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14A -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14A
KR20200002214A KR1020180075470A KR20180075470A KR20200002214A KR 20200002214 A KR20200002214 A KR 20200002214A KR 1020180075470 A KR1020180075470 A KR 1020180075470A KR 20180075470 A KR20180075470 A KR 20180075470A KR 20200002214 A KR20200002214 A KR 2020000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driving
driver
informa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814B1 (ko
Inventor
김태영
최수정
하성주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8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한 후,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NAVIGATING AND GUIDING ROUT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의 경로 탐색 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은 지도 안내(또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통해 길 찾기를 도와주는 장치 혹은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내비게이션은 차량항법장치라고도 하는데, 주로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목적지의 위치와 주변 지도 등의 정보를 전송하고,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나 최단 거리 등을 알려줄 때 사용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에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내비게이션 장치는 입력된 목적지에 따른 여러 개의 경로를 탐색한다.
예컨대 상기 여러 개의 경로는 최단거리(예 : 최단 운전 소요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 고속도로우선(예 : 운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유료도로가 포함된 경로), 무료도로(예 : 운전 소요시간이 늘어나지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로 이루어진 경로) 등의 옵션에 따라 탐색되며, 대부분의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최단시간경로(예 : 가장 빠른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경로)를 최우선적으로 탐색한다.
하지만 상기 옵션에 따라 탐색된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는 실제 주행의 용이성(예 :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에 따른 주행의 용이성)은 고려하지 않고, 단지 도착시간만을 고려하여 탐색된 경로이기 때문에, 가령 운전 숙련도가 떨어지는 사용자는 해당 지점(예 : 탐색된 결오 상에서 운전자의 실제 주행이 용이하지 않은 지점)에서 경로를 이탈(예 : 해당 지점에서 차선변경, 진출, 또는 진입을 못하여 경로를 이탈)함으로써 오히려 전체적인 주행 시간이 증가하거나, 안내된 경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무리하게 주행(예 : 긴급 차선 변경 등)함으로써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로 탐색 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즉, 운전자가 해당 경로를 실제 주행 가능하지 여부를 반영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4737호(2004.01.14. 공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내비게이션의 경로 탐색 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는,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한 후,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제1 경로는,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탐색한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탐색한 제1,2 경로를 표시하고, 이 두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아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2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도, 경로상의 각 지점에서의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각 지점별 운전 난이도, 및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2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숙련도는, 안내된 경로를 따라 주행 중 수신되는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가 해당 경로를 이탈하는 횟수나 비율 정보인 경로이탈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 난이도는, 서버가 복수의 운전자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들이 경로를 이탈하는 비율 정보인 운전자들의 경로이탈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로의 탐색 후, 운전자의 경로 탐색 요청이 있을 경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와; 상기 탐색된 제1 경로의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상기 대안 경로로서 제2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제2 경로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로서,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아 운전의 용이성이 높은 지점으로 이루어진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신호등을 포함한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V2I(Vehicle to Infra Structure) 모듈, 다른 차량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V2V(Vehicle to Vehicle) 모듈, 블랙박스 카메라를 통해 교통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 센서, 및 도로 상에 설치된 폐쇄회로 카메라(CCTV)를 통해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통신부와 연계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로에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대비 운전 난이도가 높은 지점이나 구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서 제2 경로의 탐색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경로를 자동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은, 제어부가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이 어려운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가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제1 경로 대비 운전이 용이한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며, 상기 제1 경로 이외에 제2 경로가 탐색되었을 경우, 상기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제1,2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탐색된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 경로의 탐색을 위한,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지점별 이탈빈도나 횟수;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차선수를 고려하여 차선변경을 위한 거리; 차선별 혼잡도; 차량 카메라를 이용해 수집한 주변의 교통상황;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신호등 점멸시간; CCTV 카메라에 의한 도로의 교통상황 및 차량 밀집도; 및 V2V 통신을 이용한 주변차량의 주행속도 및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실제 주행이 어려운지에 대한 판단은, 운전의 용이성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운전의 용이성은,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높거나 운전이 용이함을 의미하고,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낮거나 운전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는,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한 후,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는 서버; 및 상기 제1,2 경로 탐색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가 탐색한 제1,2 경로를 수신하여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2 경로 탐색을 위해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탐색된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숙련도는, 안내된 경로를 따라 주행 중 수신되는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가 해당 경로를 이탈하는 횟수나 비율에 기초하여 판단되며, 상기 운전 난이도는, 서버가 복수의 운전자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들이 경로를 이탈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실제 주행이 어려운지에 대한 판단은, 운전의 용이성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운전의 용이성은,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높거나 운전이 용이함을 의미하고,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낮거나 운전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의 경로 탐색 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기 탐색된 경로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교통상황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단말로서, 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경로 안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제어부가 지점별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지점별 운전 숙련도는, 운전자가 안내된 경로를 따라 주행 중 특정 지점에서 이탈하는 비율(즉, 이탈율)(즉, 경로 이탈 이력)에 기초하여 판단한 운전자 개인의 운전 숙련도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운전 숙련도는 동일한 지점이라고 하더라도 특정 시점의 교통상황(예 : 혼잡도 상황, 교통신호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판단하기 위한 특정 지점에서의 이탈율은 해당 지점의 교통상황에 따라 동일 지점에 대하여 복수로 통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는, 상기 복수의 통계에 기초하여, 동일 지점에 대하여 복수의 운전 숙련도로 판단(또는 평가)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지점별 운전 난이도는, 서버(200)가 복수의 운전자(실제로는 복수의 차량)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 수집된 정보들과 각 지점별 운전자들이 경로를 이탈하는 비율(즉, 이탈율)에 기초하여 판단(또는 평가)할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 이외에 상기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한다.
예컨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가 "중"이고,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에 운전 난이도가 "상"인 지점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로서, 운전 난이도가 "중"이나 "하"인 지점이 포함된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와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를 경로 안내부(150)(예 : AVN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2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신호등 등의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V2I(Vehicle to Infra Structure) 모듈, 다른 차량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V2V(Vehicle to Vehicle) 모듈, 블랙박스 카메라를 통해 교통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 센서, 및 도로 상에 설치된 폐쇄회로 카메라(CCTV)를 통해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120)의 기능을 일부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실시간 교통정보 수신 모듈(미도시)이나,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링크별 교통(교통량)정보와 차량 통행량 정보, 각 도로별 차선정보, 및 교통상황 정보(예 : 사고, 행사, 공사 등) 등을 수집할 수 있으며,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추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는 도/분/초 단위로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지리 좌표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는 메모리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서버(200)에 경로상의 각 지점에서의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각 지점별 운전 난이도, 및 상기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예 : 디지털 지도, 경로상의 각 지점에서의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각 지점별 운전 난이도, 및 상기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라 함은, 상기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까지 포함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40)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200)가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 이외에 상기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는 상기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범위(즉, 도착 예정 시간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이내)에서 탐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서버, 클라우드 서버, 내비게이션 서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정보 수집부(110)와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예 : 디지털 지도, 경로상의 각 지점에서의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각 지점별 운전 난이도, 및 상기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의 탐색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탐색된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에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대비 운전 난이도가 높은 지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즉, 주행이 용이하지 않은 지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의 탐색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의 탐색이 추가적으로 필요한지 판단하기 위한 조건(예 :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대비 운전 난이도가 높은 지점이 포함된 제1 경로가 탐색되었을 경우)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조건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서버(200)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자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경로 탐색 알고리즘(예 :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에 탐색된 경로(예 : 제1 경로) 이외에 대안 경로(예 : 제2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안내부(150)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에 관계없이 탐색된 제1 경로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된 제2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두 경로 중 운전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아 안내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140)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140)(즉, 차량 단말)의 기능을 상기 서버(200)가 대체하여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기 탐색된 경로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교통상황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운전자(사용자)의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제1 경로의 탐색을 수행한다(S101).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운전자로부터 경로 탐색이 요청되면, 기 설정된 경로 탐색 옵션(예 : 최단시간, 최단거리, 고속도로우선, 무료도로 등)에 따라 이 경로 탐색 옵션에 해당하는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를 탐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경로가 탐색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탐색된 제1 경로를 안내한다(S102).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탐색된 제1 경로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운전의 용이성을 판단한다(S103).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경로에 포함된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예 : 교통상황 정보), 및 기 판단된 지점별 운전 난이도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는 사실상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와 차이가 없다. 다만 상기 탐색된 제1 경로에 대한 정보 수집하는 이유는, 동일한 지점이라고 하더라도 교통상황에 따라 복수의 운전 난이도와 운전 숙련도가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지점별 현재의 교통상황에 대응하는 운전 난이도와 운전 숙련도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제1 경로에 포함된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는, 예컨대 1. 이탈빈도(횟수)정보(예 : 이탈빈도가 특정 기준횟수를 넘으면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2.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특정 지점(예 : 회전지점)까지의 차선수를 고려하여 차선변경을 위한 거리정보(예 : 회전지점까지 차선을 바꾸는데 필요한 거리가 기준거리 대비 충분하지 않으면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도 5 참조), 3. 혼잡도정보(예 : 각 차선별 교통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출 차선의 교통 혼잡도가 해당 진출 차선에 진입하기 어려울 경우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4. 차량카메라정보(예 : 현 위치에서 차량 카메라를 이용해 수집한 주변의 교통상황에 기초하여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5. 신호등점멸정보(예 : 신호등 점멸시간이 짧아 교통체증이 유발되어 진입/진출이 어려운 경우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6. CCTV카메라정보(예 : 도로의 교통량을 측정하는 CCTV카메라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교통상황 및 차량 밀집도에 따라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및 7. V2V통신정보(예 : V2V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한 주변차량의 주행속도 및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대안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의 용이성은, 제1 경로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높고(즉, 운전이 용이하고),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낮다(즉, 운전이 용이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기 탐색된 경로 상에 운전의 용이성이 낮은(즉, 운전이 용이하지 않은) 지점이나 구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 경로는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려운 경로라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탐색된 경로(예 : 제1 경로)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대비 실제 주행하기 어려운 경로라고 판단될 경우(S104의 예),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운전이 용이한 대안 경로(예 : 제2 경로, 주행용이경로)를 탐색한다(S105).
상기와 같이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 이외에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가 탐색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경로(예 : 최단시간경로)와 제2 경로(예 : 주행용이경로)를 경로 안내부(150)(예 : AVN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2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아 안내한다(S106).
만약 상기 탐색된 경로(예 : 제1 경로)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대비 주행이 용이한 경로라고 판단될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대안 경로(예 : 제2 경로, 주행용이경로)를 탐색하지 않고, 기존에 탐색된 경로(예 : 제1 경로)를 계속해서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비게이션을 통한 차량용 경로 탐색 시,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여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정보 수집부
120 : 통신부
130 : 데이터 저장부
140 : 제어부
150 : 경로 안내부
200 : 서버

Claims (21)

  1.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한 후,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제1 경로는,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탐색한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탐색한 제1,2 경로를 표시하고, 이 두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아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2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도, 경로상의 각 지점에서의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각 지점별 운전 난이도, 및 상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와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2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나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숙련도는,
    안내된 경로를 따라 주행 중 수신되는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가 해당 경로를 이탈하는 횟수나 비율 정보인 경로이탈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난이도는,
    서버가 복수의 운전자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들이 경로를 이탈하는 비율 정보인 운전자들의 경로이탈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로의 탐색 후,
    운전자의 경로 탐색 요청이 있을 경우,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와; 상기 탐색된 제1 경로의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상기 대안 경로로서 제2 경로를 추가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제2 경로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경로로서,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지점별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아 운전의 용이성이 높은 지점으로 이루어진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신호등을 포함한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V2I(Vehicle to Infra Structure) 모듈, 다른 차량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V2V(Vehicle to Vehicle) 모듈, 블랙박스 카메라를 통해 교통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 센서, 및 도로 상에 설치된 폐쇄회로 카메라(CCTV)를 통해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통신부와 연계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로에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대비 운전 난이도가 높은 지점이나 구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서 제2 경로의 탐색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경로를 자동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12. 제어부가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이 어려운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가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고려하여, 제1 경로 대비 운전이 용이한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며,
    상기 제1 경로 이외에 제2 경로가 탐색되었을 경우, 상기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제1,2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받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탐색된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경로의 탐색을 위한,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지점별 이탈빈도나 횟수;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차선수를 고려하여 차선변경을 위한 거리; 차선별 혼잡도; 차량 카메라를 이용해 수집한 주변의 교통상황;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신호등 점멸시간; CCTV 카메라에 의한 도로의 교통상황 및 차량 밀집도; 및 V2V 통신을 이용한 주변차량의 주행속도 및 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실제 주행이 어려운지에 대한 판단은,
    운전의 용이성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운전의 용이성은,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높거나 운전이 용이함을 의미하고,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낮거나 운전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방법.
  17.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시간인 제1 경로를 탐색한 후, 상기 제1 경로를 운전자가 실제 주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 대비 도착 예정 시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서, 상기 운전자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대안 경로인 제2 경로를 탐색하는 서버; 및
    상기 제1,2 경로 탐색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가 탐색한 제1,2 경로를 수신하여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2 경로 탐색을 위해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차량 밀집도, 차선수, 및 경로이탈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탐색된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별 운전 숙련도와 지점별 운전 난이도를 고려하여 탐색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숙련도는, 안내된 경로를 따라 주행 중 수신되는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가 해당 경로를 이탈하는 횟수나 비율에 기초하여 판단되며,
    상기 운전 난이도는, 서버가 복수의 운전자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상의 지점별 교통상황 정보와 운전자들이 경로를 이탈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실제 주행이 어려운지에 대한 판단은,
    운전의 용이성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운전의 용이성은,
    경로상의 지점별 운전 난이도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를 비교할 때,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높거나 운전이 용이함을 의미하고,
    운전 난이도가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운전의 용이성이 낮거나 운전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KR1020180075470A 2018-06-29 2018-06-29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55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70A KR102552814B1 (ko) 2018-06-29 2018-06-29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70A KR102552814B1 (ko) 2018-06-29 2018-06-29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14A true KR20200002214A (ko) 2020-01-08
KR102552814B1 KR102552814B1 (ko) 2023-07-06

Family

ID=6915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70A KR102552814B1 (ko) 2018-06-29 2018-06-29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1306B (zh) * 2020-12-28 2021-12-14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机器人移动路径规划方法、装置及机器人
CN116394981A (zh) * 2023-06-07 2023-07-07 北京集度科技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自动驾驶提示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591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보 운전자를 위한 경로 탐색,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5238A (ko) * 2015-07-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KR20170105281A (ko) * 2016-03-09 2017-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591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보 운전자를 위한 경로 탐색,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5238A (ko) * 2015-07-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KR20170105281A (ko) * 2016-03-09 2017-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1306B (zh) * 2020-12-28 2021-12-14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机器人移动路径规划方法、装置及机器人
CN116394981A (zh) * 2023-06-07 2023-07-07 北京集度科技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自动驾驶提示方法及相关装置
CN116394981B (zh) * 2023-06-07 2023-09-01 北京集度科技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自动驾驶提示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814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7773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73864B2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429825B2 (en) Headlight beam control system and headlight beam control method
JP6161553B2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51882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使用して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0095336A (ja) 自動運転支援装置
JP6990160B2 (ja) 自動運転支援装置
JP2009154647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5175824A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8410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20414A (ja) 経路探索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570827B1 (ko) 차로변경행태를 고려한 안전운전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4697167B2 (ja) 迂回路作成装置及び迂回路作成システム
KR102552814B1 (ko) 차량용 경로 탐색과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130218457A1 (en) Center apparatus and navigation system
JP5481226B2 (ja) 車載装置
JP200728599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迂回経路作成方法
JP2013002982A (ja) 案内情報出力装置
JP483626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5599737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高速道路走行時案内情報表示方法
JP2005504267A (ja) 車両用、特に自動車用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作動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286019A (ja) 道路検索装置、道路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84402B2 (ja) ナビゲーション用誘導経路探索装置
JP466275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通信センタ
JP20081390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