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47U - 커플링 - Google Patents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47U
KR20200001247U KR2020180005622U KR20180005622U KR20200001247U KR 20200001247 U KR20200001247 U KR 20200001247U KR 2020180005622 U KR2020180005622 U KR 2020180005622U KR 20180005622 U KR20180005622 U KR 20180005622U KR 20200001247 U KR20200001247 U KR 202000012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upling
pipe
main bod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817Y1 (ko
Inventor
민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5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1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파이프에 결합되어 파이프에 발생하는 열팽창 및 수축현상으로 인해 진동과 변형이 전달되어 변위가 발생하거나 편향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커플링이 제공된다. 커플링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양끝단부에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한 쌍의 파이프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통구와 연결되어 분리된 파이프를 본체부에 연결하며, 적어도 일부가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음부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이 연통구와 연통되도록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본체부의 내주면과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이음부와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음부의 이동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고정판을 중심으로 본체부의 내측에 한 쌍의 이음부가 균형을 이루도록 이음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링{Coupling}
본 고안은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에 결합되어 파이프에 발생하는 열팽창 및 수축현상으로 인해 진동과 변형이 전달되어 변위가 발생하거나 편향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통상, 파이프는 속이 빈 가늘고 긴 관으로, 주로 유체(기체·액체)나 분체(粉體)의 수송에 사용되며, 커플링이 일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서로 분리된 한 쌍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는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유체의 온도나 압력에 의해 진동, 흔들림 및 열팽창 등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파이프의 모양이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서로 분리된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는 커플링에 열팽창 및 수축현상으로 인한 진동과 변형이 전달되어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의 위치가 변하거나 하나의 파이프에 치우쳐 배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커플링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또는 유지보수 면에서 효율적인 특징이 있으나, 파이프의 열팽창 및 수축현상으로 인해 한 쌍의 파이프에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이프는 커플링의 내측에 균형을 이루어 배치되어야 하나, 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치우치거나 변위가 발생하여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가 내부 유체의 온도 및 압력의 변화로부터 열팽창 및 수축현상 등으로 인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원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한 쌍의 파이프의 중심에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플링을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2465호, (2010.06.03.)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에 결합되어 파이프에 발생하는 열팽창 및 수축현상으로 인해 진동과 변형이 전달되어 변위가 발생하거나 편향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양끝단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한 쌍의 파이프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통구와 연결되어 분리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음부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이음부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음부의 이동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판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한 쌍의 상기 이음부가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이음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이음부에 연결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음부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밀폐하는 하우징과, 원반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이동판과, 일단부가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타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고정판과 상기 확장판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상기 고정판을 중심으로 양단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은, 한 쌍의 파이프가 내부 유체의 온도 및 압력의 변화로부터 열팽창 및 수축현상 등으로 인한 진동 또는 열변형이 발생하여 파이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이프의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정위치로 이동 가능하여, 한 쌍의 파이프의 외주면에 균형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파이프가 커플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플링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플링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커플링(1)은 유체의 열팽창 및 수축현상으로 파이프(P)에 가해지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고, 파이프(P)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한 쌍의 파이프(P)가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P) 이음부재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P)에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본체부(10)의 중심이 한 쌍의 연결부에 위치 가능하여 파이프(P)가 이탈되거나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커플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커플링의 작동과정과 관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커플링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커플링(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방되어 연통구가 형성된 본체부(10)와, 연통구에 결합되어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일단부에 파이프(P)가 각각 연결되는 이음부(20)와, 본체부(10)의 중심에 위치하여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30)과, 본체부(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음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체부(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일종의 하우징(411)으로, 양끝단부에 수용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된다. 본체부(10)는 연통구에 결합되는 이음부(20)에 파이프(P)를 연결하여 한 쌍의 파이프(P)를 연결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의 중심부에 고정판(3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30)은 위치조절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공은 연통구와 연통되도록 고정판(30)이 수용공간(1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판(30)은 외주면이 본체부(10)의 내주면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0) 중심부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통구와 고정판(30) 관통공의 지름은, 파이프(P)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양단에 배치되는 이음부(20)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20)는 파이프(P)를 본체부(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한 쌍의 파이프(P)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통구와 연결되어 분리된 파이프(P)를 본체부(1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음부(20)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공간(11)에 삽입 배치되며, 삽입된 타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21)가 형성하어, 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음부(20)는 외주면의 지름이 연통구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확장부(21) 외주면의 지름이 연통구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음부(20)는 연통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음부(20)는 타단부가 수용공간(11)에 삽입 배치되고, 일단부가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파이프(P)와 결합되어, 서로 분리된 한 쌍의 파이프(P)를 본체부(1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20)는 확장부(21)를 형성하여 파이프(P)의 열팽창 또는 수축현상에 의해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연통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하다가 고정판(30)에 걸리게 되어 과도하게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음부(20)는 수용공간(11)에 배치된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파이프(P)의 위치가 이동하더라도 한 쌍이 본체부(10) 내측에 대칭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는 본체부(10)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이음부(20)가 고정판(30)을 중심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이음부(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완충기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이음부(20)와 본체부(10)에 각각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절부재(40)는 완충부재(41)와 탄성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41)는 파이프(P)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411)과, 이동판(412)과, 피스톤(4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1)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빈 공간에 유체를 저장하여 밀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1)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판(4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판(412)은 원반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하우징(411)의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우징(411)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동판(412)은 양단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관통공을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이동판(412)은 일측단부에 피스톤(413)이 고정되어, 피스톤(413)에 의해 유체가 관통공을 유동하면서 하우징(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413)은 일단부가 이동판(412)에 고정되어 하우징(411)의 내측에 삽입배치되고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피스톤(413)은 이동판(412)에 고정되어 파이프(P)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진동 또는 압력에 의해 하우징(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하우징(411) 내부에 삽입 배치된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이동판(412)과 피스톤(413)이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동판(412)의 관통공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완충부재(41)는 일단부가 확장부(21)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고정판(30)에 배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완충부재(41)는 하우징(411)이 확장부(21)에 고정되고 피스톤(413)의 타단부가 고정판(30)에 고정되며,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413)의 외주면에 탄성부재(42)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2)는 이음부(20)의 위치가 이동하더라도 본체부(10)의 내측에 이음부(20)를 정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완충부재(41)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2)는 일종의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피스톤(41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하우징(411)과 접하고 타단부가 피스톤(413)의 타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41)와 탄성부재(42)를 포함하는 위치조절부재(4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확장부(21)와 고정판(30)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본체부(1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재(40)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고정판(30)을 중심으로 양단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가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는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양단부가 대칭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P)와 연결된 이음부(20)는 파이프(P)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내부압력에 의해 위치가 변하여 한 쌍이 본체부(10)의 내부에 균형을 이루지 못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음부(20)와 본체부(10)에 연결된 위치조절부재(40)가 파이프(P)로부터 전달된 이음부(20)의 충격을 흡수하고 이음부(20)의 위치이동에 따라 압축하더라도 탄성부재(42)에 의해 복원하여 연통구를 따라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커플링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이음부(20)가 고정판(30)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위치조절부재(40)가 평형을 이루고 있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파이프(P)가 내부 유체의 온도 및 압력의 변화로 인해 진동 또는 열변형이 발생할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20)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다. 커플링(1)은 내부에 급격한 충격과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이음부(2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치조절부재(40)가 압력을 전달받아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부재(42)가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마주하고 있는 이음부(20)도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42)가 늘어날 수 있으나, 이음부(20)와 연결된 위치조절부재(40)의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음부(20)는 파이프(P)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더라도, 탄성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부(10)가 이음부(20)의 외주면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 3의 (c)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플링(1)은 파이프(P)에 의해 위치가 변하더라도, 이음부(20) 및 본체부(10)와 연결된 위치조절부재(40)에 의해 본체부(10)의 내측에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음부(20)와 파이프(P)는 위치가 변화할 수 있지만, 커플링(1)이 위치조절부재(40)의 복원에 의해 이음부(20)를 따라 이동하여 고정판(30)이 한 쌍의 이음부(20) 사이 중앙에 배치될 수 있어, 이음부(20) 또는 파이프(P)가 본체부(10)로부터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한 쌍의 파이프(P)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본체부(10)의 내측에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플링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1a)은 위치조절부재(40)가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조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배치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1a)은 위치조절부재(40)가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하면 본체부(10), 이음부(20), 고정판(30), 위치조절부재(40)가 모두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1a)은 위치조절부재(40)가 일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본체부(10)의 끝단부와 확장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절부재(40)는 양단부가 본체부(10)의 끝단부와 확장부(21)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는 하우징(411)의 일단부가 본체부(10)의 끝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피스톤(413)의 타단부가 확장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로 형성된 커플링(1a)은 파이프(P) 또는 이음부(2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본체부(10)의 위치가 따라 이동하여 고정판(30)이 한 쌍의 이음부(20)의 정중앙에 오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의 (a)는 한 쌍의 이격된 파이음부(20)의 중심부에 고정판(30)이 위치하여 본체부(10)의 내측에 이음부(20)가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파이프(P)가 내부 유체의 온도 및 압력의 변화로 인해 진동, 열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면 이음부(2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음부(20)의 위치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하였을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2)가 압축되거나 늘어나면서 완충부재(41)가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20)의 위치가 변동된 후에, 탄성부재(42)가 복원되면서 위치조절부재(40)와 연결된 본체부(10)가 이음부(2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여 고정판(30)을 중심으로 이음부(20)가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10)는 이음부(2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내측에 배치된 이음부(20)와 위치조절부재(40)가 균형을 이루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파이프(P)가 본체부(10)로부터 이탈되어 유체가 누수하는 형상을 방지하면서 파이프(P)를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커플링
10: 본체부 11: 수용공간
20: 이음부 21: 확장부
30: 고정판 40: 위치조절부재
41: 완충부재 42: 탄성부재
411: 하우징 412: 이동판
413: 피스톤

Claims (6)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양끝단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한 쌍의 파이프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통구와 연결되어 분리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음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이음부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음부의 이동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판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한 쌍의 상기 이음부가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이음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이음부에 연결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이음부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밀폐하는 하우징과, 원반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이동판과, 일단부가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플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타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고정판과 상기 확장판에 각각 고정되는 커플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상기 고정판을 중심으로 양단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커플링.
KR2020180005622U 2018-12-05 2018-12-05 커플링 KR200496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622U KR200496817Y1 (ko) 2018-12-05 2018-12-05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622U KR200496817Y1 (ko) 2018-12-05 2018-12-05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47U true KR20200001247U (ko) 2020-06-15
KR200496817Y1 KR200496817Y1 (ko) 2023-05-03

Family

ID=7107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622U KR200496817Y1 (ko) 2018-12-05 2018-12-05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84A (ko) 2021-02-18 2022-08-25 ㈜알파오 전선접속터미널 보호 및 주름관 연결용 분기형 커플링싱글하우징
WO2024111689A1 (ko) * 2022-11-21 2024-05-30 비케이엠 주식회사 배관 연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5221U (ja) * 1984-03-07 1985-09-26 スズ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マフラ連結装置
JP2001140975A (ja) * 1999-11-12 2001-05-22 Tokyo Gas Co Ltd 防振用配管継手
KR200352716Y1 (ko) * 2003-12-16 2004-06-09 조문건 열팽창 흡수 소켓
KR20070117242A (ko) * 2006-06-08 2007-12-12 박성진 파이프 열변형 방지를 위한 스프링 이음관
KR100962465B1 (ko) 2008-01-18 2010-06-14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KR101810358B1 (ko) * 2017-03-31 2018-01-25 황의상 신축이음기능을 갖는 누출방지 댐퍼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5221U (ja) * 1984-03-07 1985-09-26 スズ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マフラ連結装置
JP2001140975A (ja) * 1999-11-12 2001-05-22 Tokyo Gas Co Ltd 防振用配管継手
KR200352716Y1 (ko) * 2003-12-16 2004-06-09 조문건 열팽창 흡수 소켓
KR20070117242A (ko) * 2006-06-08 2007-12-12 박성진 파이프 열변형 방지를 위한 스프링 이음관
KR100962465B1 (ko) 2008-01-18 2010-06-14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KR101810358B1 (ko) * 2017-03-31 2018-01-25 황의상 신축이음기능을 갖는 누출방지 댐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84A (ko) 2021-02-18 2022-08-25 ㈜알파오 전선접속터미널 보호 및 주름관 연결용 분기형 커플링싱글하우징
WO2024111689A1 (ko) * 2022-11-21 2024-05-30 비케이엠 주식회사 배관 연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17Y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188B2 (en) Isolator using externally pressurized sealing bellows
US8327985B2 (en) Two stage vibration isolator
JP4053640B2 (ja) 改良された、位置の影響を受けない、キャビテーション作用のない、差動的な、二方向緩衝器
US4838529A (en) Liquid-filled vibration isolating devices
US8333368B2 (en)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KR20200001247U (ko) 커플링
JP6564212B2 (ja) 薄型3パラメータ防振器およびそれらを用いる防振システム
US6161662A (en) Suspension damper for motor vehicle
US8342488B2 (en) Damping cylinder with annular bladder
US2535080A (en) Mounting
CA2284282A1 (en) Pneumatic tuned mass damper
JP2006189153A (ja) 減衰力調節可能なエラストマー/液圧式振動絶縁器
JP6608594B2 (ja) 外部から加圧される密封蛇腹および外部軸を使用する振動絶縁装置
JP2014190541A (ja) ダンパー外部の熱的補償器を有するアイソレ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宇宙船絶縁システム
JP6537932B2 (ja) 防振装置
JP2006266290A (ja) モノチューブ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フリーピストンシール構造
JPS62118132A (ja) 液入り防振装置
JP6276774B2 (ja) 空気式支持体
US10066697B2 (en) Three parameter isolators containing rolling seal damper assemblies
US2821414A (en) Pressure balanced bellows type flexible coupling for conduits
JPS62118133A (ja) 液入り防振装置
US9897162B2 (en) Two-dimensional vibration isolator
US2766997A (en) Balanced conduit expansion joint
US20240068538A1 (en) High temperature fluid isolator with large dynamic displacement capability
KR0148756B1 (ko) 수격방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