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86U -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 Google Patents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86U
KR20200001486U KR2020180006096U KR20180006096U KR20200001486U KR 20200001486 U KR20200001486 U KR 20200001486U KR 2020180006096 U KR2020180006096 U KR 2020180006096U KR 20180006096 U KR20180006096 U KR 20180006096U KR 20200001486 U KR20200001486 U KR 202000014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rape
sheet
inlet
ophthalmic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
Priority to KR2020180006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486U/ko
Publication of KR20200001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3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3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 A61B2046/236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with means for collecting drain fluid, e.g. drain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과 수술시 사용되는 세정액 등의 수액을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안면을 덮고, 환자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어 수술시 사용된 수액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수액 수용부를 포함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에 있어서,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의 내측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Drape for ophthalmic surgery}
본 고안은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과 수술시 사용되는 세정액 등의 수액을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은 빛의 강약 및 파장을 감지하는 기관으로, 명암을 감지하는 것과 빛의 방향을 알아내는 것, 물체의 상을 인지하는 것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눈은 두골의 전면에 좌우 한쌍의 안와(眼窩) 안에 각각 있으며, 상하의 눈꺼풀에 의해 보호되고 있고, 안구는 뒤쪽으로 시신경과 연결되며, 안구벽은 3층으로 되어 있어, 가장 바깥층은 각막과 공막으로 되어 각막을 보통 검은자위라고 한다.
현대의 환경의 변화에 의해 백내장, 안구건조증, 녹내장 등의 질병의 발생율이 증가하고, 시력교정을 위한 라식수술, 라섹수술, 엑시머레이저수술, ICL수술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눈의 수술을 실행하기 위해, 수술 드레이프를 환자에게 붙여 속눈썹과 눈꺼풀을 수술 부위에서 격리해 눈의 노출을 개량하고 무균 드레이프면을 제공해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안과 수술 드레이프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 내지 0003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눈에 인접하는 피부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 부분을 가지는 안과 드레이프 및 그러한 드레이프를 붙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연과 대향변을 가지고 상기 주연에서 이격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기 대향변과 상기 주연 사이에서 서로 경사각을 이루어서 연장되어 상기 시트를 서로 치수가 다른 2개의 부분에 분할하는 2개의 인열선을 가지는 시트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피부 적합성 접착제의 영역으로서, 상기 영역을 상기 시트의 상기 2개의 부분 각각에 하나씩의 2개의 접착제 부분에 분할하도록, 상기 2개의 인열선이 가로질러 연장되는 피부 적합성 접착제의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2는 안과 수술에 이용하는 드레이프로서, 피복 시트의 겉 면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에 보조 시트를 끌어당기게 해 접착해 수액 포켓 방향을 따르는 제방을 형성하여 액 측이나 뺨 측으로 흘러나온 세정액 등은 제방을 따라 관자놀이의 수액 포켓에 유도함으로서, 세정액 등을 양호하게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3은 안과 수술시에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안면을 덮는 시트체와 시트체로 환자의 안면을 덮었을 때의 환자의 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환자의 안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와 시트체로 환자의 안면을 덮었을 때 환자의 코부 및 입구부의 부근에 대응하는 위치의 시트체를 만곡형에 지지하기 위한 형상 변화 가능한 지지체와 지지체 부근의 시트체를 느슨해지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풀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1은 눈에 인접하는 피부에 접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허문헌 0002 내지 0003은 안과 수술시 발생하는 세정액 등의 수액을 양호하게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수술 후 환자의 안면에서 드레이프를 분리시 수액 포켓에 수용된 수액이 밖으로 흘러나올 우려가 있어 위생 및 사용편의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JP 4463977 B2 (2010.02.26) JP 3987497 B2 (2007.07.20) JP 5464918 B2 (2014.01.31)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과 수술시 세정액 등의 수액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수술 후 수액 등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 및 사용편의성이 우수한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환자의 안면을 덮고, 환자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어 수술시 사용된 수액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수액 수용부를 포함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에 있어서,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의 내측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액 수용부의 폐쇄부는 유입구의 내측에 접합된 지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액 수용부는 상기 시트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저면이 상기 시트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파지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의 개구부의 주변에 수술시 사용된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액안내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접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는 수액안내 시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액안내 시트의 일측부의 전측 및 후측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전측 연장부 및 후측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 연장부 및 후측 연장부에는 수술시 사용된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액안내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수액안내 시트의 일측부의 전측 및 후측에는 각각 상기 수액안내 돌출부를 따라 안내되는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는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내측에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폐쇄부가 구비되어, 안과 수술 후 상기 폐쇄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 수용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환자의 안면으로부터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수액 등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 및 사용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환자의 안과 수술시 수액 수용부에 수액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수액 수용부의 폐쇄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이다.
도 5는 시트부로부터 수액 수용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파지부가 형성된 수액 수용부가 배치된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액안내 시트가 구비된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는 크게 시트부(10) 및 수액 수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시트부(10)는 환자의 안면을 덮고, 환자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시트부(1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의 필름, 발수성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부(10)가 합성수지재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경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상기 시트부(10)에 하나의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나, 양쪽 눈의 수술이 가능하도록 두개의 개구부(110)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10)의 저면 중 상기 개구부(110)의 주변에는 접착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120)에는 이면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10)의 저면에 접착층(120)이 형성됨에 따라 환자의 눈 주변에 상기 시트부(10)를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접착할 수 있다.
도 3은 환자의 안과 수술시 수액 수용부에 수액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수액 수용부의 폐쇄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이다.
그리고 상기 수액 수용부(30)는 상기 시트부(10)를 환자의 안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안과 수술 중 사용하는 세정액 등의 수액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10)에 형성된 개구부(1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시트부(10)의 개구부(110)를 향하는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일측부에는 수술 중 사용한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10) 내에는 수술을 마친 후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310)를 폐쇄시킬 수 있는 폐쇄부(320)가 구비된다.
도 3과 같이 환자의 안과 수술을 마친 다음, 도 4와 같이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를 상기 폐쇄부(320)에 의해 폐쇄시킬 수 있음에 따라 환자의 안면으로부터 안면 수술용 드레이프를 분리할 때 상기 수액 수용부(30)에 수용된 수액이 밖으로 흘러나올 우려가 없는 등 위생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이점이 있다.
상기 폐쇄부(320)로서 이형지가 부착된 접착층, 지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폐쇄부(320)로서 수밀성 및 사용성이 우수한 지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 주변에는 형태 변형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재질의 와이어(34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재질의 와이어(340)가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 주변에 구비됨으로서, 사용시 상기 금속재질의 와이어(340)를 아치형으로 변형시켜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가 벌려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수액이 더욱 원활히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시트부로부터 수액 수용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위생 및 사용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상기 시트부(10)에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저면이 상기 시트부(10)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상기 시트부(10)에 분리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벨크로, 접착층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상기 시트부(10)에 분리가능한 접착강도를 가지는 접착층(330)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과 수술을 마친 후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폐쇄부(320)를 이용하여 폐쇄시킨 다음 도 5와 같이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상기 시트부(10)로부터 분리하여 전용배출용기에 버린 후 상기 시트부(10)를 환자의 안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위생 및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된 이점이 있다.
도 6은 파지부가 형성된 수액 수용부가 배치된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수액 수용부(30)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35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술을 마치고,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폐쇄부(320)를 이용하여 유입구(31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350)를 잡아당김으로서 상기 시트부(10)로부터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시트부(10)의 개구부(110)의 전측 및 후측에는 도 1과 같이 수액안내 돌출부(13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시트부(10)의 개구부(110)의 주변으로 공급되는 세정액 등의 수액이 상기 수액안내 돌출부(130)에 의해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로 안내되어 수액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수액안내 돌출부(130)는 변형시 형태가 유지되는 금속재질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액안내 돌출부(130)가 상기 금속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환자의 안면구조에 맞게 상기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변형시킴으로서, 상기 시트부(10)를 환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7은 수액안내 시트가 구비된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시트부(10)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수액안내 시트(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액안내 시트(50)는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110)의 주변에 접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액안내 시트(50)의 유입구(310) 내측에 상기 폐쇄부(320)가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더라도 수술시 상기 시트부(10)를 따라 흘러내리는 수액을 상기 수액안내 시트(50)에 의해 상기 수액 수용부(3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액안내 시트(50)의 일단부에 한해 상기 시트부(10)에 접합되고, 타측부는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수액 수용부(30) 내에 배치됨에 따라, 수술 후 상기 수액안내 시트(50)의 타측부를 상기 수액 수용부(30)로부터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폐쇄부(320)에 의해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폐쇄한 후 상기 수액 수용부(30)를 상기 시트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액안내 시트(50)의 일측부의 전측 및 후측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전측 연장부(530) 및 후측 연장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 연장부(530) 및 후측 연장부(540)에는 수술시 사용된 수액을 상기 수액부의 유입구(310)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액안내 돌출부(532,54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측 연장부(530) 및 후측 연장부(540)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상기 시트부(10)에 접합된다.
나아가, 상기 수액안내 시트(50)의 일측부의 전측 및 후측에는 상기 수액안내 돌출부(130)를 따라 안내되는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30)의 유입구(310) 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 돌출부(512)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좋다.
10: 시트부,
110: 개구부,
30: 수액 수용부,
320: 폐쇄부,
50: 수액안내 시트

Claims (8)

  1. 환자의 안면을 덮고, 환자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형성되어 수술시 사용된 수액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수액 수용부를 포함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에 있어서,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의 내측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수용부의 폐쇄부는 유입구의 내측에 접합된 지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수용부는 상기 시트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저면이 상기 시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파지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개구부의 주변에 수술시 사용된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액안내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6. 제4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접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는 수액안내 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안내 시트의 일측부의 전측 및 후측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전측 연장부 및 후측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 연장부 및 후측 연장부에는 수술시 사용된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액안내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안내 시트의 일측부의 전측 및 후측에는 각각 상기 수액안내 돌출부를 따라 안내되는 수액을 상기 수액 수용부의 유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KR2020180006096U 2018-12-26 2018-12-26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KR202000014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96U KR20200001486U (ko) 2018-12-26 2018-12-26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96U KR20200001486U (ko) 2018-12-26 2018-12-26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86U true KR20200001486U (ko) 2020-07-06

Family

ID=7152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096U KR20200001486U (ko) 2018-12-26 2018-12-26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486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7497B2 (ja) 2004-01-21 2007-10-10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手術用ドレープ
JP4463977B2 (ja) 1997-10-01 2010-05-19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眼科手術ドレープおよび眼科手術ドレープを折る方法
JP5464918B2 (ja) 2009-06-12 2014-04-09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眼科手術用ドレー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3977B2 (ja) 1997-10-01 2010-05-19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眼科手術ドレープおよび眼科手術ドレープを折る方法
JP3987497B2 (ja) 2004-01-21 2007-10-10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手術用ドレープ
JP5464918B2 (ja) 2009-06-12 2014-04-09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眼科手術用ドレー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081A (en) Ocular surgical protective shield
US4798599A (en) Eye washing method and apparatus
DK2056696T3 (en) Protective mask for the face
EP1943990B1 (en) Irrigation/aspiration tip
US4412532A (en) Eyelash retractor
KR102431024B1 (ko) 레이저 방법 및 시스템용 환자 인터페이스 장치
JPH05154173A (ja) 医療用アイマスク
CN106265040A (zh) 一种眼科冲洗装置
JP6686000B2 (ja) 手術用アイシールド
JP3025652B2 (ja) 眼内用バルーン及びこれに用いる挿入ガイド、担持部材
US7749214B2 (en) Disposable undergarment for medical treatment and surgery
US20180318027A1 (en) Disposable surgical drape
JP2632139B2 (ja) 持続式注点眼装置
KR20200001486U (ko) 안과 수술용 드레이프
CN104905427B (zh) 手术用一次性头面防护罩
US20040016037A1 (en) Disposable eye shield
KR200468773Y1 (ko) 신생아황달 광선치료용 안대
CN211560654U (zh) 一种白内障手术专用一体化自带灌吸贴膜
JP4476925B2 (ja) 手術用覆布及び手術野開孔周縁用粘着フィルム
CN209270072U (zh) 一种美容手术用防护眼罩
JP2006212111A (ja) ドライアイ防止用保湿具
CN208659691U (zh) 一种便携式眼罩
US20230355342A1 (en) Surgical Drapes
KR101713055B1 (ko) 안구의 미용을 위한 눈동자 확대부재 및 그 확대부재를 사용한 미용성형시술방법 및 그 시술기구
CN205108042U (zh) 一种带支撑装置的防侧压眼科手术孔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