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95A -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 Google Patents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95A
KR20200001695A KR1020180074482A KR20180074482A KR20200001695A KR 20200001695 A KR20200001695 A KR 20200001695A KR 1020180074482 A KR1020180074482 A KR 1020180074482A KR 20180074482 A KR20180074482 A KR 20180074482A KR 20200001695 A KR20200001695 A KR 20200001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unit
vibration
generation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694B1 (ko
Inventor
정길
Original Assignee
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 filed Critical 정길
Priority to KR102018007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는 소정범위의 주파수와 특정한 파형으로 공기를 진동시켜 공기 중 부유하는 안개 입자간에 충돌을 유발시켜 안개 입자끼리 뭉쳐지게 하여 낙하시킴으로써 안개가 소산되도록 하는 안개소산수단, 상기 안개소산수단이 소정 높이에 위치되어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된 지면에 매설되어 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지면온도 측정수단, 상기 안개소산수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기온을 측정하는 기온 측정수단, 상기 안개소산수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수단,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 상기 기온 측정수단 및 상기 습도측정수단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안개 발생 감지 수단, 상기 안개 발생 감지 수단으로부터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안개소산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Fog dissipator equipped with impact hammer}
본 발명은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하여 저주파의 음파를 발생시켜 안개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개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차가운 지표면과 접촉하여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낮아지면서 응결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아지는 새벽에 주로 발생한다.
안개가 발생할 경우 육안에 의한 가시거리가 1000M 이하로 낮아지게 되는데, 특히 안개가 차로에 발생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사고 위험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차로 상에 발생한 안개를 소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 중 고온의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제거하는 방식의 종래기술(선행기술 1)은 안개가 발생할 경우 고온의 바람을 안개 쪽으로 송풍시킴으로써 대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바람의 힘으로 안개를 밀어냄으로써 안개를 제거하는 원리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안개 소산 범위가 좁아 도로에 설치할 경우 짧은 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해야 하여 초기 설치비용이 클 뿐 아니라, 열풍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석유나 석탄 등의 연료를 연소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크고, 연소에 의한 매연으로 대기오염을 심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풍 발생 및 열풍의 송풍을 위하여 다수의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파를 송출하여 안개를 소산시키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는 상황이다(선행기술 2).
음파를 활용할 경우, 상기의 열풍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안개 소산범위가 넓고 별도로 석유등의 연료를 연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음파를 송출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사용하게 되는데, 스피커는 습도에 대하여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습한 지역에 설치될 경우에 장비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50850호, "안개소산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59150호, "안개 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피커에 의한 음파 송출 없이도 공기를 진동시켜 안개 입자의 응집을 유도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보다 넓은 범위의 안개를 제거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 장치는 소정범위의 주파수와 특정한 파형으로 공기를 진동시켜 공기 중 부유하는 안개 입자간에 충돌을 유발시켜 안개 입자끼리 뭉쳐지게 하여 낙하시킴으로써 안개가 소산되도록 하는 안개소산수단, 상기 안개소산수단이 소정 높이에 위치되어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된 지면에 매설되어 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지면온도 측정수단, 상기 안개소산수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기온을 측정하는 기온 측정수단, 상기 안개소산수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수단,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 상기 기온 측정수단, 상기 습도측정수단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안개 발생 감지 수단 및 상기 안개 발생 감지 수단으로부터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안개소산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개소산수단은 진동을 발생 시키는 진동부, 진동부에 충돌하여 진동부를 작동시키는 해머부, 해머부를 진동부에 충돌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시키는 동력을 상기 해머부에 전달하여 상기 해머부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여 진동부에 충돌하면 진동부의 떨림에 의해 공기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은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 상기 기온 측정수단 및 상기 습도 측정수단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안개가 발생한 경우 제어수단으로 작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은 안개의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개의 발생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해머부가 상기 진동부에 충돌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진동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는 가시거리를 감지하는 시인성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인성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시거리 정보를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은 상기 가시거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안개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개의 발생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해머부가 상기 진동부에 충돌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진동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으로부터 안개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원격으로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안개소산수단을 동작시키는 원격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개소산장치는 소정 거리 간격으로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안개소산장치는 서로 상이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는 공기를 진동시켜 안개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종래에 고온의 송풍방식의 안개소산장치보다 넓은 범위에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이동에 의한 바람에 비해 훨씬 바르게 전달되는 공기 진동에 의한 음파를 이용하므로 종래의 송풍방식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열풍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료 소비가 적고,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송풍방식이나 스피커에 의한 음파 방식에 비해 유지비용이 매우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개 발생 여부를 현재 기상 측정값 뿐만 아니라, 시인성 센서를 통해 시각적으로도 2단계로 측정하여 판단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한 시야방지와 구별하여 안개가 발생한 경우에만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어,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개의 분포 및 농도에 따라 안개의 제거에 적합한 주파수를 조절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대략적으로 도시,
도 2는 안개소산장치의 구조를 도시,
도 3은 안개소산수단이 동작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
도 4는 진동을 통해 안개가 소산되는 과정을 대략적으로 도시,
도 5에는 시인성 센서로 안개를 측정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이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개소산장치의 전면에는 안개소산수단(110)이 구비되어 있다.
외측으로는 진동을 확산시키는 콘(1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116) 내측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이 구비되어 진동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진동이 콘(116)을 통해 외부로 확산되어 전달된다.
한편,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지면에 설치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높이에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안개소산수단(110) 및 시인성 감지센서 등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20) 하단은 지면 내부로 매설되어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경우 장치 전체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단지면에는 지면온도를 측정하는 지면온도 측정수단(130), 상기 지지부재(120) 상에는 기온 및 습도를 측정하는 기온 측정수단(140) 및 습도 측정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측정 수단을 통해 측정된 기온, 습도, 지면온도의 정보를 종합하여 안개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안개소산수단(110)을 통해 진동을 전파하여 안개를 제거하게 된다.
도 2는 안개소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안개소산수단(11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11), 진동부(111)에 충돌하여 진동부(111)를 충격을 가하는 해머부(112), 해머부(112)를 진동부(111) 방향으로 밀어주는 추진부(114) 및 추진부(1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113)를 포함한다.
진동부(111)의 경우,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머의 충돌에 의해 진동판이 떨리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을 하면서 공기를 매질로 하여 음파가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해머부(112)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진동부(111)에 충돌을 반복하여 일정한 주기의 공기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충돌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진동의 주파수가 결정된다.
만약, 발생한 진동의 주파수가 인간의 청각이 인식할 수 있는 20Hz~20KHz 범위의 가청주파수대라면 매우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청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가 되도록, 해머부(112)의 충돌 간격을 조절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해머부(112)를 추진하는 추진부(114)의 동작을 제어하여야 한다.
추진부(114)는 동력부(113)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피스톤(115) 운동으로 변환하여 해머부(112)를 반복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따라서, 동작부의 회전주기에 따라 추진부(114)가 해머부(112)를 추진하는 시간간격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가 달라지게 된다.
한편, 동력부(113)는 추진부(114)를 왕복운동 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력부(113)에서 발생시키는 왕복 운동을 피스톤(115)을 통해 추진부(114)로 전달하고 추진부(114)는 해머부(112)를 반복적으로 추진하여 진동부(111)에 충돌시키게 된다.
한편, 해머부(112)는 추진부(114)의 추진에 의해 빠른 속도로 진동부(111) 방향으로 이동하여 진동부(111)에 충돌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킨다.
해머부(112)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진동부(111)와 충돌 시 접촉면이 넓을 경우 접촉면이 경사진 채 충돌하여 진동이 고르게 발생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진동부(111)와 충돌되는 면은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동부(111)는 해머부(112)와의 충돌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공기 중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재질 및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반복되는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과 탄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안개소산수단(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에 의해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수단(170)을 통해 동작하게 된다.
안개 발생 여부의 판단은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에서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130), 기온 측정수단(140) 및 습도 측정수단(150)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으로 전송하면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이를 바탕으로 안개 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안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공기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상기 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이 감소하여 공기 내 상대습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후 공기 온도가 계속 내려가게 되면 결국 상대습도가 100%가 되는 수증기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이 때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이라고 한다.
여기서, 안개는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에 다다르게 되어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특히, 도로 상에 발생하는 안개는, 밤사이 냉각된 지면에 공기가 닿게 되면, 지면과 맞닿은 공기 덩어리가 냉각되어 이슬점에 다다르게 되면서 안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개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지면온도, 기온 및 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각 측정수단과 연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기상청 데이터베이스와도 연결되어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구름 발생 여부, 강우 여부 등의 정보도 수신하게 된다.
이후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각 측정수단 및 기상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개 발생 여부를 예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온 측정수단(140)에 의해 측정된 현재 기온으로 포화수증기압을 도출하고, 습도 측정수단(150)에 의해 측정된 현재 습도에 의해서 현재 수증기압을 도출한 후, 현재 수증기압이 포화수증기압이 되는, 즉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인 이슬점을 도출하여 현재 기온와 비교한다.
현재온도가 이슬점 이하인 경우에는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안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130)에 의해 측정된 지면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으면 안개발생 확률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슬점 이하인 경우에는 안개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안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제어수단(170)으로 안개 발생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수단(170)은 안개소산장치를 작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안개를 제거하게 된다.
도 4에는 진동을 통해 안개가 소산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데, 안개소산장치의 발생된 소정 주파수의 진동이 안개가 발생한 지역의 공기 중으로 전달되면, 공기 중에 떠 있는 안개입자들이 진동하게 되면서, 보다 큰 안개입자를 응결핵으로 하여 주변의 작은 입자들이 큰 안개입자로 합쳐지는 응축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응축을 통해 커진 안개입자들끼리도 진동을 하다가 서로 맞닿게 되면 서로 합쳐지는 응집 현상을 통해 안개 입자는 더욱 커지게 되어, 결국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더 이상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없는 물방울이 되어 경우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로서 안개가 제거되게 된다.
한편, 안개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인성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시인성 센서는 목표물의 시인성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안개에 의해 목표물의 시인성이 얼마나 낮아졌는지를 파악하여 안개 발생 여부 및 안개의 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안개 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안개의 농도 또는 발생한 범위에 따라 알맞은 진동을 발생시켜, 다양한 안개 발생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안개를 소산시킬 수 있다.
(참고로, 기상관측에서는 안개 속에서 목표물의 시인성이 200m 미만인 경우를 농무, 200∼500m인 경우를 병무, 500∼1000m를 박무로 구분하여 안개가 낀 정도를 구분하고 있으며, 산간지방의 경우에는 산안개가 짙게 형성되어 10m 앞이 보이지 않을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도 5에는 시인성 센서로 안개를 측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시인성 센서에는 카메라 등 촬영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안개소산장치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간격으로 표지물(190)이 다수 설치된다.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일정 간격의 표지물(190)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으로 전송하고,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상기 촬영 영상에서 표지물(190)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지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표지물(190) 중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표지물(190)은 시각적으로 인식이 되나, 거리가 먼 표지물(190)은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안개의 농도는 옅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인식되는 표지물(190) 중 가장 거리가 먼 표지물(190)의 위치가 안개소산장치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멀면 멀수록 안개의 농도는 옅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지물(190)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시인성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먼 거리까지 안개가 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특정 거리의 표지물(190)부터 더 멀리 있는 표지물(190)까지 시인성에 큰 차이가 없다면, 상기 특정 거리부터는 안개가 끼지 않았거나, 매우 옅게 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거리에 따른 시인성의 변화를 통해 안개가 낀 범위를 파악 할 수 있다.
반대로, 가까운 표지물(190)이 시각적으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안개의 농도는 짙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되는 안개의 농도에 따라 안개소산수단(110)에서 발생시키는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음은 파장이 상대적으로 긴 장파장으로서 낮은 진동수와 저음을 가진다.
파동 전파 시 직진성은 약하고, 회절성이 강하며, 매질에서의 감쇠도 역시 낮아 장거리 전파에 유리하다.
반대로, 고주파 음은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파장으로서 높은 진동수와 고음을 가진다.
파동의 전파시 직선성이 강하고, 회절성이 약하며, 매질에서의 감쇠도가 커 장거리 전파에는 불리하다.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에서 발생시키는 진동은 가청주파수 이외의 저주파 또는 고주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안개의 농도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저주파 및 고주파의 상반되는 특징을 이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안개를 소산시킬 수 있다.
이 역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안개소산수단(110) 및 시인성 센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멀리 있는 표지물(190)까지 시각적으로 인식된다는 의미이고, 가까워지는 방향은 가까이 있는 표지물(190)도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개의 농도가 옅고 멀리까지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20Hz 이하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다.
왜냐하면, 상기 설명한 저주파의 특징에서와 같이 멀리까지 전달되는 것이 유리하고, 대기 중에 안개입자의 밀도는 낮으므로 낮은 진동만으로도 안개입자들 사이에 충분한 응집 또는 응축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안개의 농도가 짙은 경우에는 20KHz 이상의 높은 진동수를 가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대기 중 안개입자의 밀도가 높아 진동시켜야 할 안개입자의 수가 많으므로, 많은 진동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높은 진동으로 고밀도의 안개입자를 모두 빠르게 진동시켜 응집 및 응축을 통해 고농도의 안개를 빠르게 소산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주파의 경우 전파거리가 짧으므로, 만약 고농도의 안개가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된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를 일정거리 간격으로 두 개 이상 설치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한번에 고주파 진동을 발생시킨다면 넓은 지역의 고농도 안개도 빠르게 소산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안개소산장치를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일정 구역에 설치된 안개소산장치 중 안개의 농도 및 발생범위에 따라 일부만 작동시키거나, 각 안개소산장치 별로 서로 상이한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고주파 또는 저주파는 시인성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시거리 정보를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에 전송하고,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표지물(190)의 시인성 정보를 통해 안개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170)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170)은 상기 안개의 발생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113)를 제어하여 해머부(112)가 진동부(111)에 충돌하는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 황사 또는 미세먼지가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표지물(190)의 시인성만으로 안개를 측정할 경우, 황사 또는 미세먼지를 안개로 오인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시인성 센서와 함께 상기 기상 측정수단의 측정수치를 함께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시인성 센서에 의해 목표물의 시인성을 측정하여, 소정의 측정치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130), 기온 및 습도 측정수단(15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들을 상기와 같이 처리하여, 안개가 발생될 조건에 해당한다면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제어수단(170)를 통해 안개소산수단(110)을 작동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것이다.
한편, 안개소산장치는 상습 안개발생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지역은 보통 산간도로나 해안다리 등 사용자가 상시 체류 하기 힘든 곳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앙센터의 관리시스템 또는 관리자의 개인단말 등 사용자가 원격에서 안개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안개소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안개소산장치는 원격에서 안개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수단(180)(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각 측정수단 및 시인성 센서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한 안개 측정치를 원격제어수단(180)(170)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제어수단(180)(170)은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는 안개발생 여부에 따라, 원격제어수단(180)(170)을 통해 안개소산수단(11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수단(170)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어수단(170)은 안개소산수단(110)을 작동시켜 안개를 소산시키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는 안개소산수단(110)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주파수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고, 안개발생 감지 수단이 측정된 값을 통해 자동으로 산출해 낸 주파수를 그대로 적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안개소산장치
110 : 안개소산수단
111 : 진동부
112 : 해머부
113 : 동력부
114 : 추진부
115 : 피스톤
116 : 콘
120 : 지지부재
130 : 지면온도 측정수단
140 : 기온 측정수단
150 : 습도 측정수단
160 : 안개발생 감지수단
170 : 제어수단
180 : 원격제어수단
190 : 표지물

Claims (7)

  1. 음파를 발생시켜 안개를 제거하는 안개소산장치에 있어서,
    소정범위의 주파수와 특정한 파형으로 공기를 진동시켜 공기 중 부유하는 안개 입자간에 충돌을 유발시켜 안개 입자끼리 뭉쳐지게 하여 낙하시킴으로써 안개가 소산되도록 하는 안개소산수단(110);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이 소정 높이에 위치되어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20);
    상기 지지부재(120)가 설치된 지면에 매설되어 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지면온도 측정수단(130);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기온을 측정하는 기온 측정수단(140);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수단(150); 및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130), 상기 기온 측정수단(140) 및 상기 습도측정수단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안개 발생 감지 수단;
    상기 안개 발생 감지 수단으로부터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안개소산수단(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소산수단(110)은 진동을 발생 시키는 진동부(111), 진동부(111)에 충돌하여 진동부(111)를 작동시키는 해머부(112), 해머부(112)를 진동부(111)에 충돌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113)에서 발생시키는 동력을 상기 해머부(112)에 전달하여 상기 해머부(112)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여 진동부(111)에 충돌하면 진동부(111)의 떨림에 의해 공기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상기 지면온도 측정수단(130), 상기 기온 측정수단(140) 및 상기 습도 측정수단(150)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안개가 발생한 경우 제어수단(170)으로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안개의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제어수단(170)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170)은 상기 안개의 발생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113)를 제어하여 상기 해머부(112)가 상기 진동부(111)에 충돌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진동의 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가시거리를 감지하는 시인성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인성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시거리 정보를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에 전송하고,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은 상기 가시거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안개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170)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170)은 상기 안개의 발생 정도에 따라 상기 동력부(113)를 제어하여 상기 해머부(112)가 상기 진동부(111)에 충돌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진동의 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발생 감지수단(160)으로부터 안개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원격으로 제어수단(170)을 제어하여 안개소산수단(110)을 동작시키는 원격제어수단(180)(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소산장치는 소정 거리 간격으로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안개소산장치는 서로 상이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KR1020180074482A 2018-06-28 2018-06-28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KR10213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82A KR102132694B1 (ko) 2018-06-28 2018-06-28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82A KR102132694B1 (ko) 2018-06-28 2018-06-28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95A true KR20200001695A (ko) 2020-01-07
KR102132694B1 KR102132694B1 (ko) 2020-07-10

Family

ID=6915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482A KR102132694B1 (ko) 2018-06-28 2018-06-28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6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900A (ja) * 2003-11-28 2007-07-12 イーズィ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ス.アール.エル 霧と靄(もや)の消散方法と装置
KR20110129199A (ko) * 2010-05-25 2011-12-01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유에스엔을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KR101373826B1 (ko) * 2013-10-28 2014-03-11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탄성파를 활용한 지중 상하수도관 위치 측정시스템의 운용장치
CN103882824A (zh) * 2014-03-12 2014-06-25 沈阳理工大学 一种利用声波消除雾的方法
KR20150050850A (ko)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거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2015159150A (ja) 2014-02-21 2015-09-0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20150121909A (ko) * 2014-04-22 2015-10-30 솔루션테크(주)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607932B1 (ko) * 2015-11-12 2016-03-31 서정헌 안개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900A (ja) * 2003-11-28 2007-07-12 イーズィ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ス.アール.エル 霧と靄(もや)の消散方法と装置
KR20110129199A (ko) * 2010-05-25 2011-12-01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유에스엔을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KR101373826B1 (ko) * 2013-10-28 2014-03-11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탄성파를 활용한 지중 상하수도관 위치 측정시스템의 운용장치
KR20150050850A (ko)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거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2015159150A (ja) 2014-02-21 2015-09-0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3882824A (zh) * 2014-03-12 2014-06-25 沈阳理工大学 一种利用声波消除雾的方法
KR20150121909A (ko) * 2014-04-22 2015-10-30 솔루션테크(주)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607932B1 (ko) * 2015-11-12 2016-03-31 서정헌 안개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694B1 (ko)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487B2 (en) Vehicle presence detection system
US5528224A (en) Optical and acoustic weather identification system
Nystuen Rainfall measurements using underwater ambient noise
WO2021038695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道路監視方法、及び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機器
CN201017476Y (zh) 一种固定式超速车辆激光测速取证装置
KR20100056992A (ko) 바퀴 운행 차량의 감시 구역에 가해지는 충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CN105046880A (zh) 一种智能移动终端基于多普勒效应进行危险监测及预警的方法
JP2018165725A (ja) 構造物評価システム、構造物評価装置及び構造物評価方法
Wyckoff et al. A comparison of the low-level radiosonde and the acoustic echo sounder for monitoring atmospheric stability
JP6734115B2 (ja) 着雪防止装置および信号機
Terradellas et al. Analysis of oscillations in the stable atmospheric boundary layer using wavelet methods
KR20190093231A (ko) 도로의 기상 대응 속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0973B1 (ko) LiDAR를 이용한 광산 갱내 붕괴 감시 시스템
JP2011215988A5 (ko)
JPWO2009102001A1 (ja) 鳥類探査システム、鳥類探査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958048B (zh) 一种超声波式电子卡口监控装置及其监控方法
KR20200001695A (ko)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JP2021500576A (ja) 超音波測定データを用いて降水強度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20038135A (ja) 風洞施設及び風洞試験方法
CN106575642A (zh) 散热部件、散热部件的制造方法、电子装置、电子装置的制造方法、一体型模块、信息处理系统
CN105607075A (zh) 道路安全的监测方法和装置
CA2817513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ice deposition on the rotor blades of a wind turbine
Singhal et al. LADAR‐based collision warning sensor to prevent over‐height vehicle bridge hits
KR102483121B1 (ko) 스마트 도로조명시스템
JP3455430B2 (ja) 自然災害発生検知装置及び自然災害発生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