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09A -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09A
KR20200002509A KR1020180076090A KR20180076090A KR20200002509A KR 20200002509 A KR20200002509 A KR 20200002509A KR 1020180076090 A KR1020180076090 A KR 1020180076090A KR 20180076090 A KR20180076090 A KR 20180076090A KR 20200002509 A KR20200002509 A KR 2020000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detachable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운
Original Assignee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509A/ko
Publication of KR2020000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상기의 자동원고급지장치 또는 신분증 전용 급지 장치 등을 탑재한 리더 유니트의 경우, 리더 유니트를 열고 닫는 수동 복사를 하는 경우 그 동작이 매우 크고 무거워 상기한 신분증 또는 규격화 되지 않은 원고를 다량으로 스캔 등의 동작을 하여야 하는 병원 또는 관광서의 스캔 등의 작업을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압판 만이 달려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모델이 더 선호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판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구역별로 나누어 분리하고 해당 분리한 압판만을 들어 사용할 때 자동으로 원고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eparable pressure plate}
본 발명은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압판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원고의 크기를 손쉽게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한 경우 자동으로 화상처리가 가능한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로 통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부가 기능 중, 기 출력되어 있는 문서 또는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등으로 대표되는 신분증 등의 정보가 담겨있는 원고를 데이터화 하여 PC로 저장하거나 사본을 만드는 스캔 또는 복사 등의 작업(이하 스캔 등)을 실시할 때,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평판 스캐너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고의 화상을 스캔하는 복사기 또는 스캐너는 원고의 화상을 스캔함에 있어서, 원고가 복사 또는 스캐닝하는 면에 잘 밀착되고 주변에 불필요한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원고를 덮어 주기 위한 커버인 압판을 리더 유니트에 구비하고 있다.
원고의 스캔에 있어서, 가장 먼저 사용자는 리더 유니트를 열고 원고를 스캔할 수 있는 평판에 원고를 올려놓는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 기종에 따라 원고를 중앙 정렬해야 할 경우가 있고, 한 쪽 구석으로 밀어서 정렬해야 할 경우가 있다. 또는 정렬을 하지 않는 신분증 등의 원고가 있을 수 있다. 원고의 정렬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주변에 불필요한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리더 유니트를 덮어주어 원고를 커버로 덮어준다.
상기 원고의 스캔 등의 동작에 있어서 해당 동작을 다량으로 실시하여야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한 리더 유니트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실시한다. 이는 매 동작마다 상기 리더 유니트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힘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 유니트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스캔을 실시할 때 빛이 새어 들어가게 되면 해당한 부분이 스캔 등의 결과물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검정으로 표시되며, 이는 토너 또는 잉크로 대표되는 출력재의 낭비가 된다. 상기한 문제점은 신분증을 다량으로 스캔하는 병원이나 관공서 등에서 특히 많이 보이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막기 위하여 자동원고급지장치 또는 신분증 전용 급지 장치 등을 탑재한 리더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손으로 하는 것 보다 월등히 느리며 규격화 된 크기의 원고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한 장치를 이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매우 많아 모든 경우에 대응하고 있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상기의 자동원고급지장치 또는 신분증 전용 급지 장치 등을 탑재한 리더 유니트의 경우, 리더 유니트를 열고 닫는 수동 복사를 하는 경우 그 동작이 매우 크고 무거워 상기한 신분증 또는 규격화 되지 않은 원고를 다량으로 스캔 등의 동작을 하여야 하는 병원 또는 관광서의 스캔 등의 작업을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압판 만이 달려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모델이 더 선호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분증 또는 규격화 되지 않은 원고를 다량으로 스캔 등의 동작을 할 때 출력재의 낭비를 최소화 하며 간편하게 스캔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판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구역별로 나누어 분리하고 해당 분리한 압판만을 들어 사용할 때 자동으로 원고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적은 힘과 적은 출력재의 낭비로 스캔 등의 작업을 빠르게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요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원고를 누르기 위해 구비되는 분리가 가능한 압판, 상기 압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평판 스캐너,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동작 제어를 실시하는 처리장치를 구비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가 가능한 압판은 메인 프레임 압판(100),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100)의 뒤쪽에 구비되는 축대(300), 상기 축대(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100)에 결합될 수 있는 규격화 된 용지 크기를 갖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분리 가능한 압판(110),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을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압판 결합부, 상기 압판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스캔 등의 작업을 실시할 원고를 준비한다. 상기한 원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A4지 등으로 대표되는 규격화 된 원고일 수 있으나, 신분증이나 사진, 달력, 메모지, 노트, 포장 박스 등 규격화 되어있지 않은 원고일 수도 있다.
상기 스캔 등의 작업을 실시할 원고의 크기에 맞추어, 규격화 된 원고의 경우 해당 원고의 크기를 갖는 분리 가능한 압판(110)을, 규격화 되어있지 않은 원고의 경우 해당 원고와 가장 유사한 크기를 갖는 분리 가능한 압판(110)을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100)에서 분리한다.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이 결합되어 있던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서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이 분리 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처리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 중 어느 압판이 분리되었는지 감지한 후, 상기 분리된 압판의 크기를 현재 스캔 등의 작업을 할 용지 크기로 자동으로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분리 가능한 압판(110)은 각각의 규격화 된 용지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자동으로 용지의 최대 크기를 지정하는 데에 있어 불편함이 없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4지의 크기를 갖는 분리 가능한 압판(110)을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100)에서 분리하였을 때, 상기 처리장치는 자동으로 현재 스캔할 용지의 크기를 A4지로 자동으로 설정한다.
상기의 분리 가능한 압판(110)을 분리한 후 상기 축대(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젖힌 상태로, 사용자는 스캔 등의 작업을 실시할 원고를 상기 평판스캐너에 대고 스캔 등의 작업을 실시한다. 이 때, 상기의 과정 중에서 자동으로 현재 스캔 등의 작업을 할 용지 크기를 최대한의 제한을 두었기 때문에, 상기 스캔 등의 작업을 실시할 때 상기 원고의 크기가 규격화 된 용지가 아니더라도 해당 여백을 최소화하여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출력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분리 가능한 압판(110)의 경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100)에서 분리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이 2개 이상인 경우 더 큰 분리 가능한 압판(110)은 더 작은 분리 가능한 압판(110)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압판의 결합부에 센서가 있어 해당 결합부가 해제가 되는 경우 자동으로 현재 분리한 압판의 크기로 원고의 크기를 자동 설정하는 상술한 동작에 있어, 각각의 압판이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동작하는 것 보다 하나의 압판이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메인 프레임 압판
110: 분리 가능한 압판
300: 축대

Claims (2)

  1.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원고를 누르기 위해 구비되는 분리가 가능한 압판;
    상기 압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평판 스캐너;와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동작 제어를 실시하는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가능한 압판은
    메인 프레임 압판;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의 뒤쪽에 구비되는 축대;
    상기 축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에 결합될 수 있는 규격화 된 용지 크기를 갖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분리 가능한 압판;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을 상기 메인 프레임 압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압판 결합부;와
    상기 압판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 가능한 압판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180076090A 2018-06-29 2018-06-29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200002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90A KR20200002509A (ko) 2018-06-29 2018-06-29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90A KR20200002509A (ko) 2018-06-29 2018-06-29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09A true KR20200002509A (ko) 2020-01-08

Family

ID=6915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090A KR20200002509A (ko) 2018-06-29 2018-06-29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330B1 (ko) * 2020-07-16 2021-06-23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신분증 인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330B1 (ko) * 2020-07-16 2021-06-23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신분증 인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8477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76429B2 (en) Image reading device, image reading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in logged-out state
JP308860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31887A (ja) 原稿読取装置
JP2022165794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方法
US2010032173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0723151A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21340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02509A (ko) 분리가 가능한 압판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WO2018135441A1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3014596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reading
US9712704B2 (en) Scanner providing centered alignment marks
CN102215307A (zh) 可快速地执行其功能的事务机及其执行方法
JP607496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5037937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36929B2 (en) Recording and recalling of scan build job and scan batch job settings
US7400748B2 (en) Method for assisting visually impaired users of a scanning device
JP201914968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JP2015211423A (ja) 画像形成装置
JP6039842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03001A (ja) 画像形成装置、操作案内方法、プログラム
KR20170135228A (ko) 원고의 바른 정렬을 보조하는 평판 스캐너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7215311B2 (ja) 画像読取り装置、画像読取り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00435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64078A (ja) 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