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909A -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909A
KR20150121909A KR1020140048093A KR20140048093A KR20150121909A KR 20150121909 A KR20150121909 A KR 20150121909A KR 1020140048093 A KR1020140048093 A KR 1020140048093A KR 20140048093 A KR20140048093 A KR 20140048093A KR 20150121909 A KR20150121909 A KR 2015012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unit
air
dissipating
anio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성
Original Assignee
솔루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루션테크(주) filed Critical 솔루션테크(주)
Priority to KR102014004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909A/ko
Priority to PCT/KR2015/004007 priority patent/WO2015163683A1/ko
Publication of KR2015012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Abstract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를 소산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지지대에 의해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로 도로에 다수의 안개 소산 장치부를 설치하고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를 통해 안개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자동으로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하여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히팅부에서 열에 의한 건조공기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한 응결핵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결핵은 히팅부와 송풍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부에 형성된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를 통해 음이온화하며, 상기 송풍부의 후단에 설치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송풍부에 흡입하는 대기중의 공기의 습기를 일차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습기가 일차적으로 제거된 대기중의 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상기 송풍부의 강력한 풍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분사된 음이온화된 응결핵이 대기중의 안개입자와 결합하여 안개입자를 음이온화하고 상기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증가된 무게로 인해 원거리에 분사되고 상기 원거리에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고 작은 안개 입자는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시켜 안개를 소산할 수 있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Fog dissipation system for remote control having mesh filter}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를 소산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지지대에 의해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로 도로에 안개 소산 장치부를 설치하고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를 통해 안개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자동으로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하여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히팅부에서 열에 의한 건조공기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한 응결핵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결핵은 히팅부와 송풍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부에 형성된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를 통해 음이온화하며, 상기 송풍부의 후단에 설치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송풍부에 흡입하는 대기중의 공기의 습기를 일차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습기가 일차적으로 제거된 대기중의 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상기 송풍부의 강력한 풍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분사된 음이온화된 응결핵이 대기중의 안개입자와 결합하여 안개입자를 음이온화하고 상기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증가된 무게로 인해 원거리에 분사되고 상기 원거리에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고 작은 안개 입자는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시켜 안개를 소산할 수 있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개는 대기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수면이나 지면과 맞닿아 응결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상기 안개와 같이 대기중의 수중기가 모여서 매우 미세한 물방울을 다량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 대기 중에 수증기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을 것
- 공기가 이슬점 온도 이하로 냉각될 것
- 대기 중에 미세한 물방울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흡습성의 미립자인 응결핵이 많이 떠 있을 것
- 주변에 수증기 공급원이 있을 것
상기와 같은 조건에 공기의 냉각이 일어나면 안개가 발생하게 되며,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도로의 자동차 운행, 항구의 배 입출항, 비행기의 이착륙에 있어서 운전자, 선장, 조종사가 양호한 시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온도의 급격한 변화로 발생되는 자연현상인 안개는 시계를 크게 악화시켜 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즉, 짙은 안개속에서 항공기의 조종사는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비행기의 이착륙이 불가능하게 되며, 특히 착륙하는 비행기의 경우 활주로에 짙은 안개가 발생되면 다른 지역의 공항으로 회항하게 되므로 승객들에게 불편을 줄뿐만 아니라 항공사의 경우에는 막대한 손실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가 주행하는 고속도로 구간 중에서도 상습안개지역이 발생되고 있으며, 안개의 발생은 도로상의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가장 위험한 요인이 되어 실제로 안개 발생으로 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해 이로 인한 사고 발생 빈도가 높고 연쇄 추돌사고로 커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안개 등을 장착하여 사용한다든지 비상등을 점멸한다든지 하여 전방시계를 좀더 양호하게 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도 차량의 운행 속도가 매우 떨어지므로 원활한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어 교통 정체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경제적 손실 요인이 되며, 안개가 원천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습 안개 지역에서는 매년 동일한 사고가 반복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안개는 발생 원인이나 지형, 지물 등의 여러 요인에 의거하여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안개 중에서 일정 지역에서 발생하여 지면에서 높은 고도까지 정체 상태로 존재하는 안개도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 발생하여 지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안개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 안개가 지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경우 도로 경계부의 양측을 따라서 물리적인 차단벽을 설치하면 도로에 안개가 침투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차단벽이 안개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이며, 안개를 제거하지는 못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결국 지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안개가 차단벽을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여 도로에 침투하기 때문에, 차단벽이 안개를 차단하여 도로 상에서 안개에 따른 각종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고 차단벽을 설치하는 비용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하여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일차적으로 습기가 제거된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송풍부의 강력한 풍압을 통해 분사하며 상기 분사된 음이온화된 응결핵이 안개입자와 결합하여 상기 안개입자를 음이온화하고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증가된 무게에 의해 원거리로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여 안개를 소산하며 작은입자의 안개 입자는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안개를 소산할 수 있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개 소산 장치부에 온습도 센서와 풍속센서와 진동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 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온습도, 풍속, 진동을 측정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대한 정상적인 온습도 수치와 송풍부에서 분사하는 정상적인 풍속 수치 및 진동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원격지 관리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안개 소산 장치의 고장 유무와 가이드 베인의 제어를 통해 안개 소산 장치부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방향과 분사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를 소산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연료의 연소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해 응결핵을 생성하여 전기석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을 통해 응결핵을 음이온화하며 상기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시 흡입되는 대기중의 공기를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통해 1차적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송풍부를 통해 분사시켜 안개를 포함한 대기중의 공기에 대한 습기를 제거하는 안개 소산 장치부;
상기 다수의 안개 소산 장치부를 지지하여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도로에 설치하고 안개 소산 장치부를 고정하는 지지대;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를 온습도 센서와 풍속센서와 진동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고장 유무 센서부;
상기 다수의 지지대에 설치하여 안개의 발생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일정거리 떨어진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LED 표지부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안개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
상기 고장 유무 센서부의 온습도, 풍속,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에서 촬영한 LED 표지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LED 표지부의 촬영 이미지 해상도를 통해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안개 소산 제어부;
상기 안개 소산 제어부를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여 안개 발생 유무에 따라 원격지에서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을 사용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원격지 관리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안개 소산 장치부는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연료의 연소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한 응결핵을 생성하는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히팅부에서 생성된 건조공기와 응결핵을 전달받아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에 강력한 풍압으로 원거리에 분사하는 송풍부와,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전기석을 통해 음이온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이온과 응결핵을 결합하여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생성하는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와, 상기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 전단에 설치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건조공기에서 나오는 분진물질을 필터링해주는 원통형 모양의 집진 필터부와, 상기 송풍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 시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의 습기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그물망 형태 필터 후단에 형성하여 겨울철 그물망 필터에 맺힌 습기에 의해 그물망 필터가 얼지않도록 열을 발생하는 열선을 구비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와, 상기 송풍부의 전단에 형성하여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 베인과,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 연결관을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는 송풍부의 후단에 형성된 열선을 구비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를 위해 흡입되는 안개를 포함하는 대기중 공기의 습기를 일차적으로 제거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건조공기는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를 통해 음이온화된 응결핵과 함께 분사되어 상기 분사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이 안개 입자와 혼화되어 상기 음이온화된 응결핵에 의해 안개입자가 음이온화하고, 상기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음이온화된 응결핵과 결합하여 증가된 무게로 인해 원거리로 분사할 수 있고 원거리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여 안개를 소산하며, 작은입자의 안개입자는 분사된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시켜 안개를 소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개 소산 제어부는 상기 고장 유무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습도 데이터와 풍속 및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온습도 데이터와 풍속 및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대한 정상적인 온습도 수치와 상기 송풍부에서 분사하는 정상적인 풍속 수치 및 진동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의 고장 유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시정거리 표지판의 이미지 해상도와 설정해 놓은 안개가 발생하지 않는 날의 LED 표지부의 이미지 해상도를 비교하는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와, 상기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를 통해 비교한 LED 표지부의 이미지 해상도를 통해 안개의 발생 유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단하는 안개 발생 판단부와, 상기 안개 발생 판단부에서 안개 발생 유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시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분사하여 안개를 자동적으로 소산하도록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을 통해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 시 히팅부와 송풍부의 고장 유무를 원격지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가이드 베인을 통해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방향 및 분사 속도를 제어하는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를 원격지 관리부의 관리자가 구동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 또는 제어 명령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고 상기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에 의해 고장 유무 데이터를 원격지에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원격지 관리부의 명령을 전송받고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와 카메라를 통해 측정한 촬영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CDMA, Wifi, LTE, 무선 랜, 인터넷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하여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일차적으로 습기가 제거된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송풍부의 강력한 풍압을 통해 분사하여 음이온화된 응결핵과 안개 입자가 결합하여 원거리로 분사 및 침강시키며 상기 작은 안개 입자는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안개를 소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개 소산 장치부에 온습도 센서와 풍속센서와 진동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 시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온습도, 풍속, 진동을 측정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대한 정상적인 온습도 수치와 송풍부에서 분사하는 정상적인 풍속 수치 및 진동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원격지 관리지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안개 소산 장치의 고장 유무를 전송받아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가이드 베인 제어를 통해 안개 소산 장치부에서 분사되는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방향 및 분사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작업자가 현장에서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원격지에서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소산 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시정거리 측정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소산 제어부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시정거리 측정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구동하여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를 통해 일차적으로 습기가 제거된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송풍부(120)의 강력한 풍압을 통해 분사하며 상기 분사된 음이온화된 응결핵이 안개입자와 결합하여 상기 안개입자를 음이온화하고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증가된 무게에 의해 원거리로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여 안개를 소산하며 작은입자의 안개 입자는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안개를 소산할 수 있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소산 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소산 제어부의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의 안개 시정거리 측정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를 소산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160)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히팅부(110)의 연료 연소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해 응결핵을 생성하여 전기석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을 통해 응결핵을 음이온화하며 상기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시 흡입되는 대기중의 공기를 그물망 형태의 필터(160)를 통해 1차적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송풍부(120)를 통해 분사시켜 안개를 포함한 대기중의 공기에 대한 습기를 제거하는 안개 소산 장치부(100)와, 상기 다수의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지지하여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도로에 설치하고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고정하는 지지대(200)와,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고장 유무를 온습도 센서(310)와 풍속센서(320)와 진동센서(330)를 통해 감지하는 고장 유무 센서부(300)와, 상기 다수의 지지대(200)에 설치하여 안개의 발생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일정거리 떨어진 지지대(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LED 표지부(410)를 카메라(420)를 통해 촬영하여 안개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400)와, 상기 고장 유무 센서부(300)의 온습도, 풍속,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고장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400)에서 촬영한 LED 표지부(410)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LED 표지부(410)의 촬영 이미지 해상도를 통해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안개 소산 제어부(500)와, 상기 안개 소산 제어부(500)를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여 안개 발생 유무에 따라 원격지에서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구동을 사용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원격지 관리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히팅부(110)와 송풍부(120)와 상기 히팅부(110)와 송풍부(120)를 연결하는 연결관(130)과 상기 히팅부(110)와 송풍부(120)와 연결관(130)을 보호하는 연료탱크(181)를 구비한 하우징(180)으로 구성되며 상기 히팅부(110)는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연료의 연소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한 응결핵을 생성하고, 상기 송풍부(120)는 히팅부(110)와 연결관(130)으로 연결되어 히팅부(11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와 응결핵을 전달받아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에 강력한 풍압으로 원거리에 분사한다. 상기 히팅부(110)와 송풍부(120)를 연결하는 연결관(130)은 내부 일측에 전기석을 포함하는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140)를 형성하여 상기 히팅부(110)에서 생성된 응결핵을 전기석에서 생성된 음이온과 결합시켜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생성하며, 상기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140)의 전단에 원통형 모양의 집진 필터부(150)를 형성하여 상기 히팅부(11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에 포함된 분진물질을 필터링한다. 상기 송풍부(120)는 후단에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를 형성하여 송풍부(120)의 구동으로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를 통해 대기중 공기의 습기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 후단에 열선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링된 습기에 의해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가 겨울철 얼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송풍부(120)의 전단에 가이드 베인(170)을 형성하여 상기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시 가이드 베인(170)의 조절로 분사 속도 및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분사하여 안개를 소산하는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안개 소산 방법은 상기 송풍부(120)의 후단에 형성된 열선을 구비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를 통해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를 위해 흡입되는 안개를 포함하는 대기중의 공기의 습기를 일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상기 습기가 일차적으로 제거된 대기중의 공기는 히팅부(110)에서 생성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과 함께 대기중으로 분사되며, 상기 분사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은 분사 후 대기중의 안개 입자와 혼화되어 상기 음이온화된 응결핵에 의해 안개 입자를 음이온화하고 상기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전기 쌍극자 유도력(dipole induced force)에 의해 대기 중 중성인 다른 안개입자와 결합하여 증가된 무게에 의해 송풍부(120)의 풍압으로 원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원거리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여 안개를 소산할 수 있고, 작은 입자의 안개입자는 분사된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안개를 소산할 수 있다.
상기 도3에 도시된 안개 소산 제어부(500)는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고장 유무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온습도 데이터와 풍속 및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510)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510)에서 수집한 온습도 데이터와 풍속 및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히팅부(110)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대한 정상적인 온습도 수치와 상기 송풍부(120)에서 분사하는 정상적인 풍속 수치 및 진동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히팅부(110)와 송풍부(120)의 고장 유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520)와,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400)의 카메라(420)에서 촬영한 LED 표지부(410)의 이미지 해상도와 설정해 놓은 안개가 발생하지 않는 날의 LED 표지부(410)의 이미지 해상도를 비교하는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530)와, 상기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530)를 통해 비교한 LED 표지부(410)의 이미지 해상도를 통해 안개의 발생 유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단하는 안개 발생 판단부(540)와, 상기 안개 발생 판단부(540)에서 안개 발생 유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구동시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분사하여 안개를 자동적으로 소산하도록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520)의 분석을 통해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구동 시 히팅부(110)와 송풍부(110)의 고장 유무를 원격지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가이드 베인(170)을 통해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방향 및 분사 속도를 제어하는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550)와,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원격지 관리부(600)의 관리자가 구동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 또는 제어 명령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고 상기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550)에 의해 고장 유무 데이터를 원격지에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5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부(560)는 원격지 관리부(600)의 명령을 전송받고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고장 유무와 카메라(420)를 통해 측정한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CDMA, WiFi, LTE, 무선 랜,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에 카메라(420)를 설치하여 LED를 통해 빛을 발광하는 LED 표지부(410)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안개 소산 장치부(100)의 지지대(200)에 설치하여 상기 카메라(420)를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LED 표지부(410)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안개 소산 제어부(500)의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530)를 통해 분석하여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40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여 작은 전력으로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5는 도로에 적용 시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지지대(200)를 통해 도로에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00)에 일측에 설치된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400)의 카메라(420)를 통해 LED 표지부(410)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안개 소산 제어부(500)에서 분석하여 안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안개 소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안개 소산 장치부(100)를 구동하여 안개를 소산하며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100)는 안개 소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히팅부(110)와 송풍부(120)가 구동되고 상기 히팅부(110)에 의해 건조공기와 응결핵을 생성한다. 상기 히팅부(110)에서 생성된 응결핵은 히팅부(110)와 송풍부(120)를 연결하는 연결관(130)에 형성된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140)를 통해 음이온화되고 상기 음이온화된 응결핵은 건조공기와 함께 송풍부(120)의 강력한 풍압으로 분사되며 상기 분사된 음이온화된 응결핵은 안개입자와 결합하여 상기 안개입자를 음이온화하고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응결핵과의 결합에 의해 증가된 무게로 인해 원거리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여 안개를 소산하며 작은입자의 안개입자는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안개를 소산할 수 있다. 또한, 안개 소산 장치부(100)는 송풍부(120)의 후단에 열선을 구비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160)를 통해 건조공기와 응결핵의 분사를 위해 흡입되는 안개를 포함하는 대기중의 공기의 습기를 일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안개 소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경마장에 적용된 도면이며 구동방법은 도로에 적용되는 방법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00 : 안개 소산 장치부 110 : 히팅부
120 : 송풍부 130 : 연결관
140 :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 150 : 집진 필터부
160 :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 170 : 가이드 베인
180 : 하우징 181 : 연료탱크
200 : 지지대 300 : 고장 유무 센서부
310 : 온습도 센서 320 : 풍속 센서
330 : 진동센서 400 :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
410 : LED 표지부 420 : 카메라
500 : 안개 소산 제어부 510 : 데이터 수집부
520 : 데이터 분석부 530 :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
540 : 안개 발생 판단부 550 :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
560 : 무선 통신부 600 : 원격지 관리부

Claims (5)

  1.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 시 자동으로 안개를 소산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연료의 연소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해 응결핵을 생성하여 전기석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을 통해 응결핵을 음이온화하며 상기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시 흡입되는 대기중의 공기를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통해 1차적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송풍부를 통해 분사시켜 안개를 포함한 대기중의 공기에 대한 습기를 제거하는 안개 소산 장치부;
    상기 다수의 안개 소산 장치부를 지지하여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도로에 설치하고 안개 소산 장치부를 고정하는 지지대;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를 온습도 센서와 풍속센서와 진동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고장 유무 센서부;
    상기 다수의 지지대에 설치하여 안개의 발생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일정거리 떨어진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LED 표지부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안개 발생 유무를 측정하는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
    상기 고장 유무 센서부의 온습도, 풍속,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에서 촬영한 LED 표지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LED 표지부의 촬영 이미지 해상도를 통해 안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안개 소산 제어부;
    상기 안개 소산 제어부를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여 안개 발생 유무에 따라 원격지에서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을 사용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원격지 관리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개 소산 장치부는
    상기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연료의 연소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연소입자에 의한 응결핵을 생성하는 히팅부;
    상기 히팅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히팅부에서 생성된 건조공기와 응결핵을 전달받아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에 강력한 풍압으로 원거리에 분사하는 송풍부;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전기석을 통해 음이온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이온과 응결핵을 결합하여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생성하는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
    상기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 전단에 설치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건조공기에서 나오는 분진물질을 필터링해주는 원통형 모양의 집진 필터부;
    상기 송풍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 시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의 습기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그물망 형태 필터 후단에 형성하여 겨울철 그물망 필터에 맺힌 습기에 의해 그물망 필터가 얼지않도록 열을 발생하는 열선을 구비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
    상기 송풍부의 전단에 형성하여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 베인;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 연결관을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는 송풍부의 후단에 형성된 열선을 구비한 그물망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를 위해 흡입되는 안개를 포함하는 대기중 공기의 습기를 일차적으로 제거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건조공기는 응결핵 음이온 생성부를 통해 음이온화된 응결핵과 함께 분사되어 상기 분사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이 안개 입자와 혼화되어 상기 음이온화된 응결핵에 의해 안개입자가 음이온화하고, 상기 음이온화된 안개입자는 음이온화된 응결핵과 결합하여 증가된 무게로 인해 원거리로 분사할 수 있고 원거리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무게에 의해 침강하여 안개를 소산하며, 작은입자의 안개입자는 분사된 건조공기에 의해 증발시켜 안개를 소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소산 제어부는
    상기 고장 유무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습도 데이터와 풍속 및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온습도 데이터와 풍속 및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대한 정상적인 온습도 수치와 상기 송풍부에서 분사하는 정상적인 풍속 수치 및 진동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의 고장 유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안개 시정거리 측정부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시정거리 표지판의 이미지 해상도와 설정해 놓은 안개가 발생하지 않는 날의 LED 표지부의 이미지 해상도를 비교하는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
    상기 이미지 해상도 비교부를 통해 비교한 LED 표지부의 이미지 해상도를 통해 안개의 발생 유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단하는 안개 발생 판단부;
    상기 안개 발생 판단부에서 안개 발생 유무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안개 소산 장치부를 구동시켜 건조공기와 음이온화된 응결핵을 분사하여 안개를 자동적으로 소산하도록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을 통해 안개 소산 장치부의 구동 시 히팅부와 송풍부의 고장 유무를 원격지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가이드 베인을 통해 분사되는 건조공기 및 음이온화된 응결핵의 분사 방향 및 분사 속도를 제어하는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를 원격지 관리부의 관리자가 구동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 또는 제어 명령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고 상기 안개 소산 구동 제어부에 의해 고장 유무 데이터를 원격지에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원격지 관리부의 명령을 전송받고 상기 안개 소산 장치부의 고장 유무와 카메라를 통해 측정한 촬영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CDMA, Wifi, LTE, 무선 랜, 인터넷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KR1020140048093A 2014-04-22 2014-04-22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KR2015012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093A KR20150121909A (ko) 2014-04-22 2014-04-22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PCT/KR2015/004007 WO2015163683A1 (ko) 2014-04-22 2015-04-22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093A KR20150121909A (ko) 2014-04-22 2014-04-22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09A true KR20150121909A (ko) 2015-10-30

Family

ID=5433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093A KR20150121909A (ko) 2014-04-22 2014-04-22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21909A (ko)
WO (1) WO20151636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95A (ko) * 2018-06-28 2020-01-07 정길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85B1 (ko) * 2005-03-22 2007-03-22 주식회사 화흥도로안전씨스템 안개 방재 시스템
KR101226574B1 (ko) * 2010-04-20 2013-01-28 이종혁 공압을 이용한 안개 차단막
KR20120031821A (ko) * 2010-09-27 2012-04-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고장 확인 기능을 가진 이온 발생 장치,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청정기
KR101191874B1 (ko) * 2011-01-31 2012-10-16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안개 제거 시스템
KR101387710B1 (ko) *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95A (ko) * 2018-06-28 2020-01-07 정길 임팩트 해머를 이용한 안개소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3683A1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710B1 (ko)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191874B1 (ko) 안개 제거 시스템
KR101559546B1 (ko) 안개소산수단
CN100476893C (zh) 探测结冰条件的方法和系统
CN104297116B (zh) 探测嵌入水汽云中的火山灰的系统和方法
JP5205383B2 (ja) 氷粒の検出
KR100698585B1 (ko) 안개 방재 시스템
KR101559550B1 (ko) 안개소산장치
KR20140012205A (ko) 안개 및 분진제거 시스템
KR20150121909A (ko)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556780B1 (ko) 이동식 안개소산장치
KR101967896B1 (ko) 안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개제거시스템
KR101215145B1 (ko) 유에스엔을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KR101164647B1 (ko) 도로 및 교량의 안개 저감 및 차폐 시스템
KR101607932B1 (ko) 안개 제거장치
KR101560777B1 (ko) 이동식 안개소산장치
KR102358810B1 (ko) 안전휀스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및 제거 시스템
JP2010107528A (ja) 霧除去システム
CA2899388A1 (en) Air heating apparatus useful for heating an aircraft interior
EP3722509B1 (en) Air barrier system for blocking inflow of fog
CN219916483U (zh) 一种集成式多功能信息采集装置
WO2016163607A1 (ko) 안개소산수단 및 이를 가지는 안개소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안개소산장치
KR20240057606A (ko) 안개 저감장치
KR20150008600A (ko) 원격 제어식 안개 소산 시스템
CN101341059A (zh) 用于过热车轮/轴承检测系统的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