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84A - 밥주걱 - Google Patents

밥주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84A
KR20200001284A KR1020180074045A KR20180074045A KR20200001284A KR 20200001284 A KR20200001284 A KR 20200001284A KR 1020180074045 A KR1020180074045 A KR 1020180074045A KR 20180074045 A KR20180074045 A KR 20180074045A KR 20200001284 A KR20200001284 A KR 2020000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ead
spatula
handle
pro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정
Original Assignee
최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정 filed Critical 최윤정
Priority to KR102018007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284A/ko
Publication of KR2020000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의 머리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된 주걱본체 및
상기 주걱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포함하는 밥주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밥주걱{Rice scoop}
본 발명은 밥주걱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 밥을 조리하거나 밥솥에서부터 밥을 풀 때 보다 편리하게 밥을 젓거나 푸기 위해 밥주걱을 사용한다.
밥이 조리되고 난 후 떡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밥맛을 살리기 위해서는 조리 직후 밥솥의 밥이 잘 섞이도록 뒤집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조리 직후 압력밥솥의 내부 온도는 매우 뜨거워 밥주걱으로 밥을 젓거나 푸는 과정에서 나오는 증기로 인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밥주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뜨거운 증기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는 밥주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밥주걱은 판형의 머리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된 주걱본체 및 상기 주걱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일단은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머리부 및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타단이 양갈래로 나뉘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일단은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서 상기 머리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타단은 상기 머리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이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타단과 상기 머리부의 가장자리가 바닥에 접촉하면서 상기 머리부의 양면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걱본체와 보호부는 대나무, 소나무, 편백나무, 장미목,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는 머리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칼로리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밥주걱은 방패부가 주걱본체에 결합됨으로써, 보온 상태의 밥으로부터 나오는 증기를 막아 손을 보호해준다.
또한 주걱본체에 결합된 방패부가 지면과 맞닿으면서 밥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인 머리부의 양면은 바닥이나 탁자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100)을 바닥면에 세워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2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30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밥주걱(100)은 주걱본체(110)와 방패부(120)를 포함한다.
주걱본체(110)는 머리부(111)와 손잡이부(112)로 구성된다.
머리부(111)는 주걱본체(110)에서 밥을 푸기 위한 부분으로 머리부(111)는 밥솥 등의 조리용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퍼내기 위해 넓직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머리부가(111)가 넓직한 둥근 모양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필요에 따라 각진 모양의 판형 등 다른 형태로 머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사용자가 주걱본체(110)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부(112)는 머리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2)는 머리부(111)에 힘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적당한 길이의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부(120)는 밥주걱(100) 사용자의 손을 증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20)의 형태는 상기 보호부(120)의 일단(120A)은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서 머리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120B)은 머리부로부터 손잡이부(1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부(1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손잡이부(112)로부터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호부(120)의 일단(120A)은 머리부(111)와 결합되어 밥주걱(100)을 이용할 때 보호부(1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또한 타단(120B)은 머리부(111)로부터 손잡이부(1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1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부(112)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12)가 손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파지하는 경우,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증기로부터 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의 타단(120B)이 손잡이부(112)와 이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호부(120)의 위치로 인한 불편함 없이 손잡이부(112)를 파지할 수 있고, 결합되지 않은 타단(120B)이 바닥면과 닿게 함으로써, 밥주걱(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밥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머리부(111)의 양면이 바닥이나 탁자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밥주걱(100)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보호부(120)의 일단(120A)은 손잡이부(1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서 머리부(1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결합된 부분이 머리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머리부와 손잡이부의 연결부를 지나서 타단(120B)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호부(120)가 위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호부(120)가 밥과 접촉하는 머리부(111)의 양면을 지나지 않게 함으로써, 밥을 푸는 머리부(111)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주걱본체와 결합되지 않은 타단(120B)이 적당한 너비를 가지는 경우, 도 2와 같이 밥주걱(100)을 사용하지 않아 세워놓을 때 타단(120B)이 바닥이나 탁자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밥주걱(100)을 쉽게 넘어지지 않게 하고 바닥이나 탁자면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밥주걱(100)의 소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걱본체(110)와 보호부(1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대나무, 소나무, 편백나무, 장미목,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 될 수 있다. 주걱본체(110)와 보호부(120)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꺼번에 밥주걱(100)을 금형 제작함으로써 제작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주걱본체(110)와 보호부(120) 각각의 목적에 부합하는 소재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밥주걱(10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밥주걱(100)은 주걱본체(110)와 보호부(12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걱본체(110)와 보호부(120)는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일 수도 있고,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일 수도 있다. 분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보호부(120)만 따로 보관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분실 우려가 덜하다는 장점이 있고, 분리형일 경우는 편의에 따라 보호부(120)를 장착할 수 있으며, 세척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주걱본체(110)에 결합되는 보호부(12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실시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의 일측은 머리부(11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주걱본체(110)와 이격되어 바닥면에 닿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 보호부(120)의 타측을 이용하여 주걱본체(110)를 세울 수 있어, 밥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머리부(111)의 양면이 바닥이나 탁자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밥주걱(100)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상기 설명한 밥주걱(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밥주걱(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주걱본체(110)의 손잡이부(112)를 잡고, 머리부(111)를 이용해 밥을 푼다. 단, 보호부(120)가 사용자의 손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112)를 잡는다. 이에 의하면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증기로부터 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밥주걱(100)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의 타단(120B)과 머리부(111) 측면의 일 점이 바닥이나 탁자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밥주걱(100)을 세워 둔다. 이에 의하면 밥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머리부(111)의 양면이 바닥이나 탁자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밥주걱(100)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211)의 일면에는 복수의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눈금은 상기 밥주걱을 이용하여 밥을 풀 때 필요한 양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하여, 타인에게도 자신이 원하는 양을 주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의 적절량 섭취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남겨서 버리게 되는 음식물의 양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표시되는 눈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실시예로써 상기 눈금은 칼로리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밥주걱(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써 상기 보호부(320)의 형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본체(31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일측이 양갈래로 나뉘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일측이 양갈래로 나뉘어지면서 보호부(320) 일측의 두 점과 머리부(311) 측면의 일 점이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밥주걱(300)을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밥주걱
110-주걱본체
111-머리부
112-손잡이부
120-보호부
120A-보호부 일단
120B-보호부 타단

Claims (7)

  1. 판형의 머리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된 주걱본체 및
    상기 주걱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포함하는 밥주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일단은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머리부 및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주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타단이 양갈래로 나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주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일단은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서 상기 머리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타단은 상기 머리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주걱.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타단과 상기 머리부의 가장자리가 바닥에 접촉하면서 상기 머리부의 양면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주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본체와 보호부는 대나무, 소나무, 편백나무, 장미목,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주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칼로리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주걱.
KR1020180074045A 2018-06-27 2018-06-27 밥주걱 KR20200001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45A KR20200001284A (ko) 2018-06-27 2018-06-27 밥주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45A KR20200001284A (ko) 2018-06-27 2018-06-27 밥주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84A true KR20200001284A (ko) 2020-01-06

Family

ID=6915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045A KR20200001284A (ko) 2018-06-27 2018-06-27 밥주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2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190B1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US7249793B1 (en) Cooking serving tongs
US8616098B1 (en) Handle for tools
US20140245517A1 (en) Oven mitt with scraper edge
US20120110787A1 (en) Implement handle with ergonomic grip providing rotational leverage
US2485521A (en) Spatula
EP2109388B1 (en) Rasp and cover
KR20200001284A (ko) 밥주걱
US20120103998A1 (en) Pan with Gripping Indentations on the Handle
US20170251882A1 (en) Tongs utensil with spatula member
US1747097A (en) Hand protector
US2243236A (en) Tableware
US11471002B2 (en) Removal tool for items from hot skewers and campfire roasters
KR20190108309A (ko) 꼬치 막대기의 하측에 끼워서 사용하는 꼬치보조구
US20170105580A1 (en) Food Preparation Pan and Scale
GB2208156A (en) Handle
KR101311373B1 (ko)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TWM524144U (zh) 茶壺及以茶壺作為包裝盒的茶葉禮盒
US11684189B2 (en) Eating aid
CN112218563A (zh) 烹饪用勺及烹饪组具
JP6071075B2 (ja) 落下防止具付き箸
USD857322S1 (en) Cleaning product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KR20160046678A (ko) 다기능 조리용 뒤집개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