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03A - 유기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03A
KR20200002103A KR1020180075227A KR20180075227A KR20200002103A KR 20200002103 A KR20200002103 A KR 20200002103A KR 1020180075227 A KR1020180075227 A KR 1020180075227A KR 20180075227 A KR20180075227 A KR 20180075227A KR 20200002103 A KR20200002103 A KR 20200002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electrode
organic l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619B1 (ko
Inventor
심동민
장지향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619B1/ko
Priority to CN201910541833.1A priority patent/CN110660825B/zh
Priority to US16/455,363 priority patent/US11108023B2/en
Priority to DE102019117580.1A priority patent/DE102019117580B4/de
Priority to GB1909326.9A priority patent/GB2576613B/en
Publication of KR2020000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01L51/5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01L51/504
    • H01L51/5048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마이크로 렌즈를 이루는 유기발광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유기발광층의 볼록부의 옆면부를 고려하여 최적의 유기발광층의 제 2 전극으로부터의 각 발광층까지의 두께를 제안함으로써, OLED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거나 또는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 또한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또한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에 부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특히, 다양한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OLED는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이 OLED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에서 상당 부분 손실되어, OLED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2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여기서,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은 OLED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더불어 증가하게 되므로, 유기발광층으로 보다 많은 전류를 인가하여 OLED의 휘도를 보다 상승 시킬 수는 있으나, 이는 전력소모가 커지게 되고, 또한 OLED의 수명 또한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OLED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OLED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거나, OLED의 오버코트층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OLED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도입하거나 오버코트층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경우, 높은 반사율에 의해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OLED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며, 또한 반사율 저감을 통해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록부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과,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되며, 제 1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1 발광층은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제 1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1 발광층은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제 2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는 서로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볼록부는 정상부와 밑면부 그리고 상기 정상부와 상기 밑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옆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옆면부가 이루는 기울기는 상기 밑면부로부터 상기 정상부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며, 상기 기울기가 최대인 영역은 유효발광영역이며, 상기 제 1 거리는 L1 = (D1 * cosθ)(θ = 20 ~ 60˚)(D1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 L1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2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L2 = (D2 * cosθ)(θ = 20 ~ 60˚)(D2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 L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3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L3 = (((D2 + D3)/2) * cosθ)(θ = 20 ~ 60˚)(D3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 L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 L3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 1 거리는 585Å(±5%)이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2880Å(±5%)이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3630Å(±5%)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거리는 Y1 = L1 * cosθ : L1 ≤ D1(θ = 20 ~ 60˚)(Y1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 D1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 L1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2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Y2 = L2 * cosθ : L2 ≤ (cos60 * D2)(θ = 20 ~ 60˚)(Y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 D2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 L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3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Y3 = L3 * cosθ : L3 ≤ (cos60 * D3)(θ = 20 ~ 60˚)(Y3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 D3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 L3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유효발광영역에서의 상기 유기발광층은 3000 ~ 3500Å의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에 비해 얇으며, 상기 제 1 발광층은 제 1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 2 발광층은 상기 제 1 색과 다른 제 2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 3 발광층은 상기 제 1 색과 동일한 색을 발광한다.
이때, 상기 제 1 색은 440㎚ 내지 480㎚ 범위의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 2 색은 510㎚ 내지 590㎚ 범위의 파장을 갖는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를 이루는 유기발광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에서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을 통해 유기발광층의 볼록부의 옆면부를 고려하여 최적의 유기발광층의 제 2 전극으로부터의 각 발광층까지의 두께를 제안함으로써, OLED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또는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 또한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 4c는 제 1 내지 제 3 발광층의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위치에 따른 발광효율을 나타낸 실험결과.
도 5a ~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와 비교예에 따른 OLED에서 파장에 따른 광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마이크로 렌즈 형상 별 유기발광층의 두께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 측정한 실험결과.
도 7a ~ 7c는 적, 녹, 청색 서브화소에서 유기발광층의 두께에 따른 발광효율을 측정한 실험결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발광방식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화소영역(P)은 발광다이오드(E)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발광영역(EA)과, 발광영역(EA)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는 스위칭영역(TrA)을 포함하는 비발광영역(NEA)을 정의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기판(101) 상의 각 화소영역(P)의 비발광영역(NEA) 내에 위치하는 스위칭영역(TrA) 상에는 반도체층(103)이 위치하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에는 게이트절연막(105)이 위치한다.
게이트절연막(105) 상부에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제 1 층간절연막(109a)이 위치하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9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에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a, 110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0a, 110b)과 두 전극(110a, 110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에 제 2 층간절연막(109b)이 위치한다.
이때, 소스 및 드레인전극(110a, 110b)과 이들 전극(110a, 110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각각의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위치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3)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 또는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게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기판(101)은 주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예로서, 폴리이미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을 기판(101)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기판(101) 상에서 고온의 증착 공정이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1)의 전면(前面) 전체는 하나 이상의 버퍼층(미도시)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한편, 스위칭영역(TrA)에 마련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광에 의해 문턱전압이 쉬프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반도체층(103)의 아래에 마련된 차광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미도시)은 기판(101)과 반도체층(103) 사이에 마련되어 기판(101)을 통해서 반도체층(103)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 내지 방지한다. 이러한 차광층(미도시)은 버퍼층(미도시)에 의해 덮인다.
그리고 각 화소영역(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 2 층간절연층(109b) 상부에는 파장 변환층(106)이 위치한다.
이러한 파장 변환층(106)은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기판(101) 쪽으로 방출되는 백색광 중 화소영역(P)에 설정된 색상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장 변환층(106)은 적색(red), 녹색(green), 또는 청색(blue)의 파장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에서, 하나의 단위 화소는 인접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영역(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색 화소영역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106)은 적색 컬러필터, 녹색 화소영역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106)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화소영역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106)은 청색 컬러필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에서, 하나의 단위 화소는 파장 변환층(106)이 형성되지 않은 백색 화소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106)은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기판(101)쪽으로 방출되는 백색광에 따라 재발광하여 각 화소영역(P)에 설정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크기를 갖는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자점은 CdS, CdSe, CdTe, ZnS, ZnSe, ZnTe, HgS, HgSe, HgTe, CdSeS, CdSeTe, CdSTe,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HgZnTe,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GaN, GaP, GaAs, AlN, AlP, AlAs, InN, InP, InAs, GaNP, GaNAs, GaPAs, AlNP, AlNAs, AlPAs, InNP, InNAs, InPAs, GaAlNP, GaAlNAs, GaAlPAs, GaInNP, GaInNAs, GaInPAs, InAlNP, InAlNAs, InAlPAs 및 Sb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색 화소영역의 파장 변환층(106)은 CdSe 또는 InP의 양자점, 녹색 화소영역의 파장 변환층(106)은 CdZnSeS의 양자점, 및 청색 화소영역의 파장 변환층(106)은 ZnSe의 양자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장 변환층(106)이 양자점을 포함하는 OLED(100)는 높은 색재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106)은 양자점을 함유하는 컬러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파장 편환층(106) 상부에는 제 2 층간절연막(109b)과 함께 드레인전극(110b)을 노출하는 제 1 드레인콘택홀(108a)을 갖는 오버코트층(108)이 위치하는데, 오버코팅층(108)은 표면이 복수의 오목부(118) 및 복수의 볼록부(117)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하여,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오버코팅층(108)은 굴절률이 약1.5인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포토레지스트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약 1.5의 굴절률을 갖는 임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117)는 각각의 오목부(118)를 정의하거나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볼록부(117)는 밑면부(117a), 정상부(117b) 및 옆면부(117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옆면부(117c)는 정상부(117b)의 최대 기울기(Smax)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상부(117b)를 이루는 경사면 전체일 수 있다.
이러한 볼록부(117)를 통해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경로를 기판(101) 쪽으로 변경하게 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렌즈(ML)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108) 상부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0b)과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의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위치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111)은 뱅크(119)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위치하는데,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여기서, 오버코팅층(108) 상부로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은 모두 오버코팅층(108)의 표면에 구비되는 오목부(118) 및 볼록부(117)를 그대로 따라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게 된다.
이때, 유기발광층(113)은 마이크로 렌즈(ML)의 오목부(118)와 볼록부(117)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마이크로 렌즈(ML)의 오목부(118)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 1 전극(111)에 수직한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비해, 마이크로 렌즈(ML)의 볼록부(117)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옆면부(117c)의 접선(C1, C2, 도 2 참조)으로부터 수직한 길이에 대응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117)와 오목부(118)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118)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와,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 내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최적의 위치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위치를 제안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발광된 광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거나, 또는 높은 반사율에 따른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 2 전극(115) 또한 오버코팅층(108)의 표면에 구비되는 오목부(118) 및 볼록부(117)를 그대로 따라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선택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광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여기서, 발광된 광은 투명한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1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오버코트층(108)이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룸에 따라, 유기발광층(113) 내부에서 반복되는 전반사에 의해 외부로 추출되지 않는 광의 진행경로를 기판(101) 쪽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보호필름(102)을 위치시킨 후, 발광다이오드(E)와 보호필름(102) 사이로 투명하며 접착 특성을 갖는 유기 또는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페이스 씰(104)을 개재하여 보호필름(102)과 기판(101)을 합착함으로써, OLED(100)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여기서, 보호필름(102)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보호필름과 무기보호필름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에서는 유기보호필름의 측면을 통해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무기보호필름이 유기보호필름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OLED(100)는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OLED(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광이 투과되는 기판(101)의 외면으로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편광판(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는데, 즉, OLED(100)는 화상을 구현하는 구동모드일 때 유기발광층(113)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편광판(미도시)을 위치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오버코트층(108)에 의해 표면이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을 마이크로 렌즈(ML) 형상에 대응하여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위치를 제안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발광된 광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거나, 또는 높은 반사율에 따른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로,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층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118)와 볼록부(117)가 교번하여 배치되어 표면이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오버코트층(108) 상부에는 제 1 전극(111)과, 유기발광층(113) 그리고 제 2 전극(115)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E)가 배치된다.
여기서, 표면이 오목부(118) 및 볼록부(117)의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오버코트층(108) 상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 제 2 전극(115)은 모두 오버코트층(108)의 표면을 그대로 따라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오버코트층(108)의 볼록부(117)는 밑면부(117a), 정상부(117b) 그리고 밑면부(117a)와 정상부(117b)를 연결하여 정상부(117b)를 이루는 경사면 전체를 이루는 옆면부(117c)로 나뉘어 정의된다.
또한 옆면부(117c)는 높이(H)를 기준으로 하부영역(LA), 중간영역(MA), 상부영역(UA)으로 다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는데, 하부영역(LA)은 볼록부(117)의 밑면부(117a)와 정상부(117b) 사이의 전체 높이(H) 중 볼록부(117)의 밑면부(117a)와 반높이(H/2)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영역(MA)은 하부영역(LA)과 상부영역(UA) 사이로 위치하는데, 볼록부(117)의 밑면부(117a)와 정상부(117b) 사이의 전체 높이(H) 중 반높이(H/2)와 4/5높이(4H/5)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부영역(UA)은 볼록부(117)의 밑면부(117a)와 정상부(117b) 사이의 전체 높이(H) 중 4/5 높이(4H/5)와 정상부(117b)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코트층(108)의 볼록부(117)는 유기발광층(113)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정상부(117b)가 뾰족한 구조로 형성되어, 볼록부(117)는 정상부(117b)에 해당하는 꼭지점, 밑면부(117a)에 해당하는 밑변, 그리고 옆면부(117c)에 해당하는 빗변을 포함하는 삼각 형태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오버코트층(108)의 볼록부(117)는 옆면부(117c)가 이루는 기울기(θ1, θ2)가 밑면부(117a)로부터 정상부(117b)로 향할수록 점차 커질 수 있는데, 기울기(θ1, θ2)는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의 접선(C1, C2)과 수평면(=밑면부(117a)) 사이의 각도로써,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의 접선(C1, C2)과 수평면(=밑면부(117a)) 사이의 각도가 최대인 기울기(θ1, θ2)를 최대 기울기(Smax)라 정의한다.
따라서, 오버코트층(108)의 볼록부(117)는 옆면부(117c)가 이루는 기울기(θ1, θ2)가 밑면부(117a)로부터 정상부(117b)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되므로, 오버코트층(108)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는 정상부(117b)에 인접한 상부영역(UA)에서 최대 기울기(Smax)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118)와 볼록부(117)의 마이크로 렌즈(ML)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108) 상부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과 유기발광층(113) 그리고 제 2 전극(115) 또한, 표면이 오목부(118)와 볼록부(117)의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게 되며, 볼록부(117) 또한 밑면부(117a), 정상부(117b) 그리고 옆면부(117c)로 나뉘어 정의되며, 옆면부(117c)에서도 상부영역(UA)과, 중간영역(MA) 그리고 하부영역(LA)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유기발광층(113)이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오버코트층(108) 상부로 위치함에 따라,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1, d2, d3, d4)가 영역 별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유기발광층(113)이 마이크로 렌즈(ML)의 오목부(118)와 볼록부(117)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두께(d1, d2, d3, d4)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마이크로 렌즈(ML)의 오목부(118)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와 볼록부(117)의 정상부(117b)에서의 제 1 전극(111)에 수직한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1, d2)에 비해, 마이크로 렌즈(ML)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접선(C1, C2)으로부터 수직한 길이에 대응되는 두께(d3, d4)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3, d4)는 또 다시 하부영역(LA)으로부터 상부영역(UA)으로 갈수록 점점 얇은 두께로 형성되게 된다.
이는 유기발광층(113)을 증착하는 공정 과정의 특성으로, 마이크로 렌즈(ML)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108) 상부로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은 마이크로 렌즈(ML)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서는 기울기(θ1, θ2)가 형성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증착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1, d2)에 비해 옆면부(117c)에서는 얇은 두께(d3, d4)를 갖도록 형성되게 된다.
또한 옆면부(117c)에서도 하부영역(LA)으로부터 상부영역(UA)으로 갈수록 기울기(θ1, θ2)가 커지게 되므로, 기울기(θ2)가 가장 크게 형성되는 상부영역(UA)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4)가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기울기(θ1)가 적은 볼록부(117)의 중간영역(MA)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3)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기발광층(113)의 두께는 d1≥ d2 > d3 > d4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E)의 발광은 주로 높은 전류 밀도를 갖는 영역에서 일어나게 되므로, 가장 얇은 두께(d4)를 갖는 볼록부(117)의 상부영역(U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 밀도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한 발광이 일어나게 되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d1)를 갖는 볼록부(117)들의 하부영역(LA)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 밀도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한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강한 발광이 일어나게 되는 복수의 볼록부(117) 각각의 상부영역(UA)은 유효발광영역(B)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E)를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유효발광영역(B)에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고 주된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주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117)의 정상부(117b)와 오목부(118)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비해 가장 얇은 두께(d4)를 갖게 되는 유기발광층(113)은 유효발광영역(B)에서 주 발광이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주 발광이 발생하는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를 고려하여 유기발광층(113)의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발광된 광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는 높은 반사율에 따른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을 고려하여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래 정의한 수식들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 1)
T2 = T1 * cosθ
여기서, T1은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118)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1)를 나타내며, T2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서 유효발광영역(B)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4)를 나타낸다.
그리고, θ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의 접선(C2)과 수평면(=밑면부(117a))이 이루는 기울기(θ2)를 나타낸다.
이때,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의 접선(C2)과 수평면(=밑면부(117a))이 이루는 기울기(θ2)는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짐에 따라, T2 = T1 * cosθmax 수식을 만족하며, 이 때 T2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d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옆면부(117c)의 접선(C2)과 수평면(117a)이 이루는 최대 기울기(Smax)는 20 ~ 60도 일 수 있는데, 최대 기울기(Smax)가 20도 미만인 경우,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광 진행 각도가 오버코팅층(108)이 평탄한 OLED와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효율 개선이 거의 없게 된다.
또한 최대 기울기(Smax)가 60도를 초과하는 경우는 광 진행 각도가 기판(도 1의 101)과 기판(도 1의 101) 외부의 공기층의 전반사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OLED(도 1의 100) 내부로 갇히는 광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오버코트층(108)이 평탄한 OLED 보다 오히려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버코트층(108)의 볼록부(117)의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옆면부(117c)의 최대 기울기(θmax)는 20도 내지 60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수식 1)을 고려하여,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는 아래 (수식 2)를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수식 2)
L = D * cosθ
D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118)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즉 T1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L은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117)의 주 발광이 발생하는 옆면부(117c)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 즉, T2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cosθ는 마이크로 렌즈(ML)에 의한 유효발광영역(B)에서의 기울기(θ2)에 의해 감소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계수이다.
즉, 위의 (수식 1)과 (수식 2)을 살펴보면,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은 볼록부(117)와 오목부(118)에서의 두께(d1, d2, d3, d4)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118)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와,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유기발광층(113)은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 대응하여 유효발광영역(B)이 정의됨에 따라, 위의 (수식 1)과 (수식 2)를 고려하여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117)의 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유기발광층(113)의 주 발광이 일어나는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서의 유효발광영역(B)을 고려하여 유기발광층(113) 내에서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아래 (수식 3)을 통해서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을 고려하여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함으로써,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수식 3)
Y = L * cosθ : L ≤ D
Y는 형성하고자 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 즉, 타겟두께로서,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에서의 유효발광영역(B)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접선(C2)으로부터 수직한 두께(=d4)로, 실제 형성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거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L는 위의 (수식 2)에 의해 D * cosθ로 정의됨으로써, 위의 (수식 3)를 살펴보면,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에 형성하고자 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118)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에 비해 작거나 같으며, 이때 형성하고자 하는 유기발광층(113) 내에서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 까지의 거리 또한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117)의 주 발광이 발생하는 옆면부(117c)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까지의 거리에 비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식 3)을 만족하는 유기발광층(113)의 마이크로 렌즈(ML)의 오목부(118)와 볼록부(117)에서 형성되는 두께(d1, d2, d3, d4)를 모두 고려하여, 오버코트층(108) 상부로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 내에서의 두께가 3000 ~ 3500Å 이하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한편, (수식 2)와 (수식 3)은 모두 OLED(도 1의 100)의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도내에서 설계되었다.
여기서,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는 거울과 거울 사이에서 반사되는 광이 상쇄되거나 보강 간섭됨에 따라 일정한 파장의 광만이 유지되고 나머지 파장은 상쇄되어 광의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으로, 즉,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통해 특정한 파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B)을 고려하여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최적의 위치를 고려함에 있어서, 유기발광층(113)이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는 한도 내에서 설계하는 것이다.
위의 (수식 2)와 (수식3)을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위치에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을 마이크로 렌즈(ML) 형상에 대응하여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 도 3 참조)의 위치를 제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발광된 광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며, 또는 높은 반사율에 따른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E)는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5)과,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5) 사이에 제1 발광층(203a), 제2 발광층(203b), 및 제3 발광층(203c)를 포함한다.
제1 전극(111)은 정공(hole)을 공급하는 양극(anode)으로,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혼합물,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15)은 전자(electron)를 공급하는 음극(cathode)으로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인 A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과 M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합금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115)은 반사 전극이고, 제1 전극(111)은 반투과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111)은 반사 전극이고, 제2 전극(115)은 투명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111) 또는 제2전극(115)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전극(115)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9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전극(111)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8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시광선 영역은 380㎚ 이상800㎚ 이하의 파장영역일 수 있다.
제2 전극(115)이 90%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구조이면,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발광된 광 중 제2 전극(115) 방향으로 향하는 광의 많은 양이 반사되어 다시 제1 전극(111)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1)이 80%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구조이면, 그만큼 제1 전극(111)을 투과하는 광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제2 전극(115)은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90nm 이상 120nm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극(115)의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11)은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115nm 이상 135nm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111)의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 사이로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과, 제 1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205) 및 제 1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207)이 위치하는데, 제 2 전극(115) 상부로 제 1 전자수송층(205)이 위치하며, 제 1 전극(111) 상부로 제 1 정공수송층(207)이 위치하게 되며, 제 1 전자수송층(205), 제 1 발광층(203a), 제 2 발광층(203b), 제 3 발광층(203c) 그리고 제 1 전자수송층(207)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제2 전극(115)과 제 1 전자수송층(205) 사이로는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이 더 위치할 수 있는데, 전자주입층은 제2 전극(115)으로부터의 전자(electron)를 제1 전자수송층(205)으로 원활하게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전자수송층(205)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전자수송층(205)과 제 1 발광층(203a) 사이로는 정공저지층(HBL: Hole Blocking layer)를 더 구성하여 제1 발광층(203a)에 주입된 정공이 제1 전자수송층(205)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발광층(203a)에서 정공과 전자의 결합을 향상시켜 제1 발광층(203a)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전자수송층(205)과 정공저지층(HBL)은 하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제1 전자수송층(205), 정공저지층(HBL), 및 전자주입층(EIL)은 전자전달층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전자수송층(205)은 제2 전극(115)으로부터의 전자를 제1 발광층(203a)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정공수송층(207)은 제1 전극(111)으로부터 받은 정공을 제1 발광층(203a)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발광층(203a)에서는 제1 전자수송층(205)을 통해 공급된 전자(electron)들과 제1 정공수송층(207)을 통해 공급된 정공(hole)들이 재결합되므로 광이 생성된다.
여기서, 제1 발광층(203a)은 제1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일 수 있다. 즉, 제1 발광층(203a)은 청색(Blue) 발광층, 진청색(Deep Blue) 발광층, 또는 스카이 블루(Sky Blue) 발광층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층(203a)의 발광 영역은 440㎚ 내지 480㎚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발광층(203a)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도펀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혼합된 혼합 호스트(mixed host)와 적어도 하나의 도펀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혼합 호스트는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진 호스트와 전자 수송 특성을 가진 호스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혼합 호스트로 구성될 경우, 발광층의 전하 균형(charge balance)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광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펀트는 형광 도펀트 또는 인광 도펀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발광층(203a) 상부로는 제 2 발광층(203b)이 위치하는데, 제 1 발광층(203a)과 제 2 발광층(203b) 사이로는 제 1 보조층(208)이 위치한다.
제 1 보조층(208)은 제 2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과 제 2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을 포함하며, 제2 전자수송층(ETL) 과 제 2 발광층(203b) 사이로 전자주입층(EIL)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정공수송층(HTL) 위에 정공주입층(HIL)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층(203b)과 제 2 정공수송층(HTL) 사이로 전자저지층(EBL)이 더 구성될 수 있는데, 전자저지층(EBL)은 제2 발광층(203b)에 주입된 전자가 제2 정공수송층(HTL)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 발광층(203b)에서 정공과 전자의 결합을 향상시켜 제2 발광층(203b)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정공수송층(HTL)과 전자저지층(EBL)은 하나의 층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층(203b)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2 전자수송층(ETL) 위에 정공저지층(HBL)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수송층(ETL) 과 정공저지층(HBL)은 하나의 층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전자수송층(ETL), 정공저지층(HBL), 및 전자주입층(EIL)은 전자전달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2정공수송층(HTL), 전자저지층(EBL), 및 정공주입층(HIL)은 정공전달층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층(203b)은 제2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일 수 있는데, 즉, 제2 발광층(203b)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 녹색(Green) 발광층,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 및 적색(Red) 발광층, 황색(Yellow) 발광층 및 적색(Red) 발광층, 녹색(Green) 발광층 및 적색(Red) 발광층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 발광층(203b)이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일 경우, 제2 발광층(203b)의 발광 영역은 510㎚ 내지 590㎚ 범위일 수 있으며, 제2 발광층(203b)이 녹색(Green) 발광층일 경우, 제2 발광층(203b)의 발광 영역은 510㎚ 내지 580㎚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층(203b)이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 및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될 경우, 제2 발광층(203b)의 발광 영역은 510㎚ 내지 650㎚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층(203b)이 황색(Yellow) 발광층 및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할 경우, 제2 발광층(203b)의 발광 영역은 540㎚ 내지 650㎚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층(203b)이 녹색(Green) 발광층 및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할 경우, 제2 발광층(203b)의 발광 영역은510㎚ 내지 650㎚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발광층(203b)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도펀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2 발광층(203b)은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혼합된 혼합 호스트(mixed host)와 적어도 하나의 도펀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혼합 호스트는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진 호스트와 전자 수송 특성을 가진 호스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혼합 호스트로 구성할 경우, 발광층의 전하 균형(charge balance)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광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펀트는 형광 도펀트 또는 인광 도펀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보조층(208)의 제 2 전자수송층과 제 2 정공수송층 사이로 제1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 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전하생성층(CGL) 은 제1 발광층(203a)과 제 2 발광층(203b) 사이의 전하 균형을 조절하게 된다.
제1 전하생성층(CGL) 은 P형 전하생성층(P-CGL)과 N형 전하생성층(N-CGL)을 포함하는데, P형 전하생성층(P-CGL)은 제1 발광층(203a)으로 정공(hole)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며, N형 전하생성층(N-CGL)은 제2 발광층(203b)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 2 발광층(203b) 상부로는 제 2 보조층(209)과 제 3 발광층(203c)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제 3 발광층(203c) 상부로 제 1 정공수송층(207)과 제 1 전극(111)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제 2 보조층(209)은 제 3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과 제 3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을 포함하며, 제3 전자수송층(ETL)과 제 3 발광층(203c) 사이로 전자주입층(EIL)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정공수송층(HTL) 아래에 정공주입층(HIL)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발광층(203c)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3 발광층(203c)과 제 2 발광층(203b) 사이로 전자저지층(EBL)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정공수송층(HTL)과 전자저지층(EBL)은 하나의 층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발광층(EML)(203c)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3 전자수송층(ETL)과 제 3 발광층(203c) 사이로 정공저지층(HBL)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전자수송층(ETL)과 정공저지층(HBL)은 하나의 층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제3 전자수송층(ETL), 정공저지층(HBL), 및 전자주입층(EIL)은 전자전달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3 정공수송층(HTL), 전자저지층(EBL), 및 정공주입층(HIL)은 정공전달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 3 전자수송층(ETL)과 제 3 정공수송층(HTL) 사이로는 제2 전하생성층(CGL)이 더 구성될 수 있는데, 제2 전하생성층(CGL)은 제2 발광층(203b)과 제 3 발광층(203c) 간의 전하 균형을 조절하게 된다.
제2 전하생성층(CGL)은 P형 전하생성층(P-CGL)과 N형 전하생성층(N-CGL)을 포함할 수 있으며, P형 전하생성층(P-CGL)은 제2 발광층(203b)로 정공(hole)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며, N형 전하생성층(N-CGL)은 제3 발광층(203c)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3 발광층(203c)은 제1 색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일 수 있는데, 즉, 제3 발광층(203c)은 청색(Blue) 발광층, 진청색(Deep Blue) 발광층, 또는 스카이 블루(Sky Blue) 발광층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발광층(203c)의 발광 영역은 440㎚ 내지 480㎚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발광층(203c)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도펀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3 발광층(203c)은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혼합된 혼합 호스트(mixed host)와 적어도 하나의 도펀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혼합 호스트는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진 호스트와 전자 수송 특성을 가진 호스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혼합 호스트로 구성할 경우, 발광층의 전하 균형(charge balance)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광층의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펀트는 형광 도펀트 또는 인광 도펀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E)는 제 1 및 제 2 전극(111, 115) 사이로 3개의 발광층(203a, 203b, 203c)을 포함함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발광층은 2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E)는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두께)를 위에서 정의한 (수식 2)를 통해 설계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을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 형상에 대응하여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의 위치를 제안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제1 내지 제 3 발광층(EML)(203a, 203b, 203c)의 유기발광층(113) 내에서의 위치는 아래 (수식 4)과 (수식 5) 그리고 (수식 6)를 통해 다시 정의될 수 있다.
(수식 4)
L1 = (D1 * cosθ)(θ = 20 ~ 60˚)
(수식 5)
L2 = (D2 * cosθ)(θ = 20 ~ 60˚)
(수식 6)
L3 = (((D2 + D3)/2) * cosθ)(θ = 20 ~ 60˚)
여기서, D1, D2, D3은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도 2의 118)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 까지의 거리를 각각 나타내며, L1, L2, L3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도 2의 117)에서 유기발광층(113)이 가장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즉 주 발광이 발생하는 옆면부(117c)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위의 (수식 4)과 (수식 5) 그리고 (수식 6)을 살펴보면,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118)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와, 볼록부(117)의 옆면부(117c)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되므로, 위의 (수식 4)과 (수식 5) 그리고 (수식 6)를 고려하여 마이크로 렌즈(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을 고려하여 발광층(203a, 203b, 203c)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전극(111)인 애노드의 상면으로부터 제2 전극(115)인 캐소드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4900Å 내지 5300Å 범위일 수 있으며, 위의 (수식 4), (수식 5) 그리고 (수식 6)을 통해 설계되는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1 발광층(203a)까지의 두께(L1)는 585Å(±5%)의 범위를 가지며,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2 발광층(203b)까지의 두께(L2)는 2880Å(±5%)의 범위를 가지며,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3 발광층(203c)까지의 두께(L3)는 3630Å(±5%)의 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제1 전극(111)이 투명하여 광을 투과하는 투과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고 제2 전극(115)은 반투명하여 일부 광은 투과하고 일부 광은 반사하는 반투과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전극(115)과 제1 전극(111) 사이에서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를 통한 광효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는 광로 길이만큼 떨어져 있는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5) 사이에서 광이 반사 및 재반사를 반복하면서 보강간섭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방출되는 광이 증폭되어 광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광이 반사 및 재반사를 반복하면서 보강간섭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5) 사이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 별로 공진 거리를 설정하여야 한다.
공진 거리는 방출되는 광의 반파장(λ/2)의 정수배가 되도록 설계하면 되는데, 이와 같이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한 공진 거리를 형성하는 경우, 방출되는 광 중 해당 파장의 광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5) 사이에서 반사가 반복되면서 보강 간섭으로 인해 진폭이 커진 상태로 외부로 추출되게 된다.
반면. 해당 파장이 아닌 광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5) 사이에서 반사가 반복되면서 상쇄 간섭으로 인해 진폭이 작아진 상태에서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캐비티를 구현함으로써 공진 거리에 대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한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들에서 나온 광이 제2 전극(115)에서 반사되어 제1 전극(111)으로 방출될 때 광로 길이에 따라 발광 스펙트럼이 달라지므로, 마이크로 캐비티를 이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발광층(203a, 203b, 203c)들의 위치를 설정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마이크로 캐비티를 구현함과 동시에, 유기발광층(113)이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룸에 따라 볼록부(도 2의 117)와 오목부(도 2의 118)에 서로 다른 두께(도 2의 d1, d3, d4)로 형성됨을 고려하여,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 대응하여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의 위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 4a ~ 4c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도 4a는 제 1 발광층(203a)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위치에 따른 발광효율을 나타낸 실험결과이며, 도 4b는 제 2 발광층(203b)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위치에 따른 발광효율을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그리고 도 4c는 제 3 발광층(203c)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위치에 발광효율을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440㎚ 내지 480㎚ 범위의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층(203a)은 제 2 전극(115)으로부터 555 ~ 615Å 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 최대 발광효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4b를 참조하면 510㎚ 내지 590㎚ 범위의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 2 발광층(203b)은 제 2 전극(115)으로부터 2735 ~ 3025 Å 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 최대 발광효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제 1 발광층(203a)과 동일한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 3 발광층(203c)은 제 2 전극(115)으로부터 3450 ~ 3815 Å 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 최대 발광효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제 1 발광층(203a)의 위치는 585Å(±5%)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2 발광층(203b)의 위치는 2880Å(±5%)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제 3 발광층(203c)의 위치는 3630Å(±5%)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주 발광이 일어나는 볼록부(도 2의 117)의 옆면부(도 2의 117c)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의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할 수 있어,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a ~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와 비교예에 따른 OLED에서 파장에 따른 광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도 5a의 Sample 1은 일반적인 OLED의 파장에 따른 광 추출 효율을 나타내며, Sample 2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포함하는 OLED의 파장에 따른 광 추출 효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b의 Sample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의 최적의 위치를 제안한 OLED(도 1의 100) 의 파장에 따른 광 추출 효율로, 가로축은 파장(nm)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발광세기(intensity, a.u.(arbitrary unit))를 나타낸다.
발광 세기는 발광 스펙트럼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한 수치이다. 즉, 청색(Blue)의 발광 스펙트럼의 값인 0.34(a.u.)를 최대값으로 하고 황색-녹색(Yellow-Green)의 발광 스펙트럼의 값을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다.
첨부한 도 5a를 먼저 살펴보면, Sample 2가 Sample 1에 비해 발광 스펙트럼이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오버코트층(도 2의 108)의 표면이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도록 하는 OLED(Sample 2)가 일반적인 OLED(Sample 1)에 비해 가시광선 파장 대에서 추출되는 광량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5b를 살펴보면, Sample 3이 Sample 1에 비해 발광 스펙트럼이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Sample 3의 발광 스펙트럼은 Sample 2의 발광 스펙트럼 보다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포함하는 OLED에 비해,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주 발광이 일어나는 볼록부(도 2의 117)의 옆면부(도 2의 117c)에서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서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하는 본원발명의 OLED(도 1의 100)가 보다 광 추출 효율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마이크로 캐비티를 구현함과 동시에, 유기발광층(113)이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룸에 따라 볼록부(도 2의 117)와 오목부(도 2의 118)에 서로 다른 두께(도 2의 d1, d3, d4)로 형성됨을 고려하여,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서의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의 위치를 제안함으로서,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E)는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두께(L1, L2, L3)를 위에서 정의한 (수식 3)을 통해 설계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을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 형상에 대응하여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서의 최적의 발광층(203a, 203b, 203c)의 위치를 제안하여,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제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의 위치(L1, L2, L3)는 아래 (수식 7)과 (수식 8) 그리고 (수식 9)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수식 7)
Y1 = L1 * cosθ : L1 ≤ D1(θ = 20 ~ 60˚)
(수식 8)
Y2 = L2 * cosθ : L2 ≤ (cos60 * D2)(θ = 20 ~ 60˚)
(수식 9)
Y3 = L3 * cosθ : L3 ≤ (cos60 * D3)(θ = 20 ~ 60˚)
여기서, Y1, Y2, Y3은 형성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도 2의 117)의 옆면부(도 2의 117c)에서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도 2의 d4)를 나타내며, Y1, Y2, Y3는 3000 ~ 3500Å일 수 있다.
그리고, L1, L2, L3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도 2의 117)에서 유기발광층(113)이 가장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즉 주 발광이 발생하는 옆면부(117c)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D1, D2, D3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도 2의 118)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각각의 거리를 나타낸다.
위의 (수식 7)과 (수식 8) 그리고 (수식 9)을 통해,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OLED(도 1의 1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식 8)와 (수식 9)의 cos60은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의 볼록부(도 2의 117)의 기울기(도 2의θ2)에 따른 최소값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값이 (수식7)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제 2 전극(115)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1 발광층(203a)은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 현상 등에 의해 발광층(203a) 일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 2전극(115)으로 일부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극(115)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1 발광층(203a)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거리를 구하는 과정에서 이를 감안하여 최소값을 생략하였다.
위의 (수식 7)과 (수식 8) 그리고 (수식 9)를 통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L1 값을 280 ~ 300Å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L2 값은 850 ~ 1450Å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L3 값은 2150 ~ 2550Å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기발광층(113)이 3000 ~ 3500Å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첨부한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 형상 별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 측정한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의 형상에 따른 반사율의 증가 경향은 명확하게 나타나지만, 유사 형상 범위 내에서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따른 반사율의 유의차 또한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도 6을 참조하면,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3500Å 이하일 때의 반사율이 3500Å 이상일 때에 비해 반사율에 비해 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층(113)의 두께는 Å로 정의되며,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의 형상은 오버코트층(도 2의 108)의 종횡비(A/R)로, 종횡비(A/R)는 볼록부(162)의 높이(H)를 볼록부(162)의 반지름(D/2)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0.4 ~ 0.5를 갖도록 정의하였다.
또한, 첨부한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따른 파장에 따른 반사율을 비교 측정한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3500Å 이하일 때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이 확연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1)과 첨부한 도 7a ~ 7c를 참조하여 전압에 따른 발광효율을 유기발광층(113)의 두께 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설명에 앞서 먼저, Sample 5, 6, 7은 유기발광층의 두께가 3500Å 이상으로 설계된 일반적인 OLED를 나타내며, Sample 8, 9,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수식 7)과 (수식 8) 그리고 (수식 9)를 통해 정의된 L1, L2, L3 값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의 최적의 위치가 설계된 OLED(도 1의 100)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 1)과 첨부한 도 7a ~ 7c를 참조하면, 도 7a는 적색 서브화소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따른 발광효율로, Sample 8, 9, 10과 Sample 5, 6, 7이 서로 유사한 발광효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b는 녹색 서브화소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따른 발광효율로, Sample 8, 9, 10과 Sample 5, 6, 7이 서로 유사한 발광효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c는 청색 서브화소에서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에 따른 발광효율 또한 Sample 8, 9, 10과 Sample 5, 6, 7이 모두 서로 유사한 발광효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mple 5 Sample 6 Sample 7 Sample 8 Sample 9 Sample 10
L1(Å) 290 460 460 290 290 290
L2(Å) 1930 2380 2180 1400 1100 900
L3(Å) 2835 3530 3330 2500 2300 2200
여기서 OLED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광학적 조건으로 인해, 유기발광층(113)은 적어도 3500Å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도 6 과 위의 (표 1) 그리고 도 7a ~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앞서 정의한 (수식 7)과 (수식 8) 그리고 (수식 9)를 통해 정의된 L1, L2, L3 값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발광층(203a, 203b, 203c)의 최적의 위치가 설계됨에 따라,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3500Å 이하로 설계되더라도, 유기발광층(113)이 3500Å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설계되는 유기발광층과 동일한 발광효율을 가짐에도, 반사율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사율을 낮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블랙(black) 상태일 때 반사시감을 개선할 수 있어, 시청자가 선명한 블랙(black)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일반적인 OLED의 반사율이 높음에 따라 OLED가 블랙(black) 상태일 때, 반사되는 광에 의해 선명한 블랙(black)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유기발광층(113)의 발광층(203a, 203b, 203c)의 위치를 고려하여 반사율을 낮춤으로써, 반사시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선명한 블랙(black)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도 2의 118)와 볼록부(도 2의 117)에서의 두께(도 2의 d1, d3, d4)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을 고려하여, 유기발광층(113)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 해당하는 유기발광층(113)의 볼록부(도 2의 117)의 옆면부(도 2의 117c)를 고려하여, 최적의 유기발광층(113)의 두께, 보다 정확하게는 제 2 전극(115)으로부터 각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OLED(도 1의 100)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에서 정의한 (수식 2)를 통해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각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 또한 해소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정의한 (수식 3)을 통해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각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식 2)와 (수식 3)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층(113)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 각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는 마이크로 렌즈(도 2의 ML)를 이루는 유기발광층(113)의 오목부(도 2의 118)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와, 볼록부(도 2의 117)의 옆면부(도 2의 117c)의 유효발광영역(도 2의 B)에서의 제 2 전극(115)으로부터의 발광층(203a, 203b, 203c)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1의 100)는 발광다이오드(E)로부터 발광된 광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거나, 또는 높은 반사율에 따른 블랙(black) 색상의 시감이 안좋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8 : 오버코트층
111 : 제 1 전극, 113 : 유기발광층, 115 : 제 2 전극
117 : 볼록부(117a : 밑면부 , 117b : 정상부, 117c : 옆면부)
118 : 볼록부
E : 발광다이오드
ML : 마이크로 렌즈

Claims (13)

  1.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록부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과;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되며, 제 1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1 발광층은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제 1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1 발광층은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제 2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거리는 서로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정상부와 밑면부 그리고 상기 정상부와 상기 밑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옆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옆면부가 이루는 기울기는 상기 밑면부로부터 상기 정상부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며, 상기 기울기가 최대인 영역은 유효발광영역인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는
    L1 = (D1 * cosθ)(θ = 20 ~ 60˚)
    (D1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 L1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2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L2 = (D2 * cosθ)(θ = 20 ~ 60˚)
    (D2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 L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3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L3 = (((D2 + D3)/2) * cosθ)(θ = 20 ~ 60˚)
    (D3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 L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 L3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는 585Å(±5%)이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2880Å(±5%)이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3630Å(±5%)인 유기발광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는
    Y1 = L1 * cosθ : L1 ≤ D1(θ = 20 ~ 60˚)
    (Y1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 D1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 L1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2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Y2 = L2 * cosθ : L2 ≤ (cos60 * D2)(θ = 20 ~ 60˚)
    (Y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 D2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 L2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제 3 발광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Y3 = L3 * cosθ : L3 ≤ (cos60 * D3)(θ = 20 ~ 60˚)
    (Y3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 D3 =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 L3 = 상기 볼록부의 상기 옆면부에서의 상기 유효발광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3 발광층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발광영역에서의 상기 유기발광층은 3000 ~ 3500Å의 두께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기발광층의 두께에 비해 얇은 유기발광표시장치.
  12. 제 5 항 및 제 9 항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층은 제 1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 2 발광층은 상기 제 1 색과 다른 제 2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 3 발광층은 상기 제 1 색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440㎚ 내지 480㎚ 범위의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 2 색은 510㎚ 내지 590㎚ 범위의 파장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80075227A 2018-06-29 2018-06-29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8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27A KR102583619B1 (ko) 2018-06-29 2018-06-29 유기발광표시장치
CN201910541833.1A CN110660825B (zh) 2018-06-29 2019-06-21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6/455,363 US11108023B2 (en) 2018-06-29 2019-06-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DE102019117580.1A DE102019117580B4 (de) 2018-06-29 2019-06-28 Organische-licht-emittierende-diode-displayvorrichtung
GB1909326.9A GB2576613B (en) 2018-06-29 2019-06-2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27A KR102583619B1 (ko) 2018-06-29 2018-06-29 유기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3A true KR20200002103A (ko) 2020-01-08
KR102583619B1 KR102583619B1 (ko) 2023-09-26

Family

ID=6754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227A KR102583619B1 (ko) 2018-06-29 2018-06-29 유기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8023B2 (ko)
KR (1) KR102583619B1 (ko)
CN (1) CN110660825B (ko)
DE (1) DE102019117580B4 (ko)
GB (1) GB2576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8620A (zh) * 2021-01-11 2021-05-07 宁波诺丁汉大学 光取出基板和高效电致发光器件
CN114975821A (zh) * 2022-05-05 2022-08-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73A (ko) * 2015-09-18 2017-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39771B1 (ko) * 2015-11-30 2017-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75327A1 (en) * 2016-12-20 2018-06-2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35B1 (ko) * 2006-11-27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89151A (ko) * 2008-02-18 200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0004944A1 (en) 2008-07-10 2010-01-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671210B1 (ko) * 2009-03-06 2016-11-0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JP2012003925A (ja) * 2010-06-16 2012-01-05 Sony Corp 表示装置
JP6047761B2 (ja) 2011-05-13 2016-12-21 ソニー株式会社 有機el多色発光装置
KR102067376B1 (ko) * 2013-05-21 2020-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57920B1 (ko) 2013-06-27 2019-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10962A (zh) 2014-06-13 2019-10-0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KR102283502B1 (ko) 2014-10-10 2021-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4282A (ko) 2015-01-05 2016-07-1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탠덤형 유기발광소자
KR101766714B1 (ko) 2015-08-31 2017-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TWI595644B (zh) * 2015-12-30 2017-08-1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2500231B1 (ko) 2016-03-31 2023-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73A (ko) * 2015-09-18 2017-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39771B1 (ko) * 2015-11-30 2017-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75327A1 (en) * 2016-12-20 2018-06-2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17580B4 (de) 2022-03-24
GB2576613B (en) 2021-03-03
KR102583619B1 (ko) 2023-09-26
US11108023B2 (en) 2021-08-31
US20200006709A1 (en) 2020-01-02
DE102019117580A1 (de) 2020-01-02
CN110660825B (zh) 2023-05-12
GB201909326D0 (en) 2019-08-14
CN110660825A (zh) 2020-01-07
GB2576613A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93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107272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528943B1 (ko) 자체 발광소자
US112578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10129786A (ko)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KR102581859B1 (ko) 자체 발광소자
KR10254665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8361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0517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66415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30099129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220199692A1 (en) Color filter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165102A1 (en) Display device
US20230165062A1 (en) Display device
KR20200019408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073247A (ko) 롤러블 표시장치
KR20210081760A (ko) 투명 led 표시장치
KR20230039854A (ko)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2914A (ko) 롤러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