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632A -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632A
KR20200000632A KR1020180072665A KR20180072665A KR20200000632A KR 20200000632 A KR20200000632 A KR 20200000632A KR 1020180072665 A KR1020180072665 A KR 1020180072665A KR 20180072665 A KR20180072665 A KR 20180072665A KR 20200000632 A KR20200000632 A KR 2020000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data
display device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354B1 (ko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권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열 filed Critical 권정열
Priority to KR102018007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3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15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for recording reflection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몸체의 일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안내하는 정보가 포함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유닛; 상기 안착베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사되는 반사수단;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스캔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스캔유닛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DB에 연결되며, 상기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전시상품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관리인원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직접 연결하여 영상을 적용 또는 변경시키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적은 관리인원으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QR 코드의 스캔(인식)을 통해 인증서버에 연결되고, 인증서버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DB로의 접근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허용함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HOLOGRAPHIC DISPLAY DEVICE BASED ON RECOGNIZING QUICK RESPONSE CODE AND CONTENTS PROVIDE SYSTEM THERE OF}
본 발명은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판매처 등에서는 새로운 제품의 출시 시에, 실제 제품을 전시하여 이용자가 직접 만져보거나 조작하는 등,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제품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해 이용자가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홍보하여 왔다.
이용자가 직접적인 체험함으로써 습득한 이해의 정도는 타인의 설명 또는 기타 인쇄물 등의 정보보다 더 효과적이지만, 수많은 이용자가 체험하는 과정에서 전시된 제품이 도난당하거나, 제품의 작동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제품을 전시하는 주체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비교적 현실적으로 해결 가능한 방안은 제품의 실측크기를 가지는 목업(Mock-up)제품을 전시하고, 제품의 기능 및 사양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실제 제품을 별도의 잠금장치가 마련된 투명 진열장에 배치시킨 뒤, 작동되는 영상만을 반복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와 투과가 이루어지는 투과성재질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을 반사판에 조사하고, 반사판의 후방에 전시하고자 하는 상품을 배치시켜, 정적인 제품상에 동적인 효과 및 제품에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을 투사시킨 홀로그램 기법을 적용시킴으로써, 제품의 실제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과 관련된 내용과 해당 제품에 심미감을 더하는 효과를 통해 제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기술(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게시된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관리인원이 전시상품에 대응되는 영상을 적용시키기 위해, 해당 영상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를 집적 휴대하여 저장매체를 연결하여 영상을 출력시켜야하기 때문에,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관리인원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직접 연결하여 영상을 적용 또는 변경하여야 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관리인원이 휴대한 저장매체를 통해 영상이 적용되기 때문에, 저장매체의 분실 등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99576 (등록일 2010. 12. 02) 한국등록특허 10-1571413 (등록일 2015. 11. 18)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의 적용 및 변경이 용이하고, 영상의 적용 및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 인적자원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 유출에 따른 보안성이 강화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몸체의 일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안내하는 정보가 포함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유닛; 상기 안착베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사되는 반사수단;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스캔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스캔유닛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DB에 연결되며, 상기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캔유닛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해당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칭정보 및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접근되는 네트워크상의 주소에 따른 주소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주소정보를 통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에 연결되어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스트리밍부; 및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통신부, 추출부 및 스트리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상기 스캔유닛에서 스캔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주소정보와 매칭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소정보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인증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인증서버에 추출된 매칭정보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콘텐츠 DB의 상기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트리밍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DB로부터 스트리밍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콘텐츠 DB와의 통신 연결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한하여, 상기 스트리밍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 차단 또는 상기 스캔유닛의 2차원 코드 이미지 스캔을 통한 신규 콘텐츠 데이터 접근요청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의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캔유닛이 스캔하는 2차원 코드 이미지는 인쇄물 형태로 전사되거나, 영상 이미지형태로 출력된 QR(Quick-response)코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홀로그램 영상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DB;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며,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여, 통신망을 통해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한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된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콘텐츠 DB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2차원 코드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특정 콘텐츠 데이터와 매칭되는 매칭정보와 상기 인증서버에 연결되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매칭정보와 주소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주소정보를 통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인증서버에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고유의 식별정보와 매칭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인증서버에 상기 매칭정보와 매칭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 리스트가 저장되고, 상기 인증서버에 연결된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정보의 리스트 내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한 리디렉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해당 리디렉션 정보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전시상품에 매칭되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해당 전시상품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관리인원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직접 연결하여 영상을 적용 또는 변경시키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적은 관리인원으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QR 코드를 통해 인증서버에 연결될 때, 디스플레이수단 및 반사수단에 대한 사양정보를 함께 송신함에 따라, 사양정보에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로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전시상품에 대해 단일의 QR 코드로도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홀로그램 영상의 변경 및 적용에 대한 관리 인원의 관리 복잡도가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QR 코드의 스캔(인식)을 통해 인증서버에 연결되고, 인증서버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DB로의 접근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허용함에 따라, 기 지정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만이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보안성이 강화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 유출에 따른 불법적 사용 등으로 인한 콘텐츠 제작자의 권익을 보호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영상 산업의 발전을 장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설명에 앞서, 각 구성에서 설명될 콘텐츠 DB(200) 및 인증서버(3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 DB(200)는 일종의 데이터서버 또는 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영역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콘텐츠 DB(200)는 후술될 인증서버(300)의 저장영역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웹 저장영역으로 해석되어질 수도 있다.
인증서버(300)는 후술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츠 DB(200)에 연결되기 이전에,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츠 DB(200)에 접근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판단 알고리즘이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보통의 서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인증서버(300)에는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지는 고유한 식별성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있을 경우에도,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된 콘텐츠 DB(200) 및 인증서버(300)의 시스템적 프로세스에 관해서 각 구성의 설명부분에 좀 더 구체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몸체(110), 안착베이스(120),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스캔유닛(150) 및 제어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0)가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진다 함은, 후술될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및 전시상품(D)이 안착될 안착베이스(120)가 배치되고, 전시상품(D)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120)에 대향되도록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수단(130)을 지지하면서 반사수단(140)에 의해 반사된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되는 면의 중심영역이 삭제된 골조(骨組)구조를 가짐을 의미한다.
이때, 몸체(110)는 후술될 제어유닛(150)이 실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프레임영역이 직육면체 골조구조로 마련되며, 디스플레이수단(130)이 배치되는 상면과 외부로부터 및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수단(140)의 반사판이 위치되는 면이 삭제된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측면의 구조 또한 상술한 중심영역이 삭제된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수단(130)과 안착베이스(120)가 각각 위치되며 상호 분리된 상면 구조와 하면 구조에서 상호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가 봉 형상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홀로그램 영상의 제공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스탠드구조물(미도시)의 상부에 놓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몸체(110)의 하단부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하단부가 높이 가변형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안착베이스(120)는 몸체(110)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D)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베이스(120)는 상술한 몸체(110)의 개방된 프레임영역의 하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안착베이스(120)는 후술될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영상출력 면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수단(130)와 안착베이스(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수단(140)의 내측 공간상에 전시상품(D)을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안착베이스(12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부공간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수단(130)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122)이 위치하며, 이때, 전시상품(D)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120)의 상판(121)은 조명(12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확산 산란되도록 반투과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내부공간에 위치한 복수의 조명(122) 중 외곽영역에 위치한 몇몇의 조명의 배치위치에 대응되는 상판(121)의 일 영역은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상방으로 홈이 함몰 형성된 투과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착베이스(120)의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은 후술될 반사수단(140)과 함께 안착베이스(120)의 상판(121)에 안착될 전시상품(D)에 상 하방으로 광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후술될 반사수단(140)의 구성 설명부분에서 좀 더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디스플레이수단(130)은 몸체(110)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수단(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출력 면이 안착베이스(120)와 대향되도록 몸체(110)의 프레임영역 상부에 배치되어, 하방,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수단(130)과 안착베이스(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수단(140)의 반사 경사면 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수단(130)은 액정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반사수단(140)은 안착베이스(120)와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반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반사수단(140)은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영상출력 면과 예각을 이루는 4개의 판형부재(141)가 각 측면이 상호 연결된 4각뿔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수단(130)과 안착베이스(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판형부재(141)는 적어도 3개 이상이 반사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수단(140)은 각 판형부재(141)를 상호 연결시키는 고정부재(142)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는 상호 인접한 판형부재(141)의 각 측변을 감싸며 고정시킴으로써, 이러한 고정부재(142)에 의해 각 판형부재(141)는 4각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142)는 안착베이스(120)의 상판(121)에 형성된 관통 홀 또는 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판형부재(141)는 고정부재(142)에 의해 4각 뿔 형상을 유지하면서, 안착베이스(120)의 상판에 지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142)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베이스(120)의 복수의 조명(122) 중, 고정부재(142)의 고정위치에 위치한 조명(122)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인접한 판형부재(141)의 상방으로 전달하는 광 전달부재(143)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덧붙여, 반사수단(140)은 고정부재(142)에 의해 고정된 판형부재(141)의 상방에 결합되며, 광 전달부재(143)에 의해 전달된 조명(122)의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1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반사수단(140)은 고정부재(142)에 의해 4개의 판형부재(141)가 4각뿔 형상을 이루며 디스플레이수단(130)과 안착베이스(120) 사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안착베이스(120)의 조명(122)을 통해 하부에서 상측으로 공급된 광의 일부를 재차 전달 반사시켜 상부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베이스(120)와 반사수단(140)에 의해 구획된 공간상에 안착된 전시상품(D)에 안착베이스(120)로부터 공급된 하부 광과 반사수단(140)에 의해 반사되어 공급된 상부 광이 동시에 공급되어짐으로써,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되어 반사수단(140)의 반사에 의한 홀로그램 영상의 제공 시, 안착베이스(120)에 안착된 전시상품(D) 광의 공급 불균형으로 인한 음영 발생으로 전시상품(D)의 식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캔유닛(150)은 몸체(110)의 일영역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수단(130)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안내하는 정보가 포함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스캔유닛(150)이 스캔하는 2차원 코드 이미지는 인쇄물 형태로 전사되거나, 영상 이미지형태로 출력된 QR(Quick-response)코드 이미지(Q, 이하, ’QR 코드‘라 함.)일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Q)는 각 QR 코드(Q)에 특정 정보,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매칭시켜 네트워크상에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유닛(150)은 이러한 QR 코드(Q)를 스캔함으로써, 후술될 제어유닛(160)이 통신망을 통해 QR 코드(Q)에 매칭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어유닛(160)은 스캔유닛(150)을 통해 스캔된 QR 코드(Q)를 통해 특정 URL에 접근하여 해당 URL에 대응되는 정보열람, 데이터수신,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관련해서는 제어유닛(160)의 구성 설명부분에서 좀 더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제어유닛(160)은 몸체(110) 내부에 실장되고, 디스플레이수단(130), 스캔유닛(150)을 제어하여, 스캔유닛(150)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DB(200)에 연결되며, 콘텐츠 DB(200)로부터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을 통해 출력시킬 수 있으며, 통신부(161), 추출부(162), 스트리밍부(163), 저장부(164) 및 제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1)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61)는 유/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목적으로 Wi-fi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61)는 고유한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주소를 가지는 무선 랜(Wireless LAN) 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추출부(162)는 스캔유닛(150)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해당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칭정보 및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접근되는 네트워크상의 주소에 따른 주소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부(162)가 스캔유닛(150)으로부터 스캔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매칭정보와 주소정보를 구분하여 추출한다는 의미는, 후술할 인증서버(300)에 연결되는 주소와 인증서버(300)에 요청하고자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식별성 정보가 포함된 단일의 URL 값을 통신부(161)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서 획득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캔유닛(150)으로부터 스캔된 QR 코드(Q)에는 콘텐츠 DB(200)에 접근하기 이전에, 인증서버(300)에 연결되면서, 인증서버(300)에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 어떠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 요청하는 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RL 값일 수 있으며, 추출부(162)는 스캔유닛(150)으로부터 스캔된 QR 코드(Q)를 통해 해당 URL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매칭정보와 주소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스트리밍부(163)는 추출부(162)로부터 추출된 주소정보를 통해 통신부(161)를 통해 콘텐츠 DB(200)에 연결되어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부(163)의 콘텐츠 데이터 스트리밍은, 후술될 제어부(165)를 통한 인증서버(300)로의 인증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추출부(162)로부터 추출된 주소정보와 매칭정보를 통해 인증서버(300)에 연결되고, 이후에, 인증서버(300)를 통한 콘텐츠 DB(200)의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이 허가되어, 인증서버(300)를 통해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로 리디랙션(Redirection)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제어부(165)의 구성 설명부분에서 좀 더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한편, 스트리밍부(163)는 콘텐츠 DB(2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실시간으로 출력시킬 때에, 현재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출력되고 있는, 즉, 현재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제공하는 영상의 키 프레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부(163)의 제공 영상의 키 프레임 정보 확인은, 통신부(161)를 통한 콘텐츠 DB(200)와의 통신 시에 유발되는 통신이상, 통신지연, 연결 끊김 등의 상황에서, 후술될 제어부(165)의 제어에 의해 콘텐츠 DB(200)에서 실시간 제공되는 스트리밍 방식의 영상 제공에서, 저장부(16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영상 제공 방식이 전환될 때, 스트리밍부(163)는 이전에 스트리밍된 콘텐츠 데이터의 영상 내 키 프레임 값을 확인해두었다가, 저장부(16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에, 영상 내 키 프레임 값을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수단(130)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연속적인 영상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저장부(164)는 스트리밍부(163)를 통해 콘텐츠 DB(200)로부터 스트리밍 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4)는 콘텐츠 데이터를 휘발성 데이터(Volatile Data) 형태로 저장하여, 후술될 제어부(165)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삭제될 수 있도록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1)를 통한 콘텐츠 DB(200)와의 통신 연결 상태가 설정 값 이하로 떨어져 실시간 스트리밍이 불가할 경우, 후술될 제어부(165)는 저장부(16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부(163)에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밍부(163)를 통한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영상 출력을 스트리밍에서 저장부(16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출력으로 전환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불가 상태에서도 끊김 없이 홀로그램 영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65)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통신부(161), 추출부(162), 스트리밍부(163) 및 저장부(16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디스플레이수단(130) 및 스캔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65)에는 디스플레이수단(130) 및 스캔유닛(15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별도의 센서 또는 스위치 등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65)에 저장된 고유한 식별정보는 제어유닛(160)이 가지는 고유한 시리얼넘버(Serial number), 통신부(161)에 부여된 MAC주소 값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5)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스캔유닛(150)으로부터 스캔된 QR 코드(Q)를 통해 추출부(162)에서 추출한 URL을 통해, 인증서버(300)에 연결되면 제어부(165)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인증서버(300)에 제공함으로써, 인증서버(300)는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고유한 식별정보에 대한 리스트 내에, 해당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통해,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츠 DB(200)로의 접근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65)는 인증서버(300)에서 스캔유닛(150)을 통해 스캔된 QR 코드(Q)에 대응되는 콘텐츠 DB(200)로의 접근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부(161)를 제어하여 인증서버(300)의 리디렉션 연결을 통해 콘텐츠 DB(200)에 연결되고, 스트리밍부(163)를 통해 QR 코드(Q)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65)에는 디스플레이수단(130) 및 반사수단(140)의 사양에 대한 사양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스캔유닛(150)을 통한 QR 코드(Q) 스캔 이후에, 인증서버(300)에 연결될 때, 제어부(165)는 매칭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사양정보 또한 인증서버(300)에 전달함으로써, 인증서버(300)는 콘텐츠 DB(200)로의 접근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 리디렉션 되는 과정에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한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로 리디렉션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어부(165)의 사양정보를 통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수단(130) 및 반사수단(140) 사양을 가진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동일한 QR 코드(Q)를 인식(스캔)시킨다 하더라도, 각 사양에 맞는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출력시킬 수 있음으로써,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각각 대응되는 QR 코드(Q)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한 홀로그램 영상 출력 관리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증서버(300)와 제어부(165)를 통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설명부분에서 좀 더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상술한 내용에 대해서는 발명 내용의 명확한 전달을 위해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DB(200) 및 인증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QR 코드(Q)를 스캔하여, 통신망을 통해 스캔된 QR 코드(Q)로부터 확인된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DB(200)는 상술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될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QR 코드(Q)는 각각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특정 콘텐츠 데이터와 매칭되는 매칭정보와 인증서버(300)에 연결되는 주소정보가 조합된 형태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콘텐츠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Q)에 매칭되어 콘텐츠 DB(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상세하게는,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각 콘텐츠 데이터는 고유한 접근 주소인 URL을 포함하며, 각 QR 코드(Q)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의 URL에 대응되는 주소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 전시상품 A에 대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 1’, ‘콘텐츠 데이터 2’ 및 ‘콘텐츠 데이터 3’이 저장되어있고, 각 데이터의 연결주소 값(URL)이 [콘텐츠 DB 주소/전시상품_A/콘텐츠 데이터_1], [콘텐츠 DB 주소/전시상품_A/콘텐츠 데이터_2], [콘텐츠 DB 주소/전시상품A/콘텐츠 데이터_3]일 경우, QR 코드(Q)에는 인증서버(300)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는 [콘텐츠 DB 주소/전시상품_A]로 도달 가능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증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QR 코드(Q)를 스캔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츠 DB(200)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서버(300)는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저장되고, 인증서버(300)에 연결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식별정보가 저장된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츠 DB(200)로의 접근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인증서버(300)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식별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한 리디렉션 정보를 제공하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QR 코드(Q)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증서버(300)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사양에 따른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예를 이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콘텐츠 데이터 3’의 출력에 적합한 사양을 가지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시상품 A’에 대한 QR 코드(Q)를 스캔하여 인증서버(300)에 연결될 경우, 고유한 식별정보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른 사양정보 및 매칭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인증서버(300)에 ‘콘텐츠 데이터 3’로의 접근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츠 DB(200)로의 접근을 허가한 인증서버(300)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매칭정보, 주소정보, 사양정보를 통해,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콘텐츠 DB 주소/전시상품A/콘텐츠 데이터_3]로 리디렉션 하여, 해당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 DB(2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3’을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QR 코드(Q)를 스캔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증서버(300)에 연결되어, 고유한 식별정보와 사양정보를 송신하면서 해당 QR 코드(Q)에 대응되는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요청하게 되면, 인증서버(300)는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리디렉션 하여 콘텐츠 DB(20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 QR 코드(Q)에 대응되면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로 접근시킴으로써,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스캔된 QR 코드(Q)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 전시상품에 매칭되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해당 전시상품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관리인원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직접 연결하여 영상을 적용 또는 변경시키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적은 관리인원으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QR 코드를 통해 인증서버에 연결될 때, 디스플레이수단 및 반사수단에 대한 사양정보를 함께 송신함에 따라, 사양정보에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로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전시상품에 대해 단일의 QR 코드로도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홀로그램 영상의 변경 및 적용에 대한 관리 인원의 관리 복잡도가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QR 코드의 스캔(인식)을 통해 인증서버에 연결되고, 인증서버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DB로의 접근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허용함에 따라, 기 지정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만이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보안성이 강화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 유출에 따른 불법적 사용 등으로 인한 콘텐츠 제작자의 권익을 보호함고 동시에 홀로그램 영상 산업의 발전을 장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몸체
120 : 안착베이스
121 : 상판
122 : 조명
130 : 디스플레이수단
140 : 반사수단
141 : 판형부재
142 : 고정부재
143 : 광 전달부재
144 : 반사부재
150 : 스캔유닛
160 : 제어유닛
161 : 통신부
162 : 추출부
163 : 스트리밍부
164 : 저장부
165 : 제어부
200 : 콘텐츠 DB
300 : 인증서버
D : 전시상품
Q : QR 코드, QR 코드 이미지

Claims (11)

  1.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몸체의 일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될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안내하는 정보가 포함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유닛;
    상기 안착베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사되는 반사수단;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스캔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스캔유닛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DB에 연결되며, 상기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캔유닛으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해당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칭정보 및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접근되는 네트워크상의 주소에 따른 주소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주소정보를 통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에 연결되어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스트리밍부; 및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통신부, 추출부 및 스트리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상기 스캔유닛에서 스캔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주소정보와 매칭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소정보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인증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인증서버에 추출된 매칭정보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콘텐츠 DB의 상기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트리밍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로부터 스트리밍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콘텐츠 DB와의 통신 연결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한하여, 상기 스트리밍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 차단 또는 상기 스캔유닛의 2차원 코드 이미지 스캔을 통한 신규 콘텐츠 데이터 접근요청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의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유닛이 스캔하는 2차원 코드 이미지는 인쇄물 형태로 전사되거나, 영상 이미지형태로 출력된 QR(Quick-response)코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7. 홀로그램 영상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DB;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며,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여, 통신망을 통해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2차원 코드 이미지를 스캔한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된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콘텐츠 DB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코드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특정 콘텐츠 데이터와 매칭되는 매칭정보와 상기 인증서버에 연결되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한 2차원 코드 이미지로부터 매칭정보와 주소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주소정보를 통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인증서버에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고유의 식별정보와 매칭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인증서버에 상기 매칭정보와 매칭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 리스트가 저장되고, 상기 인증서버에 연결된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정보의 리스트 내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매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한 리디렉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해당 리디렉션 정보를 통해, 상기 콘텐츠 DB로부터 스캔된 2차원 코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여 홀로그램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80072665A 2018-06-25 2018-06-25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27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65A KR102277354B1 (ko) 2018-06-25 2018-06-25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65A KR102277354B1 (ko) 2018-06-25 2018-06-25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32A true KR20200000632A (ko) 2020-01-03
KR102277354B1 KR102277354B1 (ko) 2021-07-13

Family

ID=6915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65A KR102277354B1 (ko) 2018-06-25 2018-06-25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5511A (zh) * 2020-09-11 2020-12-15 武汉右程科通信科技有限公司 防伪溯源码的生成方法、防伪溯源方法及相关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857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아이큐브 피-투-피 방식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시스템
KR100999576B1 (ko)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101298548B1 (ko) * 2012-07-31 2013-08-22 박경섭 개인용 치아 병력 관리 시스템 및 치아 병력 관리 방법
KR20140078171A (ko) * 2012-12-17 2014-06-25 (주)유티엘코리아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 시스템
KR20150060306A (ko) * 2013-11-26 2015-06-03 유영진 플로팅방식 홀로그램 플레이어
KR101571413B1 (ko) 2015-08-06 2015-11-2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20170131790A (ko) * 2016-05-20 2017-11-30 김수연 홀로그램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857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아이큐브 피-투-피 방식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시스템
KR100999576B1 (ko)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101298548B1 (ko) * 2012-07-31 2013-08-22 박경섭 개인용 치아 병력 관리 시스템 및 치아 병력 관리 방법
KR20140078171A (ko) * 2012-12-17 2014-06-25 (주)유티엘코리아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 시스템
KR20150060306A (ko) * 2013-11-26 2015-06-03 유영진 플로팅방식 홀로그램 플레이어
KR101571413B1 (ko) 2015-08-06 2015-11-2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20170131790A (ko) * 2016-05-20 2017-11-30 김수연 홀로그램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5511A (zh) * 2020-09-11 2020-12-15 武汉右程科通信科技有限公司 防伪溯源码的生成方法、防伪溯源方法及相关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354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5538B2 (en) Using same optics to image, illuminate, and project
JP7235258B2 (ja) 正規品認証コンテンツの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統合認証システム
EP3794577B1 (en) Smart platform counter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9528570A (ja) 対話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均一照明
KR102277354B1 (ko) Qr 코드 인식 기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EP2132933A2 (en) Video imagery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05930892A (zh) 一种可变logo二维码防伪方法及系统
WO2016002521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取得方法
CN205942902U (zh) 自动售货机
WO2008054672A3 (en) Apparatus, su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gnal to request goods and/or services
CN113064446A (zh) 一种编队无人机飞行表演信息交互方法及系统
KR20120076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7604B1 (ko) 증강 현실 이미지 제공 방식의 네일 아트 자동 판매 시스템
WO2020237923A1 (zh) 一种显示面板、显示方法及显示系统
KR20190009921A (ko) 정품인증 단말, 플랫폼 및 정품인증 방법
CN112016868A (zh) 一种基于5g的区块链物流管理系统和方法
CA2297925C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s
KR102192585B1 (ko)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US10304033B2 (en) Dynamic projection system for a shelving unit
JP2006031522A (ja) コンテンツ中継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中継配信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37582B1 (ko) 신경망 학습을 적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그 정품 인증 방법
KR102166621B1 (ko) 예술품 인증 방법 및 예술품 인증 시스템
KR102208340B1 (ko) 인터렉티브 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502377B1 (ko) 등록된 보안카드를 이용한 인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불 결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0034A (ko) 보상을 통한 정품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