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848A -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848A
KR20230013848A KR1020210094837A KR20210094837A KR20230013848A KR 20230013848 A KR20230013848 A KR 20230013848A KR 1020210094837 A KR1020210094837 A KR 1020210094837A KR 20210094837 A KR20210094837 A KR 20210094837A KR 20230013848 A KR20230013848 A KR 2023001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harging
center
cable
charg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170B1 (ko
Inventor
주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팝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to KR102021009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커버체(10);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 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위치 어느 장소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착 및 탈착이 손쉬우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Charging device to prevent breakage of charging cable and poor connection}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MP3,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휴대가 가능한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기가 필수적인데, 통상의 충전기는 가정용의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원 공급 대상 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하나의 충전기에 하나의 모바일기기만 충전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한 번에 여러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음식점, 편의점, 호텔, PC 게임방 등 일반 영업소 및 전시장 등의 경우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 정신으로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는 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충전기가 도난당함에 따라 그 피해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충전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4642호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와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 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전원장치와 상기 직류전원장치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충전잭을 갖는 충전케이블로 이루어진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잭과 연결가능한 연결잭과, 상기 연결잭 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휴대폰의 전원연결포트와 삽입가능한 연장충전잭을 갖는 연장케이블로 이루어진 연장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24553호 "멀티 충전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원반 형태의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는 상용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이 연결되고, 케이스 측면 둘레로는 등간격으로 전원 공급 대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분리 가능 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복수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접 속구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로 구성된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공공장소 등에서 불특정 다수를 위해 설치되는 경우, 연결케이블의 도난, 분실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업주는 도난이나 분실이 일어날 때 마다 케이블을 재구매해야 하는 등의 비용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난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본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657447호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들 수 있다.
상기 본원인이 등록받은 특허권은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가 구비된 충전기로서 일측에는 타원형의 제1 절개부가 한 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타원형의 제2 절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 고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제1 오목타원절개부가 한 개 구비 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오목타원절개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이면에는 고정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 서 상기 커버체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바닥체와 상기 USB단자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포트가 타측에는 복수개의 전선이 분기되어 상기 제1 오목타원절개부 및 제2 오목타원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토록 구비되고 끝단에는 복수개의 핸드폰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잭이 구비된 포트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체 내측에는 USB 단자안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USB 단자안착부와 연하여 포트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용 다목적 충전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의 포트전선부가 구비되는 포트를 구성함에 있어, 포트안착부의 형상에 따라 포트를 선택해야 함으로서 선택의 제한이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연결케이블(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을 사용할 수 없으며,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 구매시 포함되어 있는 모바일기기 연결용 케이블을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포트를 더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예를 들면, 2개로 분기되는 포트를 이용하다가 세 개로 분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세 개로 분기되는 별도의 포트를 재구매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중복투자로 인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더 나아 가 하나의 포트전선부가 망가지더라도 개별적으로 교체가 불가능하여 분기된 새로운 포트를 다시 구매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본원인이 등록받은 특허권의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 케이블등이 외부 힘 또는 오래사용에 따라 유동되어 빠지거나 접촉 불량의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93768호 발명의 명칭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그 핵심이 '커버에 구비된 제1-2관통공이 본체에 구비된 제1-1관통공보다 상기 충전케이블의 더 안쪽에 밀착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이나, 이 정도의 구성으로는 충전케이블이 빠지거나 또는 접촉 불량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기술로서 접촉 불량 및 충전케이블이 빠지는 현상에 대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문헌 000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94642호 (실용문헌 0002)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024553호 (실용문헌 0003) 한국특허등록 제10-1657447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937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별도의 거치대 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커버체(10);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 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와,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위치 어느 장소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착 및 탈착이 손쉬우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커버체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에 충전케이블 및 전원공급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커버체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에서 본체에 충전케이블 및 전원공급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일반적인 충전장치는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P)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USB 단자(U)가 구비된 충전케이블(101)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지시부호 10은 커버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10)은 이면 즉, 저면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표면 즉, 외부에는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구조이며,
지시부호 20은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과,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과,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유는 충전케이블(101)이 상기 결합홈(221)을 통과한 후 안쪽으로 꺾임 현상을 통해 충전케이블(101)의 유동이나 이탈 등으로 인한 접촉 불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0)와 본체(20)가 전원공급 케이블(103)과 충전케이블(10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00)과 일치되는 관통기둥(200)을 나사 등 고정구로 고정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 케이블(103) 일측 끝단에 구비된 플러그(P)를 콘센트에 결합하고 충전케이블에 구비된 각각의 USB단자(U)에 모발일기기를 결합하여 충전하는 것이다.
이때, 야광링(107)에 의해 커버체(10) 표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양광빛의 발생으로 인해 충전여부 또는 본 발명의 위치 파악등등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충전케이블(101)을 미사용시에는 커버체(10) 내측에 구비된 자석(109)의 자력이 커버체(10) 표면까지 미침으로 인해 플레시블한 상기 충전케이블(101)을 절곡 또는 구부려서 충전케이블(101) 선단에 위치한 부위를 상기 자석(109)을 이용하여 커버체(10) 표면에 부착하여 충전케이블(101)이 너저분하게 놓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 기타 외부 환경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충전케이블(101) 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PCB(204)로 부터 접촉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본 발명의 핵심인 제1 고정수단부(210)과 제2 고정수단부(2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제1 및 제2 인입홈부(104, 203)을 통해 인입된 후 상기 가이드바(211)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2)에 결합되고 더 나아가서 상기 통과홈(213)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외부의 어느 정도의 힘에 의해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상기 통과홈(213)으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홈(214)으로 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고 이로 인해 PCB(204)로 부터 접촉 불량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반면에, 제2 고정수단부(220)의 경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204)에 고정 접촉된 충전케이블(101)의 타측이 우선적으로 상기 결합홈(221)에 각각 양측에 한쌍씩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홈(224)을 통과 결합함에 있어 상기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중심벽(223)쪽으로 더욱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벽(223) 족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삽입홈(224)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인출홈부(102, 202)로 인출됨으로서 외부에서 충전케이블(101)을 어느 정도의 힘으로 당길때에는 상기 삽입홈(224)과 결합홈(221)이 외부 힘을 견딜 수 있어 PCB(204)까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결국 충전케이블(101)이 PCB(204)와의 접촉 불량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어느 위치 어느 장소에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착 및 탈착이 손쉬우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원공급 케이블에 분기된 복수개 이상의 충전케이블을 결합함으로서 복수개 이상의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충전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충전케이블의 유동 및 외부 힘에 의해 PCB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본체 내에 충전케이블을 고정 유지하는 고정수단부를 구비함으로서 접촉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와 커버 내부에서 충전케이블이 PCB에 연결되어 충전케이블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충전단자를 분배하여 복수개 이상의 모바일기기 또는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커버체 20 : 본체
100 : 체결공 101 : 충전케이블
102 : 제1 인출홈부 103 : 전원공급 케이블
104 : 제1 인입홈부 105 : 전원공급 케이블단자
106 : 가압돌출부 107 : 야광링
108 : 디스플레이부 109 : 자석
200 : 관통기둥 201 : 리브
202 : 제2 인출홈부 203 : 제2 인입홈부
204 : PCB 205 : PCB안착부
210 : 제1 고정수단부 211 : 가이드바
212 : 가이드홈 213 : 통과홈
214 : 안착홈 215 : 격벽
220 : 제2 고정수단부 221 : 결합홈
222 : 구획벽 223 : 중심벽
224 : 삽입홈 225 : 이탈방지용 결합벽
P : 플러그 U : USB단자

Claims (4)

  1.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내측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00)중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충전케이블(101)이 안착되어 외부로 인출토록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 인출홈부(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출홈부(102)의 반대편 외주면 중앙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이 인입되는 제1 인입홈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입홈부(104)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돌출부(10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 내주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야광링(107)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에 위치한 체결공(100) 내측에 위치한 상기 야광링(107)의 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자석(109)이 구비된 커버체(10);
    내부에는 상기 체결공(100)에 대응되는 중앙이 관통된 관통기둥(2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기둥(200)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리브(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홈부(102)에 대응되는 제2 인출홈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인입홈부(104)에 대응되는 제2 인입홈부(2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인입홈부(203) 내측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03)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제1 고정수단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의 내측에는 PCB(204)가 안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PCB안착부(205)가 구비되며 타측 상기 제2 인출홈부(202) 내측에는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및 상기 PCB(204)로 부터 탈락되지 아니하도록 제2 고정수단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
    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부(210)는,
    제2 인입홈부(203)와 연결된 가이드바(21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12)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1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통과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홈(213)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단자(105)가 안착 고정가능하도록 안착홈(2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214)의 양측은 격벽(215)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부(220)는,
    상기 제2 인출홈부(202)를 기준으로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충전케이블(101)을 억지끼움식으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21)이 구비된 구획벽(222);
    상기 구획벽(222) 중심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주면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구비된 중심벽(223);
    상기 구획벽(222)의 양끝단 가까이에서 타측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벽(223)과의 간격에 상기 충전케이블(101)이 이탈 또는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이탈방지를 위한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용 결합벽(225);
    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결합홈(221)의 위치보다 상기 중심벽(223) 양측으로 구비된 삽입홈(224)의 위치가 상기 중심벽(223)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KR1020210094837A 2021-07-20 2021-07-20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KR10262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37A KR102625170B1 (ko) 2021-07-20 2021-07-20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37A KR102625170B1 (ko) 2021-07-20 2021-07-20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48A true KR20230013848A (ko) 2023-01-27
KR102625170B1 KR102625170B1 (ko) 2024-01-15

Family

ID=8510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37A KR102625170B1 (ko) 2021-07-20 2021-07-20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42Y1 (ko) 2005-06-22 2005-09-02 김종면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
KR20090024553A (ko)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멀티 충전기
KR20160026384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팝폰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KR20200002549U (ko) * 2019-05-16 2020-11-25 (주)정인일렉텍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42Y1 (ko) 2005-06-22 2005-09-02 김종면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
KR20090024553A (ko)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에스피씨엔씨 멀티 충전기
KR20160026384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팝폰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KR101657447B1 (ko) 2014-09-01 2016-09-20 주식회사 팝폰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KR20200002549U (ko) * 2019-05-16 2020-11-25 (주)정인일렉텍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KR200493768Y1 (ko) 2019-05-16 2021-06-02 (주)정인일렉텍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170B1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210B2 (en) Portable power adapter with detachable battery unit
CN100420119C (zh) 充电装置
JP2012521743A (ja) 壁埋め込み式ac/dcマルチ電圧供給システム
US11837891B2 (en) Modular charging system and wall-mounted charging device and modular power devices
WO2011150381A2 (en) Power module for portable devices
US10778020B1 (en) Multiport portable power bank
US10250050B1 (en) Electric power charger with edge outlet
KR20230013848A (ko)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KR101375777B1 (ko)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CN203840189U (zh) 一种适配器
KR102290297B1 (ko) 충전 케이블 유실 및 도난 방지기능을 갖는 멀티 충전기
KR200493768Y1 (ko)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KR200394642Y1 (ko) 멀티충전식 휴대폰 충전기
KR102362069B1 (ko)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KR20090047634A (ko) 멀티 어댑터
CN205544476U (zh) 一种ac转换插头式手机充电器
KR20140001311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CN208226591U (zh) 一种移动电源
CN209282543U (zh) 可防止缠线的数据线
CN217590336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充电宝
CN201805118U (zh) 一种具有多电器插口的插排
CN209487888U (zh) 无线磁吸充电排插
CN204835655U (zh) 一种便捷式桌面充电系统及包含它的桌面
CN205335571U (zh) 便携式甜甜圈插线板
CN215221159U (zh) 带自锁结构的充电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