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47U -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47U
KR20200002347U KR2020190001561U KR20190001561U KR20200002347U KR 20200002347 U KR20200002347 U KR 20200002347U KR 2020190001561 U KR2020190001561 U KR 2020190001561U KR 20190001561 U KR20190001561 U KR 20190001561U KR 20200002347 U KR20200002347 U KR 20200002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turn spring
open
open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868Y1 (ko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190001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6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4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한다.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는 투입 또는 오픈 동작시 회전되는 메인 레버와, 상기 메인 레버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밀려 회전되는 오픈 레버와,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과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의 일면부를 서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MECHANICAL SPRING OPERA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OF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립 프리 방지 및 투입 및 오픈 동작시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 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를 일컫는다.
상기 차단기는 우수한 절연 특성을 갖는 무미. 무취. 무독의 불활성 고 절연 가스가 충전된 탱크형 금속 용기 내에 차단부가 절연물로 절연되어 조립되며, 통상 사용 상태의 전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금속 용기 외부의 전기 조작 장치 등에 의하여 원거리에서 개폐할 수 있으며, 과부하 및 단락시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가스 차단기의 차단부에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이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접촉되게 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선로의 어딘가에서 생긴 고장으로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가급적 빨리 가동부를 고정부에서 떼어 내어 전류를 차단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스프링조작기는 상기 차단기가 전류를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기구이며, 조작기 내에 설치된 스프링의 압축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단 또는 연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기 투입시 오픈 동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이 투입시 오픈 동작부는 메인레버(1)와, 오픈레버(2)와, 오픈래치(3)와, 오픈코일(4)과,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과, 오픈래치복귀스프링(6)과, 스프링 플레이트(7)와, 가이드(8)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레버(1), 오픈레버(2), 오픈래치(3)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오픈코일(4)은 조작기 프레임 인 지지부(9)에 볼트를 통해 체결된다.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은 오픈레버(3)과 스프링 플레이트(7)에 압축된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오픈 레버(2)의 일단과 상기 가이드(7)는 서로 이격된다.
상기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의 일단은 상기 오픈 레버(2)의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7)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7)는 조작기 동작 간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단이 돌출되어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 내부에 위치된다.
메인레버(1)가 회전을 함으로써 조작기의 투입과 오픈동작이 구분된다.
따라서 투입 시에는 메인레버(1)가 오픈레버(2), 오픈래치(3),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 오픈래치 복귀스프링(6)에 의해 힘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구속된다.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은 조작기 투입 동작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의한 흔들림에 오픈레버(2)가 정확한 자리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오픈래치(3)는 오픈래치 복귀스프링(6)에 의해 정확한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메인레버(1), 오픈레버(2), 오픈래치(3)와 핀(4'), 롤러(미도시) 등은 지속적으로 스프링의 강한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질 및 열처리가 된 상태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기의 투입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는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기의 오픈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오픈 동작 시에는 오픈코일(4)에 전원이 인가되면 핀(4')이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오픈래치(3)를 밀어낸다.
오픈래치(3)는 시계방향을 따라일정 각도를 이루어 회전된다.
동시에 오픈레버(2)가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오픈레버(2)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메인레버(1)는 오픈레버(2)가 회전하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약 45도 회전하게 되어 조작기의 오픈동작을 이룬다.
투입 동작 시, 캠에 의해 밀려난 메인레버(1)가 시계방향으로 약 45도 회전하게 되면서 오픈레버(2)를 누른다.
이어,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은더욱 압축되었다가 메인레버(1)의 핀에 걸리는 순간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의 압축력에 의해 오픈레버(2)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이어 압축된 오픈래치 복귀스프링(5)의 압축력에 의해 오픈래치(3)가 시계반대방향을 따라일정 각도 회전한다.
이때 메인레버(1), 오픈레버(2), 오픈래치(3)가 모두 구속되면서 투입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오픈 및 투입 동작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조작기 투입 동작에서 메인레버(1)가 동작되면 오픈레버(2)를 누르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 오픈레버 복귀스프링(5)은 더 압축되고, 그 후 메인레버(1)의 회전이 완료되면 오픈레버(2)는 복귀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복귀스프링이 단순 병진운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이상의 강한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점에서 분리되는 점핑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점핑현상에 의해 복귀스프링(5)은 오픈레버(2)와 스프링 플레이트(7)에 각각 부딪히면서 충격을 받고, 반복적인 충돌 동작 간에 복귀스프링(5)의 끝단이 피로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02909호(등록일: 2008년 2월 1일)가 있다.
본고안의목적은투입 및 오픈 동작시 회전되는 오픈 레버와 이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 탄성재질의 완충 부재를 설치하여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한다.
상기의과제를달성하기위해,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는 투입 또는 오픈 동작시 회전되는 메인 레버와, 상기 메인 레버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밀려 회전되는 오픈 레버와,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과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의 일면부를 서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복귀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완충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의 일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완충 부재와 상기 제 2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타단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완충 부재는,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홈의 내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완충 부재의 일면은, 상기 설치홈의 내면에 곡면 접촉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해결수단에의해본고안은투입 및 오픈 동작시 회전되는 오픈 레버와 이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 탄성재질의 완충 부재를 설치하여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 설치되는 완충 부재를 상대물에 형성되는 오목한 홈에 곡면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반복적인 완충 작용에 의해 완충 부재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기 투입시 오픈 동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기의 투입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는 종래의 전동 스프링 조작기의 오픈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 부재의 배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홈에 보조 가이드 로드가 더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완충 부재와 설치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고안의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를 설명한다.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는 메인 레버(100)를 갖는다. 상기 메인 레버(100)는 제 1축(10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메인 레버(100)의 일측에는 오픈 레버(200)가 배치된다. 상기 오픈 레버(200)는 제 2축(20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오픈 레버(200)는 상하를 따라 일정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메인 레버(100)는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시 오픈 레버(20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오픈 레버(200)는 시계 반대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상기 오픈 레버(200)의 일측에는 제 3축(30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오픈 레치(300)가 배치된다.
상기 오픈 레치(300)의 일단부는 그 상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부(9, 도 1참조)와 탄성 스프링(400)을 통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9)의 상단에는 오픈 코일(4, 도 1참조)이 배치된다. 상기 오픈 코일(4)은 외부 전원 인가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핀(4')을 갖는다.
이에, 상기 오픈 코일(4)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핀이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오픈레치(300)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누른다. 이에, 오픈 레치(300)는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탄성 스프링(400)은 압축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오픈 레버(200)의 타단부의 인근에는 스프링 플레이트(700)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700)는 오픈 레버(200)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상기 오픈 레버(200)의 타단부와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700)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500)이 배치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은 상기 오픈 레버(200)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700)에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700)에는 가이드 부재(8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800)는 가이드에 고정되는 머리부(810)와, 상기 머리부(8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로드(820)를 갖는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복귀 스프링(500)은 복귀 스프링(500)이 압축 이완되는 동안에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는 완충부가 배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 부재의 배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600)는 제 1,2완충 부재(610, 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완충 부재(610, 62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우레탄 와셔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600)는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과 상기 오픈 레버(20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완충 부재(610)와,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700)의 일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완충 부재(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완충 부재(610)는 링 형상로 형성되어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완충 부재(610)는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물론, 화학적 고정 외, 제 1완충 부재(610)는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 일부에 일체를 이루도록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완충 부재(620)는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타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물론, 화학적 고정 외, 제 2완충 부재(620)는 복귀 스프링(500)의 타단 일부에 일체를 이루도록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 1완충 부재(610)와 상기 제 2완충 부재(620)의 외경은,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타단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제 2완충 부재(62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 형상을 이루되 가이드 로드(820)에 삽입되어 추가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완충 부재(610)는 상기 오픈 레버(2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설치홈(210)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에 설치된 제 1완충 부재(610)는 상기 설치홈(210)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설치홈(210)은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오픈 레버의 반복적인 회전에 따라 복귀 스프링의 일단에서 점핑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를 통해 스프링 플레이트와 오픈레버와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복귀 스프링 자체의 내구수명을 증가시킬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는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조작기의 동작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립 시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 1완충 부재(610)와 상기 제 2완충 부재(620)의 외경은복귀 스프링(500)의 타단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완충 부재(610, 620)가 복귀 스프링(500)의 양단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경우 형상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 1,2완충 부재(610, 620) 각각은 설정된 두께를 이룬다.
다만, 상기 제 1,2완충 부재(610, 620)는 다수로 층을 이루도로 적층되어 전체적인 두께를 일정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완충 부재들(610) 및 제 2완충 부재들(620) 각각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로 다른 두께를 이루는 제 1완충 부재들(610)을 다수로 적층시켜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증가되는 두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복기 스프링(500)의 탄성 계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서로 면접촉되어 적층되는 제 1완충 부재들(610) 및 제 2완충 부재들(620) 각각은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완충 부재들(610) 각각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끼움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 1완충 부재(610)의 끼움단은 다른 하나의 제 1안충 부재(610)의 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서로 결합되는 제 1완충 부재들(610) 각각이 적층되는 상태에서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끼움단 및 홈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서로 적층되는 제 1완충 부재들(610)이 상대적으로 회전 또는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복귀 스프링(500)을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완충 부재들(610)을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2완충 부재들(620) 역시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홈에 보조 가이드 로드가 더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설치홈(210)의 내면 중앙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보조 가이드 로드(22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은 일정 길이를 갖는 보조 가이드 로드(220)에 끼워지는 상태를 이룬다.
이를 통해 차단기의 투입 또는 오픈 동작을 위해 오픈 레버가 반복적인 회전을 이루는 경우 복귀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와 같은 보조 가이드 로드에 까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완충 부재와 설치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홈(210')의 내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완충 부재(610')의 일면은 상기 설치홈(210')의 내면에 곡면 접촉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완충 부재(610')의 일면은 회전되는 오픈 레버(200)의 타단에 형성된 설치홈(210')에 끼워져 설치홈(210')의 내면에 접촉된다.
오픈 레버(200)가 반복적으로 회전되면, 설치홈(210')에 끼워진 제 1완충 부재(610') 역시 회전에 따라 설치홈(210')의 내면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제 1완충 부재(610')와 설치홈(210')이 서로 곡면 접촉을 이루는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 1완충 부재(610')와 설치홈(210') 간의 마찰을 줄여 제 1완충 부재(61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완충 부재(610')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복귀 스프링(500)의 일단이 오픈 레버(200)의 설치홈(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투입 및 개방 스프링의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큰 기계적 에너지를 가지고 운동하기 때문에 몇몇 부품에서는 큰 하중이 작용하는 조작기에서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기 투입 동작에서 발생되는 점핑현상에 의해 복귀스프링이 오픈레버와 스프링 플레이트에 각각 부딪히면서 충격을 받게 되고, 반복적인 동작 간에 복귀스프링의 끝단이 피로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데, 본 고안에서는 완충 부재를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 설치하여 복귀스프링의 끝단 파손에 의한 길이 축소에 따라 정위치에 위치되지 못하여 발생되는 스프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압축력을 향상시켜 오픈레버를 정확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에서는 복귀스프링이 원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투입 동작을 하면서 즉시 오픈 동작이 되는 트립프리 현상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 레버
200 : 오픈 레버
210, 210': 설치홈
220 : 보조 가이드 로드
300 : 오픈 레치
400 : 탄성 스프링
500 : 복귀 스프링
600 : 완충부
610, 610' : 제 1완충 부재
620 : 제 2완충 부재
700 : 가이드
800 : 가이드 부재

Claims (5)

  1. 투입 또는 오픈 동작시 회전되는 메인 레버와, 상기 메인 레버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밀려회전되는 오픈 레버와,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과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와,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의 일면부를 서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에는 완충부가 각각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복귀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완충 부재와,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의 일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완충 부재와 상기 제 2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타단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완충 부재는,
    상기 오픈 레버의 타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내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완충 부재의 일면은,
    상기 설치홈의 내면에 곡면 접촉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KR2020190001561U 2019-04-16 2019-04-16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KR200492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61U KR200492868Y1 (ko) 2019-04-16 2019-04-16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61U KR200492868Y1 (ko) 2019-04-16 2019-04-16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47U true KR20200002347U (ko) 2020-10-26
KR200492868Y1 KR200492868Y1 (ko) 2020-12-23

Family

ID=7300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61U KR200492868Y1 (ko) 2019-04-16 2019-04-16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6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114A (ko) * 1998-12-24 2000-07-15 이종수 전력 기기용 링 메인 유니트의 접점 조작기구
JP2002354849A (ja) * 2001-05-23 2002-12-06 Canon Inc 振動波駆動装置及び振動波駆動装置を備え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114A (ko) * 1998-12-24 2000-07-15 이종수 전력 기기용 링 메인 유니트의 접점 조작기구
JP2002354849A (ja) * 2001-05-23 2002-12-06 Canon Inc 振動波駆動装置及び振動波駆動装置を備え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868Y1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8242B2 (en) Circuit breaker with rebound preventer
US8053695B2 (en) Time delay output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JP4488911B2 (ja) 真空遮断装置
US4064383A (en) Vacuum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means for limiting overtravel of movable contact at end of opening stroke
US6337449B1 (en) Limiting circuit breaker comprising an auxiliary energy storage means
EP2551880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acuum interrupter and vacuum breaker having the same
JP4703616B2 (ja) ガス絶縁遮断器
EP3291273B1 (en) Operat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20049286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차단기용 전동 스프링 조작기
JP5490147B2 (ja) 電磁操作方式開閉装置
EP1914777A1 (en) Air circuit breaker and link thereof
EP2346062B1 (en) Circuit breaker
JP2014060018A (ja) ガス遮断器
US5504289A (en) Circuit switching mechanism and charging system therefor
KR101566470B1 (ko) 가스절연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KR101702539B1 (ko) 진공차단기의 구동부
JP5321268B2 (ja) 遮断器
KR200411535Y1 (ko) 진공차단기
KR100798340B1 (ko) 한류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JP6814682B2 (ja) 真空遮断器
KR101040362B1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진공차단기 구동장치
EP3127130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dampening assembly therefor
KR200398419Y1 (ko) 진공 차단기의 다절 링크식 작동기구
JPH08298040A (ja) 回路遮断器操作装置および真空回路遮断器
WO2014198290A1 (en) High-voltage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