갖는 받침대 이동 실린더(366-7)와 상기 밀대(366-4)의 케이싱(373)에 상호 대향하여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파지용 실린더(371a,371b)와 상기 케이싱(373)의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와 대면 부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파지용 실린더(371a,371b)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에 수납된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위 하방 부분을 상기 결속핀(30)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좁혀지는 상태로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구(372a,372b)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도 6 및 도 18)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을 지난 위치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와 대응 위치에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후측에서 개방공(335)에 대응하는 상태로 기체(10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결속이 완료된 상태로 수용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를 상기 버섯배지 잠금 및 해지수단(340)에 의한 해지 상태에서 상가 개방공(335)을 통하여 밀어서 배출시키는 배출 실린더(382)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배출 수단(38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고안의 작용 일예를 다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 준비한 비닐통투(11)의 내부로 버섯재료(12)의 입봉을 위해, 상기 버섯배지 재료 공급관(105)의 배출구(106)측으로는, 상기 배출구(106)측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비닐봉투(11)를 장착할 수 있다(도 4의 가상선 참조). 상기 비닐통투(11)는 필요에 따라서는 강도 유지를 위해 2겹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비닐봉투(11)의 장착은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관(105)의 배출구(106)측으로 상기 비닐봉투(11)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수단(230)의 작동에 따른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의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이 상기 가이드 바(201a,201b)를 따라 상기 배출구(106)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빈 공간 내부로 상기 비닐봉투(11)와 같이 배출구(106)를 수용하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폐쇄단부(212b)가 상기 비닐봉투(11)가 장착된 상기 배출구(106)단부에 닿게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가 정지될 수 있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더 이상의 이동 작동은 없도록 하였다.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이동 완료와 함께, 상기 버섯배지 입봉부(100) 의 구동모터(102)의 작동을 개시하면, 상기 교반기(103)에 의해 균일하게 교반되는 버섯재료(12)를 상기 이송 스크류(107)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관(105)의 배출구(106)측으로 밀어서 상기 버섯배지재료 공급관(105)의 배출구(106)에 장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에 의하여 받쳐지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상기 비닐봉투(11)내부로 입봉한다.
상기 비닐봉투(11)내부로 상기 버섯배지 재료(12)가 입봉되는 순간 그동안 정지 상태로 있던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는 상기와는 반대로 후진 작동을 개시한다.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의 후진 작동 개시는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할 수 있으나, 상기 비닐봉투(11)의 내부로 상기 이송스크류(107)에 의한 입봉 작업시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측으로 작용되는 압력 검출 신호에 의하여 그동안 정지하고 있던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의 후진(역방향) 작동을 개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의 후진 작동 개시는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으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재료(12)가 입봉되는 상기 비닐봉투(11)를 수용 지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공급관(105)의 배출구(106)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내레일(220)에 이동되게 결합된 이동각(225)의 안내륜(224)에 의해 수평로(221)를 따라서 연속되는 경사로(222)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의 후진 작동 개시에 의한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이 상기 배출구(106)로부터 이격되는 순간, 상기 입봉부(100)의 구동모터(102)는 일시적으로 정지시키어 상기 배출구(106)측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새로운 비닐봉투(11)를 장착하여,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복귀를 기다리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상기 이동각(225)이 상기 경사로(222)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212)와 분리되게 결합되어 있던 상기 반원형 가동통체(214)가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212)로부터 경사지게 개방되면서,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에 수용하고 있던 상기 버섯배지(10)를 도 5의 표시와 같이 경사진 이송로(202)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출하여 도1 및 도6의 표시와 같이 인접 설치된 상기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측으로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전달되게 하여 신속한 결속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상기 이동각(225)의 경사로 진입이 확인 되면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는 후진 작동이 정지되고, 이어서 상기 버섯배지(10)의 배출로 인한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의 개방 확인은,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모터(233)의 전진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로 작용하게 할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비닐 봉투(11)의 장착이 완료된 상기 배출구(106)측으로 다시 이동되게 하여 상기와 같은 입봉 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버섯배지(10)는 도 1 및 도6의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와 인접 설치된 상기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300)측으로 입설된 상태로 전달된다.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입봉 완료된 상기 버섯배지(10)는 상기 스텝핑 모터(312)에 의한 상기 회전축(310)의 단계적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축(310)에 일체로 결합한 원판형상의 상기 회전판체(320)와 상기 회전판체(320)에 일체로 설치된 다수개의 반원형 수납체(330)를 단계적으로 회전 시키게 되어,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각각 구비된 잠금 및 해지수단(340)도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와 같이 단계적 회전되게 한다.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다수개의 반원형 수납체(330)중 어느 하나가 도1, 도6 및 도9의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200)의 상기 이송로(202)에 일치되게 위치하면, 상기 이송로(202)에 대면하게 위치된 어느 하나의 반원형 수납체(330)의 내부에 경사진 상기 이송로(202)를 타고 전송된 상기 버섯배지(10)가 즉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개방부(332)를 통하여 수납부(334)내부로 입설된 상태로 수납되고, 이때 도 9의 표시와 같이,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구비된 상기 잠금 및 해지수단(340)역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가 상기 이송로(202)와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정지시 상기 원판형 작동 캠(344)의 상기 캠 경로(344-1)에 의한 작동으로 상기 핑거부(342)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수납부(334)내부로 상기 버섯배지(10)가 수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원판형상의 회전판체(320)의 단계적 회전은 상기 버섯배지(10)를 수납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를 이동하여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과 대면하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은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가 위치됨이 확인되면, 도 10 내지 도 14의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이 먼저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측으로 이동하여 확개 작업을 한다.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의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측으로의 이동은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6)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6)의 신장 작동은 상기 가동판체(355)를 도 12 및 도 13의 표시와 같이, 하강 작동을 실행되게 하여 상기 가동판체(355)에 일체로 구비된 지지바들(352-7)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내측 까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동판체(355)에 설치된 상기 링크 연동체 작동 실린더(352-8)의 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링크 연동체 작동 실린더(352-8)에 의한 상기 링크 연동체(352a)의 확개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링크 연동체(352a)에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바들(352-7)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를 확장되게 한다(도 13 참조).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확장 이유는 상기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354)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내부로 진입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섯배지재료 가압수단(354)은 상기 가압 실린더(354-1)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가압 실린더(354-1)의 전진 작동은 상기 가압 실린더(354-1)에 구비된 가압판(154-3)을 상기 가동판체(355)의 개방공(357)을 경유후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352)에 의하여 확개된 입구부(13)로 삽입되어 상기 버섯배지(10)의 버섯재료(13)를 치밀 상태를 유지하게 가압한다.
상기 가압 실린더(354-1)의 후퇴작동은 상기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354)을 복귀시킨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56)의 후퇴 작동과 상기 링크 연동체 작동 실린더(352-8)의 후퇴 작동은 상기 가동판체(355)의 상승위치로 복귀와 아울러 상기 링크 연동체(352a)를 원래 위치로 축소되게 하여, 다음 이송되어 오는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확장 및 가압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원판형상의 회전판체(320)의 단계적 회전은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으로부터 상기 버섯배지(10)를 수납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를 이동하여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과 대면하는 상태로 위치시킨다.
도면(도1 6 및 도 15내지 도17)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을 경유한 위치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와 대응 위치에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350)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의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이 먼저 상기 반원형 버섯배지 수납체(330)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상단을 어느 일측으로 쳐짐이 없도록 잡아 준다.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은 상기 작동실린더(363)의 신장 작동의 개시에 의하여,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측으로 이동후, 이어서 상기 파지부재 작동 실린더(362-7)을 개시하여 상기 랙기어(362-6)로 하여금 상기 피니언 기어(362-4)를 회동되게 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362-4)에 설치된 한쌍의 파지부재(362-5)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100의 입구부(13)를 협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의 파지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과 인접 위치한 상기 버섯배지 결속수단(364)의 작동이 개시된다.
상기 버섯배지 결속수단(364)의 상기 ㄷ자형 결속핀(30)을 하나씩 미는 밀대 작동 실린더(366-5)의 작동 개시에 앞서, 상기 파지용 실린더(371)의 작동을 개시되게하여,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에 의해 파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위 하방 부분을 상기 파지구(372)로 하여금 협지하여 상기 결속핀(30)이 쉽게 결합될 수 있게 좁혀지는 상태를 유지한다(도 16a, 및 도16b 참조).
이어서 밀대 작동 실린더(366-5)와 이와 대응 위치한 상기 받침대 이동 실린더(366-7)의 전진(신장)작동을 개시한다. 상기 밀대 작동 실린더(366-5)의 전진 작동은 상기 결속핀 장전대(366-2)의 상기 장전실(366-1)에 장전되어 상기 결속핀 출구(366-3)로부터 자중으로 배출되게 대기하는 결속핀(30)을 한쌍의 파지구(372)에 의하여 좁혀지는 상태로 파지한 부위로 밀어서 상기 결속핀(30)이 상기 파지구(372)에 의하여 좁혀진 부위로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결속핀(30)은 상기 밀대 작동 실린더(366-5)와 대향하여 작동하는 상기 받침대 이동 실린더(366-7)의상기 받침대(366-6)에 의하여 받쳐지는 상태로 지지되면서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위 하방 부분을 견실하게 폐합하여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를 통하여 버섯배지 재료의 유출을 방지한다.(도 15 내지 도 17 참조). 상기 결속핀은 연성의 금속 재질이어서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폐합을 쉽게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362)의 상기 작동실린더(363)와, 상기 밀대 작동 실린더(366-5) 및 상기 받침대 이동 실린더(366-7)의 후진(후퇴) 작동은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을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이송되어 오는 상기 버섯배지(10)의 입구부(13)의 파지 및 결속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10)를 수납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회전 이동시에는 도 9의 표시와 같이,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구비된 상기 잠금 및 해지수단(340)이 상기 원판형 작동 캠(344)의 상기 캠 경로(344-1)에 의한 작동으로 상기 핑거부(342)로 하여금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상기 개방부(33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의 수납부(334)로부터 상기 버섯배지(10)의 이탈이 없도록 한다. 이 상태는 상기 원판형 작동 캠(344)의 상기 캠 경로(344-1)에 의하여 상기 버섯배지 배출 수단(380)의 직전 까지 유지된다.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원판형상의 회전판체(320)의 단계적 회전에 의해 상기 버섯배지(10)를 수납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는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360)으로부터 상기 버섯배지 배출 수단(380)으로 이동하여 상기 버섯배지 배출 수단(380)과 대면하게 위치 시킨다.
결속이 완료된 상기 버섯배지(10)를 수납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가 상기 버섯배지 배출 수단(38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구비된 상기 잠금 및 해지수단(340)역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가 상기 버섯배지 배출 수단(380)과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정지시 상기 원판형 작동 캠(344)의 상기 캠 경로(344-1)에 의하여 상기 핑거부(342)을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이어서 상기 배출 실린더(382)의 전진 작동이 개시되게 하여, 상기 반원형 수납체(330)에 결속이 완료된 상태로 수용지지된 상기 버섯배지(10)를 상기 버섯배지 잠금 및 해지수단(340)에 의한 해지 상태에서 개구공(335)을 통하여 밀어서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킨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하여 다음에 이송되어져 위치되는 상기 버섯배지(10)의 배출을 작업을 실행할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버섯재료 입봉, 버섯배지 전송, 버섯배지 결속 작업 등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버섯재료 입봉, 버섯배지 전송, 버섯배지 결속 작업은 연속하여 실시된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버섯배지의 입봉과 결속작업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10 : 버섯배지
11: 비닐 봉투
12 : 버섯배지재료
13: 입구부
100 : 버섯원료 입봉부
101 : 기체
102 : 구동모터
103 : 교반기
104 : 버섯배지재료 공급호퍼
105 : 버섯배지재료 공급관
106 : 배출구
107 : 이송 스크류.
200 : 버섯배지 전송부
201a,201b : 가이드 바
202 : 경사 이송로
210 : 버섯배지 반송통
212 : 반원형 고정통체
214 : 반원형 가동통체
220 : 안내레일
230 : 구동수단,
300 :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
310 : 회전축
312 : 스텝핑 모터
320 : 회전판체
322 : 고정홈부
330 : 반원형 수납체
340 : 잠금 및 해지수단
350 :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
352 :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
354 : 버섯배지재료 가압수단
360 :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
362 : 버섯배지 파지수단
364 : 버섯배지 결속수단
380 : 버섯배지 배출 수단

Claims (6)

  1. 버섯배지를 만들기 위해 한겹 혹은 두겹으로 장착되는 소정 크기의 비닐봉투의 내부로 버섯배지 재료를 밀어 넣는 버섯배지재료 입봉부;
    상기 버섯원료 입봉부와 인접 위치에서 상기 버섯배지재료 입봉부로부터 왕복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재료 입봉부로부터 버섯배지재료의 입봉이 완료된 상기 버섯배지를 수용지지 하여,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의 용이한 결속을 위해 상기 버섯배지를 경사진 상태로 전달하는 버섯배지 전송부; 및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버섯배지를 직립 상태로 입설되게 지지하고, 입설된 상기 버섯배지의 버섯배지재료를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확개한 상태를 유지하여 버섯배지재료 만을 가압하며, 가압된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연성의 결속핀으로 폐합후 직립 상태로 배출시킬수 있게 하는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를 포함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는,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와 일체로 설치된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 측으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재료 입봉부로부터 배출되는 버섯 배지를 수용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로에 경사지게 배출하는 일단은 개방되는 반면 타단은 폐쇄단부를 이루게 하여 상기 기체에 고정 한 반원형 고정통체와 양단이 개방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와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부를 이루게 함과 아울러 배출시에는 상기 반원형 고정통체로부터 경사지게 개방되게 한 반원형 가동통체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반송통과 상기 가이드 바의 하부에서 상기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이 상기 버섯배지 이송과 배출을 할 수 있는 이동로 및 경사로를 제공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이동되게 결합된 안내륜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의 이동로를 따라 길게 설치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반송 통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버섯배지 반송통을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결속 장치부는, 상기 기체의 기판체(基板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상기 기판체에 회전되게 지지하되, 스텝핑 모터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과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설치한 회전판체;
    상기 회전판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반원형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 내에 각각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회전판체와 같이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하되, 개방된 쪽을 상기 회전판체의 외방을 향해 위치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버섯배지를 용이하게 수용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수납부를 제공하는 개방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반원형 수납체;
    상기 반원형 수납체들의 후측에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각각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가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수용시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를 개방하도록 확개된 상태를 이루고, 수용 완료 후에는 상기 반원형 수납체를 감싸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를 폐쇄하게 한 핑거들과 이 핑거들을 작동 하는 원판형 작동 캠으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잠금 및 해지수단;
    상기 반원형 수납체의 상부에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원형 수납체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측으로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확개되게 지지하는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과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과 인접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에 의하여 확개된 입구부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배지 재료를 치밀하게 가압하는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확개 및 가압수단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수납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 상단을 어느 일측으로 쳐짐이 없도록 잡아주는 파지수단과 상기 파지수단과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ㄷ자형 결속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결속핀을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에 의하여 파지된 버섯배지 입구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하게 가압하면서 상기 버섯배지 입구부를 기밀적으로 폐쇄하는 버섯배지 결속수단으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 및
    상기 반원형 수납체와 대응 위치에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의 후측에서 개방공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기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파지 및 결속수단을 경유한 상기 반원형 수납체가 위치시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결속이 완료된 상태로 수용지지된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버섯배지 잠금 및 해지수단에 의한 해지 상태에서 상기 개구공을 통하여 밀어서 배출시키는 배출 실린더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들은 상기 회전판체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내홈을 제공하는 단면에서 보아 ㅁ자형 구조를 갖는 고정구들과 상기 고정구들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 고정바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전후로 이동하게 결합된 가동구와 상기 반원형 수납체를 감싸는 상태로 2개가 한조를 이루게 상하로 위치하여 링크부재들을 개재하여 상기 가동구에 절곡(折曲)작동 하게 결합시킨 위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을 이루며 상기 반원형 수납체에 위치되는 자유단부에는 지지바들이 설치된 핑거들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게 수직으로 헐겁게 결합하되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작동캠과 접하게 하는 반면 하단은 상기 가동구에 결합된 이동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판형 작동캠은,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 헐겁게 결합하여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 하되, 상기 원판형 작동캠에 형성한 굴곡진 캠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캠 경로가 상기 이동핀의 상단과 접하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체와 같이 상기 핑거부들의 회전시 상기 이동핀이 상기 캠 경로에 의하여 상기 안내홈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핀에 결합한 상기 가동구 또한 전,후진 이동 시킴에 의해, 상기 가동구측에 절곡(折曲)작동 하게 결합시킨 상기 링크부재들이 상기 가동구측을 지지점으로 회동 작동하게 하여 상기 핑거들을 확개 혹은 폐쇄 상태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반원형 수납체의 수납부의 개방부를 개방 혹은 폐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입구 확개수단은,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된 고정판체의 복수개소로부터 상하 이동하게 입설된 가동바들과 상기 고정판체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바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소정넓이의 개방공을 갖는 가동판체와 상기 고정판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판체에 결합된 가동판체 상,하 이동실린더 와 상기 가동판체의 개방공에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2개의 원형링크부재 및 복수개의 반원형 링크부재들과 직선형 링크부재들을 위치후 상호 연동하게 결합하여 확장 혹은 축소 작용을 하게 한 링크 연동체와 상기 링크 연동체의 상기 직선형 링크부재들의 자유단 각각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확장되게 지지할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지지바들과 상기 가동판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연동체의 직경이 큰 상기 원형링크부재의 어느 일단에 결합한 링크 연동체 작동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섯배지 재료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판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가동판체의 개방공 중앙을 경유하여 상기 가동판체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통하여 내부 위치까지 도달할수 있게 한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버섯배지 재료를 가압하는데 제공되게 한 원형상의 가압판으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은,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된 안내바로부터 현가되는 상태로 상기 안내바에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의 일측에서 상기 기체에 고정지지된 작동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게 결합된 판 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로부터 하방으로 현가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가동체에 결합된 설치판을 구비하여 상기 설치판에 상호 치합되게 설치한 한쌍의 피니언 기어와 어느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회동하게 결합하는 반면 타단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를 협지하는 상태로 잡을 수 있게 한 한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가동체로부터 상기 피니언 기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선단에 일체로 결합된 랙기어를 어느 하나의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게한 파지부재 작동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버섯배지 결속수단은, 상기 버섯배지 파지수단과 인접위치에서 상기 기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ㄷ자형 결속핀을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장전할 수 있는 장전실을 제공하는 결속핀 장전대와 상기 결속핀 장전대의 하단에서 상기 장전실의 결속핀 출구를 향하여 직각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결속핀 출구로부터 자중으로 배출되는 결속핀을 상기 버섯배지 측으로 탈리되게 미는 밀대와 상기 밀대에 결합된 밀대 작동 실린더와 상기 밀대와 대향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와 상호 접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결속핀을 상기 버섯배지를 결속할 수 있게 받쳐주는 받침롤러가 설치된 받침대를 갖는 받침대 이동 실린더와 상기 밀대를 보호하는 케이싱에 상호 대향 설치한 한쌍의 파지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케이싱에 회동하게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받침대 이동 실린더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입구부위 하방부분을 상기 결속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좁혀지게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구를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KR2020190002225U 2019-05-30 2019-05-30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KR200493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25U KR200493610Y1 (ko) 2019-05-30 2019-05-30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25U KR200493610Y1 (ko) 2019-05-30 2019-05-30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70U true KR20200002670U (ko) 2020-12-09
KR200493610Y1 KR200493610Y1 (ko) 2021-05-03

Family

ID=7378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25U KR200493610Y1 (ko) 2019-05-30 2019-05-30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1253A (zh) * 2021-01-29 2021-04-09 内黄县城关昌达食用菌机械研究所 一种智慧型装袋套环压盖装框一体机
KR20230019594A (ko) 2021-08-02 2023-02-09 황재석 버섯배지재료가 입봉된 비닐대의 자동 결속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027Y1 (ko) * 2002-01-08 2002-03-27 이춘란 버섯 재배용 톱밥 자동 주입장치
KR20030060386A (ko) * 2002-01-08 2003-07-16 이춘란 버섯 재배용 톱밥 자동 주입장치
KR100931333B1 (ko) * 2007-11-27 2009-12-11 세계정밀 주식회사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투입장치
KR101485702B1 (ko) 2013-09-24 2015-01-22 김유수 버섯재배시에 필요한 배지 제조용 톱밥 입봉장치
KR101497874B1 (ko) 2014-04-25 2015-03-05 한상용 입봉기
KR20160039911A (ko) * 2014-10-02 2016-04-12 김경화 버섯 재배봉지용 배지 충진장치
KR20160063752A (ko) * 2014-11-27 2016-06-07 유진균 버섯배지 자동 타공장치
KR20160129960A (ko) 2015-04-30 2016-11-10 주식회사 병선테크 버섯재배용 배지 입봉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027Y1 (ko) * 2002-01-08 2002-03-27 이춘란 버섯 재배용 톱밥 자동 주입장치
KR20030060386A (ko) * 2002-01-08 2003-07-16 이춘란 버섯 재배용 톱밥 자동 주입장치
KR100931333B1 (ko) * 2007-11-27 2009-12-11 세계정밀 주식회사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투입장치
KR101485702B1 (ko) 2013-09-24 2015-01-22 김유수 버섯재배시에 필요한 배지 제조용 톱밥 입봉장치
KR101497874B1 (ko) 2014-04-25 2015-03-05 한상용 입봉기
KR20160039911A (ko) * 2014-10-02 2016-04-12 김경화 버섯 재배봉지용 배지 충진장치
KR20160063752A (ko) * 2014-11-27 2016-06-07 유진균 버섯배지 자동 타공장치
KR20160129960A (ko) 2015-04-30 2016-11-10 주식회사 병선테크 버섯재배용 배지 입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1253A (zh) * 2021-01-29 2021-04-09 内黄县城关昌达食用菌机械研究所 一种智慧型装袋套环压盖装框一体机
CN112621253B (zh) * 2021-01-29 2024-04-19 内黄县城关昌达食用菌机械研究所 一种智慧型装袋套环压盖装框一体机
KR20230019594A (ko) 2021-08-02 2023-02-09 황재석 버섯배지재료가 입봉된 비닐대의 자동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10Y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610Y1 (ko) 버섯배지의 자동화 입봉 및 결속장치
CN106982647A (zh) 菌棒全自动打包装置
CN111216965B (zh) 一种全自动粮食装袋打包设备
CN112498758A (zh) 一种可回收垃圾打包设备
US41213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compressible material into flexible-walled containers
CN112277202A (zh) 一种可分类处理的打包塑料袋拆分装置
US3835761A (en) Skewering machine
CN115723989A (zh) 一种食品加工用干燥剂定量分装设备
CN212999813U (zh) 一种双轴桨叶混合机
CN112722771A (zh) 一种剑麻自动传输削皮装置
CN210592628U (zh) 给袋式包装机的装袋机构
CN208916793U (zh) 一种汤料输送灌装装置
CN215506575U (zh) 一种真空搅拌机
CN112938024A (zh) 全自动固体粉状颗粒物料袋中袋高速包装机
JP2006297401A (ja) 圧縮梱包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圧縮梱包方法
CN112319962A (zh) 一种全自动塑料袋折叠捆扎机
CN220032355U (zh) 多功能自动包装机
CN216375079U (zh) 一种用于混凝土减胶剂的下料装置
CN219361388U (zh) 一种干混砂浆机的定量输送机构
CN220221189U (zh) 饲料装袋装置
CN216189020U (zh) 一种造口袋生产过程中的自动输送机
CN115258536B (zh) 滤毒罐生产用装填设备
CN216734990U (zh) 一种自动定量包装机
CN217836284U (zh) 一种智能化扎口包装机
CN214493383U (zh) 一种装袋窝口插棒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