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74A -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174A KR20200002174A KR1020180075384A KR20180075384A KR20200002174A KR 20200002174 A KR20200002174 A KR 20200002174A KR 1020180075384 A KR1020180075384 A KR 1020180075384A KR 20180075384 A KR20180075384 A KR 20180075384A KR 20200002174 A KR20200002174 A KR 202000021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mobile phone
- phone holder
- mounting member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상 편의성의 향상시킨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는, 제어모듈이 위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제1모터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제2모터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제3모터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상 편의성의 향상시킨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거치대는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단말기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는 상태로 조작, 사용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는 핸드폰 등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 긴 동영상을 보거나 분량이 긴 문서 등을 읽을 때 핸드폰을 들고 있으면 손목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장시간 들고 있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핸드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핸드폰 거치대는, 단말기가 거치되어 고정되는 거치부재,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베이스와 거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으로 직접 조작하여 거치부재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거치부재의 방향을 바꾸는 것은 불편하고, 섬세하게 각도 조절하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베이스가 특정 위치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한쪽 손으로 거치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고 다른 한쪽 손으로 거치부재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 중일 경우, 베이스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치부재의 방향을 바꾸는 것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까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터를 이용하여 거치부재의 방향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재를 이용해 핸드폰을 고정하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는, 제어모듈이 위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제1모터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제2모터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제3모터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지지대는 접착부재를 통해 바닥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에는 핸드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흡착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의하면, 모터 제어를 통해 거치부재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거치부재의 방향을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에 핸드폰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가 동작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제어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흡착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가 동작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제어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흡착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가 동작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1)는 베이스(10), 거치부재(30) 및 복수의 모터(61,62,63)를 포함한다. 베이스(10)와 거치부재(30)는 연결부재(40,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61,62,63)는 제1모터(61), 제2모터(62) 및 제3모터(63)를 포함한다. 복수의 모터(61,62,63)의 동작에 의해 거치부재(30)의 위치 또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61,62,63)는 베이스(10)에 위치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연결부재(40,5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40) 및 제1연결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와 제1연결부재(40) 사이에는 제1모터(61)가 위치되고, 제1연결부재(40)와 제2연결부재(50) 사이에는 제2모터(62)가 위치되고, 제2연결부재(50)와 거치부재(30) 사이에는 제3모터(63)가 위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30)에는 핸드폰, PDA, 태블릿 등과 같은 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10)에는, 모터(61,62,6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과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부가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1)가 위치될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10)의 일면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접착부재를 통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재(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베이스(10)와 연결부재(4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와 연결부재(40)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은 제1모터(61)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축은 정방향,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부재(40)는 제1모터(61)의 동작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50)는 제2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제1연결부재(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회전축은 제1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회전축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될 때, 제2회전축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회전축은 제2모터(62)에 의해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50)는 제2모터(62)의 동작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거치부재(30)는 제3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제2연결부재(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회전축은 제2회전축과 직교하고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회전축은 제1회전축과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회전축은 제3모터(63)에 의해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30)는 제3모터(63)의 동작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제1모터(61)를 동작시키거나 제3모터(63)를 동작시켜 거치부재(30)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모터(61) 또는 제3모터(63)에 의한 움직임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제1연결부재(40)는 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0)는 베이스(10)의 측방에 위치되고, 제1연결부재(40)의 상방에는 제2연결부재(50), 거치부재(30) 및 제2,3모터(62,63)가 위치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40)에는 제2연결부재(50), 거치부재(30) 및 제2,3모터(62,63)의 하중이 모두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회전축에 무리가 가고, 제1연결부재(40)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핸드폰이 장착된 거치부재(30)가 불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에 의해 제1연결부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20)는, 베이스(1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접착부재 등을 통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20)의 상부면(21)은 제1연결부재(4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연결부재(40)가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경우, 지지대(20)의 상부면은 원통형의 측면에 대응되어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0)의 형상과 지지대(20)의 상부면(21)의 형상은 상기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제어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1)에는 제어기판(70)이 구비된다. 제어기판(70)은 베이스(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기판(70)에는, 제1,2,3모터(61,62,6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77)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치부(71 내지 76)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모듈(77)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스위치부는, 제1모터(61)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제1스위치(71) 및 제2스위치(72), 제2모터(62)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제3스위치(73) 및 제4스위치(74), 제3모터(63)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제5스위치(75), 제6스위치(7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동작에 따라 제1스위치(71) 내지 제6스위치(76)를 조작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제1스위치(71) 또는 제2스위치(72)를 조작하여 제1연결부재(40)를 x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연결부재(40)가 회전하면, 제1연결부재(40)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50) 및 거치부재(30)는 제1연결부재(40)와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5스위치(75) 또는 제6스위치(76)가 조작되면, 거치부재(30)만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2스위치(71,72)가 조작되는 경우와 다르게, 거치부재(30)는 그 위치는 가변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x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스위치(73) 또는 제4스위치(74)가 조작되면, 제2연결부재(50)가 제자리에서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연결부재(50)의 회전에 의해 거치부재(30)가 향하는 좌우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1)가 자동차의 실내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 제3스위치(73) 또는 제4스위치(74)의 조작을 통해, 거치부재(30)가 운전석을 향하거나 조수석을 향하도록 그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흡착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1)에 구비되는 거치부재(30)에는 흡착패드(80)가 장착될 수 있다. 흡착패드(80)는, 거치부재(30)의 일면에 고정되는 패드(81)와 패드(81)의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흡착부재(82)를 포함한다. 패드(81)는 거치부재(30)의 일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81)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거치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드폰과 같은 단말기는 복수의 흡착부재(82)에 의해 흡착되어 거치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흡착패드(80)가 별도로 구비되어 거치부재(30)에 장착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거치부재(30)에 복수의 흡착부재(82)가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1)에 의하면, 거치부재(30)에 장착된 핸드폰의 각도 또는 위치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모터의 제어를 위해 조작 가능한 스위치부가 베이스(10)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베이스(10)에 무선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사용자는 상기 무선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리모컨의 조작을 통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1: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10: 베이스 20: 지지대
30: 거치부재 40: 제1연결부재
50: 제2연결부재 61: 제1모터
62: 제2모터 63: 제3모터
80: 흡착패드 82: 흡착부재
10: 베이스 20: 지지대
30: 거치부재 40: 제1연결부재
50: 제2연결부재 61: 제1모터
62: 제2모터 63: 제3모터
80: 흡착패드 82: 흡착부재
Claims (4)
- 제어모듈이 위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고, 제1모터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제2모터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제3모터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부재; 를 포함하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지지대는 접착부재를 통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는 핸드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흡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5384A KR20200002174A (ko) | 2018-06-29 | 2018-06-29 |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5384A KR20200002174A (ko) | 2018-06-29 | 2018-06-29 |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174A true KR20200002174A (ko) | 2020-01-08 |
Family
ID=6915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5384A KR20200002174A (ko) | 2018-06-29 | 2018-06-29 |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217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6732B1 (ko) * | 2021-09-15 | 2023-03-06 | 김영건 | 지능형 디바이스 거치대 |
-
2018
- 2018-06-29 KR KR1020180075384A patent/KR202000021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6732B1 (ko) * | 2021-09-15 | 2023-03-06 | 김영건 | 지능형 디바이스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980587A (zh) | 手持云台 | |
KR101288309B1 (ko)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 |
KR20200002174A (ko) | 제어모터를 이용한 핸드폰 거치대 | |
KR100584436B1 (ko) |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 |
KR101067532B1 (ko) | 네비게이션 전후진 회전 장치 | |
CN111706760B (zh) | 便携式智能导游终端 | |
JP2011109407A (ja) | 携帯情報通信端末 | |
CN110138920A (zh) | 移动终端 | |
KR101708419B1 (ko) |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 |
CN112413366B (zh) | 电子设备的自适应固定装置 | |
CN210008048U (zh) | 便携式电子装置 | |
KR20120029113A (ko) | 수납식 차량용 거치대 | |
CN215222262U (zh) | 定位旋转手机支架 | |
CN115393987B (zh) | 手持式遥控器物理触发装置及受控设备 | |
CN220172929U (zh) | 无线充电装置 | |
CN216659786U (zh) | 一种车用屏幕切换装置 | |
WO2019092714A1 (en) | An electronic mobile device holder | |
CN220842370U (zh) | 方向调节结构、屏幕总成及汽车 | |
US20060183435A1 (en) | Keyboard structure | |
CN218569204U (zh) | 一种三轴自动调节便携式卫星通讯设备 | |
CN219115378U (zh) | 运输车 | |
CN220974079U (zh) | 一种旋转式显示屏固定装置 | |
CN215284768U (zh) | 车载显示控制装置及包含其的车载电子装置 | |
CN220884232U (zh) | 角度调节机构、车载无线充电模块及车辆 | |
CN113194184A (zh) | 定位旋转手机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