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983U - 변신 완구 - Google Patents
변신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0983U KR20200000983U KR2020180005084U KR20180005084U KR20200000983U KR 20200000983 U KR20200000983 U KR 20200000983U KR 2020180005084 U KR2020180005084 U KR 2020180005084U KR 20180005084 U KR20180005084 U KR 20180005084U KR 20200000983 U KR20200000983 U KR 2020000098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toy
- robot
- dinosaur
- trans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41000086550 Dinosaur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06 toe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로봇모드에서 자동차모드로, 자동차모드에서 공룡모드로, 공룡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변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난감으로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출원 제20-2017-0005759호(고안의 명칭 : 완구조립을 위한 골격용 기본모듈)를 이용한 것이다.
변신 완구는 로봇 형상 또는 자동차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완구 몸체를 여러 가지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여 로봇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한 것으로 이는 한 가지 완구로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변신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은 자동차 완구가 주행 과정에서 임의의 카드가 부착되면 그 카드를 뒤집어 보여 줄 수 있도록 형태를 자동으로 변형하는 변신 자동차 완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하나의 자동차는 하나의 로봇으로 변신하기 때문에 하나의 자동차로는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구현할 수 없어, 쉽게 흥미를 잃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봇모드, 자동차모드 및 공룡모드의 3단계 변신이 가능하도록 한 변신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변신완구는,
대체로 원형형상의 몸통부(10); 및
상기 몸통부(10)의 양쪽에 연결되어 완구의 구성요소들을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20)(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10)는 중앙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일정 피치의 제1 기어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20)는 완구의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부(1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제2 기어부(25)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26)를 통해 상기 제2 기어부(25)에 연결되어 치합되도록 기어가 형성된 제1 전단부(27)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30)는 상기 몸통부(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완구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제3 기어부(35)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36)를 통해 상기 몸통부(10)에 연결되는 제2 전단부(37)로 구성되고, 상기 통공(11)은 그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변신 완구용 기본모듈을 이용하여 로봇모드에서 자동차모드로, 자동차모드에서 공룡모드로, 공룡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3단계 변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모드에서 자동차모드로, 자동차모드에서 공룡모드로, 공룡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변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난감으로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정면 사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진.
도 3은 도 1의 좌측면 사진.
도 4는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어깨 회전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손 이동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다리 회전 예시도.
도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발 이동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배면 사진으로서 머리 옆 커버 및 순찰차 지붕의 회전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변신 완구의 변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본모듈의 구조도.
도 13 내지 도 21은 로봇모드에서 자동차모드로의 변신 순서도.
도 22 내지 도 27은 자동차모드에서 공룡모드로의 변신 순서도.
도 28내지 도 39는 공룔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변신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진.
도 3은 도 1의 좌측면 사진.
도 4는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어깨 회전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손 이동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다리 회전 예시도.
도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발 이동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배면 사진으로서 머리 옆 커버 및 순찰차 지붕의 회전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변신 완구의 변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본모듈의 구조도.
도 13 내지 도 21은 로봇모드에서 자동차모드로의 변신 순서도.
도 22 내지 도 27은 자동차모드에서 공룡모드로의 변신 순서도.
도 28내지 도 39는 공룔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변신 순서도.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변신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신 완구는, 로봇 형상의 제1 모드와 자동차 형상의 제2 모드 사이와 공룡 모드의 제3 모드 사이에서 변신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신완구는 로봇 머리 및 공룡 머리를 포함하고, 팔 및 머리 옆에 구성된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몸체(100)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 몸체(100)를 기준으로 팔, 다리, 로봇 머리 및 공룡 머리 그리고 자동차 형상 구조물을 위치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로봇 모드에서 자동차 모드로, 다시 자동차 모드에서 공룡 모드로의 변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팔(1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100)에 연결부재(1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3)는 팔(10)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100)의 대응되는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360도 회동이 가능한 것은 몸체(100)에 연결된 부재(13)를 통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는 팔(1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팔(10)과 연결된다. 팔(10)은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난 수직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의 45도 정도 상향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부재(13)와 연결된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팔(10)은 몸체의 부분(110)의 내부에 형성된 360도 회전 구조에 연결부재(1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연결부재(13)가 축(13a)을 통해 팔(10)에 연결되어 45도 정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팔(10)은 연결부재(12)를 통해 손(11)과 연결되며, 손(11)은 그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12)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도 7 내지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로 이동시키면 팔(10)과 맞닿고, 도 1, 도 2, 도 6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래로 이동시키면 팔(10)과 이격된다.
하체(20)는 축(22)을 통해 몸체(100)에 연결되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거의 90도 정도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체(20)에 구성된 다리(21)는 축(21a)을 통해 전후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하체(20)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바퀴(60)가 연결된다.
머리 옆에 위치한 커버(30)는 축(31a)을 통해 연결부재(31)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재(31)는 축(31b)를 통해 몸체(100)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30)는 바퀴(4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다.
순철차 지붕(50)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51)을 통해 연결부재(55)에 연결되고, 연결부재(55)는 축(120)을 통해 연결부재(57)에 연결되고, 연결부재(57)는 축(130)을 통해 몸체(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들 순찰차 지붕(50), 연결부재(55)(57)는 모두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다.
부분(80)은 축(140)을 통해 몸체(100)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골격용 기본모듈은 대체로 원형형상의 몸통부(10)와, 몸통부(10)의 양쪽에 연결되어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팔, 다리, 몸통, 머리 등 다른 구성요소들을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20)(30)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본모듈은 도 13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다양한 완구 변신을 위한 기본모듈로 제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본모듈은 제1 연결부재(20)가 몸통부(10)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재치 상태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고안의 기본모듈이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팔이나 다리 등에 조립되었을 경우 이들 팔이나 다리 등이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채택되는 구조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몸통부(10)는 중앙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일정 피치의 제1 기어부(15)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11)은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구성요소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될 수도 있고, 단순히 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어부(15)는 예를 들어 연결부(20)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그 회전범위를 규정짓기 위한 것으로서, 만일 제1 기어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이에 연결된 로봇 완구의 구성요소의 움직임이 어느 선에서 제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로봇 완구의 모양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채택된 것이다.
제1 연결부재(20)는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팔이나 다리 등의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부(1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제2 기어부(25)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26)를 통해 상기 제2 기어부(25)에 연결되는 제1 전단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전단부(27)는 대체로 나팔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몸통부(10)의 제1 기어부(15)에 대응하도록 기어(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즉 제1 기어부(15)와 제1 연결부재(20)의 제1 전단부(27)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맞물리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2 연결부재(30)는 상기 몸통부(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팔이나 다리 등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것이다.
제2 연결부재(30)는 일단부에는 제3 기어부(35)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36)를 통해 상기 몸통부(10)에 연결되는 제2 전단부(3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완구조립용 기본모듈은, 몸통부(10)의 통공(11)과, 제1 연결부재(20)의 제2 기어부(25)와, 제2 연결부재(30)의 제3 기어부(5)가 각각 예를 들어 로봇 완구의 팔이나 다리 등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로봇 형상이 완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로봇 완구의 팔이나 다리 등 구성요소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변신완구의 변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로봇 모드에서 자동차 모드로의 변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1. 양손(1)을 각각 하방으로 회전시킨 후, 돌려 위치를 맞춘 후 위손(2)을 올린다(도 13).
2. 발톱과 뒷발톱을 내린 후 다리를 올려 고정시킨다(도 14).
3. 앞바퀴 부분을 앞으로 당겨 올려서 1자로 만들어준다(도 15).
4. 본넷을 올려 양쪽 바퀴와 본넷의 위치를 맞추어 조인트 3곳을 맞추어 결합한다(도 16).
5. 팔을 넣기 위하여 표시된 부분을 내려준다(도 17).
6. 로봇의 팔 부분을 자동차 위쪽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다(도 18).
7. 공룡 얼굴부분을 밖으로 꺼낸 후 로봇 머리를 안으로 접어 넣는다.그 다음에, 공룡 얼굴부분을 위쪽으로 올려 자동차 밑으로 들어가도록다(도 19).
8. 로봇 다리 위쪽을 180도 돌려 올린 뒤 조인트에 맞추어 고정시킨다(도 20).
9. 트렁크 부분을 내려 조인트에 맞추어 꾹 눌러 고정시킨다(도 21).
자동차 모드에서 공룡 모드로의 변신에 대해 설명한다.
1. 뒤쪽 트렁크 부분을 연다(도 22).
2. 차 위에 있는 공룡 꼬리부분을 차례대로 꺼낸다(도 23).
3. 본넷 부분을 위쪽으로 당겨 열어서 장착한 후 앞바퀴 부분을 밑으로 살짝 꺾어준다(도 24).
4. 순서대로 진행하여 공룡 다리를 만든다(도 25).
5. 앞바퀴 부분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26).
6. 공룡 앞다리를 순서대로 꺼낸다(도 27).
공룡 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변신에 대해 설명한다.
1. 공룡 다리부분을 내린 뒤 일자로 맞추어 로봇 다리 형태로 만든다(도 28).
2. 공룡 얼굴을 내린 후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도 29).
3. 공룡 손 부분을 돌려서 차례대로 안쪽으로 넣는다(도 30).
4. 본넷을 올린다(도 31).
5. 공룡 꼬리부분을 차례대로 넣은 후 고정시킨다(도 32).
6. 팔 부분을 앞쪽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다(도 33).
7. 본넷 부분을 뒤로 내린다(도 34).
8. 앞바퀴 부분을 그림처럼 만든다(도 35).
9. 앞바퀴 부분을 뒤로 내려 조인트에 맞추어 고정시킨다(도 36).
10. 팔 부분을 내린 후 손 부분도 90도 돌려 위치를 맞춘다(도 37).
11. 뒤쪽 트렁크 부분을 위로 올린다(도 38).
12. 다리 부분을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도 39).
10 : 몸통부 11 : 통공
15 : 제1 기어부 20 : 제2 연결부재
25 : 제2 기어부 26 : 제1 연결부
27 : 제1 전단부 30 : 제2 연결부재
35 : 제3 기어부 36 : 제2 연결부
37 : 제2 전단부
15 : 제1 기어부 20 : 제2 연결부재
25 : 제2 기어부 26 : 제1 연결부
27 : 제1 전단부 30 : 제2 연결부재
35 : 제3 기어부 36 : 제2 연결부
37 : 제2 전단부
Claims (1)
- 대체로 원형형상의 몸통부(10); 및
상기 몸통부(10)의 양쪽에 연결되어 완구의 구성요소들을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20)(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10)는 중앙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일정 피치의 제1 기어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20)는 완구의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부(1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제2 기어부(25)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26)를 통해 상기 제2 기어부(25)에 연결되어 치합되도록 기어가 형성된 제1 전단부(27)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30)는 상기 몸통부(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완구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제3 기어부(35)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36)를 통해 상기 몸통부(10)에 연결되는 제2 전단부(37)로 구성되고, 상기 통공(11)은 그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변신 완구용 기본모듈을 이용하여 로봇모드에서 자동차모드로, 자동차모드에서 공룡모드로, 공룡모드에서 로봇모드로의 3단계 변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 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084U KR20200000983U (ko) | 2018-11-08 | 2018-11-08 | 변신 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084U KR20200000983U (ko) | 2018-11-08 | 2018-11-08 | 변신 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983U true KR20200000983U (ko) | 2020-05-18 |
Family
ID=7086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5084U KR20200000983U (ko) | 2018-11-08 | 2018-11-08 | 변신 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0983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4043A4 (en) * | 2020-07-17 | 2022-10-19 | Robosen Robotics (Shenzhen) Co., Ltd | DEFORMING ROBO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305B1 (ko) | 2012-02-24 | 2013-11-11 | 최신규 |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
-
2018
- 2018-11-08 KR KR2020180005084U patent/KR20200000983U/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305B1 (ko) | 2012-02-24 | 2013-11-11 | 최신규 |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4043A4 (en) * | 2020-07-17 | 2022-10-19 | Robosen Robotics (Shenzhen) Co., Ltd | DEFORMING ROB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19498B2 (en) | Vehicle toy | |
CN109091881B (zh) | 变形汽车玩具 | |
JP2009189520A (ja) | 形態変化玩具 | |
GB2128489A (en) | Reconfigurable toy assembly | |
WO2017200038A1 (ja) | 形態変形ロボット | |
KR20200000983U (ko) | 변신 완구 | |
US20090227175A1 (en) | Transformable toy | |
US12005371B2 (en) | Block-type transformable toy | |
JP4834169B1 (ja) | 変形ロボット玩具 | |
JP6297953B2 (ja) | 形態変化玩具 | |
CN205627068U (zh) | 一种玩具变形摩托车 | |
CN213131907U (zh) | 一种可控制展开的变形玩具车 | |
JPH0160271B2 (ko) | ||
CN209188096U (zh) | 形态变化玩具 | |
KR101223971B1 (ko) |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 |
CN208591533U (zh) | 一种电动变脸人偶玩具 | |
CN116407852B (zh) | 一种越野车变形玩具 | |
JP4376721B2 (ja) | 形態変形玩具の腕部収納構造及び形態変形玩具 | |
CN219307902U (zh) | 一种越野车机器人变形玩具 | |
JPH0315098Y2 (ko) | ||
JPS6013192U (ja) | 自動車ロボツト玩具 | |
CN207384829U (zh) | 一种变形机器人 | |
JPH0530471Y2 (ko) | ||
CN211885362U (zh) | 一种机器人变形玩具 | |
CN217489736U (zh) | 一种由可变形成数字的单体玩具拼装的合体玩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