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78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78A
KR20200001478A KR1020190066078A KR20190066078A KR20200001478A KR 20200001478 A KR20200001478 A KR 20200001478A KR 1020190066078 A KR1020190066078 A KR 1020190066078A KR 20190066078 A KR20190066078 A KR 20190066078A KR 20200001478 A KR20200001478 A KR 2020000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ock
operation button
hing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0000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6Grip means made of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preventing slippage during removal by hand, e.g. band,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과제] 락 부재의 회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덮개 락 기구(10)는, 덮개체(9)에 제2 힌지부(31)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35)가 상기 캡 본체(8)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36)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일방의 걸림부(35)와 타방의 걸림부(36)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32)를 가지고, 제2 힌지부(31)는, 제1 힌지부(24)와는 반대측에서의 천벽부(9b)와 둘레벽부(9a)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캡 부착 용기로서,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勁部)에 캡 유닛(마개체)이 장착된 음료용 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인용 문헌 1을 참조.).
예를 들면, 하기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캡 유닛은,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주둥이 또는 립(lip)이 되는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캡 본체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통액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캡 부착 용기)에서는, 덮개 락 기구에 의한 덮개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가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면서, 통액구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를 힌지부와는 반대측으로 기울이면서, 통액구를 통해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시거나, 따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하기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덮개 락 기구는, 덮개체의 상부에 조작 버튼을 가지고, 조작 버튼을 힌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조작 버튼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편의성의 향상을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하기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덮개 락 기구는, 덮개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를 가지고 있다. 락 부재는, 그 일단측에 마련된 훅부(일방의 걸림부)가 캡 본체측에 마련된 걸림 오목부(타방의 걸림부)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훅부와 걸림 오목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락 부재가 락 위치에 있을 때, 덮개체의 둘레벽부에 마련된 슬릿의 내측에 훅부가 위치하여, 걸림 오목부와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해서, 락 부재가 락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훅부가 슬릿의 사이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오목부와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캡 유닛에서는, 덮개체의 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만, 슬릿사이로부터 일방의 걸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덮개체를 락시킨 상태에서는, 일방의 걸림부가 슬릿의 내측에 있어, 락 부재에 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7-00174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캡 유닛에서는,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큰 용기 본체에 대응시키기 위해, 락 부재의 회동 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즉, 이러한 캡 유닛이 구비하는 덮개 락 기구에서는, 조작 버튼의 조작량(스트로크)에 대해서, 락 부재를 락 위치와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크게 회동시킬 수 있으면, 보다 큰 사이즈(용량)의 음료용 용기(캡 부착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락 부재의 회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제1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통액구를 폐색(閉塞)하는 위치에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천벽부의 주위로부터 세워 내려져 형성된 둘레벽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에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상기 캡 본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상기 일방의 걸림부와 상기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와는 반대측에서의 상기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락 부재에 마련된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힌지 베어링부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며,
상기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는, 상기 힌지 베어링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폐전(閉栓)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베어링 오목부에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상기 폐전 부재에 마련된 한 쌍의 베어링 맞닿음부가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에 맞닿아진상태에서, 상기 락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둘레벽부에 마련된 슬릿의 내측에 상기 락 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락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슬릿의 사이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상부에 조작 버튼을 가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제1 힌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상기 조작 버튼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 버튼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 버튼을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버튼을 슬라이드 방향의 상기 일단측을 향해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상기 락 위치측을 향해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까지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조작 부재와 함께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측을 향해 눌러 내리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락 부재의 타단측을 압압하면서,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락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 올리는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3 스프링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캡 유닛.
[8] 상기 조작 버튼의 슬라이드 방향의 상기 일단은, 상기 조작 버튼의 일부가 상기 덮개체의 상면과 겹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 버튼의 슬라이드 방향의 상기 타단은,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가이드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캡 유닛.
[9] 상기 덮개체에는, 상기 통액구를 밀폐하는 씰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0] 상기 통액구를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 형성 부재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1] 상기 [1] 내지 상기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락 부재의 회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캡 부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가 구비하는 캡 유닛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이 구비하는 덮개 락 기구의 덮개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덮개 락 기구의 덮개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덮개 락 기구의 덮개체측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8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캡 부착 용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부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부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부착 용기(1)가 구비하는 캡 유닛(3)의 락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이 구비하는 덮개 락 기구(10)의 덮개체(9)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덮개 락 기구(10)의 덮개체(9)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덮개 락 기구(10)의 덮개체(9)측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며,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구부를 접합한 이중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부(2a)와, 저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勁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 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측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張出部)(7)가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塗裝)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3)은,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와,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제1 힌지부(24)를 매개로 하여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가 장착되는 측을 캡 부착 용기(1)의 「후측」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캡 부착 용기(1)의 「전측(前側)」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8a)와, 둘레벽부(8a)의 상부에 둘레벽부(8a)보다도 지름이 축소된 개구부(8b)가 형성된 상벽부(上壁部)(8c)를 가지고 있다.
한편, 용기 본체(2)는, 저부(2a)에 바닥 부재(11)와, 구경부(2c)에 어깨 부재(12)가 장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닥 부재(11) 및 어깨 부재(1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닥 부재(11)는, 전체로서 저면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 부재(11)는, 용기 본체(2)의 저부(2a)와 몸통부(2b)와의 사이의 단차부(2e)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저부(2a)를 덮은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어깨 부재(12)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깨 부재(12)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구경부(2c)와의 사이의 단차부(2f)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를 덮은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 어깨 부재(12)에는, 손잡이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12a)는, 어깨 부재(12)의 후측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8)는, 이 어깨 부재(12)(용기 본체(2))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벽부(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d)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어깨 부재(12)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8d)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캡 본체(8)는, 상술한 어깨 부재(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이 어깨 부재(12)를 생략하고,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구경부(2c)의 외주면에 암나사부(8d)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마련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는, 주둥이 또는 립(lip)(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둥이)을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통액구(14) 및 통기구(15)가 형성된 저벽부(13a)와, 저벽부(13a)의 주위로부터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통 모양의 둘레벽부(13b)와, 저벽부(13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3c)와, 둘레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와, 둘레벽부(13b)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컷 모양으로 돌출된 주둥이부(13e)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주둥이부(13e)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前側)에 위치하고 있다. 통액구(14)는, 저벽부(13a)에 형성된 오목부(14a)의 저면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통기구(15)는, 오목부(14a)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저벽부(13a)를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통액구(14)는, 통기구(15)보다도 주둥이부(13e)측(전측)에 위치하고,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통기구(15)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크게 대략 타원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캡 본체(8)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탈착(脫着) 기구(16)가 마련되어 있다. 탈착 기구(16)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에 제1 클로부(claw部)(17)와,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에 제2 클로부(18)가 마련된 스토퍼(19)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로부(17)는, 둘레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19)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스토퍼(19)의 하단(기단)부는, 입구 형성 부재(13)에 마련된 힌지 기구(13f)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클로부(18)는, 스토퍼(19)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8)의 선단부는, 경사면(18a)을 형성하고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와 스토퍼(19)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스토퍼(19)의 입구 형성 부재(13)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스토퍼(19)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에, 스토퍼(19)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19)를 후방을 향해 가압한다. 또, 스토퍼(19)의 상단(선단)부에는, 이 스토퍼(19)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탈착 기구(16)는, 캡 본체(8)의 전측에 제1 피(被)걸림부(21)와, 캡 본체(8)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1) 및 제2 피걸림부(22)는, 상벽부(8c)의 개구부(8b)를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탈착 기구(16)에서는, 제1 피걸림부(21)에 대해서 제1 클로부(17)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 때, 캡 본체(8)의 상벽부(8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 제1 클로부(17)가 제1 피걸림부(21)에 걸려진다. 게다가, 제2 클로부(18)의 경사면(18a)이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8)가 개구부(8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는 것에 따라서, 스토퍼(19)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해 회동한 후에, 스토퍼(19)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2 클로부(18)가 제2 피걸림부(22)에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8)의 개구부(8b)로부터 주둥이부(13e)가 외측(상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탈착 기구(16)에서는, 스토퍼(19)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2)에 대한 제2 클로부(18)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1)에 대한 제1 클로부(1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하측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된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한다.
입구 형성 부재(13)의 하측 플랜지부(13c)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3)은, 장출부(張出部)(7)(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3)(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3)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23)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외주부에 끼워져 있다.
지수 패킹(23)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장출부(7)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통액구(14)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의 둘레벽부(8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9a)와, 둘레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9b)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에 제1 힌지부(24)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체(9)는, 제1 힌지부(24)에 마련된 가압 부재(24a)에 의해서, 통액구(14)를 개방하는 방향(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부재(24a)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다. 또, 가압 부재(24a)로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통액구(14)를 폐색하는 폐전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9)는, 천벽부(9b)의 주위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둘레벽부(9a)의 내측에 위치하여, 천벽부(9b)의 하면측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대략 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고 있다. 폐전 부재(25)는, 이 내벽부(9c)의 내측에 감합(嵌合)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폐전 부재(25)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덮개 락 기구(1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폐전 부재(25)가 장착된 덮개체(9)는, 폐전 부재(25)가 입구 형성 부재(13)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통액구(14)를 폐색한다.
폐전 부재(25)의 외주부에는, 통액구(14)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2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입구 형성 부재(13)와 폐전 부재(25)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또, 덮개 패킹(26)에는, 지수 패킹(23)과 동일한 재질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덮개 패킹(26)은, 폐전 부재(25)를 덮도록 폐전 부재(25)에 끼워져 있다. 또, 덮개 패킹(26)에는, 통액구(14)에 맞닿아지는 대략 돔 모양의 제1 마개부(26a)와, 통기구(15)에 맞닿아지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제2 마개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6)은, 입구 형성 부재(13)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제1 마개부(26a)가 통액구(14)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에서 통액구(14)를 폐색함과 아울러, 제2 마개부(26b)가 통기구(15)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에서 통기구(15)를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와 폐전 부재(25)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 락 기구(10)는, 제1 힌지부(24)에 마련된 가압 부재(24a)의 가압에 저항하여,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 덮개 락 기구(10)는, 덮개체(9)의 상부에 조작 버튼(27)을 가지고, 조작 버튼(27)을 제1 힌지부(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24a)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락 기구(10)는,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28)과,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29)을 가지고 있다.
조작 버튼(27)은, 대략 원판(圓板)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면에 가이드 볼록부(27a)와, 가이드 볼록부(27a)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된 규제 볼록부(일방의 규제 부재)(27b)를 가지고 있다. 또, 조작 버튼(27)의 상면에는, 이 조작 버튼(27)을 손가락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를 가진 조작부(27c)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홈(28)은, 덮개체(9)(천벽부(9b))의 상면측의 대략 중앙부를 조작 버튼(27)에 대응한 폭으로 전후 방향으로 잘라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9)은, 가이드 홈(28)의 내측에 위치하여, 조작 버튼(27)의 외형에 맞추어 천벽부(9b)를 관통하고 있다.
또, 덮개 락 기구(10)는, 가이드 구멍(29)의 내측에 배치된 조작 부재(30)와, 덮개체(9)에 제2 힌지부(31)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30)는, 가이드 구멍(29)의 내형(內形)에 맞추어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도시하지 않음)가 가이드 구멍(29)의 주위와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 구멍(29)보다도 상부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30)는, 플랜지부에 마련된 가이드 슬릿(도시하지 않음)에, 내벽부(9c)의 내측에 마련된 가이드 리브(도시하지 않음)가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조작 부재(30)의 하면에는, 가이드 핀(30a)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폐전 부재(25)의 내측의 저면에는, 가이드 통(25a)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30)는, 가이드 통(25a)의 내측에 가이드 핀(30a)이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폐전 부재(25)의 내측에는, 제3 코일 스프링(제3 스프링 부재)(33)이 배치되어 있다. 제3 코일 스프링(33)은, 가이드 통(25a)을 내측으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폐전 부재(25)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제3 코일 스프링(33)은, 조작 부재(30)를 눌러 내렸을 때에, 조작 부재(30)와 폐전 부재(25)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부재(30)를 밀어 올리는 방향을 향해 가압한다. 또, 제3 코일 스프링(33)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 락 기구(10)에 의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부재(30)에는, 가이드 오목부(30b)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30b)는, 조작 부재(3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조작 부재(30)를 조작 버튼(27)의 슬라이드량에 따른 길이분만큼 잘라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30)는, 이 가이드 오목부(30b)에 가이드 볼록부(27a)를 걸리게 한 상태에서, 조작 버튼(27)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지지)하고 있다.
또, 가이드 오목부(30b)의 내측에는, 제1 코일 스프링(제1 스프링 부재)(34)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일 스프링(34)은, 규제 볼록부(27b)의 후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핀(27d)을 내측으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볼록부(27a)와 가이드 오목부(30b)와의 사이에서 유지되어 있다.
제1 코일 스프링(34)은,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일단측(전측)으로부터 타단측(후측)을 향해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조작 버튼(27)(가이드 볼록부(27a))과 조작 부재(30)(가이드 오목부(30b))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일단측(전측)을 향해 가압한다.
여기서, 조작 버튼(27)의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일단(전단)은, 이 조작 버튼(27)의 일부가 덮개체(9)(천벽부(9b))의 상면과 겹치는 위치(이하, '제1 위치'라고 함)에 있다. 제1 위치에서는, 조작 버튼(27)의 일부가 덮개체(9)(천벽부(9b))의 상면과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을 규제하고 있다.
또, 폐전 부재(25)의 내측의 저면에는, 조작 버튼(27)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규제 볼록부(27b)와 대향하는 규제 핀(25b)(타방의 규제 부재)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위치에서는, 규제 볼록부(27b)가 규제 핀(25b)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만일 부품의 변형 등에 의해 조작 버튼(27)이 너무 눌러졌다고 해도, 규제 볼록부(27b)가 규제 핀(25b)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을 규제하면서, 이 조작 버튼(27)의 스무스한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작 버튼(27)의 슬라이드 방향(전후 방향)의 타단(후단)은, 조작 버튼(27)이 가이드 구멍(29)과 겹치는 위치(이하, '제2 위치'라고 함)에 있다. 또, 제2 위치에서는, 규제 핀(25b)에 대한 규제 볼록부(27b)의 위치가 후측으로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규제 핀(25b)에 의한 규제 볼록부(27b)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위치에서는,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힌지부(31)는, 제1 힌지부(24)와는 반대측(전측)에서의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힌지부(31)는, 락 부재(32)에 마련된 힌지 베어링부(31a)와, 힌지 베어링부(31a)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31b)을 가지고 있다.
락 부재(32)는, 이 제2 힌지부(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2)는, 힌지 베어링부(31a)로부터 둘레벽부(9a)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암부(32a)와, 힌지 베어링부(31a)로부터 천벽부(9b)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암부(32b)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둘레벽부(9a))의 전측에는, 제1 암부(32a)를 외부에 면하게 하는 슬릿(9d)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9d)은, 둘레벽부(9a)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하여, 제1 암부(32a)에 대응한 폭 및 길이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릿(9d)으로부터 외부에 면하는 제1 암부(32a)의 외면은, 덮개체(9)의 둘레벽부(9a)와 연속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암부(32a)의 선단(락 부재(32)의 일단)에는, 훅부(일방의 걸림부)(35)가 마련되어 있다. 훅부(35)의 선단은,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그 돌출된 부분의 하면측이 경사져 있다.
캡 본체(8)에는, 훅부(35)가 걸려지는 걸림 오목부(타방의 걸림부)(36)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오목부(36)는, 상벽부(8c)의 전측을 훅부(35)의 형상에 맞추어 잘라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락 부재(32)는, 훅부(35)가 걸림 오목부(36)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훅부(35)와 걸림 오목부(36)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된다.
폐전 부재(25)의 내측에는, 제2 코일 스프링(제2 스프링 부재)(37)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37)은, 폐전 부재(25)의 내측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핀(25c)과, 제2 암부(32b)의 선단(락 부재(32)의 타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된 핀(32c)을, 각각 내측으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폐전 부재(25)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37)은, 제2 암부(32b)의 선단과 폐전 부재(25)와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락 부재(32)를 회동 방향의 락 위치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조작 버튼(27)을 제1 코일 스프링(34)의 가압에 저항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조작 버튼(27)을 조작 부재(30)와 함께 제2 코일 스프링(37) 및 제3 코일 스프링(33)의 가압에 저항하여 가이드 구멍(29)의 내측을 향해 눌러 내리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30)가 제2 암부(32b)의 선단(락 부재(32)의 타단)을 압압하면서, 제2 코일 스프링(37)의 가압에 저항하여 락 부재(32)를 락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조작 버튼(27)의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를 구비하는 캡 유닛(3)에서는,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 후에,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조작(이른바 2액션에 의한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락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조작 버튼의 부주의한 압압 조작(이른바 1액션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의 락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종래와 같은 안전 스토퍼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상술한 조작 버튼(27)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과, 조작 버튼(27)을 눌러 내리는 조작을 연속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컵을 떼어내고 나서 조작 버튼을 조작하거나, 안전 스토퍼를 해제하고 나서 조작 버튼(27)을 조작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의성의 향상을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에서는,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편의성의 향상을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힌지 베어링부(31a)에 대응한 오목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제2 힌지부(31)를 덮개체(9)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 제2 힌지부(31)(힌지 베어링부(31a))를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에서, 제2 힌지부(31)는,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베어링 오목부(31c)와, 폐전 부재(25)에 마련된 한 쌍의 베어링 맞닿음부(31d)를 가지고 있다. 제2 힌지부(31)는, 한 쌍의 베어링 오목부(31c)에 힌지축(31b)의 양단부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한 쌍의 베어링 맞닿음부(31d)가 힌지축(31b)의 양단부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락 부재(3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제2 힌지부(31)를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락 부재(3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에서는, 상술한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힌지축(31b)의 양단부를 한 쌍의 베어링 맞닿음부(31d)(폐전 부재(25)의 일부)에 의해 덮여진 상태(숨긴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덮개 락 기구(10)를 구비하는 캡 유닛(3)에서는, 상술한 둘레벽부(9a)와 천벽부(9b)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제2 힌지부(31)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락 부재(32)의 힌지 베어링부(31a)로부터 연장된 제1 암부(32a)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버튼(27)의 압압 조작에 의해서 락 부재(32)를 락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킬 때에, 제1 암부(32a)의 회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조작 버튼(27)의 눌러 내리는 방향의 조작량(스트로크)에 대해서, 락 부재(32)를 락 위치와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크게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사이즈(용량)의 음료용 용기(캡 부착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만, 슬릿(9d)의 사이부터 락 부재(32)가 외측(전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덮개체(9)를 락시킨 상태에서는, 락 부재(32)가 슬릿(9d)의 내측에 있어, 락 부재(32)에 락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락 부재(32)가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에서는, 락 부재(32)의 회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편의성의 향상을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캡 부착 용기(1)에 대해서는, 상술한 외관 형상을 가진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사이즈나 기능,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이용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폭 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캡 부착 용기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9a - 둘레벽부
9b - 천벽부 10 - 덮개 락 기구
11 - 바닥 부재 12 - 어깨 부재
13 - 입구 형성 부재 14 - 통액구
16 - 탈착 기구 23 - 지수 패킹
24 - 제1 힌지부 25 - 폐전 부재
26 - 덮개 패킹(씰 부재) 27 - 조작 버튼
29 - 가이드 구멍 30 - 조작 부재
31 - 제2 힌지부 31a - 힌지 베어링부
31b - 힌지축 31c - 베어링 오목부
31d - 베어링 맞닿음부 32 - 락 부재
33 - 제3 코일 스프링(제3 스프링 부재)
34 - 제1 코일 스프링(제1 스프링 부재)
35 - 훅부(일방의 걸림부) 36 - 걸림 오목부(타방의 걸림부)
37 - 제2 코일 스프링(제2 코일 부재)
38 - 오목부

Claims (11)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제1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통액구를 폐색(閉塞)하는 위치에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는, 천벽부(天壁部)와, 상기 천벽부의 주위로부터 세워 내려져 형성된 둘레벽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에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상기 캡 본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려지는 락 위치와, 상기 일방의 걸림부와 상기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와는 반대측에서의 상기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락 부재에 마련된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힌지 베어링부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며,
    상기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는, 상기 힌지 베어링부에 대응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폐전(閉栓)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천벽부와 상기 둘레벽부와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베어링 오목부에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상기 폐전 부재에 마련된 한 쌍의 베어링 맞닿음부가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에 맞닿아진상태에서, 상기 락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둘레벽부에 마련된 슬릿의 내측에 상기 락 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락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슬릿의 사이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상부에 조작 버튼을 가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제1 힌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상기 조작 버튼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 버튼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 버튼을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버튼을 슬라이드 방향의 상기 일단측을 향해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상기 락 위치측을 향해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까지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조작 부재와 함께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측을 향해 눌러 내리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락 부재의 타단측을 압압하면서,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락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 올리는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3 스프링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슬라이드 방향의 상기 일단은, 상기 조작 버튼의 일부가 상기 덮개체의 상면과 겹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 버튼의 슬라이드 방향의 상기 타단은,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가이드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에는, 상기 통액구를 밀폐하는 씰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액구를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 형성 부재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190066078A 2018-06-26 2019-06-04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00001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1115 2018-06-26
JP2018121115A JP7090489B2 (ja) 2018-06-26 2018-06-26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78A true KR20200001478A (ko) 2020-01-06

Family

ID=6900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078A KR20200001478A (ko) 2018-06-26 2019-06-04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90489B2 (ko)
KR (1) KR20200001478A (ko)
CN (1) CN110638344B (ko)
TW (1) TWI6863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4890B (zh) * 2020-06-15 2024-06-25 宁波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拨片式脱包的软壳胶囊咖啡酿造装置及咖啡机
JP7476011B2 (ja) * 2020-07-10 2024-04-30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1Y2 (ko) * 1986-12-19 1993-01-21
TWM244854U (en) * 2000-09-27 2004-10-01 Nippon Oxygen Co Ltd Cork for soft drink container
JP4953358B2 (ja) * 2006-10-30 2012-06-1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JP5375266B2 (ja) * 2009-03-31 2013-12-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5651326B2 (ja) * 2009-11-25 2015-01-14 パール金属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DE102011112616A1 (de) * 2011-09-08 2013-03-14 Krallmann Kunststoffverarbeitung Gmbh Klappdeckelverschluss
JP5354040B2 (ja) * 2012-02-23 2013-11-2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JP5498613B1 (ja) * 2013-07-05 2014-05-21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JP6027647B1 (ja) * 2015-06-16 2016-11-1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681745B2 (ja) * 2016-03-01 2020-04-1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6333B (zh) 2020-03-01
JP2020001734A (ja) 2020-01-09
CN110638344A (zh) 2020-01-03
CN110638344B (zh) 2022-04-22
JP7090489B2 (ja) 2022-06-24
TW202000544A (zh)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26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KR102191471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6681745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5375266B2 (ja)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2017190156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2380634B1 (ko) 고체,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
JP565132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200001478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US20210068579A1 (en) Kettle
US20180215514A1 (en)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JP6346785B2 (ja) 栓体及び栓体を備える容器
JP2011251706A (ja) 飲料容器の蓋構造
JP646638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N110811362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KR2022000752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H04185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