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49U -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49U
KR20200002549U KR2020190001982U KR20190001982U KR20200002549U KR 20200002549 U KR20200002549 U KR 20200002549U KR 2020190001982 U KR2020190001982 U KR 2020190001982U KR 20190001982 U KR20190001982 U KR 20190001982U KR 20200002549 U KR20200002549 U KR 202000025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ain body
cover
cab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68Y1 (ko
Inventor
임동인
Original Assignee
(주)정인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일렉텍 filed Critical (주)정인일렉텍
Priority to KR2020190001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6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도난방지용 출력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PCB를 포함하는 충전유닛이 구비되고, 이 충전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충전케이블이 결합되어 다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케이블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충전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출력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SPINNING FLOATING SENSOR CLEANER}
본 고안은 케이블 도난방지용 출력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PCB를 포함하는 충전유닛이 구비되고, 이 충전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충전케이블이 결합되어 다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케이블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충전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출력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MP3,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휴대가 가능한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기가 필수적인데, 통상의 충전기는 가정용의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하나의 충전기에 하나의 모바일기기만 충전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한 번에 여러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음식점, 편의점, 호텔, PC 게임방 등 일반 영업소 및 전시장 등의 경우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 정신으로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는 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충전기가 도난당함에 따라 그 피해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충전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4642호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전원장치와 상기 직류전원장치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충전잭을 갖는 충전케이블로 이루어진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잭과 연결가능한 연결잭과, 상기 연결잭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휴대폰의 전원연결포트와 삽입가능한 연장충전잭을 갖는 연장케이블로 이루어진 연장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24553호 "멀티 충전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원반 형태의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는 상용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고, 케이스 측면 둘레로는 등간격으로 전원 공급 대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복수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접속구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로 구성된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공공장소 등에서 불특정 다수를 위해 설치되는 경우, 연결케이블의 도난, 분실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업주는 도난이나 분실이 일어날 때 마다 케이블을 재구매해야 하는 등의 비용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난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657447호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기로서 일측에는 타원형의 제1 절개부가 한 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타원형의 제2 절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제1 오목타원절개부가 한 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오목타원절개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이면에는 고정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바닥체와 상기 USB단자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포트가 타측에는 복수개의 전선이 분기되어 상기 제1 오목타원절개부 및 제2 오목타원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토록 구비되고 끝단에는 복수개의 핸드폰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잭이 구비된 포트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체 내측에는 USB 단자안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USB 단자안착부와 연하여 포트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의 포트전선부가 구비되는 포트를 구성함에 있어, 포트안착부의 형상에 따라 포트를 선택해야함으로서 선택의 제한이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연결케이블(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을 사용할 수 없으며,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 구매 시 포함되어 있는 모바일기기 연결용 케이블을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포트를 더 구매해야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예를 들면, 2개로 분기되는 포트를 이용하다가 세 개로 분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세 개로 분기되는 별도의 포트를 재구매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중복투자로 인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나의 포트전선부가 망가지더라도 개별적으로 교체가 불가능하여 분기된 새로운 포트를 다시 구매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와,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충전케이블의 단부가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이 제1관통공을 통과하되,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단, 즉 PCB와 연결된 부분이 제1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충전케이블의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하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PCB에는 복수의 출력단자가 구비되고, 각 출력단자에 충전케이블이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벽부 내측에는 커버의 테두리를 지탱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더 구비하여, 커버가 본체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테두리에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제1-1관통공이 형성된 외벽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며, 전원공급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1관통공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1-2관통공이 형성된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원공급 케이블이 연결되는 입력부와 공급된 전원을 분배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PCB와, 상기 출력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충전케이블의 일단이 각각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충전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1관통공과 제1-2관통공이 형성하는 제1관통공에 충전케이블이 통과하여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이루어져 충전케이블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PCB를 포함하는 충전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충전케이블과 PCB의 연결부가 본체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 PCB를 구비하고, 이 PCB에 복수의 출력단자를 구비한 후, 충전케이블을 각각의 출력단자에 꼽아 전원을 분배하는 방식으로, 충전케이블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개별적으로 충전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PCB를 통하여 직접 분배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보다 안정적인 전압으로 공급하여 과전류 또는 과전압으로 인한 모바일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의 외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의 분해 및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의 실제 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하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여러대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특히 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장치(D)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 커버(20), 충전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테두리에 절곡 형성되어 후술하는 충전유닛(50)이 내장될 수 있도록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벽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부(13)에는 제1-1관통공(1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2 및 도 3을 기준으로 충전케이블(CC)이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전원공급 케이블(PC)이 구비되는 방향을 후방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다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벽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벽부(13)는 바닥부(11) 후방에 형성되는 후벽부(135), 상기 바닥부(11)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부(133), 상기 바닥부(11) 전방에 형성되는 전벽부(131)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을 토대로 상기 본체(10)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은 상기 외벽부(13)의 형상이 특이하게 이루어지는 바, 상기 후벽부(135)와 전벽부(131)의 길이(상기 바닥부(11)로부터의 길이를 말한다.)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벽부(131)의 길이가 상기 후벽부(135)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충전유닛(50)을 수용함에 있어, 복수의 충전케이블(CC)이 결합됨에 따라 발생되는 발열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각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육면체 또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측벽부(133)는 상기 후벽부(135)와 전벽부(131)의 형상과는 다르게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는 제2관통공(215A)을 커버(20)에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벽부(133)는 전측벽(133B)과 후측벽(133C)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측벽(133B)과 후측벽(133C)은 대응절곡부(133A)에 의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전측벽(133B)의 전방은 상기 전벽부(131)와 연결되고, 상기 후측벽(133C)의 후단은 후벽부(135)와 연결되며, 상기 대응절곡부(133A)와 바닥부(11) 사이의 길이는 상기 후벽부(135)보다 길게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대응절곡부(133A)와 후벽부(135)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해, 이 공간에 위치하는 커버(20)의 후덮개(215)에 제2관통공(215A)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외벽부(13)의 외면에는 복수의 주름부(133D)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핸들링 할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주름부(133D)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외벽부(13),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벽부(131)에는 제1-1관통공(1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1관통공(131A)은 도면에는 4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일 뿐 4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제1-1관통공(131A)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는 충전케이블(CC)을 개방된 방향에서 삽입 결합시키기 위함이며, 후술하는 제1-2관통공(231)에 의해 각각 하나의 공(제1관통공;제1-1관통공(131A)과 제1-2관통공(231)에 의해 형성된 공을 지칭하도록 한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커버(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부를 덮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1)와, 상기 덮개부(21) 전방에 형성되는 돌출돌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덮개부(21)는 상기 본체(10)의 수용부를 덮는 것으로, 상기 전측벽(133B)에 대응하는 전덮개(213)와, 상기 대응절곡부(133A)에 대응하는 절곡부(211) 및 상기 후측벽(133C)에 대응하는 후덮개(215)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덮개부(21)는 절곡부(211)에 의해 상기 전덮개(213)와 후덮개(215)가 서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는 본체(10)의 형상에 의해 추측 가능한 것으로,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본체(10)와 커버(20)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20)의 테두리가 상기 본체(10)의 외벽부(13)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외벽부(13) 내측 단부에는 상기 커버(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39) 아래에는 상기 외벽부(13) 내벽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137)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커버(20)가 안착부(139)를 벗어나 더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돌기(137)의 단부가 상기 커버(20)의 테두리 내측면을 지지하여 커버(20)가 수용부에 과도하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20)의 후방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관통공(215A)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20)의 전방에는 지지돌기(137)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돌기(137)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2관통공(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2관통공(231)에 충전케이블(CC)의 케이블 부분이 끼워져 충전케이블(CC)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관통공(제1-1관통공(131A)과 제1-2관통공(231)에 의해 형성된 공을 말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커버(20)의 지지돌기(137)는 덮개부(21) 테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커버(20)를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10)의 전벽부(131)와 상기 지지돌기(137)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제1관통공이라 함은, 상기 제1-1관통공(131A)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2관통공(231)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공(제1-1관통공(131A)을 외부에서 바라볼 때, 제1-2관통공(231)에 의해 하나의 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임)을 지칭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1관통공(131A)과 제1-2관통공(231)은 충전케이블(CC)의 서로 다른 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하나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방식에 비하여, 충전케이블(CC)의 흔들림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본체(10)와 커버(20)는 별도의 결합부재(4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결합부재(40)는 상기 커버(20)에 구비되는 수용부재(41)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볼팅부재(43) 및 상기 수용부재(41)와 볼팅부재(43)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미도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볼팅부재(43)와 상기 수용부재(41)(보다 엄밀하게는 수용부재(41)에 구비되는 볼트공을 말한다.)에 볼팅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본체(10)와 커버(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볼팅부재(43)의 단부에는 정위치플랜지(431)를 더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재(41)가 정위치플랜지(431) 내부에 인입됨으로서, 결합 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0)와 커버(20)를 볼팅결합 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본체(10)에는 받침부재(3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볼팅부재(43)에 결합된 체결볼트의 헤드를 숨기는 기능과, 상기 본체(10)를 설치면에 부착시키지 않고 거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11) 배면에 억지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11)의 외면 테두리에는 곡선형의 억지끼움부(11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30)는 이러한 바닥부(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외각에 곡면부(33)를를 구비하여 상호 억지끼움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30)의 전방에는 받침돌기(31)를 더 구비하여, 상기 충전장치(D)를 거치할 때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앞서 언급한 상기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는 충전유닛(50)이 내장되어 하나의 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충전유닛(50)은 PCB(51)와 출력단자(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PCB(51)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전원공급 케이블(PC)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입력부(511)에 연결되며, 상기 제2관통공(215A)을 관통하며, 끝단에 플러그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이 전원공급 케이블(PC)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PCB(51) 내의 회로를 통하여 출력부(513)를 통해 복수의 출력단자(53)로 분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본 고안은 상기 PCB(51)를 직접 내장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을 분배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513)에 복수의 출력단자(53)를 구비하여 각각의 충전케이블(CC)을 각각의 충전단자에 개별적으로 접속(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복수의 충전케이블(CC) 중 어느 하나가 문제가 되더라도, 문제가 되는 충전케이블(CC)만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고,
충전케이블(CC)의 케이블헤드(CC1)가 상기 제1관통공보다 크게 구성됨에 따라 본체(10)와 커버(20)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케이블(CC)을 분리시킬 수 없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는 충전케이블(CC)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됨에 따라 비용절감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충전장치
10 : 본체 11 : 바닥부
111 : 억지끼움부 13 : 외벽부
131 : 전벽부 131A ; 제1-1관통공
133 : 측벽부 133A : 대응절곡부
133B : 전측벽 133C : 후측벽
133D : 주름부 135 : 후벽부
137 : 지지돌기 139 : 안착부
20 : 커버 21 : 덮개부
211 : 절곡부 213 : 전덮개
215 : 후덮개 215A ; 제2관통공
23 : 돌출돌기 231 : 제1-2관통공
30 : 받침부재 31 : 받침돌기
33 : 곡면부 40 : 결합부재
41 : 수용부재 43 : 볼팅부재
431 : 정위치플랜지 50 : 충전유닛
51 : PCB 511 : 입력부
513 : 출력부 53 : 출력단자
CC : 충전케이블 CC1 : 케이블헤드
PC : 전원공급 케이블

Claims (4)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테두리에 절곡 형성되며 복수의 제1-1관통공이 형성된 외벽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며, 전원공급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1관통공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1-2관통공이 형성된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원공급 케이블이 연결되는 입력부와 공급된 전원을 분배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PCB와, 상기 출력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충전케이블의 일단이 각각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충전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1관통공과 제1-2관통공이 형성하는 제1관통공에 충전케이블이 통과하여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이루어져 충전케이블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바닥부 배면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받침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배면에는 받침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벽부 내측에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를 지탱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KR2020190001982U 2019-05-16 2019-05-16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KR200493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82U KR200493768Y1 (ko) 2019-05-16 2019-05-16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82U KR200493768Y1 (ko) 2019-05-16 2019-05-16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49U true KR20200002549U (ko) 2020-11-25
KR200493768Y1 KR200493768Y1 (ko) 2021-06-02

Family

ID=7357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982U KR200493768Y1 (ko) 2019-05-16 2019-05-16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48A (ko) *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팝폰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952B1 (ko) 2023-03-07 2023-08-22 주식회사 팝폰 핸드폰 충전 및 거치기능을 포함한 화재발생 알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53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멀티 충전기
KR20160026384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팝폰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JP2017055645A (ja) * 2015-09-08 2017-03-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装置のためのワイヤレス充電ステ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53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멀티 충전기
KR20160026384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팝폰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JP2017055645A (ja) * 2015-09-08 2017-03-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装置のためのワイヤレス充電ステーショ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48A (ko) *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팝폰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68Y1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76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electrically powered devices to ceilings and other structures
CN208656063U (zh) 壁板系统、保持构件及其相关套件以及保持系统
US9024211B2 (en)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US9837813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modular charging ports
US20110021066A1 (en) Power selector inlet
US20090163074A1 (en) Pre-Terminated Outlet Assembly for Raceway Systems
KR20200002549U (ko)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US20150056849A1 (en) Electrical Outlet Receptacle Access Relocation Device
KR102362069B1 (ko)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US20100101818A1 (en) Hybrid electrical cover plate
AU2017203421B2 (en) Power outlet assembly
KR102625170B1 (ko)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JP5830762B2 (ja) 車両用充電装置の壁面取付台
AU2020101152A4 (en) Powerpoint interface
AU2014101063B4 (en) Power charger
CN212137353U (zh) 电器充电支架和电器充电组件
KR200474871Y1 (ko) 케이블 지지 장치
US20220209555A1 (en) Modular device charging system
JP6839997B2 (ja) 接続構造
AU2016247121B2 (en) Power Charger
US6482043B1 (en) Electrical wall outlet assembly
AU2016101472A4 (en) Power charger
WO2019218021A1 (en) Powerpoint interface
KR20150002851U (ko) 전선 정리용 클립
CN202034231U (zh) 一种电流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